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221B1 -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 Google Patents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21B1
KR100593221B1 KR1019980710824A KR19980710824A KR100593221B1 KR 100593221 B1 KR100593221 B1 KR 100593221B1 KR 1019980710824 A KR1019980710824 A KR 1019980710824A KR 19980710824 A KR19980710824 A KR 19980710824A KR 100593221 B1 KR100593221 B1 KR 10059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peptide compound
leuprolide
pept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393A (ko
Inventor
신시아 엘. 스티븐슨
스티븐 제이. 프레스트렐스키
Original Assignee
알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자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8071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2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23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정한 제제들은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펩타이드를 함유한다. 이들은 장기간 승온에서 저장될 수 있고, 특히 장기간 약물의 이식가능한 송달 장치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펩타이드 제제{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본 발명은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제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인 펩타이드 화합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참고 :
하기 참고들은 명세서에 관련된 부분에서 괄호([])안에 번호로 표시된다.
1. Zoladex (goserelin acetate implant),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ages 2858-2861 (1996).
2. U.S. Patent No. 3,914,412 (1975년 10월 21일 발행).
3. U.S. Patent No. 4,547,370 (1985년 10월 15일 발행).
4. U. S. Patent No. 4,661,472 (1987년 4월 28일 발행).
5. U. S. Patent No. 4,689,396 (1987년 8월 25일 발행).
6. U. S. Patent No. 4,851,385 (1989년 7월 25일 발행).
7. U. S. Patent No. 5,198,533 (1993년 3월 30일 발행).
8. U. S. Patent No. 5,480,868 (1996년 1월 2일 발행).
9. W092/20711 (1992년 11월 26일 출판).
10. W095/00168 (1995년 1월 5일 출판).
11. W095/04540 (1995년 2월 16일 출판).
12. "Stability of Gonadorelin and Triptorelin in Aqueous Solution", V.J. Helm, B.W. Muller, Pharmaceutical Research, 7/12, pages 1253-1256 (1990).
13. "New Degradation Product of Des-Gly10-NH2-LH-RH-Ethylamide (Fertirelin) in Aqueous Solution", J. Okada, T. Seo, F. Kasahara, K. Takeda, S. Kondo, J. of Pharrnaceutical Sciences, 80/2, pages 167-170 (1991).
14. "Characterization of the Solution Degradation Product of Histrelin, a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LHRH) Agonist", A.R. Oyler, R. E. Naidi, J.R. Lloyd, D.A. Graden, C.J. Shaw, M.L. Cofter,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80/3, pages 271-275 (1991).
15. "Parenteral Peptide Formulation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ive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and Hydrophobic Analogues in Aqueous Solution", M. F. Powell, L. M. Sanders, A. Rogerson, V. Si, Pharmaceutical Research, 8/10, pages 1258-1263 (1991).
16. "Degradation of the LHRH Analog Nafarelin Acetate in Aqueous Solution", D.M. Johnson, R.A. Pritchard, W.F. Taylor, D. Conley, G. Zuniga, K.G. McGreevy, Intl. J. of Phartnaceutics, 31, pages 125-129 (1986).
17. "Percutaneous Absorption Enhancement of Leuprolide", M.Y. Fu Lu. D. Lee, G.S. Rao, Pharmaceutical Research, 9/12, pages 1575-1576 (1992).
18. Lutrepulse (gonadorelin acetate for IV inject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ages 980-982 (1996).
19. Factrel (gonadorelin HCl for subcutaneous or IV inject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ages 2877-2878 (1996).
20. Lupron (leuprolide acetate for subcutaneous inject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ages 2555-2556 (1996).
21. Lupron depot (leuprolide acetate for depot suspens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ages 2556-2562 (1996).
22. "Pharmaceutical Manipulation of Leuprorelin Acetate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H. Toguchi, J. of Intl. Medical Research, 18, pages 35-41 (1990).
