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882B1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Google Patents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8882B1 KR100598882B1 KR1020050060131A KR20050060131A KR100598882B1 KR 100598882 B1 KR100598882 B1 KR 100598882B1 KR 1020050060131 A KR1020050060131 A KR 1020050060131A KR 20050060131 A KR20050060131 A KR 20050060131A KR 100598882 B1 KR100598882 B1 KR 100598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arm
- pedal arm
- pinion gear
- jack scre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조정 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은, 내측 암(18)이 워엄 샤프트(16)에 의해 서포트 브래킷(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페달 암(20)이 상기 내측 암(18)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운전자의 몸집에 따라 상기 워엄 샤프트(16)를 회전시켜 상기 페달 암(20)의 높이를 조정하는 자동차 제어 페달에 있어서, 상기 워엄 샤프트(16)의 워엄 기어부에 물리는 피니언 기어(30)와, 상기 피니언 기어(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송나사부(30a)와, 상기 이송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3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페달 암(20)에 피봇결합되어 연결된 잭 스크류(46)를 포함하므로, 잭 스크류의 상하 및 좌우방향 유격을 줄이고 조정 소음을 줄이는 한편, 페달 암의 조립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페달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the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rm 18 is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14 by the worm shaft 16, and the pedal arm 20 pivots on the inner arm 18. In the vehicle control pedal coupled in the mann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edal arm 20 by rotating the worm shaft 16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driver, the pinion gear bite to the worm gear portion of the worm shaft 16 30, the feed screw portion 30a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inion gear 30, and screwed to the feed screw portion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0, the pedal arm 20 Since it comprises a jack screw 46 is pivotally coupled to the), reducing the vertical and lateral play of the jack screw and reducing the adjustment noise, while easy to assemble and manufacture the pedal arm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edal rigidity.
Description
도1은 종래 자동차 제어 페달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pedal;
도2는 도1에서 피벗 샤프트 부위의 구성도,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ivot shaft in FIG. 1;
도3은 도1의 자동차 제어 페달의 측면도(누름위치 및 누름 해제위치표시),3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control pedal of FIG. 1 (indicative of push position and release position),
도4는 도1의 작용상태도(페달 암의 높이 조절상태),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ure 1 (the pedal arm height adjustment state),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의 분리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도5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FIG.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의 작용상태도이다.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4 : 서포트 브래킷 16 : 워엄 샤프트14: support bracket 16: worm shaft
18 : 내측 암 20 : 페달 암18: inner arm 20: pedal arm
30 : 피니언 기어 30a : 이송 나사부30:
38 : 제1핀 43 : 제2핀38: first pin 43: second pin
46 : 잭 스크류 46b : 연결 플랜지46:
본 발명은 조정 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able vehicle control pedal.
자동차 생산자 및/또는 설계자들은 몸집이 다른 운전자들에 대한 인체공학적인 면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왔다. 몸집이 다른 운전자들을 위한 노력으로, 자동차 컨트롤(스티어링 휠 등)을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다양한 운전자 몸집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탑승자의 안락감이 중요하므로, 운전자가 조정하는 자동차 컨트롤 모두가 인체공학적 및 안정성 면에서 상당히 중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패키지 공간, 기능 안전성 및 비용 때문에 페달의 조정가능성은 무시되어 왔는데, 이를 고려하여 몸집이 다른 운전자들을 인체공학적으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자동차 설계 패키지 내에 실질적으로 끼워지는 것이 장점인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Automotive producers and / or design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ergonomics of different drivers. In an effort for other drivers, the car controls (steering wheel, etc.) are designed to be adjustable to accommodate different driver sizes. As the comfort of the occupants is important, it is recognized that all the car controls that the driver adjusts are of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ergonomics and stability. However, due to package space, functional safety and cost, the pedal's adjustableness has been neglected, taking this into account with the ergonomic acceptance of different drivers, as well as the fact that it is practically fitted within the current automotive design package. Many control pedals are disclosed.
