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236B1 -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236B1
KR100596236B1 KR1020040096565A KR20040096565A KR100596236B1 KR 100596236 B1 KR100596236 B1 KR 100596236B1 KR 1020040096565 A KR1020040096565 A KR 1020040096565A KR 20040096565 A KR20040096565 A KR 20040096565A KR 100596236 B1 KR100596236 B1 KR 10059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ator
pin diode
local signal
radio frequenc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416A (ko
Inventor
정태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2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6Iso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러(Coupler)와 버퍼 앰프(Buffer Amp)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스위칭회로로 송수신 신호의 누손(Leakage)을 방지하고 아이솔레이션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될 때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무선주파수 로컬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하는 제1 핀다이오드부와, 제1 아이솔레이터 및 제2 아이솔레이터가 직렬 접속되며,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와 제2 아이솔레이터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3 핀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와 출력단자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4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핀다이오드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해주는 제2 핀다이오드부로 구성됨으로써, RF 로컬신호의 송수신 분리시 높은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구현하게 된다.

Description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RANSMITTING/RECEIVING ISOL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핀다이오드부
120 ..... 제2핀다이오드부
121, 122 ..... 1/4파장 아이솔레이터
D1 ~ D4 ..... 핀다이오드
본 발명은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플러(Coupler)와 앰프(Amp)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스위칭회로로 송수신 신호의 누손(Leakage)을 방지하고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Radio Frequency)송수신 시스템에서 RF송수신은 300MHz ~ 3GHz의 대역폭에서 행하여지며,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여 쌍방향 통신을 하고 있다. 쌍방향 통신의 송수신 신호 스위칭에 있어서, 송신(TX)측에서 안테나까지의 신호 누손 그리고 안테나에서 수신(RX)측 까지의 신호 누손 및 송신과 수신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은 통신의 성능과 품질에 직결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RF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주파 로컬신호 스위칭회로는, 커플러(coupler)를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 신호를 분리하였지만, 로컬 아이솔레이션(Local Isolation)이 15㏈미만이어서 로컬 아이솔레이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송신단에 버퍼 앰프(Buffer Amp)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커플러와 버퍼 앰프에 의한 고주파 로컬신호 스위칭회로 구현으로, 회로 구현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버퍼 앰프의 사용으로 인해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제반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플러(Coupler)와 앰프(Amp)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스위칭회로로 송수신 신호의 누손(Leakage)을 방지하고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는,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될 때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무선주파수 로컬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하는 제1 핀다이오드부와,
제1 아이솔레이터 및 제2 아이솔레이터가 직렬 접속되며,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와 제2 아이솔레이터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3 핀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와 출력단자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4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핀다이오드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해주는 제2 핀다이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접속된 핀다이오드(D1, D2)로 구성되고, 제어전압(VA)에 의해 핀다이오드(D1, D2)가 순방향으로 될 때 입력된 무선주파수 로컬신호(Local in)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무서주파수 로컬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되도록 하는 제1 핀다이오드부(110), 제1 아이솔레이터(121)와 제2 아이솔레이터(122)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이솔레이터(121,122)의 접속 노드와 접지 단자간에 제3 핀다이오드(D3)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122) 및 출력단자의 접속 노드와 접지 단자간에 연결되는 제4 핀다이오드로 구성 되며, 상기 제어전압(VA)에 의해 제1 핀다이오드부(110)의 출력신호를 무선 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해주는 제2 핀다이오드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아이솔레이터(121,122)는 1/4파장 아이솔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회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단지 하나의 제어신호만을 사용한다. 제어신호의 전압(VA)을 소정의 정극성 전압(예를 들어, 5V)으로 공급할 때, 두 무선주파수단자(Local in, Local out)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핀다이오드(D1 ~ D4)는 같은 방향의 순방향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핀다이오드부(110) 내의 두개의 직렬 핀다이오드(D1, D2)는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Local in)로부터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까지 순방향이므로 경로상에 낮은 삽입 손실만을 가진다. 즉, 순방향 상태의 경로 상에서 삽입손실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의 신호 경로 상에서 제2핀다이오드부(120)의 핀다이오드(D3, D4)를 배치할 때, 제1 핀다이오드부(110)로부터 1/4파장 아이솔레이터(121)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핀다이오드(D3)를 배치하고, 다시 이로부터 1/4 파장 아이솔레이터(122) 만큼 이격된 위치에 핀다이오드(D4)를 배치한다. 두 개의 핀다이오드(D3, D4)는 병렬로 배치된다.
이때, 제2 핀다이오드부(120)내의 두개의 병렬 핀다이오드(D3, D4)가 순방향 상태에 있을 때,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에서 무선주파수 로컬신 호 입력단자(Local in)에 이르는 경로는 1/4파장 아이솔레이터(121, 122)를 경유하고 있으므로, 매우 높은 저항값을 가진다. 따라서,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Local in)로 인입되는 대부분의 신호는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로 전달되어진다.
한편,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에서 보면, 제어전압(VA)을 제로전압(OV)으로 공급할 경우, 제1 핀다이오드부(110) 내의 핀다이오드(D1, D2)에 역방향 전압이 공급되어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핀다이오드부(120)에서 보면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에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1/4파장 아이솔레이터(121, 122)를 경유하게 되므로, 약 40㏈의 아이솔레이션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어전압(VA)이 5V이면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Local in)에서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로 신호가 보내지고, 이때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와의 아이솔레이션은 약 40㏈정도가 된다.
이와는 역으로, 상기 제어전압(VA)이 0V이면, 제1 핀다이오드부(110) 내의 핀다이오드(D1, D2)가 모두 오프가 되므로,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에서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Local in)로는 신호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를 수신단자(RX)로 설정하면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대기상태로 할 수 있어 저전력 회로로 구현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Local in)를 송신단자(TX)로 설정하고,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Local out)를 수신단자(RX)로 설정하는 경우, 그 송신단자(TX)에서 수신단자(RX)로의 신호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커플러와 버퍼 앰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핀다이오드와 PCB 패턴(pattern)만을 이용하여 송신단자와 수신단자간의 높은 아이솔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높은 아이솔레이션의 구현으로 통화 품질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핀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될 때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무선주파수 로컬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하는 제1 핀다이오드부와,
    제1 아이솔레이터 및 제2 아이솔레이터가 직렬 접속되며,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와 제2 아이솔레이터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3 핀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와 출력단자의 접속 노드와 접지단자간에 연결되는 제4 핀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전압에 의해 상기 제1 핀다이오드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주파수 로컬신호 출력단자로 전달해주는 제2 핀다이오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이솔레이터는 1/4파장 아이솔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KR1020040096565A 2004-11-23 2004-11-23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KR100596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65A KR100596236B1 (ko) 2004-11-23 2004-11-23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65A KR100596236B1 (ko) 2004-11-23 2004-11-23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16A KR20060057416A (ko) 2006-05-26
KR100596236B1 true KR100596236B1 (ko) 2006-07-06

