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043B1 - Push button switch - Google Patents

Push butto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043B1
KR100595043B1 KR1020040032228A KR20040032228A KR100595043B1 KR 100595043 B1 KR100595043 B1 KR 100595043B1 KR 1020040032228 A KR1020040032228 A KR 1020040032228A KR 20040032228 A KR20040032228 A KR 20040032228A KR 100595043 B1 KR100595043 B1 KR 10059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stem
contac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6774A (en
Inventor
이와쿠마하루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button switch that can be set to a low heigh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내부에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포함하는 접점부(2)가 수용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어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가압하는 가압부(7a), 및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7c)를 가지는 스템(7)과, 하우징(1)에 고정되어 스템(7)의 조작부(7c)를 돌출시키는 개구(8a)를 가지고, 이 스템(7)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8)을 구비하며,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b)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경사면(1a)을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구비하였다.A housing 1 in which a contact portion 2 including a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is accommodated, and a pressurizing portion 7a disposed in the housing 1 to pressurize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 And a stem (7) having an operating portion (7c)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1)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n opening (8a) fixed to the housing (1) to protrude the operating portion (7c) of the stem (7). Has a frame 8 which prevents the stem 7 from falling out, and an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with a caulking portion 1b for fixing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The inclined surface 1a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withou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art to become is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Pushbutton Switches {PUSH BUTTON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ush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A1-A1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of FIG. 2;

도 5는 도 2의 B1-B1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B1-B1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6 is a view showing a fram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front view,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A2-A2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2-A2 of FIG. 7;

도 10은 도 7의 B2-B2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2-B2 of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1의 A3-A3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3-A3 of FIG. 11;

도 14는 도 11의 B3-B3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B3-B3 of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5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16 is a front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5의 A4-A4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4-A4 of FIG. 15;

도 18은 도 15의 B4-B4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4-B4 of FIG. 15;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rame provided in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front view.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하우징 1a : 경사면(소정의 배치영역) 1: Housing 1a: Inclined surface (predetermined placement area)

1b : 코킹부(고정부) 1c : 볼록부 1b: caulking part (fixed part) 1c: convex part

1d : 코킹부(고정부) 1e : 오목부(소정의 배치영역)1d: Caulking part (fixed part) 1e: Concave part (predetermined placement area)

1f : 코킹부(고정부) 1g : 모서리부(소정의 배치영역)1f: Caulking part (fixed part) 1g: Corner part (predetermined placement area)

2 : 접점부 3 : 바깥 둘레 고정접점2: contact part 3: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4 : 중앙 고정접점 5 : 가동접점 4: center fixed contact 5: movable contact

6 : 돔형상 반전스프링 6a : 바깥 둘레부 6: dome shape reverse spring 6a: outer circumference

6b : 돌기부 7 : 스템 6b: projection 7: stem

7a : 가압부 7b : 걸어맞춤부7a: pressing part 7b: engaging part

7c : 조작부 8 : 프레임 7c: control panel 8: frame

8a : 개구 8b : 테이퍼부8a: opening 8b: taper

8c : 구멍 8d : 단차부 8c: hole 8d: stepped portion

8e : 쐐기부(고정부) 8e: Wedge (fixed part)

본 발명은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button switch having a stem having an opera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 housing in which a contact portion is received, and a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being pulled out.

이 종류의 종래기술로서, 박스형 케이스, 즉 하우징 내에 바깥 둘레 고정접점, 중앙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를 수용하고,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체, 즉 스템을 구비한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가동접점은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항상 바깥 둘레 고정접점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As a prior art of this kind, a box-shaped case, i.e., has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a central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in the housing, and has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movable contact, and an operation portion projecting out of the housing. There is an operating body, ie a pushbutton switch with a stem. The movable contact is formed in a dome shape and is always kept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또 이 푸시버튼 스위치는 스템의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중앙구멍, 즉 개구를 가지고, 하우징에 고정되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커버, 즉 프레임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은 고정부, 즉 코킹부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The pushbutton switch also has a central hole, ie, an opening, which protrudes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and is provided with a cover, ie, a frame,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and prevents the stem from coming off. This frame is fixed to the housing by a fixing part, that is, a caulking part.

