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60B1 -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60B1
KR100600460B1 KR1020037010760A KR20037010760A KR100600460B1 KR 100600460 B1 KR100600460 B1 KR 100600460B1 KR 1020037010760 A KR1020037010760 A KR 1020037010760A KR 20037010760 A KR20037010760 A KR 20037010760A KR 100600460 B1 KR100600460 B1 KR 10060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olyamide
composition
styr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85533A (en
Inventor
페두토니콜란젤로
박중훈
유영출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3008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질, 특히 기계적 성질의 우수한 균형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 고 강성, 고 연성 또는 충격 강도, 및 만족스러운 작용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yamide 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which exhibit a good balance of properties, in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The compositions exhibit high stiffness, high ductility or impact strength, and satisfactory action, especially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아미드외에,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라멜라 무기 입자를 포함한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 addition to polyamide, a copolymer comprising a rubber grafted with acrylonitrile and a styrene compound, and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Description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Polyamide 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본 발명은 성질, 특히 기계적 성질에 있어서 우수한 절충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 고 강성, 고 연성 또는 충격 강도, 및 만족스러운 작용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yamide 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exhibiting good compromises in properties, in particular in mechanical properties. The compositions exhibit high stiffness, high ductility or impact strength, and satisfactory action, especially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사출 성형, 기체 주입 성형, 압출 또는 압출-블로우 성형과 같은 기술에 의해서 형성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종종 제어가 요구되는 성질은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의 강성, 충격 강도, 치수 안정성과, 성형후 저 수축률, 각종 공정에 의해 도장될 능력, 표면 외관 및 밀도를 포함한다. 이들 성질은 중합체의 선택에 의해, 또는 상이한 성질의 화합물의 중합체에의 첨가에 의해 특정한 범위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조건은 "중합체 조성" 이다. 주어진 용도에 대한 물질의 선택은 통상적으로 특정 성질에 대해서 요구되는 성능 수준 및 그 비용에 의해 좌우된다. 성능 및/또는 비용면에서 상술한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신규 물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있었다. 예컨대, 폴리아미드는 특히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The properties that often need to be controlled for thermoplastics to be formed by techniques such as injection molding, gas injection molding, extrusion or extrusion-blow molding are particularly high in stiffness, impact strength, dimensional stability and low shrinkage after molding. , Ability to be painted by various processes, surface appearance and density. These properties can be controlled within certain ranges by the selection of polymers or by the addition of compounds of different properties to the polymers. In the latter case, the condition is "polymer composition". The choice of material for a given application typically depends on the level of performance required for that particular property and its cost. There has been a steady study of new materials that can meet the above mentioned in terms of performance and / or cost. For example, polyamides are widely used materials, especially in the automotive industry.

폴리아미드는 내약품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안정하고, 다른 종류의 중합체와 혼련되어 성질이 변성될 수 있는 중합체이다. 예컨대, 엘라스토머 중합체를 첨가하여 인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Polyamides are polymers that have chemical resistance, are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nd can be kneaded with other kinds of polymers to modify their properti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d elastomeric polymers to improve toughness.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PPO) 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련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합체 혼련물은, 예컨대 자동차 차체 부품의 제조에 적합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은 고가이며, 그 결과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다른 중합체 혼련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더욱이, 이들은 성형후 고 수축률 및 매우 만족스럽지 못한 표면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특히 강성 및 충격 강도면에서 상기와 동일한 수준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amides and polyphenylene oxides (PPO) are known. These polymer blends exhibit good mechanical properties, for exampl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automotive body parts. However, they are expensive and result in interest in other polymer blends including polyamides. Moreover, they exhibit high shrinkage and very unsatisfactory surface appearance after molding. Thus, there have been studies of compositions that can exhibit the same level of mechan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in terms of stiffness and impact strength, without exhibiting these drawbacks.

폴리아미드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티디엔-스티렌 (ABS) 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련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혼련물에서, 비상용성인 이들 2 개의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ABS 또는 다른 중합체가 보유하고 있는 말레인산 무수물 작용기에 의해서 상용성화된다. 이와 같이 상용성화된 폴리아미드 및 ABS 기재 조성물은 개개의 화합물과 관련된 성질을 나타낸다. 문헌 EP 648 811 은, 예컨대 폴리아미드, ABS,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상용성화제,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련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혼련물은 폴리아미드로 인해,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강도와, 높은 내약품성을 나타낸다.Polymer blends are known which comprise polyamides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In these blends, these two incompatible polymers are usually compatible with the maleic anhydride functional groups possessed by ABS or other polymers. Such compatible polyamide and ABS based compositions exhibit properties associated with individual compounds. Document EP 648 811 describes a polymer blend comprising, for example, a compatibilizer consisting of polyamide, ABS, a styrene-maleimide polym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and an ethylene-propylene elastom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 The kneaded material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high chemical resistance at low temperatures due to the polyamide.

폴리아미드 및 ABS 기재 조성물의 표면 외관 및 도장성은 특히 높이 평가된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의 탄성률, 및 열 변형 온도는 여러 가지 용도에 만족 스럽지 못하다. 이의 부품에 대한 성형후 수축률은 어느 정도 이상으로 매우 높다.The surface appearance and paintability of polyamide and ABS base compositions are particularly appreciated. However,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of these compositions are not satisfactory for various applications. Post-molding shrinkage for these parts is very high, to some extent.

폴리아미드의 성질을 변성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 유도되는 판상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를 폴리아미드에 도입함으로써 열 변형 온도 및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몬모릴로나이트의 존재는 충격 강도의 임의의 개선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오히려 충격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향을 가진다. 예컨대, 문헌 WO 00/09571 은 폴리아미드의 충격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폴리아미드 및 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것은 여전히 불충분하다.In order to modify the properties of polyamides, it is known to use plate-like nanoparticles derived from, for example, montmorillonite.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the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and rigidity can be improved by introducing montmorillonite into the polyamide. The presence of montmorillonite does not provide any improvement in impact strength. Typically, this tends to lower the impact strength rather. For example, document WO 00/09571 describ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nanoparticles derived from polyamide and montmorillonite, which do not reduce the impact strength of the polyamide. This is still insufficient.

문헌 WO 00/31185 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및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조성물은 불충분한 성질을 나타낸다. 조성물의 강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온도에서 불충분한 내충격성과 함께 연성-취성 전이가 나타난다.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및 나노입자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만족스러울 수 있는 강성과 불충분한 충격 강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만족스러울 수 있는 충격 강도와 불충분한 강성을 나타낸다. 나노입자 및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나노입자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 강도의 상대적인 감소는 매우 크다. 더욱이, 이들 조성물은 특정 용도에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은 표면 외관 및 도장성을 나타낸다.Document WO 00/31185 describes a composition comprising polyamides, elastomers and nanoparticles. These compositions exhibit insufficient properties. When nanoparticles are used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stiffness of the composition, soft-brittle transitions appear with insufficient impact resistance at the operating temperature. Compositions comprising only polyamides, elastomers and nanoparticles exhibit satisfactory stiffness and insufficient impact strength, or exhibit satisfactory impact strength and insufficient stiffness. The relative decrease in impact strength caused by the presence of nanoparticles in compositions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elastomers is very large. Moreover, these compositions exhibit surface appearance and paintability that are not entirely satisfactory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성질, 특히 충격 강도, 강성, 열 변형 온도, 성형 수축률, 표면 외관 및 도장성 면에서 개선된 절충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및 ABS 기재의 신규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novel polymer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and ABS which exhibit improved compromises in properties, in particular impact strength, stiffness, heat distortion temperature, molding shrinkage, surface appearance and paintabilit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ollowing compounds:

화합물 A: 열가소성 폴리아미드,Compound A: thermoplastic polyamide,

화합물 B: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스티렌 화합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된 고무를 포함하며, 적절한 경우,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Compound B: a styrene compound selected from styrene and α-methylstyrene and a copolymer grafted with acrylonitrile and, where appropriate, a copolymer comprising a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

화합물 C: 적절한 경우, 폴리아미드와 화합물 B 간의 상용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제 (이들의 하나 이상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한다),Compound C: one or more agents for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amide and the compound B, where appropriate, one or more of which include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the polyamide,

화합물 D: 적절한 경우, 엘라스토머 화합물,Compound D: where appropriate, an elastomeric compound,

화합물 E: 5 초과의 성형 계수, 10 ㎚ 미만인 작은 치수를 나타내는 라멜라 무기 입자.Compound E: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exhibiting a molding factor of greater than 5 and a small dimension of less than 10 nm.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서 수득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의 방법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들 방법 동안에, 화합물 A, B 및 E, 임의로 화합물 C 및 D, 및 더욱 임의로 또 다른 화합물이 단일 작업 동안에 또는 다수의 작업 동안에 사용된다. 이들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 성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시킨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some of which method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During these methods, compounds A, B and E, optionally compounds C and D, and more optionally another compound, are used during a single operation or during multiple operations. These methods form thermoplastic compositions that can be molded by conventional methods.

