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835B1 -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835B1
KR100600835B1 KR1020037008452A KR20037008452A KR100600835B1 KR 100600835 B1 KR100600835 B1 KR 100600835B1 KR 1020037008452 A KR1020037008452 A KR 1020037008452A KR 20037008452 A KR20037008452 A KR 20037008452A KR 100600835 B1 KR100600835 B1 KR 10060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data
protocol
raw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154A (ko
Inventor
판 누티넨
마르쿠스 마노자
미카 부리사리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7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5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81Transmission between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내의 1개 이상의 이동국(들)의 위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이동 네트워크에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는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수신기 및 적어도 1개의 위치 엔티티를 포함한다. 미처리 위치 데이터는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LLP를 이용하여 수신기로부터 위치 엔티티로 전송된다. 위치 엔티티는 수신된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바, 이 보조 데이터는 이동국에 전송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이동국의 현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네트워크 보조 이동 기반 GPS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서 이용된다.
통신 네트워크, 이동국, 위치 결정, GPS 시스템, 제어 프로토콜

Description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GPS DATA IN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과 같은 네트워크들에서의 이동국(들)의 위치 결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이동국(들)"이란 용어는 이동 전화들, 휴대용 컴퓨터들, 사용자 장비(UE)(들)과 같은 모든 종류의 이동 장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이동국(MS)의 현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네트워크 보조 이동 기반 GPS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로부터의 GPS 보조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GPS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위치 측정 요구시, 대개 기지국으로부터 MS로 직접 전송된다.
그러나, 일례로서, SMLC(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서비스 모바일 위치 설정국)가 MS를 위한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켜야할 때, 이 SMLC는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미처리(raw) GPS 위성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발생된 GPS 보조 데이터는 표준화된 정보 전송에 따라, 예를 들어 이러한 GPS 보조 데이터를 위치 측정 요구에 포함시킴으로써, SMLC로부터 MS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SMLC에 의한 미처리 GPS 위성 데이터의 획득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독립항들 또는 종속항들중 어느 항에서 정의되는 방법 그리고/또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GPS 데이터(즉, 서브프레임)와 같은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3G(제 3 세대) 네트워크들 및 IP-RAN(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무선 접속 네트워크)과 같은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는바, 여기에서 SMLC는 SRNC(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서비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의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LLP가 미처리 위치 데이터, 바람직하게는 GPS 위성 데이터(서브프레임들)를 소스(예를 들어, BS 또는 LMU)로부터 SMLC(들)로 전송하는 데에 이용되는바, SMLC들은 이 데이터를,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MS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한다.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바람직하게는, LLP 프로토콜(LMU LCS 프로토콜)과 같은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이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전용 기준 수신기들, 예를 들어 GPS 수신기들이 (예를 들어, BTS 사이트 상의 LMU(위치 측정 유닛) 내의) 알려진 위치에 제공되는바, 이들은 예를 들어 GPS 서브프레임과 같은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이미 존재하는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Abis)를 통해 1개 이상의 SMLC들로 전송한다.
SMLC들은, 예를 들어 BTS(기지 송수신국) 그리고/또는 특정한 기준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기준 수신기(들)는 이러한 특정한 기준 영역의 미처리 데이터 소스이다.
따라서, SMLC들은 자신의 GPS 수신기 또는 기준 GPS 수신기를 갖출 필요가 없다.
SMLC들은 획득한 미처리 GPS 위성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기준 GPS 수신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SMLC들로 전송할 수 있다. SMLC들은 통신 네트워크의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미처리 GPS 위성 데이터를 다른 SMLC들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위치 엔티티가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다른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SMLCPP(SMLC 피어 프로토콜)와 같은 제어 프로토콜일 수 있다.
도 1은 제 2 세대 네트워크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시그널링 흐름 및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준 GPS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1은 다수의 위성들(1)로부터 GPS 신호들(미처리 데이터)를 공급받는 다수의 기준 GPS 영역들(2)(3개의 기준 GPS 영역들 1, 2, 3이 도시됨)을 도시한다. 각 기준 GPS 영역(2)은 적어도 1개의 BTS(기지 송수신국)(3)을 포함한다.
