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449B1 -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449B1
KR100596449B1 KR1020040070036A KR20040070036A KR100596449B1 KR 100596449 B1 KR100596449 B1 KR 100596449B1 KR 1020040070036 A KR1020040070036 A KR 1020040070036A KR 20040070036 A KR20040070036 A KR 20040070036A KR 100596449 B1 KR100596449 B1 KR 10059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ise reduction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1172A (en
Inventor
임성구
Original Assignee
임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구 filed Critical 임성구
Priority to KR102004007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449B1/en
Publication of KR2006002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로쉬, 연결관, 먼지통의 내부에 각각 또는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풍부한 미세기공과 공극이 있어 흡음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를 그 재질로 하여 이루어져 소음저감효과가 탁월한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for reducing noise by being installed in or inside the vacuum cleaner's suction brush, connecting pipe, and dust container, respectively, having abundant micropores and voids and absorbing sound. The excellent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s used as the material, and has excellent noise reduction effect.

진공청소기,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 공명실, 유도관Vacuum cleaner,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er, resonance chamber, induction pipe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Noise red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s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port portion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용상태도 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상세도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발명과 종래의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정단면도 Figure 4 (a) (b)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도 5(a)(b)는 본 발명과 종래의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단면도 Figure 5 (a)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소음저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ntainer noise redu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부분의 분해 사시도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b)는 본 발명과 종래 먼지통부분의 공기흐름도 Figure 8 (a) (b) is an air flow diagram of the dust contai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ntional

도 9(a)(b)는 본 발명의 흡입구 부분의 소음측정도 Figure 9 (a) (b) is a noise measurement of the inle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b)는 종래의 흡입구 부분의 소음측정도Figure 10 (a) (b) is a noise measurement of the conventional suction port por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흡입구 소음저감모듈 12: 본체10: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12: main body

24: 유도관 26: 연결관 소음저감모듈24: guide pipe 26: connector noise reduction module

30: 먼지통 소음저감모듈 100: 마찰음 30: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100: friction sound

200: 연결관울림 300: 공명음200: connection ring 300: resonance sound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를 재질로 하고, 흡입구, 연결관, 먼지통 소음저감모듈로 각각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또는 먼지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formed of a suction port, a connection pipe, and a dust reduction module for noise reduction, respectively, generated in a suction brush or a dust box of a vacuum cleaner.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that reduces noise.

먼지나 찌꺼기를 빨아들이는데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브러쉬, 본체, 상기 흡입브러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에 상기 흡입브러쉬에서 흡입한 공기에 포함된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먼지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도 있다. 상기의 먼지통은 본체 일체형과 손잡이 하부의 연결관과 연통되게 설치된 손잡이형으로 구분되며, 소음은 본체 일체형보다는 손잡이형이 더 크게 발생한다. A vacuum cleaner used to suck dust or debris is generally composed of a suction brush that sucks ambient air, a main body,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brush and the main body, where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brush In some cases, it may further include a dust bucket that primarily filters out large foreign matters. The dust container is divided into a main body type and a handle ty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connection pipe at the bottom of the handle, and the noise occurs more large in the handle type than the main body type.

그리고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모터 기동으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먼지나 찌꺼기를 빨아들이는데, 청소를 하기에는 편리하나 모터 의 기동으로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makes the interior vacuum by sucking the dust or debris through the suction brush by starting the motor of the main body, which is convenient for clean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evere noise is generated by starting the motor.

진공청소기의 소음은 먼저 모터의 기동 즉, 원심형 임펠러의 고속회전(통상 30,000rpm ∼ 40,000rpm정도)으로 인한 소음과 진공작용으로 인하여 압력이 높은 기류가 형성되는 흡입브러쉬 및 먼지통 부근에서 주로 발생된다.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is mainly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suction brush and the dust container where a high pressure air flow is formed due to the noise and the vacuum action caused by the start of the motor, that is, the high speed rotation of the centrifugal impeller (typically 30,000 rpm to 40,000 rpm). .