조성물은 기타 다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이들은 특히 안정화, 강화, 착색, 난연 또는 촉매화 화합물일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카올린, 규회석 또는 탈크와 같은 무기 충전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강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타 다른 화합물 또는 충전제 또는 섬유는 후자의 제조 단계 동안에, 또는 화합물 A 및/또는 B 및/또는 C 및/또는 D 및/또는 E 각각의 제조 동안에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무기 충전제 또는 강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밀도와 기계적 성질간에 특히 유리한 절충을 나타낸다: 상기 물질은 낮게 유지되는 밀도에 대해 고 충격 강도 및 고 강성을 나타낸다.It is mentioned that the composition can include other compounds. These may in particular be stabilizing, strengthening, coloring, flame retardant or catalyzed compounds. The composition may also include inorganic fillers such as kaolin, wollastonite or talc, or reinforcing fibers such as glass fibers or carbon fibers. These other compounds or fillers or fibers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osition during the latter stage of preparation, or during the preparation of each of Compounds A and / or B and / or C and / or D and / or 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at do not comprise inorganic fillers or reinforcing fibers exhibit a particularly advantageous compromise between den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materials exhibit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rigidity for densities that are kept low.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B 를 포함하는 단괴가 분산되는 폴리아미드 (화합물 A) 연속상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상기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화합물 B 보다 폴리아미드를 더 많이 포함한다. 폴리아미드와 화합물 B 는 비혼화성이다. 폴리아미드에의 화합물 B 의 분산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이들 작용기는 화합물 B, 또는 화합물 B 와 통상적으로 혼화성인 상용성화제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상용성은 조성물의 작용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exhibits a polyamide (compound A) continuous phase in which the nodules comprising compound B are dispersed. For this purpose, the compound advantageously comprises more polyamide than compound B. Polyamide and Compound B are immiscible. Dispersion of compound B in polyamides is facilitated by the presence of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These functional groups may be retained by Compound B, or a compatibilizer commonly compatible with Compound B. Compatibility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action of the composition.

화합물 E 는 5 초과의 성형 계수를 나타내며, 작은 치수가 10 ㎚ 미만인 라멜라 무기 입자로 이루어진다. 용어 "성형 계수" 는 입자의 형상의 큰 치수 지표와 입자의 형상의 작은 치수 지표간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라멜라 입자의 경우, 작은 치수는 두께이다. 이들 입자는 조성물에 분산된다. 분산의 질은 다양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성물이 라멜라 입자의 응집물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에 분산된다. 그러나, 입자가 다른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B 에 존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Compound E exhibits a molding factor of greater than 5 and consists of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with small dimensions of less than 10 nm. The term “shaping factor” is understood to mean the ratio between the large dimension index of the shape of the particle and the small dimension index of the shape of the particle. In the case of lamellar particles, the small dimension is the thickness. Thes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composition. The quality of the dispersion can vary: this allows the composition to exhibit aggregates of lamellar particles. The particles are preferably dispersed in polyamide. However, it is possible for the particles to be present in other compounds, such as compound B.

화합물 E 를 구성하는 분산 입자는 통상적으로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수득된다. 조성물의 제조 동안에, 시이트는 서로 분리되어 입자를 형성한다. 입자의 작은 치수는 실질적으로 시이트의 것이다. 입자의 기하학, 즉 이들의 형상 및 치수는 현미경 검사에 의해 조성물에서 관찰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이 수득되는 화합물의 시이트의 형상 및 치수와 비슷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시이트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응집물이 조성물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ersed particles constituting Compound E are usually obtained from a compound exhibit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the sheets separate from each other to form particles. The small dimensions of the particles are substantially of the sheet. The geometry of the particles, ie their shape and dimensions, can be observed in the composition by microscopy or can be similar to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sheets of compounds from which they are obtained.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sheets do not completely separate and that aggregates are present in the composition.

다음에, 조성물의 여러 가지 화합물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Next, various compounds of the com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화합물 ACompound A

화합물 A 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이다. 이것은 단일 폴리아미드 또는 여러 가지 폴리아미드의 혼련물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혼련물은 조성물 제조전의 작업에 의해서 수득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폴리아미드를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에 수득할 수 있다.Compound A is a thermoplastic polyamide. It may be a single polyamide or a mixture of various polyamides. In the latter case, the kneaded material may be obtained by operation prior to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or may be obtaine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using different or simultaneously polyamides.

폴리아미드는 하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polyamide may be selected from:

- 락탐 및/또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수득되는 유형의 것의 폴리아미드,Polyamides of the type obtained from lactams and / or amino acids,

- 이산 및 디아민으로부터 수득되는 유형의 것의 폴리아미드,Polyamides of the type obtained from diacids and diamines,

- 이들 2 종의 폴리아미드의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s of these two polyamides.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36, 코폴리아미드 6/6,6 및 6/6,36, 및 이들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기재의 혼련물 및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미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Polyamide 6, polyamide 11, polyamide 12, polyamide 4,6, polyamide 6,6, polyamide 6,10, polyamide 6,36, copolyamide 6 / 6,6 and 6 / 6,36 Very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polyamides selected from kneadings and copolymers based on these polyamides and copolyamides.

화합물 A 는 유리하게는 폴리아미드 6,6 기재이다. 이것은 폴리아미드 6,6 단독, 또는 폴리아미드 6,6 과 폴리아미드 6 의 혼련물일 수 있다. 상기 혼련물에서, 폴리아미드의 총 중량에 대한 폴리아미드 6 의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이다.Compound A is advantageously based on polyamide 6,6. It may be polyamide 6,6 alone or a mixture of polyamide 6,6 and polyamide 6. In the kneaded material, the weight ratio of polyamide 6 to the total weight of polyamide is preferably 1 to 30%.

폴리아미드 6,6 기재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우수한 내열성의 성질 및 고 경도를 나타낸다. 이들은 물질에 고온이 가해지는, 전기영동에 의한 도장 방법에 특히 적합하다.Polyamide 6,6 based compositions exhibit good mechanical properties, good heat resistance properties and high hardness. They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electrophoretic coating methods in which high temperatures are applied to the material.

폴리아미드 6 과 함께 폴리아미드 6,6 의 존재는 특히 성형후 수축을 감소시키고, 폴리아미드와 화합물 B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특정한 기계적 성질의 개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ce of polyamide 6,6 in combination with polyamide 6 may enable improvement of certain mechan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by reducing post-molding shrinkage and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polyamide and compound B.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혼련물로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6,6 은 유리하게는 산 말단기보다 아민 말단기를 더 많이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품의 표면 외관, 기계적 성질 및/또는 상용성을 개선시킨다. 아민 말단기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 meq/㎏ 초과이며, 아민 말단기와 산 말단기의 양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5 meq/㎏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meq/㎏ 초과이다. 아민 및/또는 산 말단기의 양은 폴리아미드의 용해후 전위차계 적정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 방법은, 예컨대 문헌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cal Analysis", volume 17, page 293, 1973] 에 기재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the polyamides 6,6 used alone or as kneaders advantageously comprise more amine end groups than acid end groups. This feature improves the surface appear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 or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formed from the composition. The amount of amine end groups is preferably more than 50 meq / kg,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amine end groups and acid end groups is preferably more than 5 meq / kg, even more preferably more than 10 meq / kg. The amount of amine and / or acid end groups is determined by potentiometric titration after dissolution of the polyamide. The method is described, for example, in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cal Analysis", volume 17, page 293, 1973.

