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455B1 -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455B1
KR100597455B1 KR1020040056718A KR20040056718A KR100597455B1 KR 100597455 B1 KR100597455 B1 KR 100597455B1 KR 1020040056718 A KR1020040056718 A KR 1020040056718A KR 20040056718 A KR20040056718 A KR 20040056718A KR 100597455 B1 KR100597455 B1 KR 10059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ubber
coupling
stopper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204A (ko
Inventor
황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04005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4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폭이 좁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의 소규모 고무댐들을 관리할 때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가 있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은 내주면이 서로 연통·형성되어 고무보의 공기관 입구에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 베이스 몸체에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환형턱이 형성된 커플링 스토퍼;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발전기의 전원으로 구동하여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압축기; 압축기에 호스로 결합되어 커플링 스토퍼에 끼워져 졌을 때 물림 작용과 물림 해제로 착탈되는 커플링; 베이스 몸체의 내에 수용되며 커플링이 끼워졌을 때 그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기통로를 열어주고 눌림 해제 때 원위치로 복귀되어 공기통로를 닫아 주는 기밀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관리할 때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공기를 주입해 줌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또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공급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하천이나 계곡 등에 소규모 댐들의 설치가 용이하며,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고무댐의 범람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APPARATUS FOR PUMP AIR INTO PORTABLE OF RUBBER DA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 작동장치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로서,
도 2는 상기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가 제방의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공기주입 장치를 고무보의 공기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맨홀 110 : 베이스 몸체
120 : 커플링 스토퍼 121 : 고정스토퍼
122 : 가동스토퍼 123 : 볼
125 : 제1 완충스프링 130 : 커플링
132 : 가동자 136 : 고정자
140 : 기밀유지부 142 : 고무패킹
143 : 플랜저 150 : 압축기
본 발명은 예컨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설치되어 목적하는 저수량에 따라 공기의 주입과 배출로 수축 및 팽창되어 저수량을 확보하는 고무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공급이 어려운 산간벽지 또는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하천이나 계곡 등에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을 관리할 때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공기주입을 필요로한 고무댐에 착탈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하여 공기 주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 전력소모와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관리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하천, 강 등의 제방용 둑으로서 절첩식 또는 기복식 등의 많은 고무댐(RUBBER DAM)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보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보의 팽창 및 기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공기공급장치로서의 모터 및 송풍기와, 상기 발생된 압축공기를 고무보 내로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상기 고무댐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하기 위한 고무댐의 무인작동 장치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7602호(명칭 :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 장치)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7602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장치의 하나를 표시한 것으로서, 고무보(10)의 공기관(11)의 선단부에 R,S,T 3상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구동하는 모터(60)와 송풍기(61)를 차례로 연관 설치한 것에 있어서, 공기관(11)의 중간부에 복수 개의 배기관(42)들을 관접형성하여 각 배기관에 전자밸브(40),(41), 모터밸브(43)를 각각 설치하고, 그 측방에 압력계(50)를 설치하여 각 도선을 전기적으로 제어부(30)에 연결하고, 저수지의 일 측에는 초음파 수위감지기(20)를 설치하여 송출된 수위감지 정보에 의하여 제방 일측의 조작실에 설치된 제어부(30)에서 송풍기(61)와 각 밸브(40)(41)(43)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송풍기(61) 전단의 공기관(11)에는 송풍기(61)의 구동정지 때, 고무보(10) 내의 공기가 송풍기(61)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61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 작동장치는 조작실 내에 설치된 조작패널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두었을 경우, 제어부(30)는 배기관(42)의 모든 밸브 (40)(41)(43)를 닫고 체크밸브(61a)를 열어준 후 모터(60)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61)에 의하여 고무보(10)에 공기가 주입되어 그 고무보(10)가 기립된다.