그 중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4649호로 개시된 자동차 제어 페달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 조정 장치(210)는 피벗 샤프트(216)에 의하여 서포트 브래킷(2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페달 어셈블리(212)를 포함한다. 페달 어셈블리(212)는 내측 암(218) 및 페달 암(220)을 포함한다. 피벗 샤프트(216)는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여 페달 암(2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서프트 브래킷(214)은 차량에 장착되는데, 피벗 샤프트(216)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224)을 갖는 한쌍의 암(222)을 갖는다. Among them, the automobile control pedal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64649, as shown in FIG. 1, the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벗 샤프트(216)는 서포트 브래킷(214)의 암(222)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한쌍의 원통형 면부분(228) 사이에 배 치된 웜기어부(226)를 포함한다. 기어 휠(230)은 피벗 샤프트(216)의 한쪽 말단부에 장착되어 모터(M)에 장착된 기어 휠(232)과 맞물린다. 한쌍의 C-클립(234)이 서포트 브래킷(214)에 대하여 피벗 샤프트(216)를 제위치에 지지한다. 상기 내측 암(218)은 피벗 샤프트(216)의 원통형 면부분(228)에 피벗되며, 한쌍의 베어링(248)이 잭 스크류(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몸체부(236)의 중앙부(244)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1-3, the
상기 내측 암(218)은 하측 정지부(238)와 한쌍의 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암(240)사이에 연장되는 몸체부(236)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서포트 암(240)은 페달 암(220)을 피벗식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피벗 로드(256)를 수용하는 구멍을 가진다. 상기 몸체부(236)는 한쌍의 측벽(242) 및 공동을 형성하는 중앙부(244)를 가지며, 상기 측벽(242)은 서포트 브래킷(214)의 암(222)사이에 수용된다(도2 참조). 상기 정지부(238)는 피동 페달 암(220)의 방향으로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 페달 암(218)의 몸체부(236)의 하측 말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로틀 케이블(257)이 몸체부(236)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다. 상기 잭 스크류(250)는 피니언 기어(254)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부(252)를 갖는다. 피니언 기어(254)는 피벗 샤프트(216)의 웜 기어부(226)와 맞물린 상태로 몸체부(236)의 측벽(242) 사이의 공동 내에 위치한다.The
상기 페달 암(220)은, 그 상단부(258)는 채널을 형성하고, 그 하단부(260)는 페달(221)을 지지하는 일반적인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칼라(262)는 페달 암(220)의 상단부(258)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피벗 로드(256)을 수용하는 관 통구멍을 가진다. 상기 페달 암의 상단부(258)는 후측벽(264) 및 이 후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266)을 가져 U자 형상의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측벽(266)은 슬라이드 블록(268)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이격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268)은 잭 스크류(250)를 수용하는 나사구멍(도시안됨)을 가지며, 한쌍의 핀(272)이 각각의 측벽(266)에 형성된 슬롯(274)내에 수용되도록 슬라이드 블록(268)의 반대쪽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슬롯(274)은 상단으로부터 종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조정하는 동안 슬라이드 블록(268)을 안내한다. 상기 후측벽은 잭 스크류(250)의 나사부를 고정되게 수용하는 개구(276)를 가진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 제어 페달의 페달 조정 장치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221)을 누름(밟음)에 따라 상기 내측 암(218)이 피벗 샤프트(216)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페달 암(220)이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눌리어, 스로틀 케이블(257)이 당겨지게 된다.In the pedal control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ped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운전자의 몸집에 따라 페달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스위치로 구동되는 모터(M)의 회전에 따라 피벗 샤프트(216)가 회동하고, 상기 피벗 샤프트(216)에 형성된 워엄 기어부(226)의 회동에 따라 이에 물린 피니언 기어(254)가 회동하여 잭 스크류(25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잭 스크류(250)의 나사부(252)에 물리는 한편 상기 페달 암(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슬롯(274)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268)이 상하이동함에 따라, 상기 페달 암(220)이 피벗 로드(256)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에 의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 암(220)의 높이가 조정된다.When the height of the pedal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er, the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 제어 페달의 페달 조정 장치에서는, 잭 스크류(250)에 일체로 결합된 피니언 기어(254)가 회전하여 잭 스크류(250)가 동시에 회전하고, 이 잭 스크류에 물린 슬라이딩 블록(268)이 상하로 이동하여 페달 암(220)을 끌어 내리고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를 크게 할 수 없어 슬라이딩 블록(268)의 상하 방향의 유격이 크게 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블록의 좌우방향 유격이 크게 되어 슬롯(274)의 길이가 길어야 하며, 슬라이딩 블록(268)의 미끄러짐에 의한 조정 소음이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pedal adjustment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ped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잭 스크류(250)를 내측 암(218) 및 페달 암(220)에 지지하기 위한 조립이 용이하기 못하고 잭 스크류(250)의 설치에 필요한 부품의 압입 및 융착을 위한 제작공법이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method for supporting the
또한, 잭 스크류(250)가 페달 암(220)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페달의 강성이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잭 스크류의 상하 및 좌우방향 유격을 줄이고 조정 소음을 줄이는 조정 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justable vehicle control pedal which reduce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learance of the jack screw and reduces the adjustment noi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달 암의 조립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페달의 강성을 높이는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that facilitates the assembly and manufacture of the pedal arm and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pedal.
