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34B1 -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34B1
KR100595634B1 KR1020030093395A KR20030093395A KR100595634B1 KR 100595634 B1 KR100595634 B1 KR 100595634B1 KR 1020030093395 A KR1020030093395 A KR 1020030093395A KR 20030093395 A KR20030093395 A KR 20030093395A KR 100595634 B1 KR100595634 B1 KR 10059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eceptacle cap
receptacle
rear cas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1863A (en
Inventor
채한석
이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34B1/en
Publication of KR2005006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10)의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의 사이에 리셉터클 캡(200)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리어 케이스(12)에 형성된 캡 삽입부(12d)에 리셉터클 캡(200)이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210)와 걸림돌부(211)가 상기 캡 삽입부(12d)의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부(12e)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걸림 결합부(12e)는 캡 삽입부(12d)의 일측으로 가이드 리브(12i)가 형성되어 테두리부(12f)와의 사이에 끼움부(12g)가 형성되고, 끼움부(12g) 일측으로 리셉터클 캡(200)의 걸림돌부(211)가 삽입되는 안착부(12h)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리셉터클 캡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리어 케이스의 캡 삽입부에 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갭을 확보함으로써 캡을 간편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고정을 위한 리셉터클 캡의 끝부분 즉, 연장부와 걸림돌부가 리어 케이스의 안쪽으로 들어가 결합되므로 외관의 불균형 문제점이 해결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receptacle cap 200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body portion ( The receptacle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cap inserting portion 12d formed at the rear case 12 of 10), and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engaging portion 211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receptacle cap 200 are formed. It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2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12e of the rear case 12 has guide ribs 12i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and a fitting portion 12g is formed between the edge portion 12f, The mounting portion 12g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2h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11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inserted at one sid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ap can be easily combined by securing a sufficient gap to allow the cap to flow in the cap insertion portion of the rear case by fixing the receptacle cap by fastening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receptacle cap for fixing,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coupl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rear case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blem of appearance imbalance is solv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Receptacle cap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폰을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a folder open state.

도 2는 종래 휴대폰을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a folder closed state.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도 4는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5는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6 and 7 are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본체부 11 : 프론트 케이스10: body portion 11: front case

12 : 리어 케이스 12d : 캡 삽입부12: rear case 12d: cap insertion portion

12e : 걸림 결합부 12f : 테두리부12e: engaging portion 12f: edge portion

12g : 끼움부 12h : 안착부12g: fitting part 12h: seating part

12i : 가이드 리브 200 : 리셉터클 캡12i: guide rib 200: receptacle cap

210 : 연장부 211 : 걸림돌부210: extension portion 211: locking por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부의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캡(receptacle cap)을 간편하게 결합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a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ca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mbine a receptacle cap coupled to the rear case of the main body and improve the appearance.

일반적으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요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은 고정식을 많이 사용하며, 이 고정식은 리셉터클 캡의 분실을 방지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general,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recent mobile phone receptacle cap uses a lot of fixed type, this fixed type has a great advantage to prevent the loss of the receptacle cap, but had the following problems.

이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도 1에는 종래 휴대폰을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종래 휴대폰을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정면도, 도 3에는 종래 휴대폰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에는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an open state,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a closed state folder,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mobile phon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respectively.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ap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respectively.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폴더부(20)가 힌지부(30)로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부(10)에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 패드(40)가 결합되어 있으며, 폴더부(20)에는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0)가 결합되고, 힌지부(30)에는 카메라(60)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older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0 to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has a keypad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operating a function ( 40 is coupled, the folder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display 50 for displaying text and images, the hinge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camera 60.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리어 케이스(12)에는 캡 삽입부(12a)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고정공(12c)을 가지는 리브(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캡(70)은 일단부에 고정돌기(7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인출돌부(7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셉터클 캡(70)을 리어 케이스(12)의 캡 삽입부(12a)에 결합할 때에는 리셉터클 캡(70)의 고정돌기(71)를 리브(12b)의 고정공(12c)에 끼우고 삽입하게 되며, 리셉터클 캡(70)을 분리할 때에는 인출돌부(72)를 손톱으로 제치면서 리셉터클 캡(70)을 분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case 11 and a rear case 12. In addition, the rear case 12 has a cap inserting portion 12a and a rib 12b having a fixing hole 12c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receptacle cap 70 has a fixing protrusion 71 at one end thereof. ) Is formed, and the withdrawal protrusion 72 is formed at the other end. When the receptacle cap 70 is coupled to the cap insertion portion 12a of the rear case 12, the fixing protrusion 71 of the receptacle cap 70 is formed. )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c of the rib 12b, and when the receptacle cap 70 is removed, the receptacle cap 70 is separated while the drawout protrusion 72 is hit with a fingernail.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는 도 2에서 보듯이 본체부(10)에 결합된 리셉터클 캡(70)의 양측 a, b 부분의 폭이 같지 않고, a 부분의 폭보다 b 부분의 폭이 더 크게 구성되어 외관상 리셉터클 캡(70)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보임으로써 제품의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2, the widths of the a and b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cap 7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re not equal, and the width of the b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 portion. Larger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receptacle cap 70 appears to be biased to one side, resulting in poor st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리셉터클 캡(70)이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끼워 넣을 때 리셉터클 캡(70)을 정확한 삽입 방향으로 밀어 넣지 않으면 도 3의 c 부분과 같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걸리게 되어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캡(70)이 본체부(10)와 따로 분리되므로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f the receptacle cap 70 is not inserted in the correct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receptacle cap 70 is removed again, the par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part c of FIG. Will occur.
In addition, since the receptacle cap 7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be lost.

