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504B1 -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04B1
KR100598504B1 KR1020040003696A KR20040003696A KR100598504B1 KR 100598504 B1 KR100598504 B1 KR 100598504B1 KR 1020040003696 A KR1020040003696 A KR 1020040003696A KR 20040003696 A KR20040003696 A KR 20040003696A KR 100598504 B1 KR100598504 B1 KR 10059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coupled
joint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953A (ko
Inventor
김규석
강성재
조현석
최기원
유재욱
류제청
문무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Priority to KR10200400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압을 이용한 공기 주머니를 이용함으로서 체력 소모를 현저히 줄여 보행의 가능거리 및 사용시간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미약한 사용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이 높아진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왕복 보행 보조기는 사용자의 상체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을 보조한 것으로,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는 체력에 대한 소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단거리 이동에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실제적인 보행은 단거리와 단시간에 그칠 수밖에 없었으며, 링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신체에 고정하는 장치가 복잡하여 사용자 단독으로 보조기를 장착하기가 어렵고 착용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좌/우 고관절 연결부(2)와, 대퇴골 하단과 경골(脛骨) 상단 및 슬개골(무릎뼈)을 잇는 슬관절 연결부(4)와, 족관절 연결부 및 상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주머니(6)의 팽창/수축에 의해 보조적인 근력을 추가해주는 구동장치부(8)로 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보행 보조기.

Description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Power-driven walking suppor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링 링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상부 고정바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하부 고정바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하부 지지대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고관절 연결부 4: 슬관절 연결부
6: 공기주머니 8: 구동장치부
10: 허리고정부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을 위한 동력형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압을 이용한 공기 주머니를 이용함 으로서 체력 소모를 현저히 줄여 보행의 가능거리 및 사용시간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미약한 사용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이 높아진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왕복 보행 보조기는 사용자의 상체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을 보조하여 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는 체력에 대한 소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단거리 이동에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실제적인 보행은 단거리와 단시간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링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신체에 고정하는 장치가 복잡하여 사용자 단독으로 보조기를 장착하기가 어렵고 착용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압을 이용한 공기 주머니를 이용함으로서 체력 소모를 현저히 줄여 보행의 가능거리 및 사용시간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근력이 미약한 사용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이 높아진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링 링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상부 고정바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하부 고정바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력식 왕복 보행 보조기는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좌/우 고관절 연결부(2)와, 대퇴골 하단과 경골(脛骨) 상단 및 슬개골(무릎뼈)을 잇는 슬관절 연결부(4)와, 족관절 연결부 및 상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주머니(6)의 팽창/수축에 의해 보조적인 근력을 추가해주는 구동장치부(8)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기 위한 허리고정부(10)로 구성된다.
상기한 고관절 연결부(2)는 고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위해 4절식 링크장치로 구성되며 슬관절 연결부(4)는 단축식 연결 구조를 갖는다.
고관절 링크장치(16)는 상부 고정바(14)와, 하부 고정바(12)및 링 링크(24)를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으로 동일 축에 결합하여 이를 축으로 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링 링크(24)에는 힙 링크 샤프트(22)에 결합된 고정바(26)를 결합하여 인체 관절의 움직임과 동일한 관절점을 두어 보조기 착용상태에서 정상인과 같은 모든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관절 링크는 허리부에 1개의 회전점(28)을 중심으로 좌/우 연결되어 우측 굴곡시에는 좌측은 신전되도록 하고 우측 신전시에는 좌측이 굴곡되도록 하여 보행시 고관절부가 연계성을 갖고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보조기의 착탈을 위한 잠금장치가 좌우 각각 구비되어진다.
상기한 잠금장치는 하부 고정바(12)에 잠금핀(32)을 스프링을 압압하여 탄력지도록 내재하여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링 링크(24)에 걸려지도록 구성하며, 잠금핀(32)에 결합된 잠금노브(34)를 이동함으로서 링 링크(24)에서 빠지거나 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보조기를 착용하도록 구성되어진다.
하부 고정바(12)에는 하부 지지대(38)를 끼워 핀을 압입하여 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여 고정하며 이 체결부 외면으로는 커버형의 록킹 장치(40)를 씌워 상하 움직이면서 체결부를 회전 또는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동장치부는 고관절 연결부(2)와 슬관절 연결부(4)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36)에 공기주머니(6)가 결합되며 발 하단부(발 접지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팽창/수축 작동되어 링크를 회전시킴으로서 작동되어진다.
이때 각각의 공기주머니(6)의 팽창을 위해 펌프(도시안됨)가 구동되어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허리고정부(10)에는 좌/우 링크를 연결해주는 금속형 허리 밴드(20)가 설치되어 좌/우 링크의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허리밴드의 안쪽으로는 사용자의 등을 받혀주는 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각 연결 장치부의 사이에는 신체를 고정하는 고정 소켓이 설치되며 종아리, 허벅지, 허리를 받혀주는 고분자 수지형 소켓으로 신체의 굴곡에 맞추어 설치되고, 고정장치는 섬유류의 밴드를 쿠션과 함께 사용하여 밀착감과 압박감을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에 플레이트(18)를 밀착하면서 허리밴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고, 링크 장치와 더물어 상지와 하지를 고정하는 소켓류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이때 족부의 링크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전용구두와 함께 사용된다.
사용자에 결합된 보조기는 클러치(목발) 또는 4발 클러치를 보조하여 보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걸음을 내 디디면 발 접지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공급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링크 장치가 회동되어 인체 관절의 움직임과 동일한 관절점에 의하여 상체의 근력과 더불어 보조적인 근력을 추가하여 보조기 착용상태에서 정상인과 같은 보행은 물론 모든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조기의 탈착이 필요한 경우 하부 고정바에 내재되어 링 링크(24)에 끼워진 된 잠금핀(32)을 잠금노브를 이용하여 안쪽으로 당기면 잠금핀이 빠지면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앉거나 탈착이 손쉬운 상태가 된다.
그후 하부 고정바와 하부 지지대를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아래로 움직이면 하부 지지대의 회동이 손쉬워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보조기를 착용하기가 손쉽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신채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압을 이용한 공기주머니를 이용함으로서 체력의 소모를 현격하게 줄여 보행 거리 및 사용시간을 높여 근력이 미약한 사용자에게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좌우로 형성된 고관절 연결부(2)와, 대퇴골 하단과 경골(俓骨) 상단 및 슬개골(무릎뼈)을 잇는 슬관절 연결부(4)와, 족관절 연결부 및 상체의 근력과 더불어 공기주머니(6)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보조적인 근력을 추가해주는 구동장치부(8)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기 위한 허리고정부(10)로 구성된 것의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 연결부(2)는 상부 고정바(14)와, 하부 고정바(12)및 링 링크(24)를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으로 동일 축에 결합하여 이를 축으로 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 링크(24)에는 힙 링크 샤프트(22)에 결합된 고정바(26)를 결합하여 인체 관절의 움직임과 동일한 관절점을 갖도록 하고 상기 허리 고정부는 1개의 회전점(28)을 중심으로 좌우로 연결되어 우측 굴곡시에는 좌측은 신전되도록 하고 우측 신전시에는 좌측이 굴곡되도록 하여 보행시 고관절부가 연계성을 갖도록 하면서 상기 허리고정부(10)의 좌우의 링크를 연결해주는 금속형 허리밴드(20)가 설치되어 링크의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허리밴드의 안쪽으로는 사용자의 등을 받혀주는 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부는 고관절 연결부(2)와 슬관절 연결부(4)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36)에 공기주머니(6)가 결합되어 발 하단부(발접지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 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형 왕복보행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바(12)에 잠금핀(32)을 스프링을 압압하여 탄력지도록 내재하여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링 링크(24)에 걸려지도록 구성하여 잠금핀(32)에 결합된 잠금노브(34)를 이동함으로서 링 링크(24)에서 빠지거나 걸리도록 한 잠금장치를 갖는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5. 삭제
  6. 삭제
KR1020040003696A 2004-01-19 2004-01-19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KR10059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96A KR100598504B1 (ko) 2004-01-19 2004-01-19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96A KR100598504B1 (ko) 2004-01-19 2004-01-19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53A KR20050075953A (ko) 2005-07-26
KR100598504B1 true KR100598504B1 (ko) 2006-07-13

