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745B1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745B1
KR100600745B1 KR1020040028985A KR20040028985A KR100600745B1 KR 100600745 B1 KR100600745 B1 KR 100600745B1 KR 1020040028985 A KR1020040028985 A KR 1020040028985A KR 20040028985 A KR20040028985 A KR 20040028985A KR 100600745 B1 KR100600745 B1 KR 10060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unit
air
port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3707A (en
Inventor
진순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745B1/en
Publication of KR2005010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7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의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토출구 유닛이 승강 가능토록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binet, and a discharge port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은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에 토출구 유닛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이 승강되면서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구조이므로,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토출구 유닛이 하강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로 인한 실내기의 외관 저하가 방지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유닛이 보호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unit is provided to be elevated in the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ort as the discharge unit is eleva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unit is lowered into the cabine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Thus,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due to the discharge port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the discharge port unit is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and inflow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unit is also advantageous.

공기조화기, 실내기, 캐비닛, 공기 토출구, 토출구 유닛, 토출구 유닛 가이드,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Air conditioner, indoor unit, cabinet, air outlet, outlet unit, outlet unit guide, outlet unit lifting means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operat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 uni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 토출구 유닛 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 uni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베이스 60: 캐비닛50: base 60: cabinet

72: 공기 흡입구 74: 공기 토출구72: air inlet 74: air outlet

80: 토출구 유닛 82: 탑 커버80: discharge port unit 82: top cover

84: 상부 프레임 84a: 전방 좌측 걸이부84: upper frame 84a: front left hook portion

84b: 전방 우측 걸이부 84c,87c,88a: 걸림홈 84b: front right hook portion 84c, 87c, 88a: locking groove

85: 사각 프레임부 86: 하부 프레임85: square frame portion 86: lower frame

87: 수직 차폐부 88: 그릴87: vertical shield 88: grille

90: 토출구 유닛 가이드 92: 가이드부90: discharge port unit guide 92: guide portion

94: 지지부재 96: 걸이부94: support member 96: hook portion

100: 송풍기 102: 오리피스100: blower 102: orifice

104: 송풍팬 106: 송풍모터104: blower fan 106: blower motor

108: 모터 마운터 110: 열교환기108: motor mounter 110: heat exchanger

112: 좌측 열교환부 114: 우측 열교환부112: left heat exchanger 114: right heat exchanger

120,140: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 122,142: 승강 모터120, 140: discharge unit unit lifting means 122, 142: lifting motor

124,144: 구동 수나사 126,146: 종동 암나사124,144 Drive Male Thread 126,146 Follower Female Thread

128,148: 수나사 홀더 130,150: 마운팅 브래킷128,148: Male thread holder 130,150: Mounting bracket

132,152: 고정부 134,154: 지지다리132,152: fixed part 134,154: support leg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비닛의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토출구 유닛이 승강 가능토록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binet, and a discharge port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will b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a room or purifies the air by using a refrigerant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user.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4)과, 상기 캐비닛(4)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과 양측에 전면 중앙 토출구(6)와 전면 좌,우 토출구(8)가 각각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10)과, 상기 베이스(2)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의 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4)의 전면 하부와의 사이에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14)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2)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 흡입 그릴(16)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 및 전면 좌,우 토출구(8)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기(18)와, 상기 송풍기(1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열/냉각되도록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과 상기 캐비닛(4)의 사이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abinet 4, which is dispos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2 and the front is open, and A front upper panel 10 disposed at an upper front of the cabinet 4 and having front central discharge holes 6 and front left and right discharge holes 8 form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thereof, the front part of the base 2 and the A front lower panel 14 disposed between a center of the front upper panel 10 and forming a front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12 betwee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cabinet 4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 12, the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and the front surface after inhaling air through the left and right suction grills 16 disposed above the base 2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12 to protect the base 12; A blower 18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8 an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8 are heated / It comprises a heat exchanger 20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upper panel 10 and the cabinet 4 to be cooled.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의 전면 중앙 토출구(6)에는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복수개의 그릴(7)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8)에는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전환하는 베인(9)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A plurality of grills 7 for protecting the inside and dispersing the discharged air are disposed in the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of the front upper panel 10 so as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 The vanes 9 for protecting the inner side and for chang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re rotatably mounted respectively.