화합물 BCompound B

화합물 B 는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스티렌 화합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된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가소성이다. 이것은 부가적으로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킬 의도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 의 고무를 포함한다. 화합물 B 전체에서의 고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이다.Compound B is a copolymer comprising a styrene compound selected from styrene and α-methylstyrene and a rubber grafted with acrylonitrile. The copolymer is thermoplastic. It may additionally contain functional groups intended to improve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The copolymer preferably comprises 10 to 90% by weight of rubber. The content of rubber in the entire compound B is preferably 15 to 35% by weight.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고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및 이들 2 종 이상의 고무의 혼련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The rubber is preferably polybutadiene, butadiene-styrene rubber, butadiene-acrylate rubber, butadiene-acrylonitrile rubber, EPR (ethylene-propylene rubber) and EPDM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and these two or more rubber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neaded mixtures.

화합물 B 는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스티렌 화합물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고무에 그라프트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벌크, 용액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들 2 종 이상의 중합 방법을 조합하여, 예컨대 벌크 용액 중합, 벌크 현탁 중합 또는 유화 현탁 중합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산화환원계, 사슬 조정제, 안정화제, 현탁제, 유화제 등과 배합된, 자유 라디칼 공여체와 같은 표준 물질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Compound B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grafting styrene compound monomers and acrylonitrile monomers to rubber. This can be done by bulk, solu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se two or more kinds of polymerization methods, for example, bulk solution polymerization, bulk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emuls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tandard substances such as free radical donors, optionally in combination with redox systems, chain regulator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emulsifiers and the like.

화합물 B 는 유리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다. 상기 화합물에서 부타디엔의 중량 함량은, 예컨대 15 내지 35 % 이며,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에 대한 스티렌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0 % 초과이다. 화합물 B 는,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부티디엔 및 스티렌의 비율이 각각 대략 25 %, 25 % 및 50 %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Compound B is advantageously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The weight content of butadiene in the compound is, for example, 15 to 35%, and the weight content of styrene relative to the weight of styrene and acrylonitrile is preferably 20 to 80%, preferably more than 50%. Compound B can be, for example,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having a proportion of acrylonitrile, butadiene and styrene of approximately 25%, 25% and 50%, respectively.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B 는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한다. 이들 기는 유리하게는 말레인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된다. 상기 기는, 예컨대 화합물 B 의 제조 동안에 공단량체, 예컨대 말레인산 무수물 또는 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In certain embodiments, Compound B comprises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These groups are advantageously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carboxylic acid and ester groups. Such groups are obtained, for example, by using comonomers such as maleic anhydride or acrylamide during the preparation of compound B.

화합물 CCompound C

조성물은 폴리아미드와 화합물 B 간의 상용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작용제의 하나 이상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한다. 여러 가지 작용제가 있는 경우, 혼련물은 조성물 제조전의 작업에 의해서 수득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용성화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에 수득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comprise one or more agents for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amide and compound B. At least one of these agents includes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In the presence of various agents, the kneaded material can be obtained by operation prior to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or can be obtaine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using the same or successive various compatibilizers.

하나 이상의 작용제에 존재하는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는 화합물 B 에 임의로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유리하게는 말레인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된다. 상기 기는 화합물 C 의 제조 동안에 사용되는 공단량체, 예컨대 말레인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다.The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present in one or more agents may have the same properties as those optionally present in compound B. They are advantageously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carboxylic acid and ester groups. The group is derived from a comonomer such as maleic anhydride used during the preparation of compound C.

화합물 B 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기를 포함하는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화합물 C 를 포함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re compound B comprises a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the composition advantageously does not comprise compound C.

상용성화제로는, 무수물 및 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되는 작용기로 그라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가 언급된다. 용어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는 하기 화학식 I 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단위로부터 산출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s compatibilizers, mention is made of styrene-maleimide copolymers grafted with functional groups selected from anhydrides and carboxylic acids. The term "styrene-maleimide copolymer" is understood to mean a polymer which represents a unit calculated from the styrene and maleimide units of formula (I):

[화학식 I][Formula I]

Figure 112003030102755-pct00001
Figure 112003030102755-pct00001

상기 식중에서, R 은 수소, 알킬 라디칼 또는 방향족 또는 아릴방향족 라디칼에서 선택된다.Wherein R is selected from hydrogen, alkyl radicals or aromatic or arylaromatic radicals.

R 은, 예컨대 페닐기이다. 말레이미드 단위는, 예컨대 N-페닐말레이미드, N-(o-메틸페닐)말레이미드, N-(m-메틸페닐)말레이미드 또는 N-(p-메틸페닐)말레이미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예컨대 스티렌과 말레인산 무수물을 공중합시킨 후, 아민, 예컨대 아닐린과 부분 반응시켜, 무수물 단위로부터 말레이미드 단위를 형성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아민과 반응하지 않은 무수물 단위는 작용성화를 구성한다. 다른 방법은 스티렌, 말레이미드 및 말레인산 무수물을 직접 공중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R is, for example, a phenyl group. The maleimide unit can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N-phenylmaleimide, N- (o-methylphenyl) maleimide, N- (m-methylphenyl) maleimide or N- (p-methylphenyl) maleimide. The copolym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copolymerizing styrene with maleic anhydride and then partially reacting with an amine such as aniline to form maleimide units from the anhydride units. Anhydride units that do not react with the amine constitute the functionalization. Another method consists in directly copolymerizing styrene, maleimide and maleic anhydride.

상용성화제로는, 여러 가지 단위의 중량 비율이 40 내지 60 % 스티렌 단위, 40 내지 60 %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및 0.1 내지 5 % 말레인산 무수물 단위인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체는, 조성물이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 평가한 성질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게 하는 특히 양호한 기계적 및 열적 성질을 가진다.As a compatibilizer,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in which the weight ratio of the various units is 40 to 60% styrene units, 40 to 60% N-phenylmaleimide units and 0.1 to 5% maleic anhydride units. Very particularly preferred. These copolymers have particularly good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that make the composition particularly effective for properties evaluat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조성물은 또한 비그라프트화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also comprise an ungrafted styrene-maleimide copolymer.

상용성화제로는, 적절한 경우 전체 또는 일부가 수소화된,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 예컨대 말레인산 무수물 작용기를 나타내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또한 언급된다. 상기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공중합체는, 예컨대 Shell 사에서 Kraton range 로 시판된다. 더욱 특히, 말레인산 무수물로 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SEBS-g-MA) 가 언급된다. 조성물에서 상기 작용제의 중량 비율은 유리하게는 0.5 내지 10 % 이다. 바람직하게는, 5 % 미만이다.As compatibilizers, mention is also made of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o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which, when appropriate, represent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in whole or in part, hydrogenated, such as maleic anhydride functional groups. . Such compound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opolymers of this type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in the Kraton range from Shell. More particularly, mention is made of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copolymers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 (SEBS-g-MA). The weight ratio of the agent in the composition is advantageously from 0.5 to 10%. Preferably less than 5%.

상용성화제로는, 유리하게는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SEBS 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As the compatibilizer, both styrene-maleimide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and SEBS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can be used advantageously.

상용성화제로는, 말레인산 무수물, 또는 심지어 조성물의 제조 동안에 직접 도입된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As the compatibilizer,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or even maleic anhydride directly introduce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may also be used.

화합물 DCompound d

조성물은 엘라스토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인성을 변성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조성물에서 화합물 D 의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산 무수물 및 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되는 작용기로 그라프트된다. 산 무수물에 의한 공중합체의 그라프트화는 통상적으로 말레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다.The composition may comprise an elastomeric compound. Such compounds are typically used to modify the toughness of the composition. The weight ratio of compound D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t most 50%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at most 10% by we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mpound is grafted with a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cid anhydrides and carboxylic acids. Grafting of copolymers with acid anhydrides is usually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maleic anhydride.

