KR100601388B1 -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388B1
KR100601388B1 KR1020050081216A KR20050081216A KR100601388B1 KR 100601388 B1 KR100601388 B1 KR 100601388B1 KR 1020050081216 A KR1020050081216 A KR 1020050081216A KR 20050081216 A KR20050081216 A KR 20050081216A KR 100601388 B1 KR100601388 B1 KR 10060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oi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하태준
김성희
손혁진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래디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래디안트 filed Critical (주)래디안트
Priority to KR102005008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388B1/ko
Priority to PCT/KR2006/002321 priority patent/WO20070269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73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using multipath or indirect path propagation signals in posi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 정보와 기지국의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됨),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지국 신호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통신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신호, 중계기 판단, Hand Off

Description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POSITON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과 기존의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방법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변 기지국 선택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벡터 진행 순서 설정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에 도시된 위치 모드 설정 단계의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중간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핸드 오프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탑 도그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 정보와 기지국의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의 눈부신 발달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핸드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니도록 우리의 생활을 변모시켰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망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종래의 전통적인 시스템이 가지던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의 하나로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있다. 이는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쉽고 빠르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고나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위치를 확인 및 추적하고 교통 정보나 주변지역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거나 관광지 등 레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한층 더 나아가 지역 특산품이나 기념품 쇼핑, 현장 티켓팅 등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mobile commerce)나 물류관제(화물 및 차량 추적)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이 다양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기존의 이동 통신망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은 전파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시간차이를 '거리'라는 개념으로 환산하고, 삼각 측량법에 대입하는 방식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FLT(Advanced Forward Link Triangulation),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위치 결정 방법들은 기지국(또는 중계기)으로부터 수신되는 직접적인 기지국 신호 정보 이외에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간접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 정보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간접 경로에 의한 문제는 잡음보다 더 심각한 것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 정보에 있어서, 기지국의 시계가 부정확하거나, 중계기의 특성이 각각 상이하여, 중계기 자체 지연 시간의 가변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기지국 신호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였는가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였는가에 대한 여부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셀 반경에 의존하는 방식인 Cell ID, Enhanced Cell ID(예를 들어, CITA+RXLEV)이 있으며, 이러한 위치 결정 방법은 셀 반경에 크게 의존 하므로, 도심 외곽 지역 및 음영 지역과 같이 셀 반경이 넓은 지역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있어서 과도한 오차를 발생 시킨다. 또한,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처음 의도하는 정확도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벡터 방식으로 위치 결정을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참조 기지국의 지배 상태나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되었는지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크게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참조 기지국의 지배 상태가 변하거나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되는 경우 등에는 벡터 방식 위치 결정에 심각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되는 신호가 어느 중계기를 거쳤는지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참조 기지국의 지배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여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 정보와 기지국의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효과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이를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사용된 중계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참조 기지국의 지배 정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 모드에 따라 벡터 방식의 위치 결정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벡터 방식의 위치 결정을 위한 벡터 진행 순서 및 벡터 진행 포인트를 효과적으로 설정하여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동기망 뿐만이 아닌 비동기망에 그대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됨),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됨),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주변 기지국 선택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중계기 유무 판단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벡터 진행 순서 설정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부,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위치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과 기존의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은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사용자 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하고 있는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셀 내의 기지국뿐만 아니라, 주위 셀 내의 기지국들로부터 복수의 기지국 신호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상기 위치 결정 시스템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지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단계별로 최종 벡터 방식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한다" 함은 위치 결정 시스템이 단말기로부터 직접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신호 정보를 통신망의 특정 시스템(또는 장소)에 저장해 놓고 위치 결정 시스템이 상기 특정 시스템에 접근하여 기지국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위치결정 시스템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수의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한다(S210).