23. "Long-Term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s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ssessed by an In-Vitro Bioassay and Liquid Chromatography", Y.F. Shi, R. J. Sherins, D. Brightwell, J.F. Gallelli, D.C. Chatterji,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73/6, pages 819-821 (1984).
24. "Peptide Liquid Crystals: Inverse Correlation of Kinetic Formation and Thermodynamic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 M. F. Powell, J.Fleitman, L. M. Sanders, V. C. Si, Pharmaceutical Research, 11/9,pages 1352-1354 (1994).
25. "Solution Behavior of Leuprolide Acetate, an LHRH Agonist, as Determined by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M.E. Powers, A. Adejei, M.Y. Fu Lu, M.C. Manning, Intl. J. of Pharmaceutics, 108, pages 49-55 (1994).
26. "Preparation of Three-Month Depot Injectable Microspheres of Leuprorelin Acetate Using Biodegradable Polymers", Pharmaceutical Research, 11/8, pages 1143-1147 (1994).
상기 공고,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의 각각의 명세서에는, 각각의 공고, 특허 또는 특허출원에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참고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범위로 그 전부가 참고로 포함된다.
고나도트로핀 유리 호르몬(GnRH)라고도 알려진, 황체 형성 호르몬 유리 호르몬(LHRH)은 하기 구조를 갖는 데카펩타이드이다 :
pGlu-His-Trp-Ser-Tyr-Gly-Leu-Arg-Pro-Gly-NH2.
이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고,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난포 자극 호르몬(FSH)을 유리하는 갑상선에서 수용체와 결합한다. LH 및 FSH 은 생식선을 자극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합성한다. 작동제(agonist)로 작용하는 LHRH 관련 펩타이드 및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는 펩타이드들을 포함하는 LHRH 의 다수의 동족체가 공지되어 있다.[1-15] LHRH 동족체는 전립선암, 양성 전립선비대증,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자궁섬유종, 조숙, 또는 유방암 및 피임과 같은 호르몬 의존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8] 서방성 투여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생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반복 투여한 후 수용체의 허용되는 수를 감소시키는 작동제 LHRH 관련 화합물과, 내인성 LHRH을 영구적으로 저해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투여하여야 하는 길항제 LHRH 관련 화합물 모두에 바람직하다.[8]
약물, 특히 펩타이드 약물의 서방성 비경구적 송달은 많은 장점이 있다. 다양한 약물 또는 기타 유용한 제제의 서방성 송달을 위한 이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장치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034,229 ; 5,057,318 ; 및 5,110,596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의 각각의 명세서가 본 명세서에 참고된다.
일반적으로, LHRH 관련 화합물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경구적 생체이용률은 낮다.[16-17]
비경구적 주사제에 사용되는 LHRH, 이의 동족체 및 관련 화합물의 시판 제제는, LHRH 관련 화합물을 비교적 낮은 농도로(0.05 내지 5 mg/ml) 함유하고, 또한 만니톨 또는 락토오스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용액일 수 있다.[18-20] LHRH 관련 화합물의 상기 제제는 냉동되어야 하거나 짧은 기간 동안 실온에서 저장될 수 있다.
1 내지 3 개월 동안 서서히 방출되도록 투여된 LHRH 관련 화합물의 가능한 저장 제제는, 피하 주사될 실린더(cylinder)로서 존재하는 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D,L-젖산의 기질 중에 분산된 15 % LHRH 관련 화합물로 구성되는 제제[1] 및 D,L-젖산 및 글리콜산 공중합체의 껍질로 둘러싸인 젤라틴 및 LHRH 관련 화합물의 핵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파티클로 구성되는 제제를 포함한다. 이들 마이크로파티클을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하기 위하여 희석제 중에 현탁시킨다.[21, 26] 상기 제품들은 반드시 실온 이하에서 저장되어야 한다. LHRH 관련 화합물의 수성 제제는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조사(irradiation) 후에 분해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12-16, 22-25]
안정(t90 가 약 5 년)할 것으로 알려진 제제는, 실온(25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된, 매우 낮은 농도(25 μg/ml)의 수용성의 완충된(10 mM, 이온 결합도 0.15) 용액이다.[15]
펩타이드의 안정한 제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 펩타이드 화합물의 용액인 안정한 비수성 제제를 제공한다. 특히, 펩타이드 화합물은 약 10 % 이상의 농도로 제제화된다. 이들 안정한 제제들은 승온에서(예컨대 37 ℃) 장기간 저장될 수 있고, 약물을 장기간(예컨대 1 내지 12 개월 이상) 송달하기 위한 이식가능한 송달 장치에서 특히 유용하다.