상기 송풍기(18)는 상기 좌,우 흡입구(12)와 근접하도록 상기 캐비닛(4)의 하부에 장착된다.The blower 18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4 so as to be close to the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12.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단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20)의 표면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22)이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팬(22)에는 모인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드레인 호스(24)가 연결된다.A drain pan 22 receiving a condensate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20 is moun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20, and the drain pan 22 is formed to extend outward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therein. The drain hose 24 is conn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송풍기(18)의 구동시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가열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 및 전면 좌,우 토출구(8)를 통해 실내기의 상부 전방을 향해 토출된다.Aft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oled / heated by the heat exchanger 20 wh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12 when the blower 18 is driven. It is discharged toward the upper front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8.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의 중앙과 양측에 전면 중앙 토출구(6)와 전면 좌,우 토출구(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6)에는 그릴(7)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8)에는 베인(9)이 별도로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토출구(6,8)와 그릴(7) 및 베인(9)으로 인해 실내기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with a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and a front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8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panel 10, respectively, and the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In addition, the grille 7 is installed and the left and right air discharge ports 8 are separately provided with vanes 9, so that the indoor unit is discharged due to the discharge holes 6 and 8, the grilles 7, and the vanes 9.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deterioration.

또한, 상기 실내기의 구동 정지시 전면 중앙 토출구(6)와 전면 좌,우 토출구(8)를 통해 이물질이 침입함으로서, 실내기의 고장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oor unit stops driving, foreign matter enters through the front center discharge port 6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8,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indoor un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의 공기조화기에는 구동 정지시 상기 토출구(6,8)를 차폐하는 토출구 차폐기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나, 상기 토출구 차폐기구는 상기 토출구(6,8)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토출구(6,8)의 차폐 동작이 복합적으로 조합됨으로서,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고,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며, 설계비용 및 조립비용도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cent air conditioner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shielding mechanism for shielding the discharge openings 6 and 8 when the driving stops, but the discharge opening shielding mechanism is located close to the discharge openings 6 and 8.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in the combination of the shield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6,8),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limited, the design cost and assembly cost is also increase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토출구(6,8)와 흡입구(12)가 실내기의 전면측에만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하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상부로만 토출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ischarge port (6, 8) and the inlet 12 is form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indoor unit, the air suck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Since only discharged to the top, there is a problem that more efficient three-dimensional cooling / heating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캐비닛의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토출구 유닛이 승강 가능토록 설치됨으로서, 상기 공기 토출구로 인한 실내기의 외관 저하가 방지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discharge port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air outle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due to the air discharge port is prevented from being prevented and intrusion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에 의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토출되어 효율적으로 실내가 냉/난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tructur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discharge port unit is simply configured and air is three-dimensionally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ort unit to efficiently cool / heat the room.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되고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개방면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면에 배치된 그릴로 구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cabinet with a blower and heat exchanger built-in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discharge port unit compris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disposed below the upper frame and having an open surface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a grill disposed on an open surfa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ort uni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discharge port unit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ort.

여기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토출구 유닛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에 토출구 유닛 가이드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지지하고 일측에는 통풍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abinet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port unit guide to the air discharge port to support the discharge port unit and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is disposed in the air discharge port and guides for guiding the elevat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to support the discharge por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on one side It is done.

그리고, 상기 토출구 유닛의 하부 프레임은 중앙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이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이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하부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로 구성된다.In addition,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discharge port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enter, and a mounting bracket in which the discharge hole unit lifting means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opening hole.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fixing part to which the discharge unit unit lifting means is install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and the lower frame to support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은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수나사와,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가 회전 가능토록 치합되는 종동 암나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 수나사는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 높이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discharge port unit lifting means may include a lift motor provided in one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cabinet, a drive male screw install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lift motor and rotated by the lift motor, and the other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cabinet. It is composed of a driven female screw is installed so that the drive male screw is rotatably engaged.
The drive male screw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ifting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unit.

상기 종동 암나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모터 및 구동 수나사는 상기 종동 암나사와 대향되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지지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수나사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걸림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나사 홀더가 구비된다.The driven female screw is installed in the fixing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lifting motor and the driving male screw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of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so as to face the driven female screw. A locking jaw protrudes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male screw, and the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male screw holde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jaw.

상기와 다르게, 상기 종동 암나사는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모터 및 구동 수나사는 상기 종동 암나사와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고정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수나사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나사 홀더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 유닛과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Unlike the above, the driven female screw is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of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and the lifting motor and the driving male screw are installed in the fixing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so as to face the driven female screw. A locking jaw protrudes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male screw, and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male screw holde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jaw.
On the other hand, any one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is provided with a roller so that the discharge port unit can be raised and lowered smoothly.
The discharge port unit is equipped with a top cover for forming an appear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he front and both sides are formed to be open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와, 상기 베이스(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공기 흡입구(72)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 공기 토출구(74)가 형성된 캐비닛(60)과, 상기 캐비닛(60)의 공기 토출구(74)에 승강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74)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및 양측방으로 분산시키는 토출구 유닛(80)과, 상기 토출구 유닛(80)과 캐비닛(60)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8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상기 공기 토출구(74)를 개폐하는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base 50 and the upper side of the base 50, and the air inlet 72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And the cabinet 60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7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air discharge port 74 of the cabinet 60, and distribute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74 to the front and both sides. And a discharge port unit lifting mean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cabinet 60 to lift the discharge port unit 80 upward an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ort 74. It is composed.