스템을 가압함으로써 가동접점이 중앙 고정접점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을 거쳐 중앙 고정접점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이 도통하여, 스위치 온이 된다. 또 스템에 대한 가압을 풀면, 가동접점이 중앙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하여 중앙 고정접점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과의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 오프가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By pressing the stem, the movable conta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enter stationary contact. As a result, the center stationary contac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tationary contact are conducted via the movable contact, thereby switching on.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o the stem, the movable contact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fixed contact. As a result, the center fixed contact is cut off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to be switched off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상기 코킹부는, 예를 들면 하우징에 형성한 볼록부를 프레임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 서 이 코킹부는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The caulking portion is formed by, for example, punching the convex portion with a punch and deforming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into the hole formed in the frame. The caulking therefore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frame.

또한 스템의 조작부에는 수조작되는 키 톱에 의하여 가압력이 부여된다. 통상, 키 톱에 닿는 스템의 면부에 비하여 스템에 닿는 키 톱의 면부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In addition,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part of the stem by a manually operated key top. Usually, the surface side of the key top which contacts a stem is set large compared with the surface part of the stem which touches a key top.

[특허문헌 1] [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개평11-67002호 공보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67002

(단락번호0014, 도 1)(Paragraph 0014, FIG. 1)

상기한 종래기술은 키 톱을 가압 조작할 때의 키 톱의 하면과, 프레임상의 코킹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코킹부의 높이치수를 예측하여,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되어, 이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가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기술은 전체의 높이치수가 높아지기 쉽고,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 top and the caulking portion on the fram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ets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protruding from the frame in order to predic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aulking portion. There is a tendency for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on part of this stem to become high.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height dimension tends to be high and miniaturization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from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ushbutton switch which can se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o be 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 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in which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is accommodated therein, a pressing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to press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And a stem fixed to the housing, the stem being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protruding the operating part of the stem, to prevent the stem from being pulled out, and to fix the frame to the housing.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arranging the housing withou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하우징의 소정의 배치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부를 하우징의 외형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체의 가로방향의 치수를 하우징의 외형에 의하여 규정되는 최소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세로방향의 치수는, 소정의 배치영역에 배치된 고정부가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템의 조작부를 가압하는 키 톱과 고정부와의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이에 따라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고정부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만큼 낮은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of the housing, the fixing portion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Thereby, the dimension of the whol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maintained at the minimum dimension prescribed | regulated by the external shape of a housing. Moreover, since the fixed part arranged in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arrangement | positioning area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part in which the opening of a frame is formed, the longitudinal dimension does not caus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key top which presses the operation part of a stem, and a fixed part. . Thereby,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on part of a stem can be set to the dimension low as corresponded to the height dimension of a fixed part.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 invention, the predetermined arranging area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form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an upper surface thereof.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경사면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부를 하우징의 측면 및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hape dimensions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xing portion can be reliably arrang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frame has the taper part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id incline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테이퍼부를 하우징의 경사면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by arranging the tapered portion of the frame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using. As a result, the frame can be stably fixed to the housing.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id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 region consists of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said housing in the said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오목부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부를 하우징의 측면 및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hape dimensions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housing, the fixing portion can be reliably dispos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frame has a step part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id recessed part of the said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단차부를 하우징의 오목부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by placing the stepped portion of the frame into the recess of the housing. As a result, the frame can be stably fixed to the housing.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상기 고정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the shap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 quadrangle and the fixing portions are dispos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네 모서리에 있어서 프레임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is fixed at four corners of the housing, so that the frame can be fixed firmly.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볼록부를 변형시킨 코킹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fixed part consists of the caulking part which deform | transformed the convex part formed in the said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코킹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킹부가 하우징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using by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aulking portion is integral with the housing, so that the number of parts is not increased.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has a hol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멍에 하우징의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프레임을 하우징에 대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용이하게 코킹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caulking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by punching the convex portion with a punch while the frame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convex portion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rame.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박아 넣는 쐐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the said invention, the said fixed part consists of the wedge part formed in the said frame and injecting into the said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쐐기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쐐기부가 프레임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can be firmly fixed to the housing by the wedge, and the number of parts is not increased because the wedge is integral with the frame.