Family

ID=3715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65A KR100596236B1 (ko) 2004-11-23 2004-11-23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2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830A (ja) 1998-10-14 2000-04-28 Toko Inc 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830A (ja) 1998-10-14 2000-04-28 Toko Inc 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16A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1735B (zh) 一种射频前端电路及移动终端
CN101159441B (zh) 无线收发器的前端电路结构
CN109873664B (zh) 一种射频前端电路及移动终端
US8099061B2 (en) TDD receiver protection
US11569850B2 (en)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ntroller
JP2004364237A (ja) 時分割方式電力増幅モジュール
CN101465665A (zh) 收发信机
CN108111176B (zh) 一种双天线射频功率检测电路、装置及移动终端
CN103227657B (zh) 无线射频前端模块
KR20120013138A (ko) 복수 방식을 지원하는 증폭기 및 그 증폭 방법
US9544010B2 (en) RF front-end module
JP2010056876A (ja) デュプレクサ回路
US8909171B2 (en) RF antenna switch circuit, high frequency antenna component,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96236B1 (ko) 송/수신 아이솔레이션 장치
CN110932751A (zh) 大功率上下行切换装置和通信设备
CN210693926U (zh) 大功率上下行切换装置和通信设备
KR101175898B1 (ko) Rf 안테나 스위치 회로, 고주파 안테나 부품 및 이동통신기기
KR101175905B1 (ko) Rf 안테나 스위치 회로, 고주파 안테나 부품 및 이동통신기기
CN201018508Y (zh) 一种前置卫星接收发射电路
CN217508720U (zh) 功率放大器控制电路和电子设备
KR20030049153A (ko) 안테나 스위치
CN117674891A (zh) 一种射频信号转换装置、发射方法及接收方法
EP1538758A1 (en) Radio device
CN115865120A (zh) 一种收发模块
KR100393614B1 (ko) 심플렉스/듀플렉스 타입 공용 안테나 전단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