인성 변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는 약 40000 미만, 통상적으로는 25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00 미만의 ASTM D-638 인장 탄성률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랜덤,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단독중합체일 수 있다. 유용한 고무상 중합체는 중합체의 사슬 또는 분지 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중합체에 그라프트될 수 있는 반응성 단량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반응성 단량체는 디엔 또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에스테르 및 무수물일 수 있다. 이들 고무상 중합체중에서, 부타디엔 중합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EPDM) 가 언급될 것이다. 유용한 고무상 중합체로는, 비닐방향족 단량체, 올레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금속염 각각으로부터 수득되는 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유용한 고무상 중합체는 특허 US-A-4 315 086 및 US-A-4 174 358 에 기재되어 있다.Elastomers that can be used as toughness modifiers are defined as having an ASTM D-638 tensile modulus of less than about 40000, typically less than 25000, preferably less than 20000. These may be random, block or graft copolymers or homopolymers. Useful rubbery polymers can be prepared from reactive monomers that can form the chain or branched portion of the polymer or can be grafted to the polymer. These reactive monomers can be dienes or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such as esters and anhydrides. Among these rubbery polymers, butadiene polymer,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polyisoprene, polychloroprene, acrylonitrile / butadi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isobutylene / butadiene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EPR) Or ethylene / propylene / diene copolymers (EPDM) will be mentioned. Useful rubbery polymers may include polymers obtained from vinylaromatic monomers, olefins,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metal salts thereof, respectively. Useful rubbery polymers are described in patents US-A-4 315 086 and US-A-4 174 358.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첫 번째 바람직한 인성 변성제는 에틸렌 공중합체에 그라프트된 카르복실 또는 무수물과 같은 작용기를 갖는, 에틸렌과 에틸렌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작용성화 공중합체이다. 에틸렌 및 α-올레핀은 바람 직하게는 에틸렌과, 적어도 C3-C8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3-C6 α-올레핀에서 선택되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의 C3-C8 α-올레핀 단량체로는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1-부텐, 1-펜텐 및 1-헥센과 같은 다른 C3-C6 α-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하여,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작용성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작용성화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가 언급될 수 있다.The first preferred toughness modifier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ized copolymer which is a copolymer of ethylene with α-olefins other than ethylene, with functional groups such as carboxyl or anhydride grafted to the ethylene copolymer. Ethylene and α-olefins are preferably copolymers of ethylene and an α-olefin selected from at least C 3 -C 8 α-olefins, preferably C 3 -C 6 α-olefins. Propylene is preferred as the C 3 -C 8 α-olefin monomer of the copolymer.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propylene of the copolymer, other C 3 -C 6 α-olefins such as 1-butene, 1-pentene and 1-hexene may be used.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form, mention may be made of (functionalized) ethylene-propylene rubb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and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화합물 ECompound E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합물 E 를 구성하는 분산 입자는 통상적으로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수득된다. 조성물의 제조 동안에, 시이트는 서로 분리되어 입자를 형성한다. 시이트의 분리는 종종 벗겨짐, 분열 및 갈라짐으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분리 동안에 포함되는 공정들은 사용되는 화합물 및/또는 사용되는 공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들은 높거나 낮은 성형 계수, 10 ㎚ 미만인 작은 치수를 갖는 입자를 제조한다. 작은 치수, 예컨대 입자의 두께는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 ㎚ 미만이다.As mentioned above, the dispersed particles constituting Compound E are usually obtained from a compound exhibit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the sheets separate from each other to form particles. Separation of sheets is often known as peeling, splitting and cracking. The processes involved during the sepa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und used and / or the process used. They produce particles with high or low shaping coefficients, small dimensions of less than 10 nm. Smaller dimensions,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particles, are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2 nm.

라멜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여러 가지 부류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플루오로마이카,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실리케이트, 더욱 구체적으로는 필로실리케이트,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가 언급된다.Compounds having a lamellar structure can be selected from various classes. Fluoromica, zirconium phosphate, silicates, more specifically phyllosilicates, or hydrotalcites are mentioned.

본 발명의 수행에 적합한 라멜라 실리케이트로는,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세피오라이트, 팔리고르스카이트, 무스코바이트, 알레르바르다이트, 아메사이트, 헥토라이트, 탈크, 플루오로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스테벤사이트, 벤토나이트, 마이카, 플루오로마이카, 베르미쿨라이트, 플루오로베르미쿨라이트 또는 할로이사이트가 언급된다. 이들 화합물은 천연, 합성 또는 변성 천연 유래일 수 있다. 몬모릴로나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Lamellar silicates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ntmorillonite, smectite, illite, sepiolite, palygorskite, muscobite, allervardite, amecite, hectorite, talc, fluorohectorite, saponite, Baydelite, nontronite, stebencite, bentonite, mica, fluoromica, vermiculite, fluoro vermiculite or halosite are mentioned. These compounds may be of natural, synthetic or modified natural origin. Montmorillonite is very particularly preferred.

라멜라로의 시이트의 분리 (벗겨짐, 분열 등) 는 유기 화합물, 예컨대 시이트간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기 화합물을 이용한 예비 처리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처리 성질은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성질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의 처리에 대해서는, 이오늄 화합물, 즉 치환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화합물로의 처리가 언급된다. 예비처리된 몬모릴로나이트는 시판되고 있다. 여러 가지 처리 및/또는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아미드에의 혼입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Separation (cracking, splitting, etc.) of the sheet into lamellas can be facilitated by pre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such as organic compounds capable of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sheets. Treatment properties may depend on the properties of the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For example, for the treatment of montmorillonite, mention is made of treatment with ionium compounds, ie substituted ammonium or phosphonium compounds. Pretreated montmorillonite is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s of incorporating compounds having various treatments and / or sheet-like structures into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amides, are disclosed.

몬모릴로나이트, 및 임의로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다른 화합물의 처리에 대해서는, 특히 화합물에 초기에 존재하는 양이온의 교환에 의한 처리가 언급된다. 이들은, 예컨대 이오늄 유형의 유기 양이온이다. 유기 양이온은 포스포늄 및 암모늄, 예컨대 주로 4 차 암모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암모늄에 프로톤화된, 주로 3 차 아민 및 4 차 암모늄에 프로톤화된 12-아미노도데칸산과 같은 프로톤화 아미노산이 언급될 수 있다. 오늄의 질소 또는 인 원자에 결합된 사슬은 지방족, 방향족 또는 아릴지방족 및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산소 포함 단위, 예컨대 히드록실 또는 에톡시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유기 암모늄 처리의 예로는, 도데실암모늄, 옥타데실암모늄, 비스(2-히드록시에틸)옥타데실메틸암모늄,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옥타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이 언급될 수 있다. 유기 포스포늄 처리의 예로는, 알킬포스포늄, 예컨대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트리옥틸옥타데실포스포늄 또는 옥타데실트리페닐포스포늄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목록은 제한적 성질을 갖지 않는다.As for the treatment of montmorillonite, and optionally other compounds having structures in the form of sheets, mention is made, in particular, of treatment by the exchange of cations initially present in the compound. These are, for example, organic cations of the ionium type. The organic cation may be selected from phosphonium and ammonium, such as primarily quaternary ammonium. For example, mention may be made of protonated amino acids such as 12-aminododecanoic acid protonated in ammonium, mainly tertiary amines and protonated in quaternary ammonium. The chain bonded to the nitrogen or phosphorus atom of onium may be aliphatic, aromatic or arylaliphatic and linear or branched, and may represent oxygen containing units such as hydroxyl or ethoxy units. As examples of the organic ammonium treatment, dodecyl ammonium, octadecyl ammonium, bis (2-hydroxyethyl) octadecylmethylammonium, dimethyldioctadecylammonium, octadecylbenzyldimethylammonium or tetramethylammonium may be mentioned. As examples of organic phosphonium treatments, alkylphosphoniums such as tetrabutylphosphonium, trioctyloctadecylphosphonium or octadecyltriphenylphosphonium can be mentioned. These lists are not of a limiting nature.

본 발명의 수행에 적합한 시이트 형태의 실리케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세피오라이트, 팔리고르스카이트, 무스코바이트, 알레르바르다이트, 아메사이트, 헥토라이트, 탈크, 플루오로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스테벤사이트, 벤토나이트, 마이카, 플루오로마이카, 베르미쿨라이트, 플루오로베르미쿨라이트 또는 할로이사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천연, 합성 또는 변성 천연 유래일 수 있다.Silicates in the form of sheets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ntmorillonite, smectite, illite, sepiolite, palygorskite, muscobite, allervardite, amesite, hectorite, talc, fluorohectorite, saponite, It may be selected from beadelite, nontronite, stebencite, bentonite, mica, fluoro mica, vermiculite, fluoro vermiculite or halosite. These compounds may be of natural, synthetic or modified natural orig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수지에 분산된, 필로실리케이트, 예컨대 이온 교환에 의해 미리 팽윤 처리한 몬모릴로나이트의 벗김에 의해서 수득되는 라멜라 입자로 이루어진다. 사용될 수 있는 팽윤 처리의 예는, 예컨대 특허 EP 0 398 551 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 매트릭스에서 필로실리케이트의 벗김을 촉진하기 위한 공지된 임의의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Laporte 사에서 상표명 Cloisite

Figure 112006023784419-pct00002
로 시판되는 유기 화합물로 처리한 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Nanocor 사에서 Nanomer range 로 시판되는 몬모릴로나이트 기재의 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nsists of polyamide resin and lamellar particles obtained by stripping of phyllosilicates, such as montmorillonite, pre-swelled by ion exchange, dispersed in the resin. Examples of swelling treatments that can be used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patent EP 0 398 551. Any known treatment to promote peeling of the phyllosilicate in the polymer matrix can be used. For example, the trade name Cloisite from Laporte
Figure 112006023784419-pct00002
Clays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organic compounds can be used. In addition, montmorillonite based clay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Nanocor in the Nanomer range can be used.