상기 캐비닛(60)은 상면이 개구됨으로서 상기 공기 토출구(74)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74)는 상기 토출구 유닛(80)이 하강됨에 따라 밀폐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80)이 상승됨에 따라 개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60 is formed to form the air discharge port 74, the air discharge port 74 is sealed as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lowered and as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Open.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토출구 유닛(80)은 전면 및 좌,우측면이 개구됨과 동시에 상면 및 배면은 막힘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74)로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기의 전방 및 양측방으로 분산 토출시키게 된다. The discharge port unit 80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a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pen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in a clogged structure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74 to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indoor unit Let's go.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operated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ort uni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캐비닛(60)이 올려져 장착되는 베이스 인스톨부(52)와, 후술하는 열교환기(11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 중앙에 돌출 형성된 드레인팬부(54)와, 상기 공기조화기가 실내의 벽이나 기타 가구 등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의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52)의 둘레보다 돌출되도록 장착된 이격부재(5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3 to 6,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50 is a base installation unit 52, the cabinet 60 is mounted and mounted, The drain pan portion 54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base installation portion 52 to collect the condensate falling from the heat exchanger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ir condition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or other furniture in the room It is composed of a spacer 56 mounted on the edge of the base installation portion 52 to protrude mor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installation portion 52.

상기와 같은 드레인팬부(54)에는 수거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54a)가 연결된다.The drain pan 54 is connected to the drain hose 54a for draining the collected condensate to the outside.

상기 캐비닛(60)은 하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72a)가 형성된 좌측 캐비닛(61)과, 하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72b)가 형성된 우측 캐비닛(62)과,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좌측 캐비닛(62)의 전면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63)과,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우측 캐비닛(6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 패널(64)로 구성된다.The cabinet 60 includes a left cabinet 61 having a left air inlet 72a at the bottom, a right cabinet 62 having a right air inlet 72b at the bottom, and a left cabinet 61 and a left cabinet ( And a front lower panel 63 disposed at the lower front of the front panel 62 and a front upper panel 64 disposed at the upper front of the left cabinet 61 and the right cabinet 62.

여기서, 상기 좌측 캐비닛(61)에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72a) 내측을 보호하도록 좌측 흡입그릴(65a)이 장착된다. 이러한 좌측 캐비닛(61)의 상부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76a)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76a)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좌측 토출그릴(66a)이 장착된다.Here, the left side cabinet 61 is mounted with a left side suction grille 65a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left side air inlet 72a. The left air discharge port 76a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cabinet 61, and a left discharge grill 66a is mounted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left air discharge port 76a.

그리고, 상기 우측 캐비닛(62)에는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72b) 내측을 보호하도록 우측 흡입그릴(65b)이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우측 캐비닛(62)의 상부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76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76b)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우측 토출그릴(66b)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right side suction grille 65b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cabinet 62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air inlet 72b. A right air discharge port 76b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cabinet 62, and a right discharge grill 66b for protecting the inside of the right air discharge port 76b is mounted.

또한, 상기 전면 상부 패널(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64a)(64b)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64)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 패널(67)과 보조 컨트롤 패널(68)이 상기 좌측 캐비닛(61)과 우측 캐비닛(62)의 전면부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upper panel 64 is equipped with a display (64a) (64b) to displa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behind the front upper panel 64 The main control panel 67 and the auxiliary control panel 68 includ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panel is disposed vertically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left cabinet 61 and the right cabinet 62.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캐비닛(60)은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승강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토출구 유닛(80)을 지지하는 토출구 유닛 가이드(90)가 상기 공기 토출구(74)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6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 호스(54a) 및 냉매배관(119)이 상기 캐비닛(60)을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69)이 형성된다.The cabinet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a discharge port unit guide 90 supporting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moun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74. The lower side of the 6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9 through which the drain hose 54a and the refrigerant pipe 119 pass through the cabinet 60.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90)는 상기 공기 토출구(74)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9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92)와, 상기 가이드부(9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8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4)로 구성된다.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90 is disposed inside the air discharge port 74 to guide the lift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90, and is provided below the guide part 92 to provide the discharge unit. It consists of a support member 94 for supporting 80.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92)는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소정 높이를 갖음과 동시에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단 둘레를 따라 ‘ㄱ’단면 형상의 걸이부(96)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74)를 형성하는 캐비닛(60)의 개구된 상단에 하향 걸림된다.Here, the guide portion 92 is formed in a box-shaped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hook portion having a 'a' cross-sectional shape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thereof ( 96 is formed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and is downwardly engaged with an open upper end of the cabinet 60 forming the air discharge port 74.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94)는 상기 가이드부(92)의 개방된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80)을 지지하는 바, 상기 공기 토출구(74)로 송풍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94a)을 형성하는 격자형 부재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94 is mounted on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guide part 92 to support the discharge port unit 80 so as to ensure the straightness of the air blown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74. It is a lattice member form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94a.