각 기준 GPS 영역은, 점선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4개의 위성들(1)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1개(또는 그 이상)의 전용 기준 GPS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 GPS 수신기는 바람직하게는 기준 GPS 영역의 BTS(3) 사이트 상의 LMU 내의 알려진 위치에 배치된다. 기준 GPS 수신기(들)은 이러한 특정한 GPS 영역의 GPS 미처리 데이터 소스이며, 이러한 GPS 미처리 데이터(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를 GPS 수신기와 동일한 기준 GPS 영역에 할당된 1개 이상의 SMLC로 전송한다. 저장 그리고/또는 처리 수단(5)이, 할당된 SMLC(4)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와 협력하여, 수신된 GPS 미처리 데이터를 저장 그리고/또는 처리함으로써, 보조되는 GPS에 대한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바, 이는 예를 들어 ETSI와 같은 각각의 표준들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보조 GPS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미처리 GPS 위성 데이터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방법 자체는 알려져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BS) 또는 LMU 등에서와 유사하거나 같은 방법으로 SMLC(4)에서 이용될 수 있다.
GPS 서브프레임들(미처리 데이터)은 기준 GPS 수신기로부터 이미 존재하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백본(예를 들어, Abis)을 통해 SMLC(들)로 전송된다. 점과 대시의 혼합선(·―·―)은 기준 GPS 수신기로부터 SMLC(4)로의 GPS 미처리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각 BTS(3)는, 기준 GPS 영역들과 셀들을 상호접속하는 BTS(3), SMLC(4) 및 MSC(이동 스위칭 센터)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1개의 BSC(이동국 제어기)(6)에 할당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GPS 영역(1)은 2개의 BSC들(6)을 포함하며, 다른 기준 GPS 영역들은 단지 1개의 BSC(6) 만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영역들 또는 셀들의 SMLC들(4)이, 예를 들어 GPS 미처리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고자 할 때, MSC(7)를 통해 연결이 설정된다. 대시선(---)은 SMLC들(4) 간의 GPS 미처리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인터페이스들(프로토콜들)은 2G(제 2 세대) 타입 네트워크들처럼 명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3G 및 모든 IP)에 적용된다. 이러한 모든 프로토콜들은 GPS 미처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상들중 하나에 따르면, GSP 기준 데이터는 LMU(3)로부터 기존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SMLC(4)로 전송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LP 프로토콜은 GPS 기준 데이터(또는 GPS 미처리 데이터)를 LMU로부터 SMLC(4)로 전송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여기서, LLP는 "LMU LCS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LCS는 "위치 서비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MSC(7)를 통한 SMLC들(4) 간의 통신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SMLCPP(SMLC 피어 프로토콜)가 이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본 특징은 미처리 GPS 위성 데이터(서브프레임들)를 소스(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SMLC(4))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MS의 GPS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SMLC(들)(4)로 전송하도록 통신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SMLC(4)와 MSC(7) 간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Ls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Ls 인터페이스 상의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BSSAP-LE를 이용할 수 있다. BSC(6)와 SMLC(4) 간의 인터페이스는 Lb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 상의 시그널링 또한 BSSAP-LE를 이용할 수 있다. 피어 SMLC들(4) 간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Lp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NSS 및 BSS 기반 SMLC들(4)은 Lp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이에 따라 다른 SMLC(4)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 및 자원들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상의 시그널링 또한 BSSAPP-LE 또는 SMLCPP를 이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들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km 반경 내에 설치된다. 기지국(BS)들은 고정된 좌표들을 갖기 때문에, GPS 수신기(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BS 사이트 상의 LMU 안에 또는 LMU에 위치될 수 있다. BS는 GPS 서브프레임들을 이미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Abis, Lub)를 통해 SMLC(4)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각 위성으로부터의 GPS 미처리 데이터는 서브프레임들(각 300 비트)이며, 위성으로부터의 GPS 미처리 데이터 전송 속도는 50 bit/s이다. 따라서, 12개 위성들의 미처리 데이터에 대해 요구되는 전송 속도는 600 bit/s (75 byte/s)가 될 것이다. 계산 및 시뮬레이션은, 이러한 데이터 및 데이터 속도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아무 문제없이 전송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Q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 단계들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다. 