이때,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은 압력계(50)에 의하여 파악되며 압력계의 데이터는 곧 고무보(10)의 높이를 지시한다. 따라서 압력계(50)의 지시에 의하여 조작실 내에 설치된 제어부(30)가 댐이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킨다.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 의하여 댐의 수위가 감지되며 그 감지된 수위 데이터는 조작실의 제어부(30)로 보내진다. 제어부(30)에서는 데이터를 분석·설정하여 둔 기준 하수위와 기준 상수위 값과 대비하여 기준 상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높게 되면 고무보(10) 위로 물이 넘쳐 흘러서 댐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40)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그 전자밸브(40)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고무보(10)에 충전된 공기가 공기관(11) 및 개방된 전자밸브(40)를 통해 배기관(42)으로 배기 됨으로서 고무보(10)가 도복 되어진다. 고무보(10)가 도복 되어지면 담수된 물이 그 고무보(10)를 통해서 다량으로 배수된다. 이때 담수된 수위가 위험 수위에서 정상의 수위로 조절되었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40)가 닫히게 됨으로써, 그 이상의 배기작용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서 감지한 수위가 설정된 기준 하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댐의 수위를 기준 수위로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모든 배 기밸브가 닫혀있고 체크밸브(61a)만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송풍기(61)의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풍기(61)를 가동시키게 된다.
송풍기(61)의 가동에 의해서 공기관(11) 및 체크밸브(61a)를 통하여 공기가 고무보(10)에 충전이 되면 그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은 서서히 증가하며, 이것에 의해 고무보(10)가 서서히 기립되어진다. 이때 압력계(50)는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제어부(30)는 압력계(50)에서 검출한 공기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고무보(10)의 기복되는 높이를 감지하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가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일시적으로 다량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고무보(10)에 충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밸브(43)를 열어주고, 점검이나 비상시에는 전자밸브(4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이 규정치로 되어 전술한 송풍기(61)의 구동이 정지하게되면 제어부(30)는 송풍기(61)의 전단에 설치된 체크밸브(61a)를 닫아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이 송풍기(61)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 장치는 지형조건이 좋은 큰 폭의 하천이나 강등에 설치되고, 또한 한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탑 및 전력선의 설치가 용이한 대규모의 댐에서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상기 고무댐을 산간벽지 또는 지형조건이 매우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소규모의 댐을 설치하고자 할 때, 먼저 한전에서 상기 소규모의 댐을 위해 전력 공급시설, 즉 송전탑을 시설하고 이후 전력선을 끌어와서 상기 각 소규모의 고무댐에 동력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결국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소규모의 댐에서 저수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서 폭이 비교적 좁은 하천이나 강 또는 계곡 등에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한전에서 각각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야 함으로 결국, 저수량의 확보 측면보다 전력소모가 많아져 경제적인 실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이 있다.
또한, 상기 소규모의 고무댐을 제어하는 제어부, 압력계, 밸브 등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모터 및 송풍기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고무보의 내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고무보가 파손되는 사고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운전 상태에서 장시간 정전이 발생될 경우 고무댐의 높이조절을 통한 수위조절을 수행할 수 없으며, 이것에 의해 고무댐의 범람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산간벽지 또는 지형조건이 매우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각각 소규모의 댐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전기 동력원 없이도 공기주입을 필요로 하는 고무댐에 착탈방식으로 신속하게 결합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시켜 줌으로써 고무댐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는 고무보의 공기관에 결합되는 커플링 스토퍼와, 휴대하여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고무보에 공급하는 소형의 압축기와, 상기 커플링 스토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형의 압축기와는 호스로 결합되어진 커플링을 구비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소화시켜 오동작없이 제방용 둑으로서 기능을 다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는 고무보의 공기관에 설치된 각종의 전자밸브와 조작실에 설치된 제어부를 배제시키고 제방에 맨홀을 형성하여 이에 압력계와 수동식 안전밸브 및 드레인밸브 만을 설치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에 의하면, 고무보의 공기관에 설치된 압력계의 측정에 따라 상기 공기관의 입구를 통해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고 그 공기관과 연접된 배기관의 드레인밸브를 조작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1) 두 단부를 가지며 내주면이 서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한 단부가 상기 공기관의 입구에 결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베이스 몸체;
