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609B1 -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609B1
KR100600609B1 KR1020050111075A KR20050111075A KR100600609B1 KR 100600609 B1 KR100600609 B1 KR 100600609B1 KR 1020050111075 A KR1020050111075 A KR 1020050111075A KR 20050111075 A KR20050111075 A KR 20050111075A KR 100600609 B1 KR100600609 B1 KR 1006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insect
screen
powd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102005011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0Preparation of starch, degrad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 C08B30/04Extraction or purification
    • C08B30/042Extraction or purification from cereals or grains
    • C08B30/044Extraction or purification from cereals or grains from corn or ma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rubber
    • C08J2307/02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tallur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우수한 방충효과는 물론 인간에게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효능이 탁월하고 탈취력과 항균력이 현저히 개선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견운모 분말 70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분말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천연광석물을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분말에 천연접착제 5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방충망에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0.1 내지 0.2mm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로 도포된 상기 방충망을 120 내지 18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방충망에 광촉매제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광석물 조성물로 방충망을 제조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는 한편, 모기나 파리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중금속이 함유된 황사 및 미세먼지를 함유한 오염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며 공기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 기능이 우수하여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악천후에서도 방충망 코팅층이 이탈되거나 방충망이 와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creen for purifying air using natural mineral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효과는 물론 인간에게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효능이 탁월하고 탈취력과 항균력이 현저히 개선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전자기기 및 자동차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공기오염 및 자연훼손이 널리 행해지고, 이에 따라 인간의 생활환경의 주요부분을 차지하는 공기의 오염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특히, 각종 인공적인 화학물질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과 이로 인한 새집증후군, 화학물질과민증과 같은 신규 질환 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 오염원으로는 미세먼지, 생물학적 오염물질인 집 먼지 진드기, 건축자재에서 방출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특히, 신체 저항력이 약한 어린아이에게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하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사람은 주거환경에 의해 건강이 크게 좌우될 수 있으며 특히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의 경우 실내공기의 질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공기정화장치나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공기 정화기는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일단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공기의 실내유입단계에서 각종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차단하거나 정화하고 또한 인체에 유익한 각종 물질을 유입공기에 실어 보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0263호(2002년02월04일 공개)에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방범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경우 방충망에 전원을 인가하면, 고전압층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꽃가루, 먼지, 매연 등과 같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각종 벌레의 접근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원장치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고 우천시 습기로 인해 누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방출이 미비하여 건강증진 효과는 없으며 단순 방충 및 방범을 위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4178호(2003년03월26일 공개)에는 "창문형 에어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경우 부직포와 같은 건식에어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면서 통기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먼지에 의해 필터가 막혀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를 창문에 부착할 경우 외부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며 항균 및 탈취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등이 필요없고, 외부오염물질의 차단하거나 정화하고, 인체에 유익한 각종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우수한 창문에 설치되는 필터형 공기정화망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고 공기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 기능이 탁월하며 악천후에서도 방충망 코팅층이 이탈되거나 방충망이 와해되지 않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견운모 분말 70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분말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천연광석물을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분말에 천연접 착제 5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방충망에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0.1 내지 0.2mm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로 도포된 상기 방충망을 120 내지 180 ℃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방충망에 촉매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는 한편, 모기나 파리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중금속이 함유된 황사 및 미세먼지를 함유한 오염된 외부 공기를 걸러주며 공기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 기능이 우수하여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악천후에서도 방충망 코팅층이 이탈되거나 방충망이 와해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광석물의 경우 인공적인 성분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천연광석물 조성물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본래의 성질이 저하되지 않는 반영구적 물질이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더구나 방충망 표면에 촉매 코팅을 하여 오존보다도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해 병원성 대장균, O-157,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살균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견운모 분말, 토르말린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광석물을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수득(단계 S10)한 후, 상기 천연광석물 분말에 천연접착제 5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제조(단계 S20)한다. 그리고 방충망에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0.1 내지 0.2mm 두께로 도포(단계 S30)하고,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로 도포된 상기 방충망을 120 내지 18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단계 S40)한 후, 상기 열처리된 방충망에 광촉매제를 분사하여 코팅(단계 S50)한다.
이를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광석물을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수득(단계 S10)한다. 상기 천연광석물은 견운모, 토르말린을 사용한다.
상기 견운모(Sericite)는 일반적으로 용수 중의 양이온 부유 입자와 전기적인 중화응집으로 침전을 유발함으로써, 우수한 정수작용, 높은 보습 효과 및 활성도를 갖는다. 또한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습도 조절도 가능하다.
상기 토르말린(전기석)은 붕소를 함유한 사이클로(Cyclo) 규산염의 결정구조를 갖고 있어서 태양에너지로부터 전자파를 받으면 인체에 유익한 0.06mA의 전류를 발생시키며 인체와 동일한 4 ~ 14 ㎛의 원적외선과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준다.