우선, 본 발명은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를 제공하는데, 이들 제제는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제제는 약 1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제제는 약 1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펩타이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상태의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비수성 제제의 유효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80 ℃에서 2 개월 후 역상 HPLC(RP-HPLC) 로 측정된 디메틸술폭시드(메틸술폭시드 또는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w/w)의 용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크기별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로 주입된 도 1 과 동일한 샘플을 나타낸다. 이 도는 응집이 거의 없고, 응집된 것은 더 높은 차수의 응집물이 아닌 이량체 및 삼량체 물질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도 3 은 디메틸술폭시드(DMSO) 중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40 % 용액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손실을 나타낸 아레니우스 플롯을 나타낸다.
도 4 는 80 ℃에서 6 개월 후의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용액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도해한다.
도 5 는 37 ℃, 50 ℃, 65 ℃ 또는 80 ℃에서 6 개월 후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손실을 도해한다.
도 6 은 37 ℃에서 9 개월 후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의 화학적 안정성을 도해한다.
도 7 은 DMSO 중 펩타이드 류프롤라이드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80 ℃에서 안정성이 증가된 것을 도해한다.
도 8 은 40 % 류프롤라이드-DMSO 제제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80 ℃에서 안정성이 감소된 것을 도해한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난 제제에 있어서, 수분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적 분해 물질이 증가됨을 도해한다.
본 발명은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펩타이드 화합물을 용해시키면 안정한 제제를 생성된다는 우연한 발견의 결과이다. 이미 공지된 펩타이드 화합물은, 낮은 온도에서(4-25 ℃) 저장되어야 하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EDTA 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하는 희석된 완충 수용액으로, 산/염기 촉매화 가수분해, 탈아미노화, 라세미화 및 산화와 같은 분해 과정을 이용한 분해 산물을 형성한다. 반면, 본 발명의 제제는 승온(예컨대, 37 ℃ 내지 80 ℃) 및 고농도에서(즉, 약 10 % 이상) 펩타이드 화합물을 안정화시킨다.
표준 펩타이드 및 프로테인 제제는 희석 수용액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하기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서 약물 안정성을 이룬다 : pH, 완중 형태, 이온 강도, 부형제(EDTA, 아스코르브산, 등). 이들 제제에 있어서, 물을 필요로하는 분해 과정(가수 분해, 탈아미노화, 라세미화)은 완전히 안정화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디메틸 술폭시드(DMSO)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와 같이, 비수성 용액 중에서 제제화된 펩타이드는, 물 중에서 제제화된 펩타이드보다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더 안정함을 알수있다. DMSO 및 DMF 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로 여겨진다. 비양성자성 용매는 분해 반응에 양성자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분해 반응 속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물보다 극성인 용매는(예컨대, 물의 이중 극자 모멘트는 1.85 이고, DMF 는 3.82 이며, DMSO 는 3.96 이다) 속도 결정 단계를 안정화시키고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해 속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총체적 효과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용액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DMSO 및 DMF 과 같은 비수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하여 화학적 및 물리적 분해 모두에 대해서 펩타이드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견은, DMSO 및 DMF을 사용하여, 고농도 및 승온을 포함하는 폭넓은 제제화 조건에서 펩타이드의 총체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서, 다른 것으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는 장기간 이식 장치에 있어서의 펩타이드의 송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실현을 구성한다.