따라서, 이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는 외관상 불균형을 이루어 소비자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리셉터클 캡이 잘 끼워지지 않은 등 구조가 불안정 하여 리셉터클 캡의 실용도를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give a good impression to the consumer because of the imbalance in appearance, the structure is unstable such that the receptacle cap is not fitted well, so that the practicality of the receptacle cap cannot be increased.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체부의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캡(receptacle cap)을 간편하게 결합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는 본체부에 결합된 리셉터클 캡의 양측 a, b 부분의 폭이 같지 않고, a 부분의 폭보다 b 부분의 폭이 더 크게 구성되어 외관상 리셉터클 캡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보임으로써 제품의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본원발명은 리셉터클 캡의 끝부분 즉, 리셉터클 캡의 연장부와 걸림돌부가 리어 케이스의 테두리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본체부에 결합된 리셉터클 캡의 양측 a', b' 부분의 폭이 같게 구성되어 외관상 리셉터클 캡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므로 제품 외관의 불균형 문제점이 해결되고 제품의 안정감이 향상되는 이동단말기의 키 패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습니다.
본원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이동단말기의 키 패드 장치에서는 리셉터클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끼워 넣을 때 리셉터클 캡을 정확한 삽입 방향으로 밀어 넣지 않으면 c 부분과 같이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걸리게 되어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므로 리어 케이스의 캡 삽입부에 리셉터클 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동간격(gap) d를 확보함으로써 리셉터클 캡이 원활하게 삽입되며, 이에 따라 기존 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끼워 넣을 시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이동단말기의 키 패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efects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cap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mbine the receptacle cap (receptacle cap) coupled to the rear cas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mprove the appear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dths of the a and b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cap coupled to the main body are not equal, and the width of the b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 portion so that the receptacle cap is biased to one side. Sin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is reduced by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receptacle cap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llowing the end of the receptacle cap, that is, the extension part and the protrusion of the receptacle cap to enter the inner edge of the rear cas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that solves the problem of unbalanced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the b 'part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width so that the receptacle cap is not biased to one side.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eypad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when the receptacle cap is reinserted with the receptacle cap removed, the parts contacting each other, such as the c part, are caught off each other and are not fitted well. The receptacle cap is smoothly inserted by securing sufficient gap d to allow the receptacle cap to flow in the cap insertion portion of the rear case, and thus the receptacle cap is smoothly inser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pad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solved without a problem.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 클 캡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 리셉터클 캡이 결합됨과 아울러, 본체부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캡 삽입부에 리셉터클 캡이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캡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와 걸림돌부가 상기 캡 삽입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삽입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ap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eceptacle cap formed on the cap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to one side of the receptacle cap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formed to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걸림 결합부는 캡 삽입부의 일측으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테두리부와의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끼움부 일측으로 리셉터클 캡의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rear case is formed with a guide ri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rim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cap to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리셉터클 캡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6 and 7 are plan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부(10)에 폴더부(20)가 힌지부(30)로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부(10)에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 패드(40)가 결합되어 있으며, 폴더부(20)에는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0)가 결합되고, 힌지부(30)에는 카메라(60)가 결합되어 있다.1, 6, and 7, the folder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0 to the main body portion 10 so as to be rotatable and open,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has information. A keypad 40 for inputting and operating a function is coupled, and a folder 50 is coupled with a display 50 for displaying characters and images, and a hinge 60 is coupled with a camera 60. It is.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캡 삽입부(12d)에 리셉터클 캡(200)이 삽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case 11 and a rear case 12, and the receptacle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of the rear case 12. .