상기 천연광석물은 바람직하게 견운모 약 70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약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견운모를 약 7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발생, 유해물질 흡착 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8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후술하는 토르말린 및 천연접착제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토르말린에 의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폐 효과 및 천연접착제에 의한 상기 방충망에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르말린은 약 5 내지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르말린을 약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정전기 차폐,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 등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1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천연접착제의 의한 견고한 결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견운모, 토르말린의 평균입도는 약 1,500 내지 2,0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평균입도를 가지는 경우 서로 이질적인 구성성분이 서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천연접착제와 겔화되어 방충망에 코팅되는 경우 공기정화용 방충망으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흡착작용에 의한 탈취, 소취 효과 및 습도 조절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나무숯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숯 분말은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10중량%이며, 평균입도는 약 325 내지 5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나무숯은 미세공극이 발달되어 있어 통기 작용과 흡착작용에 의한 탈 취, 소취 효과 및 습도 조절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대나무숯은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고 열 저장성이 우수하며 가공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상기 대나무 숯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 차폐효과가 탁월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정화 효과가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미세공극이 잘 발달되어 있어 흡착작용에 의한 탈취, 소취 효과 및 습도 조절효과가 탁월하다. 더구나 참나무나 다른 나무를 이용한 숯은 참나무 등의 생장속도를 고려할 때 한번 베어서 사용한 후에는 수년이나 수십 년 후에야 다시 이용할 수 있지만, 대나무는 생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한번 베어내어 사용하더라고 짧은 시간 안에 다시 생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천연원료이다. 상기 대나무 숯을 약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 방사 효과, 탈취, 정전기 차폐 등의 혈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방충망으로서 요구되는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어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제조(단계 S20)한다.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은 상기 천연광석물 분말에 천연접착제를 균일하게 첨가하여 겔(gel)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천연접착제로는 옥수수전분, 벤조인, 에스테르검, 폴리아낙산드라, 천연라텍스, 송진, 아교, 카레인, 알긴산나트륨, 젤라틴, 및 천연아스팔트등을 단독으로 도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적찹제는 약 5 내지 1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접착제를 약 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상기 천연소재 구성성분간의 결합력 및 이어지는 방충망 도포 후의 방충망과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약 1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기능성 성분이 적게 포함되어 방충망의 기능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다음, 방충망에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도포(단계 S30)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그물망 형태의 방충망을 이루는 재질은 철, 구리,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류, 우레탄,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PolyPhenylene Ether: P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렌에테르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PPE)는 2,6-디메틸페놀과 스티렌을 60%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로서, 후술하는 천연광석물 코팅층(20) 및 촉매 코팅층(1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물기 등에 의하여 쉽게 상기 천연광석물 코팅층(20) 및 촉매층(10)이 이탈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그물망의 재질이 금속류 또는 우레탄일 경우보다 천연광석물 조성물이 도포된 후 경화되는 시간이 덜 소요되어 제작시간이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은 상기 방충망에 약 0.1 내지 0.2m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0.1mm 미만의 두께로 도포하는 경우 두께가 얇아서 코팅층이 쉽게 마모되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약 0.2mm 두께를 초과하여 도포할 경우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물망 중에서 개방된 부분의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로 도포된 상기 방충망을 약 120 내지 180℃ 에서 약 20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단계 S40)한다. 이러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내화성, 흡착성 등이 탁월한 천연광석물 조성물 코팅층이 제조된다. 그리고 방충망의 이슬 맺힘 현상이 완화되고 방충망과 코팅층의 결합성이 증대되고 친수성(親水性)효과가 있다. 상기 열처리과정은 약 120℃ 미만의 온도에서 약 20분 미만으로 실시하면 방충망으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고온에서 열처리를 할수록 방충망과 코팅층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코팅층의 경화에 유리하지만, 약 1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약 40분을 초과하여 실시하면 방충망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열처리된 방충망에 촉매를 분사하여 코팅(단계 S50)한다.