A. 정의 :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화학적 안정성"이라는 용어는, 산화 또는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적 과정으로 제조된 분해 산물이 허용되는 퍼센트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특히, 제제는 37 ℃에서 2 개월 후에 분해 산물이 약 20 % 이하로 형성되면 화학적으로 안정하다고 본다.
"물리적 안정성"이라는 용어는, 응집물(예컨대, 이량체, 삼량체 및 더 큰 형태)이 허용되는 퍼센트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특히, 37 ℃에서 2 개월 후에 응집물이 약 15 % 이하로 형성되면 물리적으로 안정하다고 본다.
"안정한 제제"라는 용어는, 37 ℃에서 2 개월 후(또는 승온에서와 동일한 조건)에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한 펩타이드 화합물이 약 65 % 이상 남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제제는, 상기 조건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한 펩타이드가 약 80 % 이상 남아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안정한 제제는, 멸균 조사(예컨대, 감마, 베타 또는 전자 빔)한 후 분해되지 않는 제제를 의미한다.
"펩타이드" 및/또는 "펩타이드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아미드(CONH) 결합으로 함께 결합된 약 50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동족체, 유도체, 작동제, 길항제 및 이들 중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이 용어에 포함된다. 이 용어는 또한 D-아미노산, 변성, 유도 또는 비자연적으로 발생된 아미노산이 D- 또는 L- 체 및/또는 이들 구조의 일부분으로 펩타이드 유사 단위를 갖는 펩타이드 및/또는 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LHRH 관련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황체형성 호르몬 유리 호르몬(LHRH) 및 이의 동족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미한다. 옥타-, 노나- 및 데카펩타이드 LHRH 작동제 및 길항제는 천연 LHRH 와 같이 LHRH 관련 화합물이라는 용어 속에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LHRH 관련 화합물로는, LHRH, 류프롤라이드, 고세렐린, 나파렐린, 및 기타 공지된 활성 작동제 및 길항제를 포함한다.[1-21]
"고농도"라는 용어는 약 10 %(w/w) 이상 특정 펩타이드의 최대 용해도 이하를 의미한다.
"부형제"라는 용어는, 희석제 또는 운반체로서 가하거나 형태 또는 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가하는 제제 중의 다소 비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부형제는 약물을 제제 중에 용해시키는데 사용되는 EtOH 와 같은 용매, 약물을 제제 중에 용해시키는데 사용되는 Tween 20 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미생물의 성장을 예방 또는 저지하는 벤질 알콜 또는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과 같은 보존제와는 구별된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라는 용어는, 산성 수소를 함유하지 않고 수소 결합 공여체로서 작용하지 않는 극성 용매를 의미한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예는, 디메틸술폭시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헥사메틸포스포로트리아미드(HMPT), 및 n-메틸 피롤리돈이다.
"비수성 양성자성 용매"라는 용어는, 산소 또는 질소에 부착된 수소를 함유하여 수소 결합을 형성하거나 양성자를 공여할 수 있는 비극성 용매를 의미한다. 비극성 양성자성 용매의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s), 프로필렌 글리콜(PG),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메톡시프로필렌 글리콜(MPEG), 글리세롤 및 글리코푸롤이다.