중합체에서 입자의 분산의 수득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분산시키고자 하는, 임의로는 예컨대 팽윤제로 처리하고자 하는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용융 중합체에 혼련시키고, 이어서 임의로 상기 혼련물을, 예컨대 2 축 압출 장치에서 고 전단하에 둠으로써 양호한 분산을 수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합체는 개개로 주어지는 화합물의 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로서, 또는 조성물의 여러 가지 화합물의 혼련물로서 이해된다. 다른 방법은 분산시키고자 하는, 임의로는 예컨대 팽윤제로 처리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중합 매질중에서 단량체와 혼련시키고, 이어서 중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이다. 예를 들면, 라멜라 화합물, 임의로는 처리된 라멜라 화합물을 폴리아미드 단량체를 포함하는 매질에 도입하고, 이어서 중합을 수행함으로써, 화합물 E 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화합물 A) 를 수득한다. 또다른 방법은 중합체 및 제조한 분산 입자의 농축 혼련물을, 예컨대 상기 기술한 방법중 하나의 방법에 따라서 용융 중합체와 혼련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Any method that enables the obtaining of dispersion of particles in a polymer can be used to carry out the invention. The first method is preferred by kneading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to be dispersed, optionally for example with a swelling agent, in the molten polymer and then optionally placing the kneaded material under high shear, for example in a twin screw extrusion apparatus. Consists of obtaining a dispersion. The polymer is understood as one of the compounds given individually, preferably as polyamide, or as a mixture of various compounds of the composition. Another method consists of kneading a compound to be dispersed, optionally for example with a swelling agent, with a monomer in a polymerization medium and then polymerizing. In this case, the polymer is preferably polyamide. For example, a lamellar compound, optionally a treated lamellar compound, is introduced into a medium comprising a polyamide monomer and then polymerized to give a polyamide (compound A) comprising compound E. Another method consists in kneading the polymer and the concentrated kneading of the prepared dispersed particles with the molten polymer,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여러 가지 화합물의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The weight ratios of the various compounds are preferably as follows:

화합물 A: 5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Compound A: 5 to 95%, preferably 30 to 70%

화합물 B: 4.9 내지 94.9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Compound B: 4.9 to 94.9%, preferably 20 to 40%

화합물 C: 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Compound C: 0-30%, preferably 5-20%

화합물 D: 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Compound D: 0 to 30%, preferably 1 to 10%

화합물 E: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Compound E: 0.1-30%, preferably 1-10%.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열가소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화합물을 혼련함으로써 수득되며, 상기 열가소성 화합물은 용융 형태로 존재한다. 여러 가지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높거나 낮은 온도 및 높거나 낮은 전단력이 사용된다. 화합물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질을 가열하고, 전단력을 가하며, 수송하는 압출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Thermoplastic compositions are typically obtained by kneading the various compounds involved in the composition, the thermoplastic compounds being in molten form.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various compounds, high or low temperatures and high or low shear forces are used. The compounds can be introduc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ypically, an extrusion apparatus is used that heats the material, exerts a shearing force, and transports it. Such devic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첫 번째 양태에 따르면, 모든 화합물은 단일 작업, 예컨대 압출 작업에서 용융 혼련된다. 예컨대, 중합체 물질의 과립을 혼련하고, 압출 장치에 도입하여 용융시키며 높거나 낮은 전단을 가하고, 화합물 E, 또는 통상적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제조 동안에 입자를 형성하는 라멜라 구조를 갖는 처리된 화합물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서는, 비교적 높은 전단하에서 작업하여 라멜라의 분열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ll the compounds are melt kneaded in a single operation such as an extrusion operation. For example, a granulated polymer material is kneaded, introduced into an extrusion apparatus, melted, and subjected to high or low shear, Compound E, or more typically a treated compound having a lamellar structure to form particle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introduce. In this method, it is preferred to work under relatively high shear to promote cleavage of the lamellae.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최종 조성물의 제조전에 일부 화합물의 예비혼련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certain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epare premixes of some compounds prior to preparation of the final composition.

특정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작업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articular embodiment,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operations:

a) 화합물 A 및 화합물 E 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의 제조,a) preparation of a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compound A and compound E,

b) 상기 복합 물질 및 화합물 B 의 용융 혼련.b) melt kneading the composite material and compound B.

단계 a) 에서 제조한 복합 물질은 하기의 공정중 하나에 의해서 수득될 수 있다:The composite material prepared in step a) can be obtained by one of the following processes:

-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임의 처리된 화합물 또는 입자 형태의 화합물 E 의 존재하에서 폴리아미드의 중합.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제조한 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6 기재이고, 단량체는 주로 카프로락탐 및/또는 6-아미노카프로산에서 선택된다.The polymerization of the polyamide in the presence of any treat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or compound E in the form of particles. In this process, the polyamide prepared above is preferably based on polyamide 6 and the monomers are mainly selected from caprolactam and / or 6-aminocaproic acid.

- 폴리아미드와,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임의 처리된 화합물 또는 입자 형태의 화합물 E 의 용융 혼련. 상기 혼련은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고 전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Melt kneading of polyamide with compound E in the form of particles or any treat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The kneading can be carried out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preferably at high shear.

단계 a) 에서 수득된 복합 물질은 예비혼련물을 구성한다. 이것은 작업 b) 동안에, 예컨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화합물과 용융 혼련될 것이다. 상기 작업 b) 동안에, 화합물 E 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아미드가 첨가될 수 있다. 이어서, 복합 물질의 폴리아미드 및 작업 b) 동안에 첨가된 폴리아미드로부터, 조성물에 포함된 화합물 A 를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생성된다.The composite material obtained in step a) constitutes the premix. This will be melt kneaded with other compounds during operation b), for example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operation b), polyamides containing no compound E can be added. Then, from the polyamide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polyamide added during operation b), the polyamide constituting the compound A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produced.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과립 형태로 조건화된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n produced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is preferably conditioned in the form of granules.

이것, 또는 통상적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과립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용융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은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다.This, or typically, more specifically granules are those formed using a method comprising melting to produce a product. Thus, the product consists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은 자동차 산업용 제품의 제조에서, 특히 차체 부품의 제조에 특히 유리하다.The us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manufacture of product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in particular for the manufacture of body parts.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 또는 잇점은 하기에서 단지 예시로만 주어지는 실시예에 비추어 보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Other details or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in light of the examples given below by way of illustration only.

사용된 화합물Compound used

- 화합물 A1: Rhodia Engineering Plastics 사에서 Technyl 29 AP NH 로 시판되는, 55 meq/㎏ 의 아민 말단기 및 40 meq/㎏ 의 산 말단기를 포함하는 상대 점도 2.90 의 폴리아미드 6,6.Compound A1: polyamide 6,6 with a relative viscosity of 2.90 comprising 55 meq / kg of amine end group and 40 meq / kg of acid end group, sold as Technyl 29 AP NH by Rhodia Engineering Plastics.

- 화합물 A2: Hyosung Corporation 사에서 Toplamid 1021 로 시판되는 상대 점도 3.0 의 폴리아미드 6.Compound A2: a polyamide with a relative viscosity of 3.0 as marketed as Toplamid 1021 by the company Hyosung Corporation 6.

- 화합물 B1: BASF Korea 사에서 Terluran EHI-5 로 시판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Compound B1: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sold as Terluran EHI-5 by BASF Korea.

- 화합물 B2: Kumho 사에서 Kumho 795 로 시판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Compound B2: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sold by Kumho as Kumho 795.

- 화합물 C1: Nippon Shokubai 사에서 PSX 0371 로 시판되는, 스티렌 46 중량%, N-페닐말레이미드 53 중량% 및 말레인산 무수물 1 중량% 를 포함하는,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Compound C1: styrene-maleimide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comprising 46% by weight of styrene, 53% by weight of N-phenylmaleimide and 1% by weight of maleic anhydride, sold as PSX 0371 by the company Nippon Shokubai (N- Phenylmaleimide) copolymers.

