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001B1 -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001B1
KR100596001B1 KR20040022520A KR20040022520A KR100596001B1 KR 100596001 B1 KR100596001 B1 KR 100596001B1 KR 20040022520 A KR20040022520 A KR 20040022520A KR 20040022520 A KR20040022520 A KR 20040022520A KR 100596001 B1 KR100596001 B1 KR 10059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call
us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665A (ko
Inventor
임용신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2004002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0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통화 중 특정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텍스트 콘텐츠를 상대방 단말기에 표시해 주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콘텐츠, 키 입력 데이터, 단축키, 효과, 합성, 오버레이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WITH A USER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서 단말기별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기록되는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서 단말기별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기록되는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 키 입력 데이터 및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기록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0 :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1 : 서비스 제어부
182 :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83 : 미디어 처리부
184 : 콘텐츠 전송 제어부
170 : 교환기 190 : 사용자 PC
본 발명은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통화 중 특정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텍스트 콘텐츠를 상대방 단말기에 표시해 주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며, 현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배경음 및 배경 화상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2-87879호에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 중에 발착신 통신 단말기로 배경음 및 배경 화상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시 발신자와 착신자의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에 특정 배경음 또는 배경 화상 정보를 합성하여 상대측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배경음 및 배경 화상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있어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배경음 및 배경 화상 정보에 국한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조로움을 느낄 수 있다.
현대의 젊은이들은 각종 메신저 서비스 및 게임상에서 채팅을 즐기며 문자에만 국한되지 않고 각종 메신저에서 제공하는 특정 아이콘을 사용하거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는 문자를 사용하며 자라온 세대이다. 또한 각종 방송매체에서는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방송 상황을 재미있는 단어나 표정을 삽입하여 나타냄으로 써 시청자들에게 더 큰 시청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생활에 깊숙이 파고 들어 있는 이모티콘, 상황설정 효과(역동적 문자, 동화상, 소리)를 영상 통화가 지원되는, 보다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단말기 또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저장 수단에 소정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 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전송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통화 호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제1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 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사용자들끼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제1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콘텐츠를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호 연결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함께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와 제 2사용자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함께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음성 기반의 통화는 물론, 영상 및 음성 기반의 통화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정지영상, 동영상은 물론 소정의 효과음 또는 백그라운드 뮤직(BGM)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루는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무선 단말 기, 즉 일반 가정 및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전화기 외에도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데스크톱, 노트북, PDA 등에서 구동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크게 4가지의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 키 입력 데이터(단축키 정보)에 대응하여 콘텐츠 식별 기호를 소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콘텐츠를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전송하는 제1 구현예와,
(2)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수단에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제2 구현예와,
(3)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해 두고, 제1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합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구 현예와,
(4)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위치 정보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제4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제1 사용자 단말기(161), 제2 사용자 단말기(162), 교환기(170),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 또는 사용자 PC(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은 서비스 제어부(181),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2), 미디어 처리부(183) 및 콘텐츠 전송 제어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은,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 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전송 제어부(184), 제1 사용자 단말기(161)와 제2 사용자 단말기(162) 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교환기(17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161)에서 입력된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2)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서비스 제어부(181), 및 상기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합성 또는 오버레이(overlay)시켜 제2 사용자 단말기(162)로 전송하도록 하는 미디어 처리부(1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는 상기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는 기호로서, 사용자는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보고 자신이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를 판독할 수 있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2)는 소정의 콘텐츠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지정/조회/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교환기(17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61)와 제2 사용자 단말기(162) 사이의 통화 호를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끼리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교환기(17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의 내부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독립적으로 위치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교환기(170)는 PSTN 등의 서킷(circuit)망에서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IP 망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61)와 제2 사용자 단말기(162) 사이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는 교환기(170)를 거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1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인 제1 구현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이 제1 사용자 단말기(161)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콘텐츠를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162)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정지영상, 동영상은 물론, 소정의 효과음 또는 백그라운드 뮤직(BG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S210),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161)로 전송한다(S211).
제1 사용자 단말기(161)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S212). 단계(S212)에서 제1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보고, 자신이 통화 중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 러한 키 입력 데이터는 일예로 키패드 버튼 '1', '2'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키 입력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가 단순한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가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키패드 입력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 단말기와(162)의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교환기(170)로 전송한다(S213). 교환기(170)는 양 사용자 단말기 간에 통화 호를 설정한다(S214). 제2 사용자 단말기(162)는 제1 사용자 단말기(161)와 통화 호가 연결된다(S215).