B. 제제의 제조 :
본 발명은 승온에서 장기간 저장에 안정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의 펩타이드 화합물의 비수성 제제를 끌어낸다. 표준 희석 수성 펩타이드 및 프로테인 제제는 완충 형태, 이온 강도, pH 및 부형제(예컨대, EDTA 및 아스코르브산)를 조절하여 안정성을 이루어야할 필요가 있다. 반면, 청구된 제제는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서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성을 이룬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는 고농도(약 10 w/w % 이상) 화합물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는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 화합물의 예로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또는 질환 또는 기타 병리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이들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안지오텐신 I 및 II, 심방성 나트륨 배설증가 펩타이드, 봄베신, 브라디키닌, 칼시토닌, 세레벨린, 디노르핀 A, 알파 및 베타 엔돌핀, 엔도텔린, 엔케팔린, 표피 성장 인자, 페르티렐린, 여포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 유리 펩타이드, 갈라닌, 글루카곤, 고나도렐린, 고나도트로핀, 고세렐린, 성장 호르몬 유리 펩타이드, 히스트렐린, 인슐린, 류프롤라이드, LHRH, 모틸린, 나파렐린, 뉴로텐신, 옥시토신, 소마토스타틴, P 물질, 종양 괴사 인자, 트리프토렐린, 및 바소프레신을 포함한다. 이들의 동족체, 유도체, 길항제, 작동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 및 방법에 유용한 펩타이드 화합물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염은 공지되어 있고, 무기산, 유기산,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은 아세테이트염이다.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될 수 있는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용해도에 따라 유용한 화합물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즉, 화합물은 특정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 허용량 이상으로 용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용해도는 약 10 %(W/W)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한 펩타이드 화합물은 LHRH 관련 화합물로, 류프롤라이드 및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펩타이드의 비율은 화합물, 치료 받을 상태, 화합물의 용해도, 예상되는 용량 및 투여 기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예컨대,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Gilman et al., 7th ed. (1985) 및 Pharmaceutical Science, Remington, 18th ed. (1990)를 참고하며, 이들 발표는 본 발명에 참고로 기재된다). 고농도의 제제 중 펩타이드의 농도는 약 10 %(w/w) 이상 화합물의 최대 용해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약 20 내지 약 60 %(w/w)이다. 현재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약 30 내지 약 50 %(w/w)이고,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약 35 내지 약 45 %(w/w)이다.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된 펩타이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펩타이드 제제의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예컨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DMSO 중의 5, 10, 20 및 40 % 의 류프롤라이드 용액을 주기적으로 샘플을 채취하여 잔류 류프롤라이드의 퍼센트를 분석하면서 80 ℃에서 8 주 동안 저장했을 때, 류프롤라이드를 더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제제가 류프롤라이드를 더 낮은 농도로 함유하는 제제보다 더 안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을 선택된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이라고 생각되는 바람직한 양을 단순히 용해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DMSO 및 DMF 를 포함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 제제 중 함유된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펩타이드의 분해가 증가된다. 이는 주로, 응집물은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남아있으면서 화학적 분해 물질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도 9).
PEG, PG 및 PVP 와 같은 비수성 양성자성 용매를 본 발명의 제제에 선택적으로 가할 수 있음을 또한 발견하였다.
C. 방법 :
본 출원인은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는 제제화될 펩타이드 화합물을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들 펩타이드 화합물 제제, 특히 LHRH 관련 화합물 류프롤라이드의 특정 제제를 승온에서 숙성시키고 이들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여 이들의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표 II 및 도 1,2,4 및 6)는, 이러한 제제들이 37 ℃에서 약 1 년 또는 1 년 이상 저장했을 때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출원인은 또한 2.5 메가래드 감마 조사 후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대로 제조한 펩타이드 화합물 제제의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표 III 에 나타난 결과는, 이들 제제가 상기 조사 후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함을 보여준다.
표 I 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은 다양한 펩타이드 제제, 특히 류프롤라이드, 고세렐린, LHRH, 안지오텐신 I, 브라디키닌, 칼시토닌, 엔케팔린, 인슐린, 뉴로텐신, P 물질, 트립시노겐 및 바소프레신을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DMSO 중에 용해시키고(또는 용해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이어서 이들을 승온에서 숙성시킴으로서 이들의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이들 제제의 안정성을 측정한다. Ea = 22.2 kcal/mole 이라고 가정하여 37 ℃에서의 반감기로서 결과를 표 I 에 나타내었다. 시험된 펩타이드의 다수가 DMSO 중에 용해되었고, 상기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게 남아있었다. 특정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의 특정 펩타이드의 용해도 및 생성된 용액의 안정성을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측정한다.