이하,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pushbutton switch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1-A1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l-B1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도는 평면도, (b)도는 측면도, (c)도는 정면도이다. 1 to 6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ig. 2 is a plan view, Fig. 3 is a front view,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of Fig. 2, and Fig. 5 is Fig. 2. Bl-B1 is a cross-sectional view. 6 is a view showing a fram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and (c) is a front view.

이 제 1 실시형태는, 기체(基體)를 구성하고 평면으로 본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을 구비하고,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 접점부(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는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1a)을 가진다. 상기한 접점부(2)는 바깥 둘레 고정접점(3), 중앙 고정접점(4), 가동접점(5) 및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포함하고 있다. 돔형상 반전스프링(6)은 고무로 이루어지고, 항상 바깥 둘레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5)의 바깥 둘레가 접촉하도록 끼워 넣는 바깥 둘레부(6a)와, 선택적으로 가동접점(5)에 접촉하는 돌기부(6b)를 구비하고 있다. 또 가동접점(5)은 중앙부근이 설편형상으로 잘라 세워진 금속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설편부가 중앙 고정접점(4)과 접촉·이탈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This 1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housing 1 which comprises a base body, and the planar view shape consists of squares, and the contact part 2 is provided in the housing 1 as shown to FIG. Doing.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has an inclined surface 1a formed from the side to the upper surface. The contact portion 2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3, a central fixed contact 4, a movable contact 5, and a dome-shaped reversing spring 6.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is made of rubber,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a which is always fitt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3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able contact 5 are in contact, and optionally the movable contact 5. The projection part 6b which contact | connects is provided. Moreover, the movable contact 5 consists of the metal plate spring which the center part was cut out in the shape of a tongue piece, and this tongue piece part opposes so that a contact with a center fixed contact 4 can be possible and detachable.

이 돔형상 반전스프링(6)상에는 스템(7)을 배치하고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템(7)은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고,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가압하는 가압부(7a)와, 둘레 측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7b)와,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7c)를 구비하고 있다. The stem 7 is disposed on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As shown in FIG. 4, FIG. 5, this stem 7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1, the press part 7a which presses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and the engaging part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ide part. 7b and the operation part 7c to which external force is provided.

또 하우징(1)의 상면에는, 하우징(1)에 고정되고, 스템(7)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8)을 배치하고 있다. 이 프레임(8)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스템(7)의 조작부(7c)를 돌출시키는 개구(8a)와, 네 모서리의 각각에 형성한 테이퍼부(8b)와, 이들의 테이퍼부(8b)에 형성한 구멍(8c)을 구비하고 있다. Moreover, the frame 8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1 and prevents the stem 7 from coming ou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6, the frame 8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has an opening 8a through which the operating portion 7c of the stem 7 protrudes, and a tapered portion formed at each of four corners. 8b and holes 8c formed in these tapered portions 8b.

상기한 스템(7)의 걸어맞춤부(7b)가 프레임(7)의 하면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스템(7)은 빠짐 방지된다. The stem 7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7b of the stem 7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7.