위성(1)은 GPS 미처리 데이터를, 예를 들어 기준 GPS 영역(2)의 기지국 또는 BTS(3)에 설치된 기준 GPS 수신기(10)로 전송한다. GPS 수신기(10)는 미처리된 또는 궁극적으로 전처리된 형태의 이러한 GPS 미처리 데이터를 SMLC(4)로부터 통신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한다. 수신기(10)로부터 SMLC(4)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또한, 차동 GPS (DGPS)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GPS 기준 수신기에 의해 검출된 위치 검출 에러들을 정정 또는 표시하는 에러 정정(또는 표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SMLC(4)는 수신된 GPS 미처리 데이터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 단계(12)를 수행한다. 이후, GPS 보조 데이터는 1개 이상의 BTS들(3)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 1개 이상의 이동국들(11)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LC(4)는 GPS 미처리 데이터 (그리고/또는 GPS 보조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의 적절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SMLC(4)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세대들(예를 들어, 제 2 세대, 제 3 세대 또는 모든 IP)의 서로 다른 제품들의 네트워크 보조 MS 기반 GPS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라 기존의 셀룰러 시그널링 백본을 이용하는 것은, GPS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에 쉽고, 확실하며, 경제적인 해결책이다. 기술적으로, 이러한 아이디어는, 예를 들어 RIT(무선 인터페이스 타이밍) 정보 교환과 유사하게 SMLCPP 프로토콜을 이용 또는 확장(extension)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에 대한 모든 변형들, 수정들, 생략들 등을 포함한다.

Claims (39)

  1.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알려진 위치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전용 기준 수신기 및 적어도 1개의 위치 엔티티를 포함하는 이동 네트워크 내의 1개 이상의 이동국(들)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동 네트워크에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는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위치 엔티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는 GPS 미처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상기 수신된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SMLC(서비스 모바일 위치 설정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컴퓨터 또는 사용자 장비(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은 LLP 프로토콜(LMU LCS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다른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상기 다른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위치 엔티티에 의해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제어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MLCPP(SMLC 피어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위치 측정 유닛(LMU)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18. 이동 네트워크-이 네트워크는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알려진 위치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전용 기준 수신기 및 적어도 1개의 위치 엔티티를 포함한다-내에서 이동국(MS)의 현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보조 이동 기반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는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위치 엔티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보조 이동 기반 위치 결정 방법.
  19. 이동 네트워크 내의 1개 이상의 이동국(들)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이동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상기 시스템은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1개의 수신기 및 적어도 1개의 위치 엔티티를 포함한다-으로서,
    상기 수신기는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상기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는 GPS 미처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상기 수신된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조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SMLC(서비스 모바일 위치 설정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컴퓨터 또는 사용자 장비(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은 LLP 프로토콜(LMU LCS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엔티티는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1개 이상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다른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 위치 데이터를 상기 다른 위치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위치 엔티티에 의해 이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제어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토콜은 SMLCPP(SMLC 피어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위치 측정 유닛(LMU)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36. 삭제
  3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는 GPS 보조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3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보조 이동 기반 위치 결정 방법은 GPS 위치 결정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보조 이동 기반 위치 결정 방법.