상기 리셉터클 캡(200)은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연장부(210)에 걸림돌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인출돌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0)의 리어 케이스(12)에는 캡 삽입부(12d)가 형성되고, 캡 삽입부(12d)의 일측으로 연장부(210)와 걸림돌부(211)가 내측으로 걸려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12e)가 형성되어 있다.The receptacle cap 200 has a locking protrusion 211 formed at an extension portion 210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a drawing protrusion 220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rear case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0. 12) is formed in the cap insertion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12e)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locking projection 211 to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걸림 결합부(12e)는 캡 삽입부(12d)의 일측으로 가이드 리브(12i)가 형성되어 테두리부(12f)와의 사이에 끼움부(12g)가 형성되고, 끼움부(12g) 일측으로 리셉터클 캡(200)의 걸림돌부(211)가 삽입되는 안착부(12h)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engaging portion 12e of the rear case 12 has guide ribs 12i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inserting portion 12d to form a fitting portion 12g between the edge portion 12f and a fitting portion. (12g) It h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mounting part 12h in which the latching part 211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inserted in one sid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체부의 캡 삽입부에 리셉터클 캡이 닫힌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캡(200)이 본체부(10)의 캡 삽입부(12d)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긴밀하게 끼워져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셉터클 캡(200)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캡(200)의 인출돌부(220)를 손톱으로 밀어 제치면서 도 7과 같이 개방시키며 이때에는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도 6의 유동간격 d만큼 우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탄성적으로 절곡되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10)의 캡 삽입부(12d)에서 리셉터클 캡(200)을 분리시켜 개방시키는 경우에도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가이드 리브(12i)와 테두리부(12f) 사이의 끼움부(12g)에 끼워짐과 아울러, 연장부(210)의 걸림돌부(211)가 가이드 리브(12i) 내측의 안착부(12h)에 걸려 있으므로 리셉터클 캡(200)이 본체부(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 캡(200)이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의 캡 삽입부(12d)에 리셉터클 캡(200)를 도 7과 같이 밀어 넣으면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절곡됨과 아울러 도 7에서 도 6과 같이 유동간격 d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6과 같이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모두 고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기존 리셉터클 캡은 리어 케이스(rear case)에 고정하는 방식이고, 진보된 캡은 본체부(10)의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11)와 리어 케이스(12)의 결합으로 리셉터클 캡(2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방식은 기존 홀에 끼어넣는 방식이 아닌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리어 케이스(12)의 캡 삽입부(12d)에 리셉터클 캡(200)이 유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동간격(gap) d가 확보됨으로써 리셉터클 캡(200)이 원활하게 삽입되며, 이에 따라 기존 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끼워 넣을 시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리셉터클 캡(200)의 끝부분 즉,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와 걸림돌부(211)가 리어 케이스(12)의 테두리부(12f) 안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도 6에서 보듯이 본체부(10)에 결합된 리셉터클 캡(200)의 양측 a', b' 부분의 폭이 같게 구성되어 외관상 리셉터클 캡(70)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므로 제품 외관의 불균형 문제점이 해결되고 제품의 안정감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체부(10)에서 리셉터클 캡(200)을 분리시켜 개방시키는 경우에도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가이드 리브(12i)와 테두리부(12f) 사이의 끼움부(12g)에 끼워짐과 아울러, 연장부(210)의 걸림돌부(211)가 가이드 리브(12i) 내측의 안착부(12h)에 걸려 있으므로 리셉터클 캡(200)이 본체부(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하게 연결되어 있게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ceptacle cap is closed in the cap inse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 such a state, the receptacle cap 200 is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cap inserting portion 12d of the main body 10 to be tightly inserted and closed. The state is maintained.
When opening the receptacle cap 200 in such a state, while pushing the withdrawal protrusion 220 of the receptacle cap 200 with a fingernail and opening as shown in FIG. 7, the extension portion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opened. )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flow interval d of FIG. 6 and is opened while the extension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elastically bent.
In this case, even when the receptacle cap 200 is separated and opened from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extension portion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guide rib 12i and the edge portion 12f. The receptacle cap 200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2g and the receptacle cap 211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is caught by the seating portion 12h inside the guide rib 12i. In (10), they are connected without being separated.
In addition, when the receptacle cap 200 is to be closed again in an open state, the receptacle cap 200 is pushed into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7 to extend the receptacle cap 200 ( 210 is bent and closed as shown in FIG. 6 while moving to the left by the flow interval d as shown in FIG. 7.
Although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oth based on a fixed type, the existing receptacle cap is fixed to a rear case, and the advanced cap is a main body. The receptacle cap 200 is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of the unit 10. In addition, the fixing method is fixed by the fastening of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rather than being inserted into an existing hole, so that the receptacle cap 200 may flow to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of the rear case 12. As a sufficient gap d is secured, the receptacle cap 200 is smoothly inserted,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receptacle cap 200 does not fit well when it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the existing cap.
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receptacle cap 200,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locking portion 211 of the receptacle cap 200 enters the edge portion 12f of the rear case 12, as shown in FIG. 6. The widths of the a 'and b'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cap 2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re the same, so that the receptacle cap 70 is not biased to one side, thereby solving the imbalance problem of the product appearance and The sense of stability is improved.
Further, even when the receptacle cap 200 is opened by separating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extension portion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fitted between the guide rib 12i and the edge portion 12f 12g. The receptacle cap 200 is not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because the locking protrusion 211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is caught by the seating portion 12h inside the guide rib 12i. It is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리셉터클 캡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리어 케이스의 캡 삽입부에 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갭을 확보함으로써 캡을 간편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고정을 위한 리셉터클 캡의 끝부분 즉, 연장부와 걸림돌부가 리어 케이스의 안쪽으로 들어가 결합되므로 외관의 불균형 문제점이 해결되는 이점이 있으며, 리셉터클 캡을 개방하는 경우에도 본체부에 붙어 있게 되어 분실의 염려가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The receptacle cap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secure the receptacle cap by fastening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by securing a sufficient gap to allow the cap to flow to the cap insertion portion of the rear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p can be easily fitted and coupled, and also the end of the receptacle cap for fixing, that is, the extension part and the engaging por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rear case to be combined to solve the unbalanced appearance problem. Even when op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ear of loss can be eliminated because it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Claims (2)