최근의 기술발달로 인하여 진공청소기의 모터에 대한 소음저감은 급속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흡입구 부분(여기서, 흡입구 부분이라 함은 흡입브러쉬, 연결관, 먼지통 등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아래 부분을 말한다.)의 소음 저감에 대해서는 크게 발전하지 못한 것이 현실정이며, 진공청소기 본체의 소음에 비해 흡입구 부분의 소음저감에 관해서 관대한 것이 사실이다.Due to the recent technology development, the noise reduction to the motor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said to be making rapid progress, but the inlet part (here, the inlet part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such as the suction brush, the connecting pipe, and the dust container). It is true that the noise reduction of.) Has not been greatly developed, and it is true that the noise reduction of the inlet part is generous compared to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진공청소기 흡입구부분 소음은 바닥재에 많이 좌우된다. 바닥재의 발달로 인하여 카펫, 장판, 원목, 대리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바닥재가 딱딱할수록 소음의 정도는 심해진다. 바닥재가 부드러운 소재일수록 소리를 잘 흡수하고 딱딱할수록 잘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바닥재가 딱딱할수록 소음이 심하다고 할 수 있다. The noise of the suction part of the vacuum cleaner depends a lot on the flooring material. Due to the development of flooring materials, various types of flooring materials such as carpet, flooring, solid wood, and marble are being used. The harder the flooring, the more the noise level becomes. The softer the flooring material, the better the sound is absorbed and the harder the property is. The harder the flooring material, the louder the noise.

바닥에 직접 닫는 흡입구 부분의 소음은 모터와 공기유로 상의 마찰 및 공명현상으로 인한 소음으로 250Hz에서 8KHz의 소음이 주로 발생하게 되며, 특히 4KHz의 소음은 장시간 노출시 사용자에게 생리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진공청소기 사용시 흡입구 부분이 사용자에 가까이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인체에 유해한 소음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부분 소음저감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The noise of the inlet part that closes directly to the floor is caused by friction and resonance between the motor and the air flow path, and the noise of 250Hz to 8KHz is mainly generated. Especially, the noise of 4KHz can have a physiological effect on the user when exposed for a long time.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the inlet part is located close to the user, so the user is exposed to noise harmful to the human body. To solve such a problem, the development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inlet part of the vacuum cleaner is urgently needed.

일반 진공청소기의 소음측정은 KSCIEC 60704-2-1에 규정한 바와 같이 측정하나 실험측정과 실제바닥에서의 소음측정치는 많이 다르다 할 것이다. 통상적인 진공청소기 본체의 소음편차가 있으나 72db에서 76db정도이다. 그리고 흡입구 부분은 진공작용으로 인하여 압력이 높은 기류가 형성되고, 흡입구에 결합되는 연결관이 여러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관의 기동각도에 따라 많은 편차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78db에서 82db이상이다. The noise measurement of a general vacuum cleaner is measured as specified in KSCIEC 60704-2-1, but the experimental measuremen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floor noise measurement. There is a noise deviation of a typical vacuum cleaner main body, but it is about 72db to 76db. And the inlet portion is formed by the vacuum action to create a high pressure air flow, and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inlet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there are many variations depending on the starting angle of the connector, but usually 78db to 82db That's it.

상기 흡입구 부분은 연결관의 기동각도에 따라 소음의 편차가 커지므로 모터의 소음 저감보다 흡입구 부분의 소음을 저감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다양한 기능의 흡입구와 높은 흡입력에 따라 흡입구 부분의 소음은 높아지고 있지만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술은 미비한 것이 현 실정이다. The inlet portion is not easy to reduce the noise of the inlet portion than the noise reduction of the motor because the noise devia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starting angle of the connecting pipe. In particular, the noise of the inlet portion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uction port and the high suction power of various functions, but the current technology to reduce the noise is insufficient.