한편, 상기 토출구 유닛(8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82)와, 상기 탑 커버(82) 하측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84)과, 상기 상부 프레 임(84)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84)과의 사이 중 삼면이 개방된 하부 프레임(86)과, 상기 상부 프레임(84)과 하부 프레임(86) 사이의 개방면에 배치된 그릴(88)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ort unit 80 has a top cover 82 for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an upper frame 84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82, and the upper frame 84 A lower frame 86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86 and having three surfaces open between the upper frame 84 and a grill 88 disposed at an open surface between the upper frame 84 and the lower frame 86. It is composed.

상기 상부 프레임(84)은 상기 그릴(88)의 전부가 걸림 고정되는 전방 걸이부(84a,84b)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방 걸이부(84a,84b)는 전면 좌측의 좌측 전방 걸이부(84a)와, 전면 우측의 우측 전방 걸이부(84b)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전방 걸이부(84a) 및 우측 전방 걸이부(84b)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88)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84c)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upper frame 84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hook portion (84a, 84b)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grill 88 is fixed. The front hangers 84a and 84b include a left front hanger 84a on the front left side and a right front hanger 84b on the front right side, and the left front hanger 84a and the right front hanger ( In each of the 84b), the locking groove 84c is formed to be spaced up and down so that the grill 88 is inserted and locked.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84)은 상기 탑 커버(82)의 저면부에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또는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방 걸이부(84a,84b)의 하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상면부에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또는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The upper frame 84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cover 82 with an adhesive or fix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hook or fastening bolt. 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front hangers 84a and 84b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86 by an adhesive or fix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hooks or fastening bolts.

상기 하부 프레임(86)은 중앙에 개구홀(85a)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부(85)와, 상기 사각 프레임부(85)의 배면측에 세움 장착된 수직 차폐부(87)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 프레임부(85)는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승강 작용을 돕도록 전면 및 배면에 롤러(85b)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차폐부(87)의 배면에는 상기 그릴(88)의 후방이 걸림되는 후방 걸이부(87a,87b)가 돌출 형성된다.The lower frame 86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portion 85 having an opening hole 85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vertical shield portion 87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85. The square frame portion 85 has a roller (85b) is mounted on the front and back to help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the rear of the grill 88 on the back of the vertical shield (87). The engaging rear hook portions 87a and 87b protrude.

즉, 상기 후방 걸이부(87a,87b)는 배면 좌측의 좌측 후방 걸이부(87a)와, 배면 우측의 우측 후방 걸이부(87b)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후방 걸이부(87a) 및 우측 후방 걸이부(87b)의 각각에는 상기 그릴(88)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87c)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That is, the rear hook portions 87a and 87b are composed of a left rear hook portion 87a on the rear left side and a right rear hook portion 87b on the rear right side, and the left rear hook portion 87a and the right rear hook In each of the portions 87b, the locking grooves 87c are formed to be spaced up and down so that the grill 88 is inserted and engaged.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86)은 상기 수직 차폐부(87) 또는 후방 걸이부(87a,87b)의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84)의 저면부에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또는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The lower frame 86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hielding part 87 or rear hook parts 87a and 87b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84 with an adhesive or fastening a hook or fastening bolt. Fixed by means.

상기 그릴(88)은 상기 상부 프레임(84)의 전방 걸이부(84a,84b) 및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후방 걸이부(87a,87b)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바, 양측을 벌린 후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일측이 절개된 사각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grills 88 are disposed on the front hangers 84a and 84b of the upper frame 84 and the rear hangers 87a and 87b of the lower frame 86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the opening is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is cut one side as a whole to be fixed by the elastic force.

즉, 상기 그릴(88)은 상기 상부 프레임(84)의 좌측 전방 걸이부(84a) 및 우측 전방 걸이부(84b)에 형성된 걸림홈(84c)과,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좌측 후방 걸이부(87a) 및 우측 후방 걸이부(87b)에 형성된 걸림홈(87c)에 끼움 걸림된다. That is, the grill 88 includes a locking groove 84c formed in the left front hook portion 84a and the right front hook portion 84b of the upper frame 84, and the left rear hook portion of the lower frame 86. It is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87c formed in the 87a and the right rear hook part 87b.