상기 촉매로는 TiO2, ZnO, CdS, ZrO2, SnO2, V2O2, 또는 WO3를 단독으로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 (Tio2)는 빛을 받으면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고, 기타 복합금속산화물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는 암촉매로서 그 효용도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자외선을 받으면 -전기를 가진 전자(e-)와 +전기를 가진 정공(hole; h+)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 정공(h+)은 특히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수산화물(OH Radical)을 형성하여 살균용 염소나 치아염소산 오존보다도 강력한 산화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반응에 따라 상기 광촉매 또는 암촉매는 오염방지 효과, 공기정화 효과, 수질정화 효과, 살균 효과, 냄새 제거 효과, 활성산소 발생 효과 등을 나타낸다. 상기 활성산소는 인체에 과량 있는 경우 인체에 유해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세균이나 잡균을 소독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공기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촉매들은 인체에 무해하므로 그릇, 도자기 등 식생활과 관련된 부분에 응용이 가능하고, 수용성이므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고 한번 도포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효과도 지속된다. 상기 촉매는 루틸(rutile)형, 아나타제(anatase)형, 브루카이트(vrookite)형과 같이 3종류의 결정구조가 있지만 촉매 반응에는 활성이 높은 아나타제(anatase)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 코팅층은 상기 촉매들을 분쇄한 후 분사기 등을 사용하여 분사하여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형성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견운모 700g, 토르말린 50g, 대나무숯 50g을 준비한 후 견운모, 토르말린은 평균입도가 2,000 메쉬로, 대나무숯은 평균입도가 350 메쉬로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천연광석물 분말에 천연옥수수전분 100g을 첨가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옥수수전분 혼합물을 수득한 후 반죽하여 겔(gel)화시켰다 얻어진 갤화물을 폴리페닐렌에스터(PPE)재질의 방충망에 0.2mm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방충망을 150℃에서 30분간 열처리 하였다. 이어서 이산화 티타늄 분말을 분사하여 광촉매 코팅하여 기능성 방충망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방충망의 탈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암모니아의 탈취실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서 KICM-FIR-1085 방법에 의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방충망에 대한 탈취시험결과 120분에서 89%의 탈취율을 나타냈다.
[표1]
시험항목 탈취시험(NH3)
경과시간(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시험결과 30 190 114 40.7
60 154 82 57.5
90 142 69 72.0
120 106 60 89
시험방법 KICM-FIR-1085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방충망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도상구균, MRSA, 대장균에 대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약 99.9%의 균이 감소되어 항균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
항목 단위 균감소율 사용균주
항균성 % 24시간후 99.9% 포도상구균,MRSA,대장균
본 발명에 의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을 제조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는 한편, 모기나 파리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중금속이 함유된 황사 및 미세먼지를 함유한 오염된 외 부 공기를 걸러주며 공기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 기능이 우수하여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광석물의 경우 인공적인 성분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더구나 천연광석물 조성물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본래의 성질이 저하되지 않는 반영구적 물질이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악천후에서도 방충망 코팅층이 이탈되거나 방충망이 와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견운모 분말 및 토르말린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광석물을 분쇄하여 천연광석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분말에 옥수수전분, 벤조인, 에스테르검, 폴리아낙산드라, 천연라텍스, 송진, 아교, 카레인, 알긴산나트륨, 젤라틴, 및 천연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천연접착제를 첨가하고 겔화시켜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방충망에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0.1 내지 0.2mm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방충망을 120 내지 18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방충망에 촉매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이 상기 견운모 분말 70 내지 80중량%, 상기 토르말린 분말 5 내지 15중량%, 천연접착제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석물 조성물이 평균입도가 325 내지 500 메쉬인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 분말, 토르말린 분말의 입도가 1,500 내지 2,000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금속, 우레탄, 또는 폴리페닐렌에스터(P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TiO2, ZnO, CdS, ZrO2, SnO2,V2O2, 및 W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금속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KR1020050111075A 2005-11-21 2005-11-21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KR10060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075A KR100600609B1 (ko) 2005-11-21 2005-11-21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075A KR100600609B1 (ko) 2005-11-21 2005-11-21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609B1 true KR100600609B1 (ko) 2006-07-13

Family

ID=371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075A KR100600609B1 (ko) 2005-11-21 2005-11-21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609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한 선행기술조사문헌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3696C (zh) 掺杂纳米氧化锌及其制备方法和光催化降解有机物和抗菌的应用
KR100729374B1 (ko)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
CN101715784A (zh) 一种广谱长效抗病菌抗病毒消毒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422019A (zh) 复合多功能室内空气污染治理机
KR20220115593A (ko) 광촉매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광촉매 장치, 광촉매 조성물 및 기체 오염 제거 장치
KR101395230B1 (ko) 공기정화용 방충망
CN103120801A (zh) 纳米级光触媒清香型空气净化剂
CN113154608A (zh) 一种等离子灭杀病毒病菌方法及装置
KR100853475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KR100395264B1 (ko) 항균정화 활성의 광촉매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방충망
KR100600609B1 (ko) 천연광석물 조성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방충망의 제조방법
KR20070042247A (ko) 입상활성탄용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 기능성친환경 입상활성탄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필터부재
KR100738884B1 (ko)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KR100525007B1 (ko) 새집증후군 억제기능을 갖는 은과 숯화합물 접착제의제조방법
KR100858351B1 (ko) 친환경 및 기능성 수성 도료 조성물
KR101675630B1 (ko) 항균성 광촉매, 광촉매 도포 항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80086B1 (ko) 광촉매필터, 항균필터 및 항바이러스필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200218046Y1 (ko)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
CN107502096A (zh) 一种生态负离子涂布液
KR20220067010A (ko) 실내미세먼지를 저감 및 항 바이러스도 향상시키는 기능성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0790A (ko)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와 무기항균제의제조방법
CN203518047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机
KR20160080179A (ko) 공기정화용 스폰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052094U (zh) 一种微生物分解装置
US20230400199A1 (en) Insert device for a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with inse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