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384B1 -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384B1
KR100593384B1 KR1020010078323A KR20010078323A KR100593384B1 KR 100593384 B1 KR100593384 B1 KR 100593384B1 KR 1020010078323 A KR1020010078323 A KR 1020010078323A KR 20010078323 A KR20010078323 A KR 20010078323A KR 100593384 B1 KR100593384 B1 KR 10059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exhaust
vacuum clea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608A (ko
Inventor
양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3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공기를 충분하게 여과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기필터장치는, 구동모터를 내장한 모터하우징과 연통하는 배기공(16)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14)와; 상기 배기공으로 나오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이 비어있는 중공부분(22a)을 구비하는 원통형이고,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22)를 포함하는 필터(20); 그리고 상기 필터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본체(14)의 외측에 체결되고, 필터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을 구비하는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공을 나오는 공기는, 필터부를 원주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필터부와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넓어서, 집진효율이 높아지고, 배기성능도 향상된다.
진공청소기, 배기, 필터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Exhausting filter devic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기필터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기필터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필터부분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본체 16 ..... 배기공
20 ..... 필터 22 ..... 필터부
22a ..... 중공부분 24a, 24b ..... 프레임부
30 .... 커버 32 ..... 통기공
H ..... 모터하우징 M ..... 구동모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배기 부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 본체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필터를 보다 효율적이면 서 대용량의 집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본체(2)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2)의 전방 일측면에는 배기부(6)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상기 배기부(6)는 배기커버(8)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진공청소기의 본체(2)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가 동작하게 되면, 외부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흡입력은, 연결공(4)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호스 및 연장관(도시 생략)을 통하여 흡입부(도시 생략)로 전달된다. 따라서 흡입부는, 방바닥 등에 있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러한 공기는 연장관 및 연결호스를 통하여 진공청소기 본체(2)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본체(2)의 내부에 있는 필터링장치(도시 생략)에 의하여 걸러진다. 이러한 필터링장치는, 싸이클론 방식에 의한 집진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공기는 통과시키나 이물질은 내부에 잔류시키는 종이봉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본체(2)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배기부(6)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배기공(2a)의 외측에는 배기되는 공기를 다시 여과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10)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의 외측에는 커버(12)가 본체(2)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외부 로 배기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10)에 의하여 다시 한번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외측으로 배기된다.
상기 종래의 필터어셈블리(10)를 살펴보면, 외측면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링형상의 프레임(10b)과 상기 프레임(10b)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10a)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10a)는 평면상의 필터재질(예를 들면 종이 등)을, 반지름방향으로 접어서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체(2)의 배기공(2a)을 나온 공기가 상기 필터(10a)를 통과할 때, 항상 동축방향을 따라서 필터링되면서 배기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실질적으로 배기되는 공기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불충분하다. 즉 필터(10a)가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경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10a)는, 공기가 동축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에 일정한 한계가 지적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 본체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충분한 필터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는, 구동모터를 내장한 모터하우징과 연통하는 배기공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배기공으로 나오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이 비어 있는 중공부분을 구비하는 원통형이고,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가 배기공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공에 체결되고, 필터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을 나오는 공기는,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공을 나온 공기는, 필터부의 중공부분에서 외측으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통기공은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공을 나온공기는, 필터부의 외부에서 중공부분으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통기공은 커버의 중심부분에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되는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필터부의 접촉면적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흡진율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진공청소기에서의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20)는 진공청소기 본체(14) 의 배기공(16)으로 나오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필터(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원통상으로 성형되는 필터부(22)와, 상기 필터부(22)의 양측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의 프레임부(24a,2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2)는, 중심부분이 비어있는 중공형 원통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중공부분(22a)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22)는, 길이방향(도면상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원주상에 대하여 복수개의 주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2)는, 비어있는 중심부분에서 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면서 필터링이 수행되는데, 원주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면적이 아주 넓게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22)가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아주 넓게 확보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는데 아주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많은 양의 집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20)는, 외측에서 중공부분(22a)으로 또는 중공부분(22a)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20)의 외측에는 커버(30)가 본체(14)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필터(20)를 본체(14)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 기 커버(30)는 필터(20)를 내측에 개재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품이고, 공기를 외측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32)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배기필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청소기의 본체(14)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는 모터하우징(H)에 의하여 격실된 공간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진공청소기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한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14)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본체(14) 내부에 설치된 필터링장치(도시 생략)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모터하우징(H)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하우징(H)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구동모터(M)를 방열시킨 후, 상기 필터(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모터하우징(H) 내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필터(2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중공부분(22a)으로 유입된다. 상기 중공부분(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22)를 통과하는 방사상의 공기흐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필터부(22)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필터부(22)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질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22)는 충분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배기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20)의 중공부분(22a)에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빠져나온 공기는, 커버(30)의 통기공(32)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14)에서 완전히 외부로 배기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20)의 내부 중공부분(22a)에서 외측으로 공기가 빠져나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30)의 통기공(32)도 가장자리 부분에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22)에서, 외측에서 내부의 중공부분(22a)으로 방사상으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모터하우징(H)을 빠져나온 공기는, 상기 필터부(22)의 외측에서 내부의 중공부분(22a)으로 흐르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22)의 내측 중공부분(22a)에서 상기 커버(30)를 통하여 외부로 공기가 배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30)에 성형되는 복수개의 통기공은, 상기 필터부(22)의 중공부분(22a)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성형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본체(14)와 커버(30)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20)의 필터부(22)를 길이방향의 중심에 중공부분(22a)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터부(22)에는 복수개의 주름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가 배기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넓어지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흡진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어, 진공청소기 자체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동작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구동모터를 내장한 모터하우징과 연통하는 배기공(16)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본체(14)와;
    상기 배기공으로 나오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이 비어 있는 중공부분(22a)을 구비하는 원통형이고,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22)를 포함하는 필터(20); 그리고
    상기 필터가 배기공(16)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공에 체결되고, 필터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을 구비하는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을 나오는 공기는,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을 나온 공기는, 필터부의 중공부분에서 외측으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통기공은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을 나온 공기는, 필터부의 외부에서 중공부분으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통기공은 커버의 중심부분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KR1020010078323A 2001-12-11 2001-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KR10059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323A KR100593384B1 (ko) 2001-12-11 2001-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323A KR100593384B1 (ko) 2001-12-11 2001-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08A KR20030047608A (ko) 2003-06-18
KR100593384B1 true KR100593384B1 (ko) 2006-06-28

Family

ID=2957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323A KR100593384B1 (ko) 2001-12-11 2001-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78B1 (ko) * 2005-05-21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49A (ko) * 1999-09-16 2001-04-06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549A (ko) * 1999-09-16 2001-04-06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08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KR100485695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695537B2 (en) Dust collector with a function of secondary collection
JP2006167708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JP2006204882A (ja) 汚物逆流防止部材を備えた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4167206A (ja) グリル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US11937759B2 (en) Vacuum cleaner
US11873842B2 (en) Air cleaner
KR20040040092A (ko) 진공청소기
KR100593384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장치
KR20050051561A (ko)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KR10065792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식 집진유니트
CN113423993A (zh) 空气净化器
KR20030058054A (ko) 이중 필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0302720Y1 (ko) 진공청소기
KR100459182B1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0174649Y1 (ko) 다용도 청소기
KR100487349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291449Y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링장치
KR20210131673A (ko) 공기 청정기
KR100459181B1 (ko)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
WO2002076276A1 (en) Filtering unit for domestic and/or industrial cleaning machines such as vacuum cleaners or electric brooms, or for air cleaning machines
KR950004663Y1 (ko)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200144975Y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