이 때, 각각의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의 신호 정보와 주변 기지국의 신호 정보로 나눌 수 있으며, 참조 기지국에 해당하는 신호 정보는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 PN 오프셋(PN Offset) 및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에 해당하는 신호 정보는 PN 오프셋(PN Offset)을 알아내기 위한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 및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를 포함할 수 있다. PN 오프셋(PN Offset)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가 어떤 기지국의 어느 섹터(알파, 베타, 감마 섹터 중)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은 해당 기지국의 PN 오프셋을 알아내기 위한 정보로 기지국 신호가 단말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전파 지연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는 단말기에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세기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방법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 기지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결정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구축되어 있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기지국 및 중계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을 탐색하고, 탐색된 기지국들 중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한다(S220). 예를 들어,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는 약 5km거리 내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변 기지국 선택단계(S22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변 기지국 선택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참조 기지국의 신호 정보인 시스템 식별자(SID), 네 트워크 식별자(NID) 및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기지국 및 중계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참조 기지국의 정보(기지국의 위도, 경도, PN 오프셋)을 확인하고 확인된 참조 기지국의 위도, 경도 정보를 중심으로 반경 5km범위 안에 속해있는 주변 기지국 정보(위도, 경도, PN 오프셋)이 있는가를 식별하여 5km범위 안에 속해있는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위도, 경도, PN 오프셋, 수신 신호 세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종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 수신된 신호인지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0).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S23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한다(S511).
확인한 결과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각 PN 오프셋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 개수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중계기를 거쳐왔다는 가능성에 대한 확률점수를 증가시킨다(S512).
도 5b를 참조하면,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특정 임계 치 보다 강하면서 동일 기지국에서 수신된 PN 오프셋(알파, 베타, 감마 섹터의 PN 오프셋)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21).
판단 결과 동일 기지국에서 수신되고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PN 오프셋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해당 PN 오프셋의 기지국이 중계기를 거쳐왔다는 가능성에 대한 확률점수를 증가시킨다(S522).
도 5c를 참조하면,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동일한 기지국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두 섹터의 PN 오프셋에 대한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이 특정 임계치보다 큰 값을 가지는가 하는 여부를 판단한다(S531).
판단 결과 특정 임계치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 동일한 기지국의 서로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 섹터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한다(S532).
확인 결과 서로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 섹터 중 한 개의 PN 오프셋 섹터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기지국 신호 정보가 해당 PN 오프셋 섹터에 연결되어있는 중계기를 거쳐왔다는 가능성에 대한 확률점수를 증가시킨다(S533).
서로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 섹터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값이 더 긴 PN 오프셋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를 거쳐왔다는 가능성에 대한 확률점수를 증가시킨다(S534).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방법 중 일부만이 수행될 수도 있고,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방법이 모두 수행되는 경우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도 5a 내지 도 5c를 거쳐서 누적된 각 기지국에 대한 확률점수가 소정의 중계기 확률 점수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41).
판단 결과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 판단단계는 각각의 기지국의 신호는 중계기를 거쳐온 신호라고 최종 판정할 수 있다(S542).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벡터방식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종위치를 결정을 위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한다(S240). 즉, 벡터 진행 순서 설정단계(S240)는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반경 5km범위 안에 속해있는 주변 기지국들을 대상으로 벡터의 진행 순서를 결정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벡터 진행 순서 설정단계(S24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벡터 진행 순서 설정단계는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N 오프셋 개수를 각 기지국 별로 기록하고, PN 오프셋 개수가 많은 순서로 각 기지국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S610).
서로 다른 기지국이 동일한 PN 오프셋의 개수를 가지고 있다면, 수신 신호 세기 순서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전파 지연 시간 순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S620).
이후 맨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각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과의 거리 차 및 방향각을 측정한다(S630). 이와 같이, 정렬된 맨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중계기 위치를 중심으로 두 번째, 세 번째, , 그리고 맨 마지막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중계기 방향으로 벡터를 진행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한다(S250).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S250)는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해당 기지국을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벡터 진행 포인트는 시작 포인트 및 시작 포인트 이외의 벡터 진행 포인트가 있다. 이하,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시작 포인트에 대한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방법 및 시작 포인트 이외의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방법을 각각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는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시작 포인트에 대한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는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맨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PN 오프셋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1).
판단 결과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맨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PN 오프셋이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동일 기지국에서 3개 이하의 PN 오프셋이 수신될 수 있다),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있는 중계기들 중에서,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두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두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벡터 진행 순서의 시작 포인트로 설정한다(S712).
판단단계(S711)의 판단결과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맨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PN 오프셋이 수신되었을 경우 맨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3).
판단 결과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것이 있으면,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있는 중계기들 중에서,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두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으 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벡터 진행 순서의 시작 포인트로 설정한다(S714).