Family

ID=3726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96A KR100598504B1 (ko) 2004-01-19 2004-01-19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811B2 (en) 2015-08-28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ssistance torques
US10195100B2 (en) 2014-08-18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ing module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99B1 (ko) * 2006-06-30 2007-06-25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동력보행보조기
KR102158131B1 (ko) * 2014-05-23 2020-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보조장치
KR102346198B1 (ko) 2015-01-07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10596060B2 (en) 2015-11-26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5100B2 (en) 2014-08-18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ing module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034811B2 (en) 2015-08-28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ssistance tor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53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558B2 (en) Portable human exoskeleton system
JP4093912B2 (ja) 歩行補助装置
US8052629B2 (en) Multi-fit orthotic and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US7559909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0615446B1 (ko) 근전도 생체신호제어형 동력보행보조기
EP1637115B1 (en) Walking aid device
KR101073525B1 (ko) 하지근력지원용 착용형 로봇
JP4072094B2 (ja) 歩行補助装置
CN113230098A (zh) 一种六自由度穿戴式下肢外骨骼康复机器人
EP1637114B1 (en) Walking aid device
CN114102562A (zh) 一种仿生膝踝关节助力外骨骼装置
KR100598504B1 (ko) 동력형 왕복 보행 보조기
CN212630987U (zh) 一种智能仿生膝踝足矫形器
CN2278461Y (zh) 助步器
CN209573370U (zh) 一种足内翻矫正鞋
CN214596419U (zh) 一种下肢助残外骨骼机器人
CN210631469U (zh) 一种基于人体下肢外骨骼的康复机器人
CN209236494U (zh) 剪刀步矫正辅具
CN220213176U (zh) 一种美人鱼仿生下肢矫形器
TWM549610U (zh) 應用於下肢癱瘓患者外骨骼之輔助機構
WO2007043379A9 (ja) 歩行訓練装具及び歩行訓練方法
CN116945138A (zh) 一种用于高压电设备接地工作的外骨骼
CN111938892A (zh) 一种智能仿生膝踝足矫形器
KR20020003111A (ko) 보행 시 유압을 이용한 무릎통증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