도 1, 도 3,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네 모서리에 형성한 테이퍼부(8b)의 각각이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형성한 경사면(1a)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네 모서리에 형성한 고정부, 예를 들면 코킹부(1b)에 의하여 프레임(8)이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FIG. 3, FIG. 5, etc., each of the taper parts 8b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frame 8 is suitable for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1a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The frame 8 is fixed to the housing 1 by fixing parts formed at four corners, for example, a caulking part 1b, with the frame 8 arranged on the housing 1.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7은 평면도, 도 8은 정면도, 도 9는 도 7의 A2-A2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2-B2 단면도이다. 7-10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during the manufacture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FIG. 7 is a top view, FIG. 8 is a front view, FIG. 9 is the A2-A2 sectional drawing of FIG. 7, FIG. B2-B2 cross section.

이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사면(1a)의 각각에는 볼록부(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1c)가 프레임(8)의 구멍(8c)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배치한 상태에서, 선단이 테이퍼형상인 펀치에 의하여 볼록부(1c)의 각각이 펀칭된다. 이에 의하여 도 1,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c)의 각각이 변형되고, 상기한 고정부를 구성하는 코킹부(1b)가 형성된다. As shown to these FIGS. 7-10, the convex part 1c is integrally formed i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1a locat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8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using | casing 1 so that these convex parts 1c may be inserted in each of the holes 8c of the frame 8, the front end of the convex part 1c will be settled by the punch which is tapered. Each is punch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FIG. 5, etc., each of the convex parts 1c is deformed, and the caulking part 1b which comprises the said fixed part is 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는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 즉 코킹부(1b)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 예를 들면 경사면(1a)을 하우징(1)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is first embodiment does not protrude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that is, the caulking portion 1b from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housing | casing 1 with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arrangement area | region, for example, the inclined surface 1a to arrange | position.

이 제 1 실시형태는 도시 생략한 키 톱을 수조작으로 가압하면,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스템(7)의 조작부(7c)가 가압되어 스템(7)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돔형상 반전스프링(6)이 휘어져, 그 돌기부(6b)가 가동접점(5)의 설편부에 접촉한 다.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5)을 거쳐 중앙 고정접점(4)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3)이 도통하여, 스위치 온이 된다. 또 스템(7)에 대한 가압을 풀면, 돔형상 반전스프링(6) 및 가동접점(5)의 설편부가 자신이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가동접점(5)이 중앙 고정접점(4)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하여 중앙 고정접점(4)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3)과의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 오프가 된다. In this first embodiment, when the key top (not shown) is pressurized by manual operation, the operating portion 7c of the stem 7 shown in FIGS. 4 and 5 is pressed, the stem 7 moves downward, and the dome shape is reversed. The spring 6 is bent so that the projection 6b contacts the tongue s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5. As a result, the center stationary contact 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tationary contact 3 are conducted via the movable contact 5 to be switched on. When the pressure on the stem 7 is released, the tongue section portions of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and the movable contact 5 are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retained by the stem 7 so that the movable contact 5 is removed from the center fixed contact 4. Falls. This cuts off the center stationary contact 4 and the outer peripheral stationary contact 3, and switches off.

또한 돔형상 반전스프링(6)이 복귀할 때에, 윗쪽으로 되돌려진 스템(7)의 걸어맞춤부(7b)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는 면부의 뒷면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의하여 스템(7)이 빠짐 방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returns, the engaging portion 7b of the stem 7 returned upward is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 This prevents the stem 7 from falling out.

이와 같이 구성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b)가 하우징(1)에 형성한 경사면(1a)에, 즉 하우징(1)의 외형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체의 가로방향의 치수를 하우징(1)의 외형에 따라 규정되는 최소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세로방향의 치수는 코킹부(1b)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템(7)의 조작부(7c)를 가압하는 도시 생략한 키 톱과, 고정부를 구성하는 코킹부(1b)와의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이에 의하여, 스템(7)의 조작부(7c)의 높이치수를 경사면(1a)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킹부(1b)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만큼 낮은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이 푸시버튼 스위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1st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the caulking part 1b which fixes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is located in the inclined surface 1a formed in the housing 1, ie, in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 Therefore, the dimension in the entir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maintained at the minimum dimension defin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 Moreover, since the caulking part 1b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part in which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the longitudinal dimension does not show the key which presses the operation part 7c of the stem 7 There is no fear of causing interference between the saw and the caulking portion 1b constituting the fixing portion. Thereby,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ng part 7c of the stem 7 can be set to the dimension low as corresponded to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aulking part 1b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clined surface 1a. By these, miniaturization of this pushbutton switch can be realized.