판단 결과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것이 없으면,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두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두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벡터진행 순서의 시작 포인트로 설정한다(S712).
도 7b는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시작 포인트 이외의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 단계는 해당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1).
판단 결과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 되지 않았을 경우, 벡터진행의 시작점의 위치와 해당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벡터 진행의 시작 포인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의 위치를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한다(S722).
판단단계(S721)의 판단 결과 해당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의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 되었을 경우,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 보다 강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3).
판단 결과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것이 있으면, 벡터 진행 의 시작 포인트의 위치와 해당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해당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의 위치를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한다(S724).
판단 결과 수신 신호 세기가 특정 임계치보다 강한 것이 없으면, 벡터 진행의 시작 포인트의 위치와 해당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간의 거리보다 멀지 않은 중계기들을 선정하고 이들 중계기 중에서 벡터 진행의 시작 포인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의 위치를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한다(S722).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한다(S260).
이 때, 참조 기지국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는 다른 주변 기지국들에 비하여 참조 기지국이 얼마나 지배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참조 기지국이 변경되는 핸드 오프(Hand Off)환경에서 상기 지배 정도는 낮은 값을 가지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들에 비하여 특정 기지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탑 도그(Top Dog)환경에서 상기 지배 정도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는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약한 경우에 핸드 오프(Hand Off)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강한 경우에 탑 도그 모드(Top Dog)로 설정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상기 핸드 오프 모드와 상기 탑 도그 모드 사이인 경우에 중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에 도시된 위치 모드 설정 단계(S260)의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 값과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11).
판단 결과 두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드 오프 모드일 가능성이 많다고 판단하여 확률점수제를 적용하여 확률점수를 증가시킨다(S813).
이후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로 검색한 기지국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 보다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으로 검색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14).
판단 결과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로 검색한 기지국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 보다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으로 검색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강하면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으로 검색한 기지국을 최종적인 참조 기지국 위치로 선정한다(S816).
판단 결과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로 검색한 기지국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 보다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으로 검색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약하면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베이스 스테이션 식별자(BaseID)로 검색한 기지국을 최종 참조 기지국 위치로 선정한다(S815).
또한, 판단단계(S811)의 판단 결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 값과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 값이 동일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드 오프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S812).
도 8b를 참조하면,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주변 기지국들 중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가장 센 기지국의 PN 오프셋이 참조 기지국의 PN 오프셋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21).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드 오프 모드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S823).
판단 결과 동일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드 오프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S822).
도 8a에 도시된 방법 및 도 8b에 도시된 방법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도 8a에서 산출된 확률 점수와 도 8b에서 산출한 확률 감수가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합산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 지국 신호가 중계기를 거쳐온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31).
판단 결과 중계기를 거쳐온 신호가 아닌 경우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다수(2개)의 PN 오프셋이 모두 동일한 기지국에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2).
판단 결과 두 개의 PN 오프셋이 모두 동일한 기지국에서 수신된 경우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총 3개의 PN 오프셋의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중 2개 이상이 강한 특정 임계치보다 강하고 약한 특정 임계치보다 약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33).
판단 결과 강한 특정 임계치보다 강하고 약한 특정 임계치보다 약한 경우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3개의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의 차가 2 Chip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34).
판단 결과, 2 Chip이하인 경우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에 가장 가까이 있어 탑 도그 모드에 있다고 판단한다(S835).
판단단계(S831)에서 첫 번째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기지국 신호가 중계기를 거쳐온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나, 판단단계(S832)에서 동일한 기지국에서 첫 번째 PN 오프셋을 제외한 2개의 PN 오프셋이 모두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나, 판단단계(S833)에서 총 3개의 PN 오프셋의 수신 신호 세기 중 2개 이상이 강한 특정 임계치보다 강하고 약한 특정 임계치보다 약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나, 판단단계(S834)에서 3개의 PN 오프셋에 해당하는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의 차 가 2 Chip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위치 모드 설정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탑 도그 모드에 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S836).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중계기를 거쳐서 기지국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해당 기지국을 정확하게 추적하여 벡터진행의 최초 시작 포인트 및 맨 마지막 벡터진행의 종착 포인트 등의 벡터 진행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S270).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핸드 오프 모드인지, 탑 도그 모드인지 또는 중간 모드인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9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중간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벡터진행의 시작점을 A지점, 두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B지점, 세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C지점, 그리고 맨 마지막 종착점을 D지점이라고 가정한다. (각 지점은 기지국 혹은 중계기 위치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앞서 기술한 내용 중에서 벡터의 진행점으로 판단된 기지국의 신호가 중계기를 거쳐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중계기의 위치를 벡터의 진행점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A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를 12, B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 호 세기를 24, C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를 36, D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를 48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세기는 0~61 사이의 숫자로 그 숫자가 작을수록 수신 신호가 강한 것이다.