통화 호가 연결되고, 통화 호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기(161)는 제1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설정을 위한 단축키 정보인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S216),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해당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으로 전송한다(S217).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은 제1 사용자 단말기(161)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S218),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하거나 오버레이시켜 전송한다(S219).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 이터를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S220).
상기 콘텐츠가 데이터에 합성되거나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일예로써, 화상 통화를 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의 얼굴이 표현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하트 모양의 그래픽 효과가 상대방 얼굴에 겹쳐서 표현될 수도 있고, 음성 통화를 하는 중간에 '사랑해' 라는 음성 효과가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80)은 제1 사용자 단말기(161)에 상기 콘텐츠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161)의 출력 수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 제1 사용자에게도 소정의 콘텐츠가 제대로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제2 사용자 단말기(162)에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2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310), 제1 사용자 단말기(330), 제2 사용자 단말기(340), 및 통화 호를 연결하여 주는 교환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는 양 사용자 단말기에 동일 내용의 콘텐츠가 저장되고 양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 의 콘텐츠 식별 기호(코드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기본 개념은 양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수단에 동일한 콘텐츠를 기록해 두었다가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 식별 기호를 포함한 특정 신호를 인지한 경우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된 콘텐츠를 사용자간의 통화 내용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는 상술한 제1 구현예와 같은 서비스 제어나 미디어 처리를 위한 별도의 서브 시스템 없이도 사용자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40)는 소정의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력 수단에 상기 콘텐츠를 실제 통화 내용에 해당하는 미디어(음성/영상)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합성 또는 오버레이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여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으로 단말기에 표현될 수 있는 콘텐츠 인지 기호,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키 입력 데이터(단축키 정보)에 대한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4a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콘텐츠 식별 기호와 콘텐츠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4b는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콘텐츠 식별 기호와 콘텐츠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들(코드, 효과)은 상술한 도 3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310)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도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소정의 식별 기호를 상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식별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간에 해당 콘텐츠가 구동되는 방법이다. 제2 구현예에서는 상기 상술한 제1 구현예와는 달리,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의 소정의 저장 수단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는 모두 동일한 코드에 대응하는 동일한 효과를 저장하고 있다. 즉, 동일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동일한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고, 일예로 코드 '000'의 효과는 '하트 마크가 피어오르는 동영상'이고, 이는 4a 및 4b가 동일하다.
'단축키 정보'는 키 입력 데이터를 의미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 임에도 불구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단축키가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 입력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마다 다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단말기 제공 업체에 따라 키 입력 데이터의 사용이 달라질 수 있는 것 또한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코드 000의 콘 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단축키 정보가 각기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하트 마크가 피어오르는 동영상'가 콘텐츠 식별 기호 000에 단축키 정보'4버튼' 값으로 지정된 반면, 제2 사용자 단말기에는 콘텐츠 식별 기호 000에 단축키 값 '0버튼' 값으로 지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각기 다르게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는 단말기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마다 각기 다르게 키 입력 데이터가 설정 및 저장되더라도 상대방 단말기에 실제로 전달되는 것은 해당 콘텐츠의 식별 기호이며 상대방 단말기가 해당 식별 기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상대방 단말기가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콘텐츠 인지 기호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로서 효과음 또는 아이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부와 같은 출력 수단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2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310)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정지영상, 동영상은 물론 소정의 효과음 또는 백그라운드 뮤직(BG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S510), 동일한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40)로 각각 전송한다(S511). 제1 사용자 단말기(3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40)는 각각 콘텐츠 제공 시스템(310)으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S512)(S513). 상술한 제1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보고, 자신이 통화 중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 데이터는 일예로 키패드 버튼 '1', '2'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330)는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 단말기와(340)의 통화 호를 교환기(320)에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S514). 교환기(320)는 통화 호를 설정하여(S515) 제1 사용자 단말기(3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340)와의 통화 호를 연결시킨다(S516).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33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설정을 위한 단축키 정보인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S517),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해당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340)로 전송한다(S518). 제2 사용자 단말기(340)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330)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고(S519),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S520),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거나 오버레이하여 출력 수단에 표시한다(S521). 상기 콘텐츠가 데이터에 합성되거나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일예로써, 화상 통화를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의 얼굴이 표현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하트 모양의 그래픽이 피어오르는 모양을 움직이는 동영상을 겹쳐서 표현할 수도 있고, 음성 통화를 하는 중간에 효과음을 들려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330)의 출력 수단에도 상기 콘텐츠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 제1 사용자에게도 소정의 콘텐츠가 제대로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제2 사용자 단말기(640)에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3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610), 제1 사용자 단말기(630), 제2 사용자 단말기(640), 및 통화 호를 연결하여 주는 교환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해 두고,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에 제1 사용자가 입력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합성하거나 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도 표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구현예는 상술한 제2 구현예와 유사하게, 서비스 제어나 미디어 처리를 위한 별도의 서브 시스템 없이도 사용자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6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640)는 소정의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콘텐츠를 송출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통화 중의 음성/영상 데이터와 함께 합성/오버레이하는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3 구현예에 따른 방식에 있어서는 양 사용자 단말기(630, 640)는 동일한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점과 콘텐츠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기에만 합성/오버레이 프로세싱 기능이 있으면 송신측에서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점이 다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7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여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으로 단말기에 표현될 수 있는 콘텐츠 인지 기호,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키 입력 데이터(단축키 정보)에 대한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7a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7b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소정의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6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640)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도면에서의 '효과' 부분)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키 입력 데이터(도면에서의 '단축키 정보' 부분)와 콘 텐츠 인지 기호, 및 콘텐츠 식별 기호를 기록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3 구현예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610)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정지영상, 동영상은 물론 소정의 효과음 또는 백그라운드 뮤직(BG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S810), 서로 상이한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30)로 전송한다(S811).