- 화합물 C2: Shell 사에서 FG1901X 로 시판되는,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 트된 수소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EBS).Compound C2: hydrogenated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BS)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sold as FG1901X by the company Shell.

- 화합물 D1: Mitsui Chemical 사에서 MP 0620 으로 시판되는,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Compound D1: ethylene-propylene elastom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sold as MP 0620 by the company Mitsui Chemical.

- 화합물 E1: 메틸디히드로옥타데실암모늄을 사용하여 처리한 몬모릴로나이트.Compound E1: montmorillonite treated with methyldihydrooctadecylammonium.

- 화합물 E2: Southern Clay Corp. 사에서 SCPX 2086 으로 시판되는, 4 차 암모늄염을 사용하여 처리한 몬모릴로나이트.Compound E2: Southern Clay Corp. Montmorillonite treated with quaternary ammonium salt, marketed by SCPX 2086.

- 복합물 1: 암모늄 도데칸산으로 처리한 몬모릴로나이트 및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매질로부터 중합에 의해 수득된, 분산된 몬모릴로나이트 나노입자 3.9 중량% (회분) 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6 매트릭스.Composite 1: Polyamide 6 matrix comprising 3.9% by weight (ash) of dispersed montmorillonite nanoparticles obtained by polymerization from a medium comprising montmorillonite and caprolactam treated with ammonium dodecanoic acid.

- 화합물 F1: 윤활제, 카본 블랙, 니그로신.Compound F1: lubricant, carbon black, nigrosine.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Werner-Pfleiderer ZSK 유형의 2 축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혼련에 의해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Th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elt kneading using a twin screw extruder of the Werner-Pfleiderer ZSK type. Extrus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 온도: 240 내지 280 ℃,Temperature: 240-280 ° C.,

- 회전 속도: 200 내지 300 회전/분,Rotational speed: 200 to 300 revolutions / minute,

- 처리량: 25 내지 30 ㎏/시.Throughput: 25 to 30 kg / hr.

2 가지 상이한 공정을 사용하였다:Two different processes were used:

- 공정 1: 압출기에서 각각의 화합물을 혼련,Process 1: kneading each compound in an extruder,

- 공정 2: 압출기에서 폴리아미드 및 라멜라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물을 혼련.Process 2: Kneading the composite comprising polyamide and lamellar particles in an extruder.

평가evaluation

조성물에 대해 여러 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Several tests were performed on the composition:

- ASTM D638 표준에 따른 항복점 응력,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Yield point stress according to ASTM D638 standard, measured after conditioning test specimens at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 ASTM D638 표준에 따른 파단 신율,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ing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pecimens at elongation at break,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in accordance with ASTM D638 standard.

- ASTM D790 표준에 따른 굴곡 탄성률,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ed after conditioning test specimens at flexural modulus,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in accordance with ASTM D790 standard.

- ASTM D790 표준에 따른 굴곡 응력,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ing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pecimen at flexural stress,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according to ASTM D790 standard.

- ASTM D236 표준에 따른 노치드 Izod 충격 강도, 3.2 t 및 6.4 t 의 충격하에, 건조 상태에서, 23 ℃ 에서 측정.Notched Izod impact strength according to ASTM D236 standard, measured at 23 ° C., in dry condition, under impacts of 3.2 t and 6.4 t.

- ASTM D648 표준에 따른 열 변형 온도 (HDT), 4.6 ㎏f/㎠ 및 18.5 ㎏f/㎠ 의 하중하에 측정.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 according to ASTM D648 standard, measured under loads of 4.6 kgf / cm 2 and 18.5 kgf / cm 2.

- 성형 수축률: 길이 200 ㎜ 및 두께 3.2 ㎜ 의 ASTM 시험 견본에 대한 (성형기 길이 - 성형 시험 견본의 크기)/(성형기의 길이) 비 (상기 길이는 시험 견본의 사출 방향에서 측정함).Mold shrinkage: ratio of (molding machine length-size of molding test specimen) / (length of molding machine) to ASTM test specimens of 200 mm length and 3.2 mm thickness (the length is measur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test specimen).

- ASTM D785 표준에 따른 Rockwell 경도.Rockwell hardness according to ASTM D785 standard.

- ASTM D792 표준에 따른 밀도.Density according to ASTM D792 standard.

- ISO 527 표준에 따른 항복점 응력,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 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Yield point stress according to ISO 527, measured at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ample.

- ISO 527 표준에 따른 파단 신율,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ing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pecimens at elongation at break,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according to ISO 527 standards.

- ISO 178 표준에 따른 굴곡 탄성률,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ed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pecimen at flexural modulus,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in accordance with ISO 178 standards.

- ISO 178 표준에 따른 굴곡 응력, 23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시험 견본을 조건화시킨 후 측정.Measuring after conditioning the test specimen at flexural stress according to ISO 178 standard,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 ISO 180/1A 표준에 따른 노치드 Izod 충격 강도, 3.2 t 및 6.4 t 의 충격하에, 건조 상태에서, 23 ℃ 에서 측정.Notched Izod impact strength according to ISO 180 / 1A standard, measured at 23 ° C., in dry condition, under impacts of 3.2 t and 6.4 t.

- ISO 179/1eA 표준에 따른 노치드 Charpy 충격 강도, 3.2 t 및 6.4 t 의 충격하에, 건조 상태에서, 23 ℃ 에서 측정.Notched Charpy impact strength according to ISO 179 / 1eA standard, measured at 23 ° C. in dry state, under impacts of 3.2 t and 6.4 t.

- ISO 306 표준에 따른 Vicat A/120 경도.Vicat A / 120 hardness according to ISO 306 standard.

- 소용돌이 시험 (용융 유동성):-Vortex Test (melt fluidity):

조성물을 과립으로 형성시키고, 용융시킨 후, Engel 80T 프레스에서, 배럴 온도 240 내지 260 ℃ 에서, 사출 압력 100 bar 및 사출 속도 60 ㎜/s 로, 두께 2 ㎜ 및 폭 2.4 ㎜ 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나선형 성형기에 사출한다. 사출 시간은 5 초이다. 결과는 조성물이 정확하게 충전된 성형기의 길이로 표시된다. 상기 시험에서 평가한 조성물은 0.1 % 의 성형전 수분 함량을 가진다.After forming the composition into granules and melting, in an Engel 80T press, a spiral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ickness 2 mm and width 2.4 mm, at an injection pressure of 100 bar and an injection rate of 60 mm / s, at a barrel temperature of 240 to 260 ° C. Injection into the molding machine. Injection time is 5 seconds. The result is indicated by the length of the molding machine with the composition filled exactly. The composition evaluated in this test has a pre-molding moisture content of 0.1%.

실시예 1∼4Examples 1-4

여러 가지 실시예 (1, 2, 3, 4) 및 비교예 (C1, C2, C3, C4, C5) 에 해당하 는 여러 가지 조성물 및 그 평가를 하기 표 I 및 II 에 나타낸다.Various compositions corresponding to various examples (1, 2, 3, 4) and comparative examples (C1, C2, C3, C4, C5) and evaluation thereof are shown in Tables I and II below.