상기 가정하에 벡터의 최초 시작점인 A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와 각각의 지점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와의 비율을 결정하고 또한 A지점과 각 지점간의 거리를 결정한다. 각 비율 및 A지점과 각 지점간의 거리를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1) 비율 -> A: B = 1: 2, A: C = 1:3, A: D = 1:4
(2) 거리 -> AB = 400m, AC = 300m, AD = 500m
상기 비율 및 거리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벡터진행의 시작점인 A지점에서부터 벡터를 진행한다. 맨 처음 진행하는 방법은 A지점에서 B지점의 방향으로 두 지점간의 거리에 A와 B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2)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지점을 E라 가정). 두 번째 진행 방법은 E지점에서부터 C지점의 방향으로 E지점과 C지점간의 거리에 A와 C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3)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지점을 F라 가정). 맨 마지막 벡터의 진행방법은 F지점에서부터 D지점의 방향으로 F지점과 D지점간의 거리에 A와 D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4)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지점을 G라 가정). 이렇게 이동한 벡터방식을 적용한 최종위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한다.
도 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핸드 오프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벡터진행의 시작점을 A지점, 두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B지점, 세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C지점, 그리고 맨 마지막 종착점을 D지점이라고 가정한다. 다른 모든 가정은 도 9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진행의 시작점인 A지점에서부터 벡터를 진행한다. 맨 처음 진행하는 방법은 A지점에서 B지점의 방향으로 두 지점간의 거리에 A와 B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2)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E라 가정) 이동한 지점 E와 B지점간에 A와 B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2)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F라 가정). 두 번째 진행 방법은 F지점에서부터 C지점의 방향으로 F지점과 C지점간의 거리에 A와 C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3)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G라 가정) 이동한 지점 G와 C지점간에 A와 C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3)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H라 가정). 맨 마지막 벡터의 진행방법은 H지점에서부터 D지점의 방향으로 H지점과 D지점간의 거리에 A와 D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4)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I라 가정) 이동한 지점 I와 D지점간에 A와 D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4)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J라 가정). 이렇게 이동한 벡터방식을 적용한 최종위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한다.
도 1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탑 도그 모드일 경우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벡터진행의 시작점을 A지점, 두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B지점, 세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지점을 C지점, 그리고 맨 마지막 종착점을 D 지점이라고 가정한다. 다른 모든 가정은 도 9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진행의 시작점인 A지점에서부터 벡터를 진행한다. 맨 처음 진행하는 방법은 A지점에서 B지점의 방향으로 두 지점간의 거리에 A와 B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2)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E라 가정) 이동한 지점 E와 A지점간에 A와 B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2)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F라 가정). 두 번째 진행 방법은 F지점에서부터 C지점의 방향으로 F지점과 C지점간의 거리에 A와 C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3)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G라 가정) 이동한 지점 G와 F지점간에 A와 C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3)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H라 가정). 맨 마지막 벡터의 진행방법은 H지점에서부터 D지점의 방향으로 H지점과 D지점간의 거리에 A와 D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4)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하고(이동한 지점을 I라 가정) 이동한 지점 I와 H지점간에 A와 D간의 수신 신호 세기 비율(1:4)을 적용한 거리만큼 이동한다(이동한 거리를 J라 가정). 이렇게 이동한 벡터방식을 적용한 최종위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 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부(1210), 주변 기지국 선택부(1220), 중계기 유무 판단부(1230), 벡터 진행 순서 설정부(1240),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부(1250), 위치 모드 설정부(1260) 및 위치 결정부(127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210)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주변 기지국 선택부(1220)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80)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한다. 이 때, 소정 거리는 약 5km정도일 수 있다.