또한 코킹부(1b)의 배치영역인 경사면(1a)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코킹부(1b)를 하우징(1)의 측면 및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hape dimensions of the inclined surface 1a, which is an arrangement area of the caulking portion 1b, the caulking portion 1b is formed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1 and from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It can arrange | position so that it may not protrude.

또 프레임(8)의 테이퍼부(8b)를 하우징(1)의 경사면(1a)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프레임(8)을 하우징(1)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tapered portion 8b of the frame 8 on the inclined surface 1a of the housing 1, the frame 8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 whereby the frame 8 is attached to the housing 1. ) Can be fixed stably, and structural reliability can be secured.

또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있어서, 코킹부(1b)에 의하여 프레임(8)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프레임(8)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ame 8 is fixed by the caulking part 1b in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the frame 8 can be fixed firmly, and structural reliability can be ensured also by this.

또 코킹부(1b)의 각각이 하우징(1)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는 것에 공헌한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caulking portions 1b i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1, there is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which contributes to making the manufacturing cost low.

또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구멍(8c)에 하우징(1)에 형성한 볼록부(1c)가 삽입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볼록부(1c)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용이하게 코킹부(1b)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코킹부(1b), 즉 고정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간단하다.7 to 10, the frame 8 is disposed on the housing 1 so that the convex portion 1c formed in the housing 1 is inserted into the hole 8c of the frame 8. By punching the convex portion 1c with a punch, the caulking portion 1b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operation of forming the caulking portion 1b, that is, the fixing portion is simple.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돔형상 반전스프링(6)과 고정접점(3, 4) 사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5)을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대신에 가동접점을 돔형상 반전스프링(6)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 고정접점(4)을 한 쌍 설치하여 접점부(2)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도전성 고무로 형성하고, 바깥 둘레부(6a)를 바깥 둘레 고정접점(3)에 항상 접촉시켜, 돌기부(6b)를 중앙 고정접점(4)과 접촉·이탈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contact 5 made of a metal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and the fixed contacts 3 and 4, but instead of this, The movable contact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and a pair of central fixed contacts 4 may be provided to constitute the contact portion 2. The dome-shaped reversal spring 6 is formed of a conductive rubb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a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fixed contact 3 so that the projection 6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detached from the central fixed contact 4. You may comprise so that.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은 평면도, 도 12는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A3-A3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B3-b3 단면도이다. 11 to 14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FIG. 12 is a front view, FIG. 13 is an A3-A3 sectional view of FIG. 11, and FIG. 14 is a B3-b3 sectional view of FIG. to be.

이 제 2 실시형태는,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하우징(1)에 일체로 형성한 볼록부를 선단이 평탄한 펀치로 변형시킨 코킹부(1d)로 이루어져 있다. 코킹부(1d)의 상면은, 예를 들면 개구(8a)가 형성되는 프레임(8)의 면부와 면 균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This 2nd embodiment consists of the caulking part 1d which deformed the convex part which the fixed part which fixes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 by the flat punch. The upper surface of the caulking portion 1d is set uniformly, for example, with th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8 in which the opening 8a is formed. Other configura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to FIG. 6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한 제 2 실시형태도, 코킹부(1d)를 하우징(1)의 측면 및 개구(8a)가 형성되는 프레임(8)의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소정의 배치영역인 경사면(1a)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2nd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also arranges the caulking part 1d in the inclined surface 1a which is a predetermined | prescribed area | region so that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part of the frame 8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 and the opening 8a are formed. In this way,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 3 실시형태] [Third Embodiment]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는 평면도, 도 16은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A4-A4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B4-B4 단면도이다. 15 to 18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FIG. 16 is a front view, FIG. 17 is a sectional view A4-A4 of FIG. 15, and FIG. 18 is a sectional view B4-B4 of FIG. to be.

