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73B1 -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73B1
KR100595673B1 KR1020040045121A KR20040045121A KR100595673B1 KR 100595673 B1 KR100595673 B1 KR 100595673B1 KR 1020040045121 A KR1020040045121 A KR 1020040045121A KR 20040045121 A KR20040045121 A KR 20040045121A KR 100595673 B1 KR100595673 B1 KR 10059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uidance signal
acoustic
voic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9961A (en
Inventor
강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73B1/en
Publication of KR2005011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신호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안내 방송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시각 장애자를 위해 외부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과;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에서 출력한 음향 유도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기로 송신하고, 그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로 출력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향 유도 신호 장치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by incorporating an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hat enables the user to listen to a guidance broadcast at a location where an acoustic signal is installed. An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for outputting an acoustic guidance signal for receiving a guidance signal, and outputting a speech for the received speech guidance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output from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o the acoustic sig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audio guidance signal from the acoustic signal signal to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hereby configuring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device separate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convenience to the user.

Description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FOR THE BLIND}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도1은 본 발명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대한 동작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 순서도.Figure 2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휴대 단말기 11:스위치10: portable terminal 11: switch

12:음향 유도 신호 모듈 13:송수신부12: Sound guide signal module 13: Transmitter and receiver

14:스피커 20:음향 신호기14: Speaker 20: sound signal

본 발명은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신호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안내 방송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may be convenient to a user by incorporating an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hat enables the user to listen to a guide broadcast at a location where an acoustic signal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신호기에는 시각 장애자를 위하여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자가 상기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신호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로부터 횡단보도의 통행에 관한 음향 및 음성이 출력된다. In general, a crosswalk signal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refore,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button, the sound and the voice regarding the passage of the crosswalk are output from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signal devic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횡단보도의 신호기는 시각 장애자가 신호기를 찾아서 신호기의 버튼을 눌러야 하고, 신호기를 찾지 못하면 음성 안내를 받을 수 없으므로, 시각 장애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By the way, the signal of the general pedestrian crossing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to find the signal and press the button of the signal, and if the signal is not found, voice guidance cannot be receiv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음성횡단보도 등과 같은 신호기 지주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수신기)에 전파를 보내 음향으로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게 조정하는 음향 신호 유도장치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n acoustic signal induction device has been developed for adjusting an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n acoustic signal receiver (receiver) installed in a signal post such as a pedestrian crossing.

음향 신호 유도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음향 신호기의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는 전파를 자동 생성하여 송신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만 전파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전파가 송신될 때 사용자 주위에 음향 신호기가 존재하면 그 음향 신호기에서 상기 전파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자를 위해 기 저장된 안내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The sound signal inducing apparatus automatically generates and transmits a radio wave capable of listening to a guide broadcast of an acoustic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generates and transmits a radio wave only by a user's input when power is applied. If a sound signal is present around the user when the radio wave is transmitted, the sound signal is received by the sound signal and outputs a pre-stored guide broadcast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speaker.

하지만, 종래에는 음향 신호 유도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단말기가 없어서 시각 장애자용 단말기와 음향 신호 유도 장치를 함께 휴대해야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coustic signal inducing device, so that th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audio signal inducing device must be carried together,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음향 신호 유도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단말기가 없어서 시각 장애자용 단말기와 음향 신호 유도 장치를 함께 휴대해야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coustic signal inducing device, th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audio signal inducing device must be carried together,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유도하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과, 상기 출력된 음향 유도 신호를 음향 신호기로 송신하고,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로 출력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음향 유도 신호 장치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such a problem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for inducing a sound signal, and outputs a sound for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a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and outputs the sound guidance signal And a transmitter / re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sig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to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and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by a user inpu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nd the object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be convenient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자를 위해 외부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과;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에서 출력한 음향 유도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기로 송신하고, 그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로 출력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ound for outputting a sound guidance signal for receiving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a sound signal installed outsid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outputs the voice for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a speaker An induction signal module; And a transmitter / re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guidan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to the sound signal generator, receive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generator, and output the sound guidance signal to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또한,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induction signa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onfigured to be turned on / off by a user input.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입력(IN)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1)와, 상기 스위치(11)에서 출력한 온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14)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과,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에서 출력한 음향 유도 신호를 시각 장애인을 위해 외부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20)로 송신하고, 음향 신호기(20)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로 출력하는 송수신부(1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operated by a switch 11 for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by the user's input IN and an on-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11 to generate an acoustic guidance signal. And a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for outputting a voice for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14 and a sound guidan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to the outside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compris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 for transmitting to the installed sound signal 20, and receives the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20 to output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상기 스위치(11)는 시각 장애자가 빠르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단말기(10)의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음향 유도 신호와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포맷은 단말기 생산 업체와 음향 신호기 생산업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11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find and use quickly,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terminal 10, and the format of the sound guidance signal and the voice guide signal is a terminal manufacturer and an audio signal producer.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by.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부(13)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송수신부(13)는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시 사용되는 송수신부를 사용하거나 따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구비된 송수신부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매칭하기 위한 매칭 회로가 구비되어야 한다.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may output a sound guidance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transceiver 13 includes an antenn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is case, the transceiver 13 may use or separately configure a transceiver used for a voice call in the terminal. When using a transceiver provided in advance,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Matching circuits for matching must be provided.