중계기 유무 판단부(1230)는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벡터 진행 순서 설정부(1240)는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한다.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부(1250)는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한다.
위치 모드 설정부(1260)는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한다.
이 때, 위치 모드 설정부(1260)는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가장 약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핸드 오프(Hand Off)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가장 강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탑 도그 모드(Top Dog)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상기 핸드 오프 모드와 상기 탑 도그 모드 사이인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 말기의 위치 모드를 중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127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각 블록들은 반드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결관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11을 통하여 설명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 블록들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다른 연결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지국 선택부(1220) 및 중계기 유무 판단부(1230) 사이에 연결관계가 있을 수도 있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80) 및 위치 모드 설정부(1260) 사이에 연결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고, 앞서 위치 결정 방법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시스템의 구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또는 기지국 교환기 등에 측위 서버의 형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곳이라면 그 설치 장소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은 관리 및 투자 효율 등의 사항을 고려할 때 기존의 코어망(또는 통신망의 서브시스템)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동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을 통 한 측위 서버의 도움 없이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직접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위치 결정 시스템을 이동 통신망 내에서 별도의 플랫폼 형태로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탑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와 측위 서버간에 서로 주고 받는 메시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별도의 플랫폼 구축 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로 하여금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빠른 시간에 도입 및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고, 일부는 이동 통신망에 플랫폼 형태로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동기망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위치 결정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동기망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비동기망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비동기망의 경우에 PN 지연 시간 대신 TA(Timing Advance)나 RTT(Round Trip Time)와 같은 왕복 지연 시간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 정보와 기지국의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효과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이를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사용된 중계기를 식별할 수 있어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참조 기지국의 지배 정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 모드에 따라 벡터 방식의 위치 결정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벡터 방식의 위치 결정을 위한 벡터 진행 순서 및 벡터 진행 포인트를 효과적으로 설정하여 정확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동기망 뿐만이 아닌 비동기망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됨 -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약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핸드 오프(Hand Off)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강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탑 도그 모드(Top Dog)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상기 핸드 오프 모드와 상기 탑 도그 모드 사이인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중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PN 오프셋 값과,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기본 스테이션 식별자(Base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서 얻어낸 PN 오프셋 값이 다른 경우에 핸드 오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PN 오프셋 값과,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식별자(SID),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기본 스테이션 식별자(Base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서 얻어낸 PN 오프셋 값이 다른 경우에,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PN 오프셋 값에 상응하는 기지국과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서 얻어낸 PN 오프셋 값에 상응하는 기지국 중에서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더 강한 기지국을 상기 참조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수신 신호 크기 중 가장 강한 수신 신호 크기에 상응하는 기지국의 PN 오프셋이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포함된 PN 오프셋과 다른 경우에 핸드 오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는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 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것이고,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이 수신되고,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 및 상기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 중 두 개 이상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소정 범위 내에 있으면서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 및 상기 다른 두 개의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 차가 2칩(chip) 이하이면 상기 탑 도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중간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최종 단계의 상기 제3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탑 도그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3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상기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최종 단계의 상기 제4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핸드 오프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 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포인트와 상기 제3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상기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최종 단계의 상기 제4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상기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확률점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확률점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 해당 기지국에 상응하는 기지국 정보 신호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상기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수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강하고 동일 기지국에서 수신된 PN 오프셋이 하나뿐인 경우에 상기 확률점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상기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동일 기지국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PN 오프셋에 대한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 해당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서로 다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섹터들 중 한 개의 섹터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중계기에 대한 상기 확률점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서로 다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둘 이상의 섹터에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파 지연 시간이 더 긴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중계기에 대한 상기 확률점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상기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N 오프셋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N 오프셋 개수가 동일한 경우에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세기(PN)까지 동일한 경우에 전파 지연 시간(PN Phase Delay)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해당 기지국을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 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 경우에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 중 시작 포인트의 설정은