종래의 진공청소기 흡입구 부분은 통상 흡입력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 아래의 상하케이스를 중심으로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 부분의 소음저감 대책은 유선형으로 케이싱을 만드는데 그치고 있으며, 또한, 흡입구 부분을 이루고 있는 소재는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고 분해보관이 편리하도록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킴에 있어 그 실효성이 낮다.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uction port portion, the air flow path is form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cases under the control knob for adjusting the suction force, and noise reduction measures of the suction port portion are made of a casing in a streamlined form, and also constitute the suction port portion. The material is made of plastic and aluminum, and it is assembled for easy disassembly and storage, so its effectiveness is low in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를 재질로 하여 만든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부근, 연결관 및 먼지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suction brush of the vacuum clean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the connection pipe and the dust container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는 흡입브러쉬 및 연결관과 연통되어 설치된 먼지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구성된 상기 흡입브러쉬의 흡입구에 대응되는 공기흡입구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가 후단부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흡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중심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부와 상기 연결관 내측에 설치되는 유도관으로 구성된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브러쉬 부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brush and a dust containe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connecting pipe,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An air inlet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suction brush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 air outlet is formed at the rear end, a main body having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center is formed, and an air flow path formed at the center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consisting of a rear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and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suction brush portion.

흡입브러쉬 및 연결관과 연통되어 설치되는 먼지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먼지통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통으로 흡입하는 흡입구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유로에 서 흡입된 공기가 회전하는 기류회전판과, 상기 기류회전판의 중심부에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하는 배출구유로가 형성된 먼지통 소음저감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먼지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brush and a dust containe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ng pipe,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and the dust container, the connecting pipe A suction inlet flow passage is formed to suck air sucked from the dust container, and an air flow rotating plat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opening flows is rotated, and air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ntainer in the center of the air flow rotat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to discharg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dust box.

또한, 흡입구 소음저감모듈과 먼지통 소음저감모듈이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관 소음저감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and dust bucket noise reduction module is used togeth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further comprises a pipe-shaped connection pipe noise reduc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It is also preferable.

또한, 상기 유도관은 열가소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duction pipe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or a soft rubber material.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은 이중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공명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다공성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탄성재가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made of a double is formed in the resonance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the resonance chamber is preferably a porous fine fiber material or porous foam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상기 배출구유로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공명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다공성의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 탄성재가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let flow passage is formed in a double, the resonance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thin fiber material or porous foam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resonance chamber.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의 소결시에 활성탄, 광촉매, 은나노분말, 제오라이트를 혼합소결하여 탈취, 항균, 살균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absorbing material is sint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ated carbon, photocatalyst, silver nanopowder and zeolite are mixed and sintered to have a deodorizing,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인 본 발명에 대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상세도, 도 4(a)(b)는 본 발명과 종래의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a)(b)는 본 발명과 종래의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소음저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 및 종래 먼지통부분의 공기흐름도, 도 9(a)(b)는 본 발명의 흡입구 부분의 소음측정도, 도 10(a)(b)는 종래의 흡입구 부분의 소음측정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port portion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Figure 2 is a state diagram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is a sectional front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Figure 5 (a) (b)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ise redu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b) is an air flow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dust container, Figure 9 (a), (b) is a noise measurement diagram of the intake 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b) is a noise measurement diagram of the conventional intake port portion.

상기 도 1을 보면 흡입구부분, 즉 흡입브러쉬(40), 연결관(42) 및 먼지통(46) 부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도시되어 있다. 흡입구 부분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직접 기동을 하며, 통상적으로 수직방향은 대략 50에서 80도 사이에서 기동할 수 있고, 수평방향은 180도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흡입구 부분의 소음에 집중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uction port part, that is, the suction brush 40, the connection pipe 42, and the dust container 46 is illustrated. The inlet portion is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by holding the handle, and typically has a structure capable of starting between about 50 to 8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180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user using the vacuum cleaner is intensively exposed to the noise of the suction port portion.