  3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는 GPS 보조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0037008452A 2000-12-21 2000-12-21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600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0/013120 WO2002050562A1 (en) 2000-12-21 2000-12-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gps data in mobil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54A KR20030075154A (ko) 2003-09-22
KR100600835B1 true KR100600835B1 (ko) 2006-07-14

Family

ID=816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452A KR100600835B1 (ko) 2000-12-21 2000-12-21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072576A1 (ko)
EP (1) EP1346233A1 (ko)
JP (1) JP2004516479A (ko)
KR (1) KR100600835B1 (ko)
CN (1) CN1488077A (ko)
AU (1) AU2001231634A1 (ko)
BR (1) BR0017388A (ko)
CA (1) CA2428899A1 (ko)
WO (1) WO2002050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9366B2 (ja) * 2001-07-26 2003-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基地局識別番号の送信方法
US7158500B2 (en) * 2002-06-28 2007-01-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location center to mobile location center communication in the packet-switched domain
US7233798B2 (en) * 2002-09-30 2007-06-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remote unit using GPS
GB2395079A (en) * 2002-10-28 2004-05-12 Kuldip Bajwa Laptop PC tagging device
KR100913881B1 (ko) * 2002-12-18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AU2002953451A0 (en) * 2002-12-20 2003-01-09 Norman, Michael Leslie Posi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60082586A (ko) * 2005-01-13 200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방법
US8060108B1 (en) * 2007-04-19 2011-11-1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ocation data stream
US8660574B2 (en) 2008-04-02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Generic positioning protocol
US9435874B2 (en) 2009-04-21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sitioning for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US8660540B2 (en) 2009-04-21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version negotiation for positioning for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US9363782B2 (en) 2011-06-2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positioning in multicarrier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5427B1 (en) * 1996-09-06 2001-02-06 Snaptrack, Inc. Distributed satellite position system processing and application network
US6070078A (en) * 1997-10-15 2000-05-30 Ericsson Inc. Reduced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code shift search space for 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6411811B2 (en) * 1998-04-20 2002-06-25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ssistance 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to a mobile station
US5982324A (en) * 1998-05-14 1999-11-0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Combining GPS with TOA/TDOA of cellular signals to locate terminal
US6067045A (en) * 1998-09-01 2000-05-2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iti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GPS-based positioning
US6397074B1 (en) * 1999-05-07 2002-05-2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GPS assistance data delivery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7388A (pt) 2004-01-13
KR20030075154A (ko) 2003-09-22
US20040072576A1 (en) 2004-04-15
WO2002050562A1 (en) 2002-06-27
CN1488077A (zh) 2004-04-07
CA2428899A1 (en) 2002-06-27
JP2004516479A (ja) 2004-06-03
AU2001231634A1 (en) 2002-07-01
EP1346233A1 (en)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037B2 (ja) インターネットベースのアシスト全地球測位システム
US9042913B2 (en) Transmitter position integrity checking
EP1073913B1 (e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ugment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JP5039880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効率的なgps支援方法および装置
US7236126B2 (en) AGPS system using NTP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terminal using a NTP server
JP4955804B2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内でのgps航法データの増分放送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CA2331709C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ltitude information in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US8681741B1 (en) Autonomous hybrid WLAN/GPS location self-awareness
WO2011152283A1 (ja) 測位装置及び方法
KR100600835B1 (ko)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984688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한 소형 기지국의 위치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30070920A (ko) 이동국 위치 픽스를 유효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5510172A (ja) 無線通信網において移動端末の位置を計算するシステムと方法
CA2558341C (en) Gps data management module for use i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s
EP1590973B1 (en) Location technology support determin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devices
JP2004254293A (ja) テスト用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TWI411334B (zh) 定位使用者設備的方法以及使用者設備
CN101388713B (zh) 在td-scdma无线通讯系统中校准gps标准时间的方法
JP2003289574A (ja) 位置決定システム及び送受信装置
CN101400123B (zh) 在同步通讯系统中终端获得gps标准时间的方法与系统
JP2000156882A (ja) Phs端末位置情報システム、位置情報取得装置及びphs端末
JPH09933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を用いた測位方式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呼出方式
KR20070066579A (ko) Gps를 이용한 물품 위치 안내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005B1 (ko) Td-scdma 환경에서의 고 정밀도 실시간 측위 방법
KR100685283B1 (ko) Gis 매핑을 이용하여 위치 탐색기의 위경도 값을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Ip right invalidated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