또한, 상기 음향 신호기(20)로부터 수신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은 각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단말기(10)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하여 해당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거나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직접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 저장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voice of the voice guide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signal 20 is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provided in the terminal 10 for the voice guide signal to the voice for the voice guide signal The voice may be output or may be generated by directly generating a voice for the voice guide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f the voice guide signal is pre-stored in a memory provided in the terminal to be described as output through the speaker.

그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2를 참고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oper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시각 장애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11)를 입력하고, 오프신호가 출력된 경우, 즉,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동작중인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을 오프시키고, 동시에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을 오프시킨다는 소정의 음성을 스피커(14)로 출력한다.First, a user (visually handicapped) inputs a switch 11 for turning on / off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when the off signal is output, that is,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is When it is in operation, the sound induction signal module 12 in operation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sound to turn off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12 is output to the speaker 14.

반면,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이 동작하지 않은 경우, 즉, 오프된 경우에는 스위치(11)로부터 온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을 동작(온)시키고, 음향 신호기(20)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받기 위한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이 동작될 때에도 그에 대한 소정의 음성을 스피커(14)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시켜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does not operate, that is, when it is off, receives the on signal from the switch 11 to operate (on)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the acoustic signal 20 A sound guidance signal for receiving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output. Even when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is operated, a predetermined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4 to confirm whether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is on or off.

송수신부(13)는 상기 음향 유도 신호를 수신하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대기중으로 송신한다. 만약, 사용자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에 음향 신호기(20)가 존재하지 않아 소정의 시간 동안 음향 신호기(20)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음향 유도 신호를 송신하고, 음향 신호기(20)가 주위에 없다는 것을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한다.The transceiver 13 receives the sound guidan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ir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If the acoustic signal 20 does not exist in the predetermined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us does not receive the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acoustic signal 2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Notifies the user by voice that 20 is not around.

반면, 사용자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에 음향 신호기(20)가 존재하여, 송수신부(13)에서 음향 신호기(20)로부터 음향 유도 신호에 대한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를 음향 유도 신호 모듈(12)로 출력하고, 음향 유 도 신호 모듈(12)은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를 확인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14)를 통해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coustic signal 20 exists in a predetermined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transceiver 13 receives a voice guide signal for the sound guidanc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20, the received voice guide signal is sounded. The guidance signal module 12 outputs the guidance signal, and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12 checks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for the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voic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speaker 14.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단말기를 통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음향 유도 신호 장치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 acoustic guidance signal device because it can receive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signal and hear the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the terminal, and can be convenient for the user.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유도하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과, 상기 출력된 음향 유도 신호를 음향 신호기로 송신하고,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로 출력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음향 유도 신호 장치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induction signal modul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for inducing a sound signal, and outputting a voice for a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for outputting the output sound guidance signal to a sound signal devic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guidance signal to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and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by a user inpu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convenience to the user.

Claims (5)

시각 장애자를 위해 외부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향 유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유도 신호 모듈과;An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for outputting an audio guidance signal for receiving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an external audio signal device installe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outputting a voice for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through a speaker;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에서 출력한 음향 유도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기로 송신하고, 그 음향 신호기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로 출력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And a transmitter / re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output from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o the acoustic signal, and receive and output a voice guidance signal from the acoustic signal signal to the acoustic guidance signal modu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by a user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찾기 쉽도록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 is positioned at a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신하고 수신하는 신호의 매칭을 위한 매칭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tching circuit for match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유도 신호 모듈은 수신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종류를 판단하고,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guidance signal module determines a type of the received voice guidance signal and outputs a voice for the voice guidance signal previously stored in a memory to a speaker.
KR1020040045121A 2004-06-17 2004-06-17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KR1005956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21A KR100595673B1 (en) 2004-06-17 2004-06-17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21A KR100595673B1 (en) 2004-06-17 2004-06-17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61A KR20050119961A (en) 2005-12-22
KR100595673B1 true KR100595673B1 (en) 2006-07-03

Family

ID=3729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121A KR100595673B1 (en) 2004-06-17 2004-06-17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6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en)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en)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61A (en)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97232A (en) Call circuit for portable telephone set
US6484040B1 (en) Wireless mobile phone combining with car hi-fi speakers
KR100595673B1 (en) Mobile terminal for the blind
JP2006345212A (en) Call termination reporting system,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electrical device
KR19990049847A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JP3237275U (en) Voice collector, voice transmitter with voice collection function,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WO2000051314A1 (en) Telephone device mounted in vehicle
KR200252897Y1 (en) Destination confirma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JP4011504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531263B2 (en)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
JPH08307301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JPH09321843A (en) Portable telephone set call termination signal reporting device
JPH11122688A (en) Cordless speaker system, sound signal transmitter, sound signal receiver and speaker box
KR20000056688A (en) Apparatus for setting an etiquette mode in mobile stations
KR960027517A (en) Infant Surveillance Device in Cordless Phone
KR200205535Y1 (en) Hand free car kit
JP2526799Y2 (en) Buzzer sound generator
KR200241019Y1 (en) A portable-image-telephone with a function of danger ring
KR200175238Y1 (en) A telephone with a tone-eliminating function of television
KR20030011469A (en) Destination confirma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ATE222671T1 (en) FULL DUPLEX RADIO TRANSMISSION SYSTEM WITH HALF DULEX FUNCTION
KR19980026533A (en) Signal receiver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H09200302A (en) Radio calling equipment
KR20000049379A (en) Mp3 player radio language method and receiver
KR19980087595A (en) cell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