    상기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지 않았거나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었더라도 상기 다른 PN 오프셋의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모두 소정 레벨보다 약한 경우,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과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두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 사이의 거리 내에 위치한 중계기들 중 상기 두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 중 시작 포인트의 설정은
    상기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고 상 기 다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소정 레벨보다 강한 것이 있으면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과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두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 사이의 거리 내에 위치한 중계기들 중 상기 첫 번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시작 포인트 이외의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의 설정은
    상기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 특정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고 상기 다른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소정 레벨보다 강한 것이 있으면 상기 시작 포인트와 상기 특정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 사이의 거리 내에 위치한 중계기들 중 상기 특정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시작 포인트 이외의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의 설정은
    상기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 상기 벡터 진행 순서상 특정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지 않았거나, 다른 PN 오프셋이 수신되었더라도 상기 다른 PN 오프셋의 수신 신호 세기(PN Strength)가 모두 소정 레벨보다 약한 경우, 상기 시작 포인트와 상기 특정 PN 오프셋에 상응하는 기지국 사이의 거리 내에 위치한 중계기들 중 상기 시작 포인트에 가장 가까운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는 참조 기지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됨 -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참조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주변 기지국 선택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중계기 유무 판단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대한 벡터 진행 순서를 설정하는 벡터 진행 순서 설정부;
    상기 참조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보가 중계기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벡터 진행 포인트를 설정하는 벡터 진행 포인트 설정부;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설정하는 위치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위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 진행 순서대로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에 대한 벡터 방식 위치 결정을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모드 설정부는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가장 약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핸드 오프(Hand Off)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가장 강한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를 탑 도그 모드(Top Dog)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기지국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배 정도가 상기 핸드 오프 모드와 상기 탑 도그 모드 사이인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 를 중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중간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 단계의 상기 제3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탑 도그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3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상기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4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4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 단계의 상기 제4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결정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모드가 핸드 오프 모드인 경우에
    상기 벡터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벡터 진행 포인트들 중 선순위의 제1 포인트로부터 후순위의 제2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3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2 포인트와 상기 제3 포인트를 잇는 선상에 상기 시작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 비율에 따른 제4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4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로 하고, 다음 순위의 벡터 진행 포인트를 상기 제2 포인트로 하여 상기 제3 포인트 및 상기 제4 포인트를 설정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 단계의 상기 제4 포인트에 상응하는 위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시스 템.
KR1020050081216A 2005-09-01 2005-09-01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KR100601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16A KR100601388B1 (ko) 2005-09-01 2005-09-01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PCT/KR2006/002321 WO2007026995A1 (en) 2005-09-01 2006-06-16 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positon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16A KR100601388B1 (ko) 2005-09-01 2005-09-01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388B1 true KR100601388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16A KR100601388B1 (ko) 2005-09-01 2005-09-01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1388B1 (ko)
WO (1) WO20070269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12B1 (ko) 2008-12-12 2011-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주변 이동 기지국 파악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9125A (zh) 2007-09-14 2009-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邻区列表的方法、系统及设备
CN105873067A (zh) * 2016-05-31 2016-08-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伪基站的识别的方法及终端
CN107580326B (zh) * 2017-10-17 2021-01-26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伪基站识别中的参数调整方法、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487A (en) * 1995-06-05 1997-08-12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location process making use of handoff data
US5945949A (en) * 1997-01-13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station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365319B2 (ja) * 1998-08-06 2003-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回路網のための差動修正位置選定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12B1 (ko) 2008-12-12 2011-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주변 이동 기지국 파악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6995A1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46032B1 (ko)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0564728B1 (ko) 격자 패턴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656349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이종 시스템간 핸드오버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10038978B2 (en) Techniques for mobile network geolocation
CN104995973B (zh) 移动设备定位系统
JP4973378B2 (ja) 位置推定方法、及び位置推定システム
JP5727998B2 (ja) 改善された測位方法
US8150417B2 (en) Mobile device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10244859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terminal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537613A (ja) 移動通信端末機の位置決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420070B2 (ja) 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移動する無線通信装置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通信装置
JP200420100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制御方法
JP2006033207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位置情報提供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7537614A (ja) グリッドパターンマッチングに基づく移動通信端末機の位置決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01388B1 (ko) 위치 모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시스템
KR101670758B1 (ko)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 계산 서버
US7181224B2 (en)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CN100435597C (zh) 一种提高蜂窝网络定位精度的方法
KR101360351B1 (ko)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67003B2 (en) Method of tracking user's location
CN103249138A (zh) 定位方法与装置
KR101591566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WO2023193220A1 (en) Wireless-based sidelink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66514B1 (ko) 위치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