진공청소기 기동시 바닥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브러쉬에서 흡입되어 흡입구부분을 따라 청소기 본체로 유입되는데, 이때 진공흡입에 따른 흡입브러쉬 마찰소음(100), 연결관 울림(200), 먼지통 공명음(300) 등의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것이다. When the vacuum cleaner is started, air containing dust from the bottom is sucked by the suction brush and flows into the cleaner body along the suction port. At this time, the suction brush friction noise (100), the connection pipe ring (200), and the dust box resonance sound according to the vacuum suction Noise such as 30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는, 상기와 같은 소음 발생 원인별로 소음 발생 원인을 억제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ttenuate the noise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noise for each occurrence of the noise as described above.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부분의 소음은 본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달리 높은 압력과 빠른 유속 때문에 발생하고, 그 장소가 협소하여 소음저감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구부분 소음저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브러쉬(40), 연결관(42), 먼지통(46) 부분에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마찰음(100), 연결관 울림소음(200) 및 공명음(300)을 저감시키는 흡입구소음저감모듈(10), 연결관소음저감모듈(26) 및 먼지통소음저감모듈(30)로 구성되며, 표면에 미세한 세공이 있어 마찰이 적으면서도 소음효과가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를 재질로 하여 만들어진다. Unlike the noise generated in the main body, the noise of the suction part of the vacuum cleaner is generated due to the high pressure and the high flow rat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ducing the noise because the place is narrow.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vacuum cleaner suction port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suction brush 40, the connection pipe 42, and the dust container 46, as shown in FIG. (100),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10 for reducing the ringing noise (200) and the resonance sound (300), the connection pipe noise reduction module (26) and dust reduction noise reduction module (30) on the surface, It is made of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fine pore and low friction and excellent noise effect.

상기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는 폴리에틸렌 (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P : 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폴리비닐리덴프루오라이드 (PVDF : Polyvinylidene fluoride) 불소수지 (PTFE : Polytetrafluoroethylen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HMW-PE :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폴리에테르 술폰 (PES : Polyether sulfone)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소결하여 만든 것으로서, 풍부한 미세기공과 공극을 가져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s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polyester (Polyeste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luorine resin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It is made by sintering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and Polyether sulfone (PES). It has rich micropores and voids to absorb noise effectively.

일반적으로 소리에 대한 물체의 성질 중 실용면에서 중요한 것은 흡음성과 차음성이다. 차음성이란 그 물체에 도달한 소음이 투과를 하지 못하고 반사하는 성질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소재를 구성한 물질의 입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는 뛰어나다 할 수 있으며, 흡음성이란 그 물체에 도달한 소음을 일부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소음을 약하게 해서 반사하는 성질이며, 일반적으로 다공성 소재는 이 성질이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In general, among the properties of an object for sound, the practical importance is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Sound insulation is the property that the noise that reaches the object does not penetrate and reflects. Generally, the higher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that constitutes the material, the better the effect. Sound absorption means that the noise that reaches the object is converted into some heat energy. It is a property that converts and attenuates noise, and generally porous material is rich in this property.

상기의 다공성 소재는 표면에 많은 세공(細孔)을 가지고 있어 다공성 소재에 음파가 입사되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소재의 표면 또는 세공내의 공기입자를 진동시켜 흡음되며, 나머지는 투과된다. 이때 흡음이 되는 것은 세공내의 공기입자의 점성에 의하거나 세공벽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입사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바뀌게 되기 때문에 다공성 소재의 입도와 공극률은 흡음율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의 재질로 사용된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는 세공과 공극이 풍부하여 차음성과 흡음성이 뛰어나 소음 저감에 특히 유용하다. The porous material has a lot of pores on the surface and when sound waves are incident on the porous material, some are reflected, some are absorbed by vibrating air particles in the surface or the pores of the material, and the others ar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sound absorption is caused by the viscosity of the air particles in the pores or by friction with the pore wall surface part of the incident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so the particle size and porosity of the porous material is very important for the sound absorption rate. 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used as the material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ich in pores and voids, which is particularly useful for noise reduction due to its excellent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를 소결할 시에 활성탄, 광촉매, 은나노분말, 제오라이트를 혼합소결하여 탈취, 향균, 살균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s sintered, it is preferable to mix and sinter activated carbon, a photocatalyst, a silver nanopowder, and zeolite to have a deodorizing,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의 흡입구 소음저감모듈(10)을 보면,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모터가 기동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먼지를 포함 하는 공기가 흡입브러쉬(40)에 흡수된 후 연결관(42)을 통과하여 먼지통(46)에서 1차적으로 찌꺼기가 걸러지고, 1차적으로 먼지나 찌꺼기가 걸러진 공기는 다시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나 찌꺼기가 걸러진 후 배기구로 빠져나게 된다. 먼지나 찌꺼기를 포함한 공기는 공기유로를 통과하면서 케이스와 마찰력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 마찰소음이 가장 심한 곳이 흡입브러쉬(40) 부근이다. First, looking at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10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after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absorbed by the suction brush 40 from the floor by starting the motor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pipe 42, the dust is first filtered out of the dust container 46, and the dust or dust is first filtered out through the filter is fine dust or debris is filtered again to exit the exhaust port. Air, including dust and debris, is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case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and the noise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suction brush 40 where the friction noise is most severe.