제1 사용자 단말기(63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61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S812). 단계(S812)에서 제1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보고, 자신이 통화 중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 데이터는 일예로 키패드 버튼 '1', '2'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키 입력 데이터는 제1 사용자 단말기(630)의 상기 저장 수단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630)는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 단말기와(640)의 통화 호를 교환기(620)에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S813). 교환기(620)는 통화 호를 설정하여(S814) 제1 사용자 단말기(6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640)와의 통화 호를 연결시킨다(S815).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63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설정을 위한 단축키 정보인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S816),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640)로 전송한다(S817).
제2 사용자 단말기(640)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630)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S818), 상기 콘텐츠가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합성되거나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일예로써, 화상 통화를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의 얼굴이 표현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스마일마크 모양의 그래픽이 겹쳐서 표현될 수도 있고, 음성 통화를 하는 중간에 축하하는 효과음과 노래를 음성과 같이 들리게 하는 효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630)도 상기 콘텐츠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 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 제1 사용자에게도 소정의 콘텐츠가 제대로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제2 사용자 단말기(640)에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제1 사용자 단말기(910), 제2 사용자 단말기(920), 교환기(930),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 또는 사용자 PC(9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은 서비스 제어부(944), 콘텐츠 저장부(942), 미디어 처리부(943) 및 콘텐츠 전송 제어부(9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제1 구현예에서 제시된 시스템의 구조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9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이 제2 사용자 단말기(920)에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920)는 상기 위치 정보로 억세스하여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이를 출력 수단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즉, 제1 사용자 단말기(910)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인지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와 키 입력 데이터, 콘텐츠 식별 기호가 함께 저장되어 있고,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에 의해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전송 받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은, 제2 사용자 단말기(920)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의 주소 정보 또는 콘텐츠의 저장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92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으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아 이를 통화 중의 음성/영상 데이터와 합성/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920)의 출력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910)도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제1 사용자 단말기(910)의 출력 수단에 통화 중의 음성/영상 데이터와 합성/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 제1 사용자에게도 소정의 콘텐츠가 제대로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제2 사용자 단말기(920)에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은 제2 사용자 단말기(920)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뿐 아니라,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콘텐츠를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920)로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교환기(930)는 PSTN 등의 서킷(circuit)망에서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IP 망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9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920) 사이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는 교환기(930)를 거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여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으로 단말기에 표현될 수 있는 콘텐츠 인지 기호,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키 입력 데이터(단축키 정보)에 대한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10a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소정의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의 10b는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소정의 저장 수단의 테이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는 같은 콘텐츠라 할 지라도 각기 다른 키 입력 데이터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적이 있는 콘텐츠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콘텐츠 전송 과정 없이 상기 저장 수단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10a에서 보는 것처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식별 기호 001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은, 제1 사용자가 아직 해당 콘텐츠를 사용한 적이 없었거나 제 1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한 경우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 호가 설정되어 있고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피어오르는 하트' 를 전송하여 표시하고 싶은 경우, '피어오르는 하트' 에 해당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000'을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어부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한 콘텐츠가 '피어오르는 하트'임을 확인한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콘텐츠 '피어오르는 하트'의 콘텐츠 식별 기호와 저장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와 저장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 텐트 제공 시스템의 미디어 처리부에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여 이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아 상기 콘텐츠를 음성/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이미 있는 경우,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지 않고 상기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제4 구현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되는 정지영상, 동영상은 물론 소정의 효과음 또는 백그라운드 뮤직(BG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S1110),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910)로 전송한다(S1111). 제1 사용자 단말기(91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S1112). 단계(S1112)에서 제1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보고, 자신이 통화 중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 데이터는 일예로 키패드 버튼 '1', '2'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키 입력 데이터는 제1 사용자 단말기(630)의 상기 저장 수단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와(920)의 통화 호를 교환기(930)에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 다(S1113). 교환기(930)는 통화 호를 설정하여(S1114) 제1 사용자 단말기(9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920)와의 통화 호를 연결시킨다(S1115).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91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설정을 위한 단축키 정보인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S1116),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해당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으로 전송한다(S1117).