본 발명에 의한 조정 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은, 내측 암이 워엄 샤프트에 의해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페달 암이 상기 내측 암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운전자의 몸집에 따라 상기 워엄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페달 암의 높이를 조정하는 자동차 제어 페달에 있어서, 상기 워엄 샤프트의 워엄 기어부에 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송나사부와, 상기 이송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페달 암에 피봇결합되어 연결된 잭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rm is pivotally mounted to the support bracket by the worm shaft, the pedal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inner arm, and the worm shaf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er. A vehicle control pedal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al arm, comprising: a pinion gear caught by a worm gear portion of the worm shaft, a feed screw portion formed through a center of the pinion gear, and a screw threaded to the feed screw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ack screw which is moved up and down as the gear rotates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pedal arm.
상기 페달 암의 중간 측면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잭 스크류의 상단에는 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가 핀에 의해 상기 페달 암의 장공에 힌지결합된다.A long hole is formed on an intermediate side of the pedal arm, and a connecting flange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jack screw, and the connecting flange is hinged to the long hole of the pedal arm by a pi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제어 페달(10)은, 페달 어셈블리(12)가 워엄 샤프트(16 : 도7에 도시)에 의해 서포트 브래킷(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페달 에셈블리(12)는 내측 암(18) 및 페달 암(20)을 포함한다. 워엄 샤프트(16)는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여 페달 암(20)의 위치를 조정한다. 5 to 7, the
상기 서프트 브래킷(14)은 차량에 장착되는데, 그 일측에는 상기 워엄 샤프트(16)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시(22)가 결합되는 지지부(24)가 돌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워엄 샤프트(16)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시(23)가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26)이 고정된다. 상기 서포트 브래킷(14)의 후측 상면에는 상기 내측 암(18)이 끼워져 위치를 정하는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4)는 중간에 소 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플랜지(24a, 24b)가 형성된 구조이다.The
상기 워엄 샤프트(16)의 워엄기어부에는 피니언 기어(30)가 물리어 조립되는데, 상기 피니언 기어(30)는 상기 내측 암(18)의 상면에 고정되는 캡(32)에 의해 씌워져 있다. 도6에서 피니언 기어(30)는 외부에 보이도록 캡(32)의 외측에 도시하였다. 상기 워엄 샤프트(16)는 연결축(34)을 매개로 상기 모터(M)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된 기어휠(도시안됨 : 종래예의 도2참조)에 연결되어 있다.A
상기 내측 암(18)은 상기 워엄 샤프트(16)를 힌지축으로 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14)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데, 몸체부(35)와, 상기 페달 암(20)의 후단이 피봇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35)의 후측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암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5)의 앞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30)가 수용되는 한편 후술하는 잭 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 암부(36)의 상단에는 상기 페달 암(20)이 피봇식으로 결합되도록 제1핀(38)이 삽입되는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암(18)의 하측부는 트이어 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내측 암(18)의 몸체부(35)의 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 케이블이 연결된다.The
상기 페달 암(20)은 하측이 트이어 ㄷ단면을 이룬 브라켓으로서, 그 상측벽(39)의 앞단에는 페달면(39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벽(41)의 후단에는 상기 제1핀(38)이 삽입되는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벽(41)의 중간에는 후술하는 잭 스크류의 연결 플랜지부를 피봇식으로 연결하도록 제2핀(43)이 삽입되는 장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페달 암(20)은 페달 면(39a)에서 후측 으로 가면서 급격한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굴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상기 피니언 기어(30)의 중앙에는 이송나사부(30a)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이송나사부(30a)에는 상기 페달 암(20)에 연결되는 잭 스크류(46)가 상하로 이동가능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잭 스크류(46)의 나사부(46a)의 상단에는 상기 페달 암(20)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 플랜지(4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랜지(46b)에는 상기 제2핀(43)이 삽입되는 구멍(4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랜지(46b)는 상기 페달 암(20)의 하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장공(41b)에 그 구멍(46c)이 맞추어져 상기 제2핀(43)에 의해 연결된다.A