(2) 상기 베이스 몸체의 다른 단부상에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주면에는 환형턱을 가지는 커플링 스토퍼;
(3) 상기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발전기의 전원으로 구동하여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소형의 압축기;
(4) 상기 압축기에 호스로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 스토퍼에 끼워져 졌을 때 물림 작용과 물림 해제로 착탈되는 외주연에 스토퍼홈이 형성된 가동자를 가지는 커플링;
(5) 상기 베이스 몸체의 내에 수용되며 상기 커플링이 끼워졌을 때 상기 가동자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기통로를 열어주고 눌림 해제 때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닫아 주는 기밀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커플링 스토퍼는, 한 단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각 구멍에 내,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볼이 등간격으로 끼워지며 다른 단부가 상기 베이스 몸체의 단부상에 결합되는 내부 중앙에 환형턱을 가지는 고정스토퍼; 및
상기 고정스토퍼의 한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커플링이 자유롭게 삽입과 이탈이 되도록 하고 눌림 해제 때 제1 완충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상기 볼을 내향으로 밀어 상기 커플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시키는 가동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밀유지수단은, 상기 고정스토퍼의 환형턱에 밀착된 링형상의 고무패킹;
원판형으로서, 일측 면에 상기 가동자와 접촉되는 접동편이, 그리고 타측면에는 고정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과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공기통로를 밀폐 및 개방하는 플랜저;
상기 고정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힘의 해제 때 상기 플랜저를 상기 고무패킹에 밀착시켜 공기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산간벽지 또는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각각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설치하여, 전기 동력원 및 조작실 없이도 공기주입을 필요로 하는 고무댐에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수동으로 공기를 주입 및 그로부터 배출시켜 저수량을 조절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소규모의 고무댐들에 전기 동력원 없이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공기를 주입해 주거나 그로부터 배출시켜 줌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공급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하천이나 계곡 등에 소규모 댐들의 설치가 가능하고 또 고무댐을 자동으로 운전하기 위한 조작실이 없으므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고무댐의 범람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 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가 제방의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공기주입 장치를 고무보의 공기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폭이 좁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는 고무보(10)와, 그 고무보(10)에 결합되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공기관(11)과, 공기관(11)을 통해 고무보(10)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기 위해서 제방에 설치되는 맨홀(100)과, 상기 맨홀에 설치되며 공기관(11)의 일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무보(10)에 공기를 주입해 주고 그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본 발명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로 구성된다.
공기관(11)의 선단부에는 고무보(10)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42)이 관접 형성되어져 맨홀(100) 내에 수용되어 지고, 배기관(42)에는 고무보(10)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164)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관(11)의 선단부에는 고무보(10)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0)와 고무보(1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수동식 안전밸브(162)가 각각 구비된다.
맨홀(10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는 크게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단부를 가지는 베이스 몸체(110)와, 베이스 몸체(110) 의 한 단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커플링 스토퍼(120)와, 그 거플링 스토퍼(12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커플링(130)과, 그 커플링(130)과 호스(160)로 결합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원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150)와, 베이스 몸체(110) 내에 수용되며 커플링(130)이 끼워졌을 때 공기통로를 열어주고 커플링(130)이 이탈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닫아 주는 기밀유지부(140)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10)는 그 한 단부에 수나사부(114)가 형성되어 맨홀(100)에 관통되어 수용되어진 공기관(11)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단부 역시 수나사부(116)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수용부(112)가 형성되어져 있다.