실시예Example C1C1 C2C2 1One 22 33 44 화합물 A1Compound a1 67 %67% 54 %54% 56 %56% 53 %53% 49 %49% 47 %47% 화합물 A2Compound a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화합물 B1Compound B1 15 %15%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화합물 C1Compound c1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화합물 E1Compound E1 3 %3% 3 %3% 5 %5% 5 %5% 화합물 D1Compound d1 7 %7% 5 %5% 3 %3% 5 %5% 7 %7% 화합물 F1Compound F1 1 %One % 1 %One % 1 %One % 1 %One % 1 %One % 1 %One % 성질Property 시험exam 단위unit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Tensile stress at yield point ASTM D638ASTM D638 kgf/㎠kgf / ㎠ 606606 622622 705705 630630 614614 596596 파단 신율Elongation at break ASTM D638ASTM D638 %% 4040 4242 3333 3939 4343 4040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2361023610 2349023490 2972029720 2754027540 2854028540 2747027470 굴곡 응력Flexural stres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921921 910910 10751075 976976 945945 900900 3.2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3.2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25.325.3 44.244.2 15.515.5 22.622.6 20.420.4 21.521.5 6.4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6.4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23.723.7 25.725.7 13.213.2 21.021.0 18.118.1 19.119.1 4.55 kgf/㎠ 에서의 HDTHDT at 4.55 kgf / ㎠ ASTM D648ASTM D648 182.0182.0 167.8167.8 166.3166.3 174.3174.3 177.3177.3 171.6171.6 18.5 kgf/㎠ 에서의 HDTHDT at 18.5 kgf / ㎠ ASTM D648ASTM D648 90.390.3 84.084.0 95.995.9 93.393.3 100.0100.0 107.2107.2 성형 수축률Molding shrinkage REP KoreaREP Korea %% 1.571.57 1.411.41 1.161.16 1.241.24 0.950.95 0.950.95 Rockwell 경도Rockwell Hardness ASTM D785ASTM D785 R-scaleR-scale 116.0116.0 116.2116.2 118.3118.3 116.6116.6 114.8114.8 113.5113.5 밀도density ASTM D792ASTM D792 g/㎤g / cm 3 1.0991.099 1.0991.099 1.1211.121 1.1111.111 1.1051.105 1.1001.100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Tensile stress at yield point ISO 527ISO 527 KJ/㎡KJ / ㎡ 57.757.7 61.061.0 68.768.7 61.561.5 60.160.1 57.557.5 파단 신율Elongation at break ISO 527ISO 527 %% 4646 6767 3535 5050 4040 3636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 ISO 178ISO 178 KJ/㎡KJ / ㎡ 23512351 22582258 28182818 25852585 27352735 26482648 굴곡 응력Flexural stress ISO 178ISO 178 KJ/㎡KJ / ㎡ 86.386.3 91.391.3 102.9102.9 94.394.3 92.192.1 88.488.4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Shock ISO 180/1AISO 180 / 1A N/㎟N / mm2 9.79.7 8.88.8 6.76.7 9.79.7 11.611.6 15.115.1 노치드 Charpy 충격Notched Charpy Shock ISO 179/1eAISO 179 / 1eA N/㎟N / mm2 12.212.2 15.915.9 7.77.7 12.012.0 18.518.5 17.517.5 Vicat A/120 경도Vicat A / 120 Hardness ISO 306ISO 306 251.3251.3 245.8245.8






실시예Example 44 C3C3 C4C4 55 C5C5 화합물 A1Compound a1 화합물 A2Compound a2 100 %100% 70 %70% 화합물 B1Compound B1 20 %20% 20 %20% 20 %20% 화합물 C2Compound c2 2 %2 % 화합물 C1Compound c1 10 %10% 10 %10% 10 %10% 화합물 E1Compound E1 화합물 D1Compound d1 5 %5% 복합물 1Complex 1 70 %70% 100 %100% 63 %63% 화합물 F1Compound F1 성질Property 시험exam 단위unit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Tensile stress at yield point ASTM D638ASTM D638 kgf/㎠kgf / ㎠ 801801 10031003 760760 654654 721721 파단 신율Elongation at break ASTM D638ASTM D638 %% 2222 2.62.6 150150 4747 5353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3645036450 4335043350 2550025500 2936029360 2544025440 굴곡 응력Flexural stres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12641264 15761576 10001000 998998 10581058 3.2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3.2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12.312.3 5.55.5 5.55.5 53.553.5 13.813.8 6.4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6.4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13.613.6 4.04.0 4.54.5 27.227.2 10.910.9 4.55 kgf/㎠ 에서의 HDTHDT at 4.55 kgf / ㎠ ASTM D648ASTM D648 172.5172.5 196.3196.3 170170 151.7151.7 141.6141.6 18.5 kgf/㎠ 에서의 HDTHDT at 18.5 kgf / ㎠ ASTM D648ASTM D648 101.8101.8 145.6145.6 6565 107.6107.6 75.875.8 성형 수축률Molding shrinkage REP KoreaREP Korea %% 0.780.78 1.021.02 1.281.28 0.820.82 0.760.76 Rockwell 경도Rockwell Hardness ASTM D785ASTM D785 R-scaleR-scale 120120 119.5119.5 120120 116.7116.7 119.5119.5 밀도density ASTM D792ASTM D792 g/㎤g / cm 3 1.1241.124 1.1441.144 1.141.14 1.1021.102 1.1061.106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Tensile stress at yield point ISO 527ISO 527 KJ/㎡KJ / ㎡ 79.579.5 102.1102.1 7878 64.764.7 69.569.5 파단 신율Elongation at break ISO 527ISO 527 %% 1818 2.62.6 100100 4242 4848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 ISO 178ISO 178 KJ/㎡KJ / ㎡ 35503550 42514251 26002600 28752875 24482448 굴곡 응력Flexural stress ISO 178ISO 178 KJ/㎡KJ / ㎡ 12561256 150.2150.2 105105 98.298.2 98.698.6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Shock ISO 180/1AISO 180 / 1A N/㎟N / mm2 7.87.8 4.84.8 4.74.7 42.742.7 7.27.2 노치드 Charpy 충격Notched Charpy Shock ISO 179/1eAISO 179 / 1eA N/㎟N / mm2 9.59.5 6.76.7 5.55.5 45.545.5 8.58.5 Vicat A/120 경도Vicat A / 120 Hardness ISO 306ISO 306 204.8204.8 213.3213.3 214214 203.5203.5 205.2205.2

실시예 5Example 5

제조한 조성물을 하기 표 III 에 나타낸다.The prepared compositions are shown in Table III below.

실시예Example 55 C6 (비교예)C6 (Comparative Example) 화합물 A2Compound a2 53 %53% 53 %53% 화합물 B2Compound B2 30 %30% 32 %32% 화합물 C1Compound c1 10 %10% 10 %10% 화합물 D1Compound d1 5 %5% 5 %5% 화합물 E2Compound E2 2 %2 % --

이들 조성물의 평가를 하기 표 VI 에 나타낸다.Evaluation of these compositions is shown in Table VI below.

실시예Example 성질Property 시험exam 단위unit 55 C6C6 밀도density ASTM D792ASTM D792 g/㎤g / cm 3 1.08311.0831 1.08351.0835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Tensile stress at yield point ASTM D638ASTM D638 kgf/㎠kgf / ㎠ 550.5550.5 531.2531.2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2433024330 2145021450 굴곡 응력Flexural stress ASTM D790ASTM D790 kgf/㎠kgf / ㎠ 859.7859.7 812.3812.3 3.2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3.2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84.6784.67 77.277.2 6.4 t 에서의 노치드 Izod 충격Notched Izod impact at 6.4 t ASTM D256ASTM D256 kgf.㎝/㎝kgf.cm/cm 37.737.7 26.8426.84 Rockwell 경도Rockwell Hardness ASTM D785ASTM D785 R-scaleR-scale 113.9113.9 115.1115.1 4.55 kgf/㎠ 에서의 HDTHDT at 4.55 kgf / ㎠ ASTM D648ASTM D648 131.7131.7 128.2128.2 18.5 kgf/㎠ 에서의 HDTHDT at 18.5 kgf / ㎠ ASTM D648ASTM D648 109.1109.1 103.6103.6 나선 길이Helix length Cm 325325 235235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보다 높은 용융 유동성을 나타내며, 유사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다.Compositions comprising montmorillonite exhibit higher melt fluidity than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ontmorillonite and exhibit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Claims (31)