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910)부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S1118), 상기 검색된 콘텐츠 위치 정보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1119).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를 수신(S1120)한 제2 사용자 단말기(920)는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940)으로 전송한다(S1121).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한(S1122) 콘텐츠 제공 시스템(S940)은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920)로 전송하고(S1123), 제2 사용자 단말기(920)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S1124), 제1 사용자 단말기(910)와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거나 오버레이하여 소정의 출력 수단에 표시한다(S1125). 상기 콘텐츠가 데이터에 합성되거나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일예로써, 화상 통화를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의 얼굴이 표현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하트 모양의 그래픽이 상대방 얼굴에 겹쳐서 표현되거나 동시에 '쪽~'하는 키스 효과음도 출력될 수 있다. 음성 통화를 하는 중간에 각종 효과음을 삽입할 수 있는 음성 효과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콘텐츠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소정의 키 입력 조작 등을 통해 상기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콘텐츠 표시를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표시를 위한 키 입력 조작은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마다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의 '취소' 버튼이 콘텐츠의 표시를 중단시키는 명령어라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특정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어도 사용자는 '취소' 버튼을 눌러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의 콘텐츠 서버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거부할 수 있고 다운로드를 받는 도중 전송 중지를 요청하여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중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 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200)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1220)과 롬(ROM: Read Only Memory)(12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2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12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1220) 및 롬(12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2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2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2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2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 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2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의 저장 수단에 소정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 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전송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멀티미 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소정의 저장 수단에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콘텐츠 인지 기호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통화 호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 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사용자들끼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합성 또는 오버레이시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이고, 상기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호 연결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함께 합성 또는 오버레이되어 표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이고, 상기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삭제
  4.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콘텐츠,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한 콘텐츠 인지 기호를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 기호 및 콘텐츠 인지 기호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데이터를 기록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기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함께 합성 또는 오버레이하여 표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이고, 상기 통화 호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삭제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인지 기호는 상기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는 기호로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040022520A 2004-04-01 2004-04-01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9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2520A KR100596001B1 (ko) 2004-04-01 2004-04-01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2520A KR100596001B1 (ko) 2004-04-01 2004-04-01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665A KR20040034665A (ko) 2004-04-28
KR100596001B1 true KR100596001B1 (ko) 2006-07-06

Family

ID=3733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2520A KR100596001B1 (ko) 2004-04-01 2004-04-01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559B1 (ko) * 2005-07-14 2012-11-1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플래시콘을 제공하는 시스템,장치 및 방법
KR20070067927A (ko) *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665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042B2 (ja) アニメーションsmsメッセージを提供し表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TWI249729B (en) Voice browser dialog enabler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2023553101A (ja) 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US20170011740A1 (en) Text transcript generation from a communication session
JP2023539820A (ja) インタラクティブ情報処理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US20150094106A1 (en) Image and messag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158334A1 (en) Visual Effects For Video Calls
JP2005506602A (ja) 文書に注釈をつける方法および装置
JP7283384B2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812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ercemoji
KR20110082512A (ko) 무선 장치를 위한 미리 결정된 응답
JP6485935B1 (ja) オンラ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レビュー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989889A (zh) 信息展示方法、信息展示装置和电子设备
CN115668957A (zh) 音频检测和字幕呈现
KR101127569B1 (ko)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WO2002021287A1 (ja) 電子的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送信端末、データサーバ装置および受信端末
JP202309077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システム
KR100596001B1 (ko)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380829B1 (ko) 에이전트를 이용한 대화 방식 인터페이스 운영 시스템 및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CN101640860B (zh) 用于通信的方法、用于通信的相关系统和相关的转换部件
KR20090106989A (ko) 감정 인식 메시지 시스템과, 이 시스템의 모바일 통신 단말및 메시지 기억 서버
JPWO201901702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90044362A (ko)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CN112565913A (zh) 视频通话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50108098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