이 제 3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오목부(1e)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8)이 네 모서리의 각각에 오목부(1e)에 배치되는 단차부(8d)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recess 1e is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1, and the step 8 in which the frame 8 is disposed at the recess 1e at each of the four corners ( 8d).

하우징(1)의 오목부(1e)의 각각에 프레임(8)의 단차부(8d)가 배치된 상태에 서, 이들 단차부(8d)에 형성된 구멍에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한 볼록부가 각각 삽입되고, 이들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고정부, 즉 코킹부(1f)가 형성된다. Convex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 in a hole formed in these stepped portions 8d in a state where the stepped portions 8d of the frame 8 are disposed in each of the recessed portions 1e of the housing 1. The port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fixed portions, that is, the caulking portions 1f are formed by punching these convex portions with a punch.

이 제 3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오목부(1e)가 코킹부(1f)의 소정의 배치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recessed portion 1e of the housing 1 constitutes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of the caulking portion 1f.

즉, 이 제 3 실시형태도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 즉 코킹부(1f)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오목부(1e)에 의하여 구성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예를 들면 동등하다. That is, this 3rd Embodiment also arrange | positions the fixing part which fixes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ie, the caulking part 1f, is arrange | positioned withou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art in which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Is arranged by the recess 1e. Other configurations are equivalent to, for exampl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 제 3 실시형태도, 하우징(1)의 오목부(1e)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f)를, 하우징(1)의 측면 및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caulking portion 1f for fixing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is form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hape dimensions of the recess 1e of the housing 1. It can arrange | position so that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part in which the side surface and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are formed, and the effect similar to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acquired.

또 프레임(8)의 단차부(8d)를 하우징(1)의 오목부(1e)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프레임(8)을 하우징(1)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stepped portion 8d of the frame 8 in the recess 1e of the housing 1, the frame 8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 whereby the frame 8 is attached to the housing ( It can be fixed stably at 1), and the structural reliability can be secured.

[제 4 실시형태] Fourth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도는 평면도, (b)도는 측면도, (c)도는 정면도이다.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rame provided in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front view.

이 제 4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상면의 4개의 모서리부(1g)의 각각이 프레 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의 소정의 배치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고정부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고, 하우징(1)의 모서리부(1g)의 각각에 박아 넣어지는 쐐기부(8e)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예를 들면 동등하다. In this fourth embodiment, each of the four corner portions 1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 constitutes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of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rame 8 to the housing 1. Moreover, as shown in FIG. 20, the said fixing | fixed part is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frame 8, and consists of the wedge part 8e inserted in each of the corner parts 1g of the housing | casing 1. As shown in FIG.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for exampl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한 제 4 실시형태도,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쐐기부(8e)의 각각을 하우징(1)의 모서리부(1g)의 각각에 박아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부(8e)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Since 4th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also puts each of the wedge part 8e which fixes the frame 8 to the housing | casing 1 in each corner part 1g of the housing | casing 1, The effect similar to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acquired, without the wedge part 8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art in which the opening 8a of the frame 8 is formed.

또 쐐기부(8e)의 각각이 프레임(8)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하여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는 것에 공헌한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wedge portions 8e is integrated with the frame 8, the number of parts is not increased. This contributes to making manufacturing cost low.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하우징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고정부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종래에는 곤란하던 전체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arranging the fixing portion withou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The height dimension of the operating part of the stem can be set as low as the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mension of th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alize the downsizing of the whole, which has been difficult in the past.