커플링 스토퍼(120)는 한 단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각 구멍(124)에 내,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볼(123)들이 등간격으로 끼워지고 다른 단부에는 암나사부(126)가 형성되어 베이스 몸체(110)의 수나사부(116)에 결합되는 내부 중앙에 환형턱(127)이 형성된 고정스토퍼(121)와, 고정스토퍼(121)의 한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누르는 힘에 의해 커플링(130)이 자유롭게 삽입과 이탈이 되도록 하고 눌림 해제 때에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볼(123)들을 내향으로 밀어 커플링(1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시키는 가동스토퍼(122)를 갖는다.
또한, 커플링(130)은 두 단부를 가지며 한 단부의 중앙 외주면이 외향으로 라운딩되고 그 라운딩 끝부분에서 내향으로 함몰되어진 스토퍼홈(134)이 형성되어 커플링 스토퍼(120)에 끼워져 졌을 때 물림 작용과 물림 해제로 착탈되는 가동자(132)를 갖는다. 그리고 다른 단부에는 압축기(150)와 호스(160)로 결합되는 고정 자(136)를 갖는다.
또한, 기밀유지부(140)는 고정스토퍼(121)의 환형턱(127)에 밀착된 링형상의 고무패킹(142)과, 원판형으로서, 일측 면에 가동자(132)와 접촉되는 접동편(144)이, 그리고 타측면에는 고정보스(145)가 형성되어 고무패킹(142)과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상기 공기통로를 밀폐 및 개방하는 플랜저(143)와, 고정보스(145)에 결합되어 커플링(130)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힘의 해제 때 플랜저(143)를 고무패킹(142)에 밀착시켜 상기 공기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완충스프링(146)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를 이하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규모의 고무댐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의 맨홀(100)에 위치한 공기관(11)의 선단부와 배기관(42)에 각각 안전밸브(162)와 드레인밸브(164)를 설치하고 또한 안전밸브(162)의 앞쪽에 압력계(50)를 설치한다. 이후 공기관(11)의 선단부에 결합된 안전밸브(162)에 베이스 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14)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그 베이스 몸체(11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16)와 커플링 스토퍼(120)에 형성된 암나사부(126)를 이용하여 서로가 분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해 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관리자가 고무보(1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맨홀(100)에 위치한 배기관(42)의 드레인밸브(164)를 잠그고 공기관(11)의 안전밸브(162)를 열어준다.
이후, 관리자가 커플링 스토퍼(120)의 가동스토퍼(122)를 일측방향, 즉 베이스 몸체(110) 쪽으로 밀어준 상태에서 휴대용 압축기(150)에 호스(160)로 결합되어진 커플링(130)의 가동자(132)를 고정스토퍼(121)에 밀어 넣으면 베이스 몸체(110)의 수용부(112)에 수용되어 고정스토퍼(121)쪽으로 돌출되어진 기밀유지부(140)의 접동편(144)이 가동자(132)와 접촉되어 힘을 받게 되므로서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기밀유지부(140)의 플랜저(143)가 고정보스(145)에 끼워진 제2 완충스프링(146)을 압축시키면서 가동자(132)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무패킹(142)과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그 고무패킹(142)의 공기통로가 열려지게 된다.