상기 흡입브러쉬(40)는 본체와 연결관(42)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관(42)의 선단부는 흡입브러쉬(40)와 결합되는 연결구(44)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44)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수직방향으로 50도에서 80도까지, 수평방향으로 180도 기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기동으로 인해 흡입브러쉬(40) 부근의 소음은 도 4b,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브러쉬(40)와 연결관(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44)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The suction brush 40 is connect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ipe 42,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42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44 is coupled to the suction brush 40, the connector 44 is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tarting from 50 degrees to 8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180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noise near the suction brush 40 due to the above operation is shown in FIGS. 4b and 5b. As shown, it appears concentrated in the connector 44 connecting between the suction brush 40 and the connecting pipe 42.

상기와 같은 흡입브러쉬(40) 부근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 흡입구 소음저감모듈(10)로서, 상기 흡입구 소음저감모듈(10)은 도3, 도4a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브러쉬(40)의 흡입구에 대응되는 공기흡입구(14)와 흡입된 공기가 빠져 나가는 공기배출구(16)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흡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인 공기유로(18)가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후방부와 상기 연결관(42)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도관(24)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in the vicinity of the suction brush 40 as the intake noise reduction module 10, the intake noise reduction module 10 is shown in Figure 3, 4a and 5a, An air inlet 14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brush 40 and an air outlet 16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are formed, and the main body 12 having the air passage 18 formed therein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passes. And an induction pipe 24 installed inside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2 and the connection pipe 42.

또한, 상기 본체(12)의 전면은 이중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공명실(20)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20)에는 다공성의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탄성재(22)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2 is formed of a double resonant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is formed, the resonance chamber 20 is a porous thin fiber or porous foam elastic material 22 It is inserted and constructed.

상기 본체(12)는 먼지나 찌꺼기를 포함한 공기와 흡입브러쉬(40) 부근에서 발생하는 마찰소음(100)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찰소음(100)의 저감의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공명실(20)이 구비되고, 상기 공명실(20) 내부에는 2차 울림현상을 없애기 위해 다공성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탄성재(22)가 삽입된다. The main body 12 is to reduce friction noise 100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air and the suction brush 40 including dust or debris, and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reduction of the friction noise 100 (Resonance chamber ( 20) is provided, the porous thin fiber material or porous elastic modulus 22 is inserted into the resonance chamber 20 to eliminate the secondary ringing phenomenon.

상기 유도관(24)은 연결구(44)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본체(12)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구(44)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유도관(24)은 상하좌우로 기동하는 연결구(44)의 공기유로를 원활히 하여 흐름성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The induction pipe 24 i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connector 44, the air flow path is formed in the center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2, the other end is the inside of the connector 44 Is installed on. The induction pipe 24 smoothes the air flow path of the connector 44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so as not to impede flow, thereby reducing noise.

본 발명에서의 유도관(24)의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소결 다공성흡음재로 할 수도 있고, 연결구(44) 기동의 특성상 휨성과 기동성이 좋은 우레탄이나 고무재질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of the induction pipe 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ermoplastic resin-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nduction pipe 24 is made of urethane or rubber material having good warpage and maneuvera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euver of the connector 44.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구소음저감모듈(10)은 표면에 미세한 세공이 있어 마찰이 적으면서도 소음효과는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로 이루어져 소음저감 효과가 탁월하며, 본체(12)에 공명실(20)이 구비되어 중저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noise effect while having a small pore on the surface, and excellent noise reduction effect, and the resonance chamber 20 in the main body 12. There is provided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noise of the mid-low band.