DMSO 중에 제제화된 펩타이드들의 안정성
제제 반감기*(온도)
40 % 류프롤라이드 29.8 년(37 ℃)
40 % 고세렐린 5.0 년(80 ℃)
20 % LHRH 8.2 년(65 ℃)
20 % 안지오텐신 I 4.2 년(65 ℃)
5 % 안지오텐신 I 4.1 개월(50 ℃)
20 % 브라디키닌 2.9 개월(65 ℃)
40 % 칼시토닌 불용성(80 ℃)
20 % 칼시토닌 2.4 개월(80 ℃)
5 % 칼시토닌 2 개월에 100 % 용해(50 ℃)
10 % 엔케팔린 1.9 개월(80 ℃)
5 % 엔케팔린 2.6 개월(50 ℃)
20 % 인슐린 불용성 겔(65 ℃)
5 % 뉴로텐신 5.0 개월(50 ℃)
5 % P 물질 3.0 개월(50 ℃)
40 % 트립시노겐 불용성 결정/겔(65 ℃/80 ℃)
20 % 트립시노겐 불용성 겔(65 ℃)
5 % 트립시노겐 5.9 개월(50 ℃)
40 % 바소프레신 분해(80 ℃)
20 % 바소프레신 11.8 일(65 ℃)
Ea = 22.2 kcal/mole 이라고 가정했을 때 37 ℃에서의 반감기*
37 ℃, 50 ℃, 65 ℃ 및 80 ℃에서 6 개월 동안 DMSO 중에 저장한 40 % 펩타이드 제제는, 승온에서 이들 제제의 안정성을 나타내면서, 용액으로부터 펩타이드의 전체 손실을 측정하였을 때 비선형 아레니우스 동력학을 나타낸다. 37 ℃에서 수집된 데이터 분석은, t90 은 14.4 개월이고, 37 ℃에서의 안정성은 여전히 매우 우수함을 나타낸다.
온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분해 산물의 비율 및 분해 속도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류프롤라이드- DMSO 제제를 연구함으로서, 65 ℃ 및 80 ℃에서 산화가 주요한 화학적 분해 경로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37 ℃ 및 50 ℃에서는 가수분해 및 이성질체화가 상기 제제에 대한 주요 분해 경로가 된다.
본 출원인은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펩타이드 제제는 세균발육저지(즉, 세균의 성장 저해), 살균(즉, 세균을 죽임), 및 살아포(즉, 아포를 죽임)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특히, 50 내지 400 mg/ml 의 류프롤라이드 제제는 세포발육저지, 살균 및 살아포 작용을 나타낸다. 샘플의 안정성은 세균을 공격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죽고 용균된 세포로부터 유리된 효소는 제품의 안정성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제제들이 효소 활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어떤 펩타이드들, 예컨대 칼시토닌 및 류프롤라이드는, 수용액 중에서 제제화했을 때, 응집되고, 겔화되며, 섬유화되며, 물리적으로 불안정함이 공지되어 있다.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면, 생체이용률, 통증의 완화 및 면역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식가능한 약물 송달 시스템을 사용한 투여 방법을 포함한 비경구 투여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제제화된, 류프롤라이드, 고세렐린 및 칼시토닌과 같은 특정 펩타이드들은 겔화되지 않음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37 ℃에서 12 개월이 지나도 겔화되지 않았다. 이는,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베타 시트 구조로 다시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겔화되지 않는 불규칙적인 코일/알파 헬릭스 형태로 펩타이드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겔화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용매는 겔화 방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용액이 고온에서 장기간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이다. 상기 제제들은 고농도로 사용할 때에도 안정하다. 따라서, 이들 제제들은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장기간 선적 및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은 또한 이식가능한 송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
하기 방법을 후속된 실시예에서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사용한다.