그리고 고무패킹(142)의 공기통로가 열려진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커플링 스토퍼(120)의 가동스토퍼(122)를 놓게 되면 그 가동스토퍼(122)가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위치 복귀되면서 고정스토퍼(121)의 각 구멍(124)에 끼워진 볼(123)들을 내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그 볼(123)들이 가동스토퍼(122)의 구속력에 의해 가동자(132)의 스토퍼홈(134)으로 삽입되어져 결국, 커플링(130)이 커플링 스토퍼(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도 4와 같이 안정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커플링 스토퍼(120)와 커플링(130)이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를 가동시켜 주면 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휴대하여 다닐 수 있는 압축기(150)가 구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압축된 공기는 호스(160), 커플링(130), 베이스 몸체(110)의 수용부(112)에 수용된 기밀유지부(140)의 공기통로를 통하고 이어서 안전밸브(162)를 통 해 공기관(11)으로 유입됨으로 고무보(10)가 서서히 평창되면서 기립된다. 이때 관리자가 맨홀(100)에 수용된 압력계(50)의 지시를 통해 고무보(10)의 공기압력을 확인하면서 계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계(50)에서 측정한 공기압이 과압력일 경우나 또는 필요에 의해 고무보(1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도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기관(42)에 설치된 드레인밸브(164)를 열어줌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고무보(10)가 상기 공급된 공기압력에 의해 원하는 높이로 기립되었을 때, 휴대용 압축기(150)는 필요치 않음으로써, 그 압축기(150)를 커플링 스토퍼(120)로부터 이탈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압축기(15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고무보(1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안전밸브(162)를 조작하여 폐쇄시킨 상태에서 커플링 스토퍼(120)의 가동스토퍼(122)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 몸체(110) 쪽으로 밀어게 되면 고정스토퍼(121)의 각 볼(123)들은 베이스 몸체(110)의 이동에 의해 그로부터 구속을 받지 않고 그 고정스토퍼(121)의 구멍(124)을 기준하여 내, 외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워지게 된다. 여기서, 안전밸브(162)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기밀유지부(140)의 플랜저(143)가 고무패킹(142)에 밀착되어 공기통로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고무패킹(142)의 노화에 의해 고무보(10)의 공기압력이 그 기밀유지부(140)의 고무패킹(142)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지 못하도록 베이스 몸체(110)의 앞쪽에 설치되어 기밀을 완벽하게 보장해주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 몸체(110)의 이동에 의해 볼(123)의 구속력 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기밀유지부(140)의 제2 완충스프링(146)이 순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원판형의 플랜저(143)를 밀어주게 됨으로 그 플랜저(143)가 제2 완충스프링(146)의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무패킹(142)에 밀착되어짐으로 그 고무패킹(142)의 공기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되며, 또한 플랜저(143)의 접동편(144)이 커플링(130)의 가동자(132)를 순간적으로 밀어주게 됨으로 고정스토퍼(121)의 볼(123)들이 가동자(132)의 스토퍼홈(134)으로부터 이탈되어 물림이 해제됨으로 압축기(150)와 호스(160)로 결합된 커플링(130)이 자유롭게 이탈된다. 커플링(130)이 이탈된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가동스토퍼(122)를 놓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그 가동스토퍼(122)가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위치 복귀되면서 고정스토퍼(121)의 각 구멍(124)에 끼워진 볼(123)들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산간벽지 또는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강이나 하천 또는 계곡 등에 소규모의 댐들을 설치하고자 할 때,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고무댐을 제어하는 제어부, 압력계, 밸브 등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고무보가 파손되는 사고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설치하여 관리할 때, 전기 동력원 및 조작실 없이도 공기주입을 필요로 하는 상기 소규모의 고무댐에 공기주입 장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수동으로 공기를 주입 및 그로부터 배출시켜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관리할 때 공기주입 장 치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공기를 주입해 줌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또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공급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하천이나 계곡 등에 소규모 댐들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고무댐의 범람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에 의하면, 소규모의 고무댐들을 관리할 때 공기주입 장치를 간단하게 휴대하여 다니면서 공기를 주입해 주거나 그로부터 배출시켜 줌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제공되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공급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비교적 폭이 좁은 하천이나 계곡 등에 소규모 댐들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고무댐의 범람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무보의 공기관에 설치된 압력계의 측정에 따라 상기 공기관의 입구를 통해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고 그 공기관과 연접된 배기관의 드레인밸브를 조작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1) 두 단부를 가지며 내주면이 서로 연통·형성되어 상기 한 단부가 상기 공기관의 입구에 결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베이스 몸체;