아울러, 상기 그릴(88)의 전부에는 상기 좌측 전방 걸이부(84a) 및 우측 전방 걸이부(84b)와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홈(88a)이 형성되어, 상기 그릴(88)의 장착시 상기 좌측 전방 걸이부(84a) 및 우측 전방 걸이부(84b)가 끼움 걸림된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88a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eft front hook portion 84a and the right front hook portion 84b on all of the grills 88, so that the left side when the grill 88 is mounted. The front hanger 84a and the right front hanger 84b are fitted.

상기와 같이 그릴(88)이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개구된 삼면에 배치되므로,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전방과 양측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보호하게 된다.Since the grill 88 is disposed on the opened three surfaces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dispersed while dispersing air discharged to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또한, 상기 캐비닛(60)의 내측에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72a) 및 우측 공기 흡입구(72b)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실내측으로 토출시키는 송풍기(100)와, 상기 송풍기(1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열/냉각시 키는 열교환기(11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abinet 60 is a blower 100 for sucking the air through the left air inlet (72a) and the right air inlet (72b) and then discharges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A heat exchanger 110 is installed to heat / cool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00.

상기 송풍기(100)는 상기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60)의 공기 토출구(74)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1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송풍기(100)는 송풍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102)와, 상기 오리피스(102)의 내측에 위치된 송풍팬(104)과, 상기 송풍팬(104)에 회전축이 설치된 송풍모터(106)와, 상기 송풍모터(106)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마운터(108)로 구성된다.The blower 100 is installed above the heat exchanger 110 so as to blow the heat exchang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0 to the air discharge port 74 of the cabinet 60. The blower 100 includes an orifice 102 forming a blowing flow path, a blowing fan 104 located inside the orifice 102, and a blowing motor 106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in the blowing fan 104. And a motor mounter 108 for fixing the blower motor 106.

상기 열교환기(110)는 상기 좌측 캐비닛(61)의 옆에 하측으로 갈수록 캐비닛(60)의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좌측 열교환부(112)와, 상기 우측 캐비닛(62)의 옆에 하측으로 갈수록 캐비닛(60)의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우측 열교환부(114)와, 상기 좌측 열교환부(112)와 우측 열교환부(114)의 전면 사이를 막도록 상기 좌측 열교환부(112)와 우측 열교환부(114)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커버(116)와, 상기 좌측 열교환부(112)와 우측 열교환부(114)의 배면 사이를 막도록 상기 좌측 열교환부(112)와 우측 열교환부(114)의 배면에 장착된 배면 커버(118)로 구성된다.The heat exchanger 110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cabinet 6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eft cabinet 61, and to the lower side of the right cabinet 62. The left heat exchanger 112 and the right side are disposed to obstruct the right side heat exchanger 11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eft heat exchanger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r 114. The left side heat exchange part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 part 114 to block between the front cover 116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 114 and the back surface of the left heat exchange part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 part 114. It consists of a rear cover 118 mounted on the back of the).

상기 좌측 열교환부(112)와 우측 열교환부(114) 중 어느 하나에는 실외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119)이 연결된다.Any one of the left heat exchanger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r 114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119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한편,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120)은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90)의 지지부재(94)에 설치된 승강 모터(122)와, 상기 승강 모터(12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모터(12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수나사(124)와, 상기 토출구 유닛(80) 의 하부 프레임(86)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24)에 회전 가능토록 체결되는 종동 암나사(126)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ort unit lifting means 120 is provided on the lifting motor 122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94 of the discharge unit unit guide 90, the rotating shaft of the lifting motor 122 is the lifting motor 122 And a driven female screw 126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86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driving male screw 124.

상기 승강 모터(122)는 회전축이 상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94)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 수나사(124)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The elevating motor 122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94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upward, and the driving male screw 124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상기 구동 수나사(124)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 부재로서,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승강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124a)이 돌출 형성되어 수나사 홀더(128)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94)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된다. The driving male screw 124 is a rod-shaped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ifting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the locking jaw 124a protru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o protrude from the male screw holder 128. By the support member 94 so as to be rotatable.

즉, 상기 수나사 홀더(128)는 상기 지지부재(94)의 상면에 상기 걸림턱(124a)이 걸림되도록 장착 고정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24)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male screw holder 128 is moun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94 so that the locking jaw 124a is locked to prevent the driving male screw 124 from flowing and escaping.