1.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드 용액의 제조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예컨대, St., Louis, Missouri 소재 Mallinckrodt에서 수득)를 중량하고, 적절한 농도로 운반체(DMSO, DMF, DMSO/PEG, DMSO/PG, 또는 DMSO/PVP) 중에 원심 분리 또는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건조 DMSO 라는 용어는 저수분 환경(즉, 건조 N2 대기)에서 제조된 DMSO 제제를 의미한다.
달리 언급된 바가 없으면, 류프롤라이드 유리 염기 함량을 37 ℃에서 유리 염기가 되는 분석 효능값의 검정(certificate of analysis potency values)으로부터 계산한다. 이는 따로 언급된 바가 없으면,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이다.
2. 저장소의 제조
이식 가능한 약물 송달 장치의 저장소(US 특허 제 08/595,761 호에 기재된바와 같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됨)를 적합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채운다. 티타늄 또는 중합체 저장소를 제제로 채우고, 양쪽 끝을 중합체 플러그로 막는다. 충전된 저장소를 폴리포일 백(polyfoil bag)으로 봉합하고 안정성 시험 오븐에 둔다.
상기 장치의 저장소 중에서의 제제를 외부 환경과 완전히 단절시켜야 한다.
3. 역상-HPLC(RP-HPLC)
샘플 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냉동된 오토샘플러(4 ℃)로 농도구배 용리 역상 HPLC 분석을 이용하여, 모든 안정성 시험 샘플을 피크 면적 % 및 류프롤라이드의 농도에 대하여 분석한다.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와 같다.
RP-HPLC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기재 사항 인자
칼럼 HaiSil C18, 4.6×250 mm, S/N 5103051
유속 0.8 mL min-1
주입 부피 20 μL
검출 210 nm
류프롤라이드 보유 시간 25 내지 30 분
이동상 A = 100 mM 인산 나트륨, pH 3.0 B = 90 % 아세토니트릴/물
농도구배 분(min)% B 015 526.5 2526.5 4065 4185 4685 46.115 5015
전형적으로는 0.1 내지 1.2 mg/mL 인, 4 내지 6 종의 상이한 농도에서의, 류프롤라이드 표준(물 중의)을 안정성 시험 샘플과 함께 시험한다. 표준 세트 사이에 40 개 이하의 샘플로 안정성 시험 샘플을 표준 세트로 일괄한다. 틈새 부피(void volume)와 작동 후 45 분 사이의 모든 피크를 적분한다. 류프롤라이드 표준에 대한 적분한 피크 면적을 농도에 대한 함수로 플롯한다. 안정성 시험 샘플에 대한 류프롤라이드 농도를 직선 회귀법(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류프롤라이드 피크에 대한 피크 면적 %, 류프롤라이드 전에 용리한 모든 피크의 총합("기타"라고 라벨링함), 및 류프롤라이드 후에 용리한 모든 피크의 총합("응집물"이라고 라벨링함)을 또한 기록하고 샘플 타임포인트(time point)에 대한 함수로 플롯한다.
4. 크기별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선택된 안정성 시험 샘플을 피크 면적 % 및 냉동된 오토샘플러(4 ℃)로 등용매 용액 SEC 분석을 이용한 분자량으로 분석한다.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을 하기에 기술하였다.