본체부(10)의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의 사이에 리셉터클 캡(200)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리어 케이스(12)에 형성된 캡 삽입부(12d)에 인출돌부(220)가 일측 단부에 구비된 리셉터클 캡(200)이 삽입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타측 단부에 연장부(210)와 걸림돌부(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캡 삽입부(12d)의 일측으로 가이드 리브(12i)가 형성되어 테두리부(12f)와의 사이에 끼움부(12g)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12g) 일측으로 안착부(12h)가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끼움부(12g)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걸림돌부(211)가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안착부(12h)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The receptacle cap 200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lead protrusion 220 is attached to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formed on the rear case 12. In the receptacle cap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ap 200 is provided at one end,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engaging portion 211 is protruded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eceptacle cap 200, A guide rib 12i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insertion portion 12d of the rear case 12 to form a fitting portion 12g between the edge portion 12f and to the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12g. A seating portion 12h is provided, the extension portion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12g of the rear case 12, and the locking protrusion 211 of the receptacle cap 200 is provided. Receptac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12h) of the rear case 12 Cap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가이드 리브(12i)와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걸림돌부(211) 사이에 상기 리셉터클 캡(200)의 연장부(210)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간격 d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캡 장치.The extension part 210 of the receptacle cap 200 may flow from side to side between the guide rib 12i of the rear case 12 and the engaging portion 211 of the receptacle cap 200. Receptacle ca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interval d is formed to be configured.
KR1020030093395A 2003-12-18 2003-12-18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595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95A KR100595634B1 (en) 2003-12-18 2003-12-18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95A KR100595634B1 (en) 2003-12-18 2003-12-18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63A KR20050061863A (en) 2005-06-23
KR100595634B1 true KR100595634B1 (en) 2006-06-30

Family

ID=3725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395A KR100595634B1 (en) 2003-12-18 2003-12-18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63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863A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497A2 (en) Flash memory apparatus having single body type rotary cover
US10694630B2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US89951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a casing used therefor
US20060290320A1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US8041408B2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367869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20040169044A1 (en)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95634B1 (en) Receptacle cap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1763617B1 (en) Phone case
KR200430930Y1 (en) A hinge assembly for swing operate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KR10065274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cover
CN219437049U (en) Protective housing
KR200172287Y1 (en) Cover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293076Y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hangeable Ornamental Cover
US201000374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jig system
KR100535764B1 (en) structure of stopper in a glove box
CN216017119U (en) Portable bluetooth headset charges and accomodates integrative box
KR200214951Y1 (en) Detachable hinge arm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1036466B1 (en) Camera cover divice of mobile phone
KR200374143Y1 (en) Hinge assembly
KR0138064Y1 (en) Charge card insertion structure of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108047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change type cover
KR200293077Y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hangeable Front Cover
KR0157712B1 (en) Battery cover apparatus of wireless pager
KR101013331B1 (en)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