상기 종동 암나사(126)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 부재로서, 상기 구동 수나사(124)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개구홀(85a)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홀(85a)에는 상기 종동 암나사(126)가 설치 고정되도록 마운팅 브래킷(130)이 형성된다.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an annular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hole 85a of the lower frame 86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driving male screw 124. The mounting bracket 130 is formed so that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installed and fixed.

상기 마운팅 브래킷(130)은 상기 종동 암나사(126)가 중앙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132)와, 상기 고정부(132)와 사각 프레임부(85)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13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34)로 구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130 has a fixing part 132 to which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installed and fixed at the center,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32 and the square frame part 85 to fix the fixing part 132.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34 for supporting.

여기서, 상기 고정부(132)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동 암나사(126)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다리(134)는 복수개가 동일 각도로 이격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132)의 외주와 사각 프레임부(85)의 내주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Here, the fixing part 132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plurality of the supporting legs 134 are disposed at the same ang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art 132.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s of the and rectangular frame portions 85,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 조작되면, 승강 모터(122)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 수나사(124)에 의해 상기 종동 암나사(126)가 상승되며, 상기 종동 암나사(126)와 함께 상기 토출구 유닛(80)이 상승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된다.Firs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nd operated, the lifting motor 122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male screw 124, and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lifted by the driving male screw 124, and the driven female screw is driven.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together with 126 to open the front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즉, 상기 종동 암나사(126)가 설치된 마운팅 브래킷(130) 및 하부 프레임(86)은 상기 종동 암나사(126)와 함께 상승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86)에 의해 상부 프레임(84)과 그릴(88) 및 탑 커버(82)도 상승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상승됨에 따라 캐비닛(60)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74)는 개방된다.That is, the mounting bracket 130 and the lower frame 86 on which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installed are raised together with the driven female screw 126, and the upper frame 84 and the grill 88 are provided by the lower frame 86. ) And the top cover 82 are also raised. As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in this manner, the air discharge port 7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60 is opened.

한편, 상기 롤러(85b)는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상승시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9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 유닛(80)이 원활하게 상승되도록 돕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85b is rotated along the discharge unit guide 90 when the lower frame 86 is raised to help the discharge unit 80 to rise smoothly.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80)의 상승과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110)에 냉매 배관(119)으로 연결된 실외기의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송풍기(100)의 송풍모터(106)를 구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drives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110 by the refrigerant pipe 119 together with the rise of the outlet unit 80 as described above, and the blower motor 106 of the blower 100. ) Will be driven.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열교환기(110)의 좌측 열교환부(112) 및 우측 열 교환부(114)에는 냉매가 통과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110)의 좌측 열교환부(112) 및 우측 열교환부(114) 주변의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left heat exchange part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 part 114 of the heat exchanger 110, and the left heat exchange part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 part of the heat exchanger 110. The air around 114 is heat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to cool / heat.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106)의 구동시 상기 송풍팬(104)은 회전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캐비닛(60)의 좌측 공기 흡입구(72a)와 우측 공기 흡입구(72b)를 통해 캐비닛(60)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열교환기(110)의 좌측 열교환부(112) 및 우측 열교환부(114)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상기 송풍기(100)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60)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다. In addition, when the blower motor 106 is driven, the blower fan 104 is rotated, and the outside air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hrough the left air inlet 72a and the right air inlet 72b of the cabinet 60. It is sucked into the cabinet 60, cooled o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eft heat exchange part 112 and the right heat exchange part 114 of the heat exchanger 1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blower 100 to pass the cabinet 60. ) Is blown to the inner upper part.

상기 캐비닛(60)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90)의 지지부재(94)에 형성된 통풍홀(94a)을 수직하게 통과한 후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개구홀(85a)을 통해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송풍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상부 프레임(84) 및 하부 프레임(86)의 수직 차폐부(87)에 의해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개구된 전면과 양측면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수평하게 방향이 전환되면서 분산된다.
즉,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부측 전면과 양측면을 통해 실내의 삼방향으로 토출되어 실내가 입체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된다.
The heat-exchanged air blown into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60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94a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94 of the discharge unit guide 90, and then the opening hole of the lower frame 86.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blown into the discharge port unit 80 through a vertical shield portion 87 of the upper frame 84 and the lower frame 86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The heat exchanged to the open front and both sides is disper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change.
That is,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in three directions of the room through the front sid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room is three-dimensionally cooled or heated.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 조작되면,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와 상기 실내기의 송풍모터(106)는 구동 정지되고, 상기 승강 모터(122)는 상기 토출구 유닛(80) 상승시와 반대방향으로 역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and operate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and the blowing motor 106 of the indoor unit are stopped driving, and the lifting motor 122 is driven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

상기 승강 모터(122)의 역구동시 상기 구동 수나사(124)는 상기 토출구 유닛(80) 상승시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상기 종동 암나사(126)는 상기 구동 수나사(124)에 의해 하강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80)은 상기 종동 암나사(126)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74)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구(74)를 밀폐시키게 된다.When the driving motor 122 reversely drives, the driving male screw 124 is revers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raised, and the driven female screw 126 is lowered by the driving male screw 124.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driven female screw 126 to be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port 74 to seal the air discharge port 74.