    (2) 상기 베이스 몸체의 다른 단부상에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환형턱이 형성된 커플링 스토퍼;
    (3) 상기 고무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발전기의 전원으로 구동하여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압축기;
    (4) 상기 압축기에 호스로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 스토퍼에 끼워져 졌을 때 물림 작용과 물림 해제로 착탈되는 외주연에 스토퍼홈이 형성된 가동자를 가지는 커플링;
    (5) 상기 베이스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커플링이 끼워졌을 때 상기 가동자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기통로를 열어주고 눌림 해제 때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닫아 주는 기밀유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스토퍼는,
    한 단부에 형성된 각 구멍에 내,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볼이 끼워지며 다른 단부가 상기 베이스 몸체의 단부상에 결합되는 고정스토퍼; 및
    상기 고정스토퍼의 한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커플링이 자유롭게 삽입과 이탈이 되도록 하고 눌림 해제 때 제1 완충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상기 볼을 내향으로 밀어 상기 커플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시키는 가동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수단은,
    상기 커플링 스토퍼의 환형턱에 밀착된 링형상의 고무패킹;
    원판형으로, 일측 면에 상기 가동자와 접촉되는 접동편이, 타측면에는 고정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과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공기통로를 밀폐 및 개방하는 플랜저;
    상기 고정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의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힘의 해제 때 상기 플랜저를 상기 고무패킹에 밀착시켜 공기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공기주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의 앞쪽 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보의 공기압력이 상기 기밀유지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와 상기 커플링 스토퍼, 상기 안전밸브 및 상기 압력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방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는 맨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KR1020040056718A 2004-07-21 2004-07-21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KR10059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18A KR100597455B1 (ko) 2004-07-21 2004-07-21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18A KR100597455B1 (ko) 2004-07-21 2004-07-21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771U Division KR200364497Y1 (ko) 2004-07-21 2004-07-21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204A KR20060009204A (ko) 2006-01-31
KR100597455B1 true KR100597455B1 (ko) 2006-07-07

Family

ID=3711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718A KR100597455B1 (ko) 2004-07-21 2004-07-21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261A (ja) 1997-05-13 1998-11-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バケット給気装置
KR200206348Y1 (ko) 2000-07-24 2000-12-01 주식회사유일기연 고무댐의 공기압 자동 조절장치
KR200349396Y1 (ko) 2004-01-19 2004-05-04 김대봉 오일펜스용 공기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261A (ja) 1997-05-13 1998-11-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バケット給気装置
KR200206348Y1 (ko) 2000-07-24 2000-12-01 주식회사유일기연 고무댐의 공기압 자동 조절장치
KR200349396Y1 (ko) 2004-01-19 2004-05-04 김대봉 오일펜스용 공기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204A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40175798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014475A (en) Combined manway and collection tank for sewage grinder
KR200364497Y1 (ko)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KR100597455B1 (ko) 고무댐의 착탈식 공기주입 장치
CN108505540A (zh) 一种管廊专用埋地阀门井
RU26529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из скважины в башню и е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сливной клапан
US7926503B2 (en) Fluid injection system
KR101919334B1 (ko) 공기변실 긴급차단 시스템
KR200360573Y1 (ko)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CN206873538U (zh) 一种箱式智能双模供水设备
CN213041484U (zh) 化工厂安全阀压力检测装置
CN204781128U (zh) 防恐水箱
CN209907520U (zh) 一种应用在排口的防倒灌系统
JP5909395B2 (ja) 真空ステーション
CN205644903U (zh) 一种工业有毒液体泄漏报警装置
JP2000328613A (ja) 給水システム
KR200206348Y1 (ko) 고무댐의 공기압 자동 조절장치
KR102535509B1 (ko) 건물에 일정한 수압의 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배관 시스템
CN211037212U (zh) 一种智能排口箱
CN211215120U (zh) 一种建筑管道消防给排水装置
CN116951130A (zh) 桥面防液体泄漏的气动膨胀阀、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09907521U (zh) 一种分流井的污水管和/或初雨管的防倒灌系统
CN220978272U (zh) 一种下水管道堵漏装置
US9146565B2 (en) Apparatus for regulating fluid flow from a reservo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