상기 모터(M)의 하단부 즉, 구동축이 결합된 부분은 패드(48)를 매개로 상기 서포트 브래킷(14)의 지지부(24)의 측면에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motor M, that is, the drive shaft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에서, 운전자의 몸집에 따라 페달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모터(M)의 회전에 따라 워엄 샤프트(16)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이 워엄 샤프트(16)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 기어(30)가 회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30)의 중앙을 관통하여 맞물린 잭 스크류(46)가 상하 이동하게 되어, 잭 스크류(46)는 연결 플랜지(46b)를 통해 연결된 페달 암(20)을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페달 암(20)은 제1핀(38)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그 페달면(39a)의 높이가 조정된다.In the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ed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er,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은, 워엄 샤프트(16)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 기어(30)가 회전하여 이 피니언 기어(30)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이송 나사결합된 잭 스크류(46)가 상하로 이동하여 페달 암(20)을 끌어 내리고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를 크게 할 수 있어 잭 스크류의 연결부(연결 플랜지)의 상하 방향의 유격이 작게 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연결 플랜지)의 좌우방향 유격이 작게 되어 장공(41b)의 길이가 짧아도 되고, 잭 스크류(46)의 연결부의 미끄러짐에 의한 조정 소음이 작게 된다.The adjustable vehic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또한, 잭 스크류(46)는 피니언 기어(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하므로 그 하측을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잭 스크류의 설치에 필요한 부품의 압입 및 융착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여 제조비가 현저히 절감된다. 또한, 잭 스크류(46)가 페달 암(20)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페달의 강성이 강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에 의한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에 의하면, 잭 스크류의 상하 및 좌우방향 유격을 줄이고 조정 소음을 줄이는 한편, 페달 암의 조립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페달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djustable automobile control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duc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learances of the jack screw and reducing the adjustment noise, it is easy to assemble and manufacture the pedal arm and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edal.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0131A KR100598882B1 (en) | 2005-07-05 | 2005-07-05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0131A KR100598882B1 (en) | 2005-07-05 | 2005-07-05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98882B1 true KR100598882B1 (en) | 2006-07-10 |
Family
ID=3718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0131A KR100598882B1 (en) | 2005-07-05 | 2005-07-05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88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813Y1 (en) | 2008-03-17 | 2010-08-12 | 안순옥 | Location fix device for brake pedal |
US9689478B2 (en) | 2014-12-08 | 2017-06-27 | Hyundai Motor Company | Brake pedal apparatus with variable pedal ratio |
CN108657077A (en) * | 2018-07-10 | 2018-10-16 |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wing type device with pedal |
-
2005
- 2005-07-05 KR KR1020050060131A patent/KR1005988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813Y1 (en) | 2008-03-17 | 2010-08-12 | 안순옥 | Location fix device for brake pedal |
US9689478B2 (en) | 2014-12-08 | 2017-06-27 | Hyundai Motor Company | Brake pedal apparatus with variable pedal ratio |
CN108657077A (en) * | 2018-07-10 | 2018-10-16 |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wing type device with pedal |
CN108657077B (en) * | 2018-07-10 | 2024-05-10 |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 Swing ped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4958B1 (en)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
CA2404948C (en) | Adjustable pedal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 |
US6367349B1 (en) | Adjustable brake, clutch and accelerator pedals | |
US20070068321A1 (en) | Adjustable pedal assembly | |
US6543852B2 (en) | Headrest device | |
KR100598882B1 (en) | Adjustable car control pedal | |
US6925904B2 (en) | Adjustable pedal mechanism with tapered rivet for automatic gap and wear protection | |
KR101470223B1 (en) |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 |
KR101593846B1 (en) | Headrest device | |
KR20030029989A (en) | Pedal mounting structure | |
EP1280034B1 (en) |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pedal | |
JP2006103416A (en) | Wiper device | |
JP4874517B2 (en) | Adjustable vehicle pedal | |
EP1217492B1 (en) | Adjustable pedal for motor-vehicles | |
EP1343065B1 (en) | Device to adjust the position of pedals in a motor-vehicle | |
KR102524793B1 (en) | A tilting-telescopic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 | |
KR20030075271A (en) | Lumbarsupport-device for automobile | |
KR102524799B1 (en) | A tilting-telescopic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 with precision operation | |
KR100372460B1 (en) | Pedal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KR200242441Y1 (en) | Device for electron accelerator for cars | |
KR100476222B1 (en) | System controlling location of suspension a-bush | |
KR100535881B1 (en) | Steering column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s | |
WO2002045999A2 (en) | Adjustable pedal apparatus with defined adjustment path | |
KR101440146B1 (en) | Supporting apparatus for headrest | |
KR100534246B1 (en) | Pedal for a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