즉, 상기 종동 암나사(126)와 함께 마운팅 브래킷(130) 및 하부 프레임(86)이 하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86)과 함께 상기 상부 프레임(84)과 그릴(88) 및 탑 커버(82)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구(74)는 상기 탑 커버(82)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개방된 삼면은 상기 캐비닛(60)의 상부 내측면에 의해 막힘된다.That is, the mounting bracket 130 and the lower frame 86 are lowered together with the driven female screw 126, and the upper frame 84, the grill 88, and the top cover 82 together with the lower frame 86. Is lowered. As the discharge port unit 80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 port 74 is sealed by the top cover 82, and the open three surfaces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re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60. Blocked by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FIG. 9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ort unit is shown.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drawings shown above indicate the same member.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140)은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하부 프레임(86)에 설치된 승강 모터(142)와, 상기 승강 모터(14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모터(14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수나사(144)와,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90)의 지지부재(94)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44)에 회전 가능토록 체결되는 종동 암나사(146)로 구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7 to 9,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unit lifting means 140 is elevated in the lower frame 86 of the discharge unit unit 80 It is installed on the motor 142, the rotating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142, the drive male screw 144 rotated by the elevating motor 142, and the support member 94 of the discharge unit guide 90 The driven male screw 144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driving male screw 144,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승강 모터(142)는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개구홀(85a) 중앙에 위치되는 바, 상기 하부 프레임(86)의 개구홀(85a)에는 상기 승강 모터(142)가 설치 고정되도록 마운팅 브래킷(150)이 형성된다.Here, the lifting motor 142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hole 85a of the lower frame 86, so that the lifting motor 142 is fixed to the opening hole 85a of the lower frame 86. The mounting bracket 150 is formed.

상기 마운팅 브래킷(150)은 상기 종동 암나사(146)가 중앙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152)와, 상기 고정부(152)와 하부 프레임(86)의 사각 프레임부(85)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15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54)로 구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150 has both ends connected to a fixing part 152 to which the driven female screw 146 is installed and fixed at the center, and a square frame part 85 of the fixing part 152 and the lower frame 86.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54 for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152.

상기 고정부(152)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 모터(142)는 회전축이 하향되도록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다리(154)는 복수개가 동일 각도로 이격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152)의 외주와 사각 프레임부(85)의 내주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The fixing part 152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lifting motor 142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is downward, and the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154 are spaced at the same angle and the fixing part 152. Both ends ar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85,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구동 수나사(144)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 부재로서, 상기 토출구 유닛(80)의 승강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144a)이 돌출 형성되어 수나사 홀더(148)에 의해 상기 고정부(152)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male screw 144 is a rod-shaped member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lifting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unit 80, and an engaging screw 144a protru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le screw holder 148. It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ixing portion 152.

즉, 상기 수나사 홀더(148)는 상기 고정부(152)의 하면에 상기 걸림턱(144a)이 걸림되도록 장착 고정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144)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male screw holder 148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52 so that the locking jaw 144a is locked to prevent the driving male screw 144 from flowing and escaping.

또한, 상기 종동 암나사(146)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 부재로서, 상기 구동 수나사(144)가 치합되도록 토출구 유닛 가이드(90)의 지지부재(94) 중앙에 설치 고정된다.In addition, the driven female screw 146 is an annular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94 of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90 so that the driving male screw 144 is engaged.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한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승강 모터(142)에 의해 구동 수나사(14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 수나사(144)는 회전되면서 상기 종동 암나사(146)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 고, 상기 승강 모터(142)에 의해 구동 수나사(14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 수나사(144)는 종동 암나사(146)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며, 그 이외의 작동은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screw 144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lifting motor 142, the driving screw 144 is rotated while When the driving male screw 144 is moved upward from the driven female screw 146, and the driving male screw 144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lifting motor 142, the driving male screw 144 is moved downward from the driven female screw 146. The operation of is identical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의 공기 토출구에 토출구 유닛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구가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 상기 토출구 유닛이 공기 토출구의 내부로 하강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로 인한 실내기의 외관 저하가 방지되고, 상기 캐비닛에 의해 토출구 유닛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port unit is liftable at an air discharge port of a cabinet, and the air discharge port is opened and closed as the discharge port unit is lifted, the air conditioner stops driving. The discharge port unit is disposed lowered into the air discharge port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from being lowered due to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cabinet protects the discharge port unit from external impact, and also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unit. have.