하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A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ollowing compound: 화합물 A: 5 내지 95 중량% 의 열가소성 폴리아미드,Compound A: 5-95% by weight of thermoplastic polyamide, 화합물 B: 4.9 내지 94.9 중량% 의,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스티렌 화합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된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Compound B: a copolymer comprising 4.9 to 94.9% by weight of a styrene compound selected from styrene and α-methylstyrene and rubber acrylonitrile grafted, 화합물 E: 0.1 내지 30 중량% 의, 5 초과의 성형 계수, 10 ㎚ 미만인 작은 치수를 나타내는 라멜라 무기 입자.Compound E: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molding factor of greater than 5, less than 10 nm, from 0.1 to 30% by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화합물 B 의 단괴 (nodule) 가 분산되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amide constitutes a matrix in which the nodule of Compound B is dispers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멜라 입자가 폴리아미드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amellar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polyam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합물 B 가 아크릴로니트릴-부티디엔-스티렌 기재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compound B is a copolymer based o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가 말레인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the polyamide is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carboxylic acid or ester group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및 이들 폴리아미드 기재의 혼련물 및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yamide is selected from polyamide 6, polyamide 6,6, and kneaded materials and copolymers based on these polyamides. 제 7 항에 있어서, 화합물 A 가 폴리아미드의 총 중량에 대해 폴리아미드 6 을 1 내지 30 %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6,6 과 폴리아미드 6 의 혼련물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성물.8. A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compound A is a mixture of polyamide 6,6 and polyamide 6 comprising 1 to 30% polyamide 6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polyamide.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6,6 이 산 말단기보다 아민 말단기를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8. The composition of claim 7, wherein the polyamide 6,6 contains more amine end groups than acid end groups. 제 9 항에 있어서, 아민 말단기의 양이 50 meq/㎏ 초과이고, 아민 말단기와 산 말단기의 양의 차이가 5 meq/㎏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0. The composition of claim 9, wherein the amount of amine end groups is greater than 50 meq / k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s of amine end groups and acid end groups is greater than 5 meq / k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멜라 무기 입자가 실리케이트, 플루오로마이카,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에서 선택되는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화합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are obtained from a compound exhibit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selected from silicates, fluoromicas, zirconium phosphates or hydrotalcites. 제 11 항에 있어서, 라멜라 입자가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 유도된 화합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2. The composition of claim 11, wherein the lamellar particles are obtained from montmorillonite, or a compound derived from montmorillonite. 제 12 항에 있어서, 라멜라 입자가 시이트를 분리시키는 작용제로 처리된 몬모릴로나이트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3. The composition of claim 12, wherein the lamellar particles are obtained from montmorillonite treated with an agent that separates the sheet.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러 가지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or 2, wherein the weight ratios of the various compounds are as follows: 화합물 A: 30 내지 70 %Compound A: 30-70% 화합물 B: 20 내지 40 %Compound B: 20-40% 화합물 E: 1 내지 10 %.Compound E: 1-10%. 삭제delete 화합물을 용융 혼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by melt kneading the compound. 하기의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following operations: a) 화합물 A 및 화합물 E 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의 제조,a) preparation of a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compound A and compound E, b) 상기 복합 물질 및 화합물 B 의 용융 혼련.b) melt kneading the composite material and compound B. 제 18 항에 있어서, 복합 물질이 하기의 공정중 하나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mposite material is prepared by one of the following processes: - 라멜라 입자를 생성할 수 있는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입자 형태의 화합물 E 의 존재하에서 폴리아미드의 중합,Polymerization of polyamides in the presence of compounds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sheets capable of producing lamellar particles or compounds E in the form of particles, - 라멜라 입자를 생성할 수 있는 시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입자 형태의 화합물 E 와 폴리아미드의 용융 혼련.Melt kneading of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heet capable of producing lamellar particles or a compound E in the form of particles with polyamid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차 차체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utomotive body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화합물 B 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compound B is a copolymer comprising a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 하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A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ollowing compound: 화합물 A : 5 중량% 이상 95 중량% 미만의 열가소성 폴리아미드,Compound A: at least 5% by weight and less than 95% by weight thermoplastic polyamide, 화합물 B : 4.9 중량% 이상 94.9 중량% 미만의,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스티렌 화합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된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Compound B: a copolymer comprising a styrene compound selected from styrene and α-methylstyrene and at least 4.94% by weight and less than 94.9% by weight of grafted rubber with acrylonitrile, 화합물 C: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폴리아미드와 화합물 B 간의 상용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제로서, 이들의 하나 이상이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인 작용제,Compound C: an agent that is greater than 0% and no greater than 30% by weight of at least one agent for compatibility between polyamide and compound B, wherein at least one of them comprises a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 화합물 D: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엘라스토머 화합물,Compound D: greater than 0 wt% and no greater than 30 wt% of the elastomeric compound, 화합물 E :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의, 5 초과의 성형계수, 10 nm 미만인 작은 치수를 나타내는 라멜라 무기 입자.Compound E: Lamellar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molding coefficient of more than 5 and less than 10 nm of 0.1 wt% or more and 30 wt%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멜라 입자가 화합물 B 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amellar particles are dispersed in compound B. 제 22 항에 있어서, 화합물 B 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티디엔-스티렌 기재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23. The composition of claim 22, wherein compound B is a copolymer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mprising functional groups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s. 제 23 항에 있어서, 화합물 C 가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를 나타내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styrene-maleimide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compound C comprises a styrene-maleimide copolymer comprising a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 a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or styrene-butadiene which represents a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polyamide. Composition selected from styrene block copolymers. 제 2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가 말레인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23. The composition of claim 22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the polyamide is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carboxylic acid, or ester groups thereof. 제 23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위한 작용기가 말레인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23,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for compatibility with the polyamide is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carboxylic acid, or ester groups thereof. 제 23 항에 있어서, 화합물 C 및 화합물 D 의 중량 비율이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23, wherein the weight ratio of Compound C and Compound D is as follows: 화합물 C: 5 내지 20 %Compound c: 5-20% 화합물 D: 1 내지 10 %.       Compound D: 1-10%. 제 23 항에 있어서, 화합물 D 가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24. The composition of claim 23, wherein compound D is selected from ethylene-propylene rubb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제 18 항에 있어서, 작업 b) 동안 화합물 E 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 A 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dding Compound A, which does not comprise Compound E, during operation b).
KR1020037010760A 2001-02-16 2002-02-15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KR1006004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2170A FR2821081B1 (en) 2001-02-16 2001-02-16 POLYAMIDE-BAS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FR01/02170 2001-02-16
PCT/EP2002/001635 WO2002066558A1 (en) 2001-02-16 2002-02-15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533A KR20030085533A (en) 2003-11-05
KR100600460B1 true KR100600460B1 (en) 2006-07-13

Family

ID=886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760A KR100600460B1 (en) 2001-02-16 2002-02-15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536160A (en)
KR (1) KR100600460B1 (en)
FR (1) FR2821081B1 (en)
WO (1) WO200206655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01B1 (en) 2009-12-16 2014-07-31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olyamide composition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7523B1 (en) * 2002-02-26 2007-02-1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Elastomer composition and paper feed roller
EP1490352A1 (en) * 2002-03-29 2004-12-29 Schering Corporation Synthesis of piperidine and piperazine compounds as ccr5 antagonists
WO2004083303A1 (en) * 2003-03-21 2004-09-30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RPI0410518A (en) * 2003-04-28 2006-06-20 Rhodia Eng Plastics Srl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plastic matrix, process of making a composition, process of making an article and article
TWI309606B (en) * 2003-11-12 2009-05-11 Mitsui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laminate using the composition
MX2022004816A (en) * 2019-10-24 2022-05-16 Invista Textiles Uk Ltd Polyamid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849B1 (en) * 1993-10-19 1998-07-01 채오병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impact-resistance
EP0402528A3 (en) * 1989-06-13 1991-11-13 Monsanto Kasei Company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715813B2 (en) * 1999-01-22 2005-11-16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Exterior parts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01B1 (en) 2009-12-16 2014-07-31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olyamide composition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533A (en) 2003-11-05
FR2821081A1 (en) 2002-08-23
WO2002066558A1 (en) 2002-08-29
JP2004536160A (en) 2004-12-02
FR2821081B1 (en)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790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60112909T2 (en) THERMOPLASTIC POLYMERIC MIXTURES
EP0472344A2 (en) Reinforced elastomer composition and polypropylen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6849687B2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having low gloss appearance
KR100600460B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KR100665804B1 (en) High Hea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ack and Chemical Resistance
KR100573558B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polyamide
US4496690A (en) Alloys of styrenic resins and polyamides
JP523966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parts and molded product
DE10024935A1 (en) Polyamide blends useful for making weathering-resistant shaped products include a graft copolymer based on a silicone, ethylene-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or acrylate rubber
KR100591041B1 (en)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blowability, impac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US8114933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US5001178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KR0134305B1 (en) Fiber reinforced folyamid resin composition
KR100509908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Low Warpage
KR20170056140A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KR100488857B1 (en)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high resistance
EP0080720A1 (en) Alloys of styrenic resins and polyamides
KR100501511B1 (en) The Composition of Polyamide resin
KR100742563B1 (en) Nanocomposite resin composition
KR100719213B1 (en) Abs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KR20040065077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egidity and Heat-Resistance
KR100594898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KR19980084808A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JP288418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