Claims (9)

삭제delete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A stem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ressurizing part for urg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ontact part, and a manipula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to give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A frame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he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falling out;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하되,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without arranging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nd the predetermined arranging area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an upper surface thereof.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And the frame has a tapered portion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A stem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ressurizing part for urg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ontact part, and a manipula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to give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A frame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he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falling out;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하되,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without arranging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nd said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comprises a recess formed in said housing.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nd the frame has a stepped portion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housing.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A stem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ressurizing part for urg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ontact part, and a manipula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to give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A frame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he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falling out;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하되,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without arranging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상기 하우징의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상기 고정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 push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housing is viewed in a plan view of the housing and the fixing parts are dispos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le.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A stem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ressurizing part for urg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ontact part, and a manipula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to give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A frame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he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falling out;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하되,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without arranging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상기 하우징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볼록부를 변형시킨 코킹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fixing portion is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aulking portion deformed the convex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And the frame has a hole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movable contact there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A stem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ressurizing part for urg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contact part, and a manipula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to give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A frame fix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tem, the frame preventing the stem from falling out;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하되,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rea for fixing the frame to the housing, without arranging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frame is formed, 상기 고정부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박아 넣는 쐐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The fixed part is formed in the frame, push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edge portion to be embedded in the housing.
KR1020040032228A 2003-05-09 2004-05-07 Push button switch KR1005950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1908 2003-05-09
JP2003131908A JP4189266B2 (en) 2003-05-09 2003-05-09 Push butto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774A KR20040096774A (en) 2004-11-17
KR100595043B1 true KR100595043B1 (en) 2006-06-30

Family

ID=335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28A KR100595043B1 (en) 2003-05-09 2004-05-07 Push button switch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89266B2 (en)
KR (1) KR100595043B1 (en)
CN (1) CN1260754C (en)
TW (1) TWI2347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402B2 (en) * 2007-07-31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EMORY CONTROLLER,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VOLATILE MEMORY SYSTEM
CN102931011A (en) * 2011-08-09 2013-02-13 株式会社Magma Button switch device easy to assemble cover
CN103745851B (en) * 2013-11-25 2018-01-16 上海航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riveting mechanism of square switching round button
JP2017068991A (en) *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Operation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02A (en) * 1997-08-27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ush switch
KR20000053420A (en) * 1999-01-12 2000-08-25 가타오카 마사타카 push butto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02A (en) * 1997-08-27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ush switch
KR20000053420A (en) * 1999-01-12 2000-08-25 가타오카 마사타카 push butto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53420
11067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9266B2 (en) 2008-12-03
JP2004335365A (en) 2004-11-25
TWI234793B (en) 2005-06-21
KR20040096774A (en) 2004-11-17
CN1260754C (en) 2006-06-21
TW200509166A (en) 2005-03-01
CN1574140A (en)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EP2835809B1 (e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KR100235154B1 (en) Push-on switch
US8283587B2 (en) Button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670012A2 (en) Push-on switch
JP2009021155A (en) Push-button switch
KR100595043B1 (en) Push button switch
US7999204B2 (en) Key frame and cover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GB2178237A (en) Push button switch
KR100322772B1 (en) Push button switch
CN114141564A (en) Push-button switch
KR100573544B1 (en) Push button switch
KR930009235B1 (en) Push button switch
JPH04349318A (en) Slide switch and manufacture thereof
JP3900607B2 (en) Push-on switch
JP2008181897A (en) Push-button switch
JP2007200738A (en) Push-button switch
JP2002109999A (en) Push button switch and mobile terminal
JP2007080671A (en) Push-button switch
JP4201682B2 (en) Two-stage push switch
JP4008648B2 (en) Push button switch
JPH02195615A (en) Pushbutton switch
JP2005190812A (en) Two-step push switch
JP2022135624A (en) switch structure
JP3762572B2 (en) Push butt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