또한, 상기 토출구 유닛은 탑 커버의 하측에 상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면에 그릴이 배치됨으로서, 상기 토출구 유닛의 개방된 삼면을 통해 공기가 분산 토출되어 실내의 입체 냉/난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unit is the upper fram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over, the lower frame is disposed so that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are open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grill is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air is dispers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pen three sides of the unit,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cooling / heating of the room is more efficient.

또한, 상기 캐비닛의 공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안내하는 토출구 유닛 가이드가 설치되므로, 상기 토출구 유닛은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is installed at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cabinet, the discharge port un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fting is more stable.

또한, 상기 토출구 유닛과 토출구 유닛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승강 모터 와 구동 수나사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종동 암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 수나사와 종동 암나사가 상대 이동되면서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고, 따라서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시 작동 신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is provided with a lifting motor and a driving male screw, and the other is driven with a driven female screw, and as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he driving male screw and the driven female screw move relative to the lifting unit. Since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port unit is very simple, the operation reliability during the lift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is also improved.

Claims (13)

송풍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되고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A cabinet in which a blower and a heat exchanger are built in, and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개방면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면에 배치된 그릴로 구성된 토출구 유닛과;A discharge port unit compris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disposed below the upper frame and having an open surface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a grill disposed on an open surfa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an ejection opening unit elevating means formed in the ejection opening unit and a cabinet to lift the ejection opening unit to open and close the air ejection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비닛은 상기 토출구 유닛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에 토출구 유닛 가이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cabine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is moun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to support the discharge port unit and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지지하고 일측에는 통풍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is disposed in the air discharge port and guides for guiding the elevating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to support the discharge por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on one sid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토출구 유닛의 하부 프레임은 중앙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discharge port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enter, and the mounting hole has a mounting bracket provided with the discharge hole unit lifting mean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이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하부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ounting bracke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unit lifting means is install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lower frame to support the fix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수단은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수나사와, 상기 토출구 유닛과 캐비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수나사가 회전 가능토록 치합되는 종동 암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discharge unit unit lifting means is provided in one of the discharge unit and the cabinet, the elevating motor, a drive male screw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and rotated by the elevating motor, and the other of the discharge unit and the cabine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male screw is composed of a driven female screw to be rotatably engag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구동 수나사는 상기 토출구 유닛의 승강 높이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drive male screw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lifting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uni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종동 암나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모터 및 구동 수나사는 상기 종동 암나사와 대향되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지지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the driven female screw is installed on the fixing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lifting motor and the driving male screw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of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so as to face the driven female screw.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동 수나사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걸림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나사 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driv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male screw holde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jaw.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종동 암나사는 상기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모터 및 구동 수나사는 상기 종동 암나사와 대향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고정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the driven female screw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of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and the lifting motor and the driving male screw are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so as to face the driven female screw.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구동 수나사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나사 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driving male screw has a locking jaw protrudingly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male screw holde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jaw.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1, 상기 토출구 유닛과 토출구 유닛 가이드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is provided on on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unit and the discharge port unit guide to smoothly lift the discharge port unit.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토출구 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discharge port uni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cov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he front and both sides are open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KR1020040028985A 2004-04-27 2004-04-27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600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85A KR100600745B1 (en) 2004-04-27 2004-04-27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85A KR100600745B1 (en) 2004-04-27 2004-04-27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707A KR20050103707A (en) 2005-11-01
KR100600745B1 true KR100600745B1 (en) 2006-07-14

Family

ID=3728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985A KR100600745B1 (en) 2004-04-27 2004-04-27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7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26B1 (en) * 2006-09-19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0779538B1 (en) * 2006-09-22 2007-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3 way blow type air conditioner
KR101880482B1 (en) * 2011-10-21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707A (en)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958B1 (en) Air Conditioner
KR2007008223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48960B1 (en) Air-conditioner
KR100600745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629331B1 (en) Air conditioner
KR100600744B1 (en) Outlet unit lift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KR10068818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58958B1 (en) A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758949B1 (en) A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1105758B1 (en) Outlet unit lifting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KR10104596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diffuser
KR102629027B1 (en) Air conditioner
KR2005009852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697199B1 (en) Air conditioner
KR100988614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0529948B1 (en) Discharge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050047623A (en) Air conditioner
KR100758950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with diffuser
KR10068818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072550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0517622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1105755B1 (en) Air conditioner
KR101072549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052991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