다음으로 먼지통(46)부분의 소음원인을 살펴보면, 흡입브러쉬(40)와 연결관(42)을 거쳐 들어오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도 8b의 먼지통 부근의 공기 흐름도 와 같이 흡입유로를 따라 들어와 기류회전판을 따라 회전한 뒤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먼지통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Next, looking at the noise source of the dust container 46, the air containing the dust coming through the suction brush 40 and the connecting pipe 42 is introduced along the suction flow path as shown in the air flow diagram near the dust box of Figure 8b, the air flow rotating plate After rotating along the air containing the dust rises toward the dust box.

이때 상승한 공기는 원심력을 가지므로 먼지거름그릴(48)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을 한 공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외벽으로 먼지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는 중앙으로 분리가 된다. 하지만 이때 최초 발생하는 원심분리와 기류 때문에 진공청소기 케이스와의 마찰소음이 발생하고, 상기 마찰소음은 먼지통에서 공명음으로 크게 확산하게 되고 이 공명음의 일부가 다시 흡입유로 방향으로 나오게 됨으로 흡입유로 부분의 전반적인 소음도가 높아진다. At this time, the elevated air has a centrifugal force to rotate around the dust filter grill 48, and the rotated air is separated from the air containing dust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air does not contain dust by the centrifugal force. However, due to the first centrifugation and airflow, friction noise with the vacuum cleaner case is generated, and the friction noise diffuses greatly from the dust container into the resonance sound, and a part of the resonance sound comes out again toward the suction oil flow part. Increases the overall noise level of the.

상기와 같은 먼지통부분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 소음저감모듈(30)은 상기 연결관(42)과 상기 먼지통(46)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42)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통(46)으로 흡입하는 흡입구유로(3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유로(32)에서 흡입된 공기가 회전하는 기류회전판(34)과, 흡입된 공기를 먼지통쪽으로 상승시키는 기류상승판(36) 및 상기 먼지통(46)의 먼지거름그릴(48)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손잡이(50)쪽으로 배출하는 배출구유로(38)가 형성되어 구성된다.Dust bin noise reduction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dust contain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42 and the dust container 46, the air sucked from the connection pipe 42 A suction inlet flow passage 32 for sucking air into the dust container 46 is formed, an air flow rotating plate 34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flow passage 32 rotates, and an air flow rising plate for raising the sucked air toward the dust container ( 36 and the discharge passage 38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handle 50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filter grill 48 of the dust container 46 is formed.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유로(32)와 기류회전판(34)을 연결하는 부분의 흡입진입각도를 60도 이하로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8A, the suction entry angle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suction inlet flow path 32 and the airflow rotating plate 34 is 60 degrees or less.

또한 배기출구유로(38)는 내부에 공명실(39)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39) 내부에는 2차 울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의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재 (39a)가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outlet passage 38 has a resonance chamber 39 formed therein, and a porous thin fiber or porous foam 39a is inserted into the resonance chamber 39 to prevent secondary ringing. .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부호 46a 는 먼지통과 연결관을 연결하는 먼지통커버이다. Here, reference numeral 46a of the drawing is a dust container cover for connecting the dust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pipe.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통(46) 부근의 소음은 마찰소음과 공명음이다. 상기 흡입브러쉬(40)를 통과한 후 연결관(42)을 거쳐 먼지통(46)으로 들어오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흡입구유로(32)를 따라 들어온 공기는 기류회전판(34)을 따라 원형운동을 하게 되고, 기류상승판(36)에서 회전상승(사이클론)하게 되면서 먼지통(46)으로 들어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near the dust container 46 is friction noise and resonance sound. The air containing the dust entering the dust container 46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2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brush 40, the air entering along the suction port flow path 32 is a circular motion along the air flow rotating plate 34 And, as the rotation rises (cyclone) in the air flow rise plate 36 is entered into the dust container 46.

상기와 같이 흡입구유로(32)의 흡입진입각도가 90도로 급격하게 꺽이게 되면 마찰소음이 다량 발생하고, 먼지통(46) 쪽으로 기류가 180도로 바뀌어 진행을 하면서 유속과 마찰력에 영향을 끼치어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먼지통 소음저감모듈(30)은 그 재질을 흡음성과 차음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하여 소음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면서, 흡입구유로(32)의 흡입진입각도를 60도 이하로 구성하여 먼지 등을 포함한 공기가 먼지통(46)으로 흡입될 때 발생하는 마찰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이와 같이 흡입구유로(32) 부근의 마찰소음이 줄어들게 되면, 이에 먼지통(46)에서의 공명음 또한 저감되며, 다시 역류되어 흡입유로(32)로 나가는 소음도 저감되어 전체적으로 먼지통 부분의 소음이 저감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ction entry angle of the suction inlet flow passage 32 is sharply bent at 90 degrees, a large amount of friction noise is generated, and the airflow is changed to 180 degrees toward the dust container 46, affecting the flow velocity and the frictional force, thereby making noise. The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and primarily reduces noise, while reducing the suction entry angle of the suction inlet flow path 32. When the friction noise generated when the air including the dust is sucked into the dust container 46 is formed at 60 degrees or less, the friction noise in the vicinity of the suction inlet passage 32 is reduced. Resonance of the sound is also reduced, and the backflow back to the suction flow path 32 is also reduced to reduce the noise of the dust container as a whole.

또한, 배출구유로(38)를 공명실로 형성하여 소음 저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즉, 먼지통 소음저감모듈(30)은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유속과 마찰저항을 최 소화함과 동시에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ssage 38 is formed as a resonance chamber to maximize the noise reduction effect. That is, the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30 minimizes the flow velocity and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air containing the dust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and reduces the noise to exhibit the effect.

진공청소기의 연결관(42)은 특성상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고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마찰력이 발생하며, 먼지통의 공명음과 어울려 소음이 더욱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관 울림소음(200)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결관 소음저감모듈(26)이 구비된다. The connection tube 42 of the vacuum cleaner is in the form of a pipe and has a constant frictional force due to the rapid flow rate, and the noise is increased with the resonance sound of the dust box, in order to reduce the ringing noise of the connector 200. The connection pipe noise reduction module 26 is provided.

상기 연결관 소음저감모듈(26)은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로 구성되고, 파이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심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42)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연결관의 울림소음(200)을 저감시키게 된다. The connection pipe noise reduction module 26 is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has a pipe shape, and an air flow path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42 to reduce the ringing noise 200 of the connection pipe.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연결관 및 먼지통 소음저감모듈이 모두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측정한 소음측정도이고, 도 10a, b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소음측정도로서, 본 발명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 9a, b를 보면 평균치가 72db이고, 종래의 측정치를 나타낸 도 10a, b를 보면 평균치가 80.4db로서 소음이 약 8db정도 저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소음이 3db 정도 줄어들면 사람이 느끼는 소음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비해 8배가량 조용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 효과는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다. 9A and 9B are noise measurement diagrams for measuring noise of a vacuum cleaner to which both a suction port, a connection pipe, and a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nd FIGS. 10A and 10B are noise measurement diagrams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Figures 9a and b show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average value is 72db, and Figures 10a and b showing the conventional measured value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value is 80.4db and the noise is reduced by about 8db, when the noise is reduced by about 3db typically Since the amount of noise that a person feels is reduced by half, it can be said that it is about 8 times quieter tha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and thus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vacuum cleaner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lar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는 흡입구부분의 소음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그 재질은 풍부한 공극을 가져 흡음성이 좋은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로 하여 소음저감 효과가 뛰어나다.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reduction device for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of the inlet portion as much as possible, and its material has abundant air gaps, which is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good sound absorption to reduce noise. Excellent effec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Claims (8)

흡입브러쉬 및 연결관과 연통되어 설치된 먼지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I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ust containe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brush and the connecting pipe,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구성된 상기 흡입브러쉬의 흡입구에 대응되는 공기흡입구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가 후단부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흡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suction brush made of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 air outlet is formed at the rear end, and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center is formed; 중심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부와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도관;으로 구성된 흡입구소음저감모듈을 구비하고, An air inle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both ends are induction pipes install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inlet noise reduction module comprising a,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먼지통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통으로 흡입하는 흡입구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유로에서 흡입된 공기가 회전하는 기류회전판과, 상기 기류회전판의 중심부에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유로가 형성된 먼지통 소음저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흡입브러쉬 및 먼지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It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the inlet flow passage for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and the dust container, and sucks the air sucked from the connecting pipe into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the air flow to rotate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channel And a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formed with a rotary plate and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through the dust container at the center of the air flow rotating plate to discharge the connection pipe to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suction brush and the dust container.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흡입구브러쉬 및 연결관과 연통되어 설치되는 먼지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I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ust containe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brush and the connecting pipe,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먼지통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통으로 흡입하는 흡입구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유로에서 흡입된 공기가 회전하는 기류회전판과, 상기 기류회전판의 중심부에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하는 배출구유로가 형성된 먼지통 소음저감모듈이 구비되 어 상기 먼지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It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the inlet flow passage for inter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and the dust container, and sucks the air sucked from the connecting pipe into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the air flow to rotate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channel And a dust box noise reduction module having a rotary plate and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connection pipe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ntainer at the center of the air flow rotating plate to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Noise red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열가소성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관 소음저감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made of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ipe-shaped connection pipe noise reduc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도관은 열가소수지 소결 다공성 흡음재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The induction pipe is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or soft rubber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전면은 이중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공명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다공성의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탄성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double resonant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is formed, the resonance chamb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fine fiber material or porous foam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배출구유로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공명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실에는 다공성의 가는 섬유재 또는 다공성의 발포 탄성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of a double resonant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resonance chamb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fine fiber material or porous foam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or 4, 상기 열가소성 수지 소결 다공성흡음재의 소결시에 활성탄, 광촉매, 은나노분말, 제오라이트를 혼합소결하여 탈취, 항균, 살균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청소기용 소음저감장치.Noise red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ter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sintered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has a function of deodorizing, antibacterial, sterilization by mixing and sintering activated carbon, photocatalyst, silver nanopowder, zeolite.
KR1020040070036A 2004-09-02 2004-09-02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KR100596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36A KR100596449B1 (en) 2004-09-02 2004-09-02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36A KR100596449B1 (en) 2004-09-02 2004-09-02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72A KR20060021172A (en) 2006-03-07
KR100596449B1 true KR100596449B1 (en) 2006-07-03

Family

ID=371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036A KR100596449B1 (en) 2004-09-02 2004-09-02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4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0332A (en) * 2017-10-31 2018-01-09 辽宁融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oking machine motor noise-reduc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72A (en)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6994B2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437364B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ner
US11857140B2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NL1028419C2 (en) Aspiration brush unit for use in vacuum cleaner, has cover with opening that aspirates external air, space formed between rotatable body and unit body, and holes formed at level of edge of sound attenuation unit
US9451855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060137306A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same
US7879142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JP2016148341A (en) fan
KR101509738B1 (en) Dust-contain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2516499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982062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492164B1 (en) Vacuum cleaner
KR100596449B1 (en) A noise decrease equipment for vacuum cleaner
CN107205603B (en) Vacuum cleaner with cyclone separator
JP2010035954A (en) Vacuum cleaner
CN211511630U (en) Household dust collector
KR100596448B1 (en) A noise controller of motor for vacuum cleaner
US20060010639A1 (en) Electro-optical vacuum cleaner
KR100364701B1 (en) multi-cyclone collector for vaccum cleaner
CN205493717U (en) Portable vacuum cleaner
KR102064534B1 (en) Apparatus for guiding air
KR100437370B1 (en) A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CN1133397C (en) Electric cleaner
KR100710270B1 (en) Motor chamber of the vacuum cleaner
FI106703B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