SEC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기재 사항 인자
칼럼 Pharmacia Peptide, HR 10/30, 10×300 mm
유속 0.5 mL min-1
주입 부피 20 μL
검출 210 nm
류프롤라이드 보유 시간 약 25 분
이동상 100 mM 인산 암모늄, pH 2.0, 200 mM 염화 나트륨, 30 % 아세토니트릴
크기별 배제 칼럼에서의 총 부피 및 틈새 부피에는 분자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바이오래드 고분자량 표준(BioRad high molecular weight standard) 및 0.1 % 아세톤을 틈새 부피 및 총 부피를 측정하는데 각각 사용한다. 바이오래드 표준 및 아세톤 피크에 있어서의 제 1 피크에 대한 보유 시간을 기록하고, 하기 식을 이용하여 부피 단위를 전환시킨다. 상기 값들은 특정 SEC 칼럼 및 HPLC 시스템에 일정하기 때문에, SEC 칼럼 및 HPLC 시스템이 변할 때마다 틈새 부피 및 총 부피를 다시 측정하여야 한다. 안정성 시험 샘플을 시험한 후에 표준 시험을 수행한다. 표준 혼합물은 하기 펩타이드의 약 0.2 mg/ml을 함유한다 : 부르신(MW=449), WLFR 펩타이드(MW=619), 안지오텐신(MW=1181), GRF(MW=5108), 및 시토크롬 C(MW=12394). 이들 표준이 선택된 것은 류프롤라이드 분자량을 일괄하고 이들 모두가 류프롤라이드와 유사하게 염기성 pH (9.8 - 11.0)를 갖기 때문이다.
피크 면적 % 은 모든 피크에 대하여 기록한다. 분리된 종(species)에 대한 분자량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Vs = 유속(mL/분) × 샘플 피크 보유 시간(분)
Vo = 유속(mL/분) × 틈새 부피 피크 보유 시간(분)
Vt = 유속(mL/분) × 총 부피 피크 보유 시간(분)
Kd = (Vs-Vo)/(Vt-Vo)
이 때 :
Vs = 표준 또는 샘플 부피
Vo = 틈새 부피
Vt = 총 부피
Vs 를 각각의 펩타이드 표준 피크로 계산한다. 각각의 펩타이드 표준에 대한 Kd 를 미리 측정한 Vt 및 Vo 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Kd-1 에 대한 logMW 의 플롯으로부터 직선형 회귀선(linear regression line)을 사용하여 안정성 시험 샘플에서 각각의 피크에 대한 분자량을 측정한다. 안정성 샘플에 대한 피크 면적 %을 또한 기록한다.
5. 기구 및 재료
RP-HPLC 및 SEC 에 사용된 기구 및 재료는 하기와 같다 :
717 오토샘플러, 626 펌프, 6000S 컨트롤러, 900 포토다이오드 정렬 검출기, 및 414 굴절 인덱스 검출기로 구성되는 Waters Millennium HPLC 시스템(Waters Chromatography, Milford, MA)
48-위 및 96-위에 대한 HPLC 바이알(Waters Chromatography, Milford, MA)
HaiSil C18, 120A, 5μm4.6×250 mm HPLC 칼럼(Higgins Analytical, Mountain View, CA)
Pharmacia Peptide, HR 10/30 SEC 칼럼(Pharmacia Biotech, Piscataway, NJ)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제한하는 방법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촉진화 안정성 연구
운반체 내의 40 % (w/w)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약 37 % 류프롤라이드 유리 염기 당량) 제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식가능한 약물 송달 장치의 저장소에 충전하였다. 모든 저장소는 티타늄으로 제조하였다.
충전된 장치를 오븐 (Precision Scientific 또는 Thelco) 내에서 7 일 동안 승온 (80 ℃) 에서 저장함으로써 숙성을 촉진시켰다. 이는 37 ℃ 에서 약 1.5 년 또는 실온 (25 ℃) 에서 약 4 년에 상응한다.
상기 샘플을 상기한 바와 같은 RP-HPLC 및 SEC 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숙성된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표 Ⅱ 에 나타낸 결과는 상기 제제가 LHRH 관련 화합물 류프롤라이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각 경우에, 65 % 이상의 류프롤라이드가 유지되었다.
80 ℃ 티타늄 저장소 내에서 7 일 후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극성 비양성자성 제제의 안정성
제 제 7 일 후 류프롤라이드 %
DMSO 중 40 % 92
DMSO/PEG (50/50) 중 40 % 90
DMSO/PG (50/50) 중 40 % 86
DMSO/PVP (50/50) 중 40 % 93
DMF 중 40 % 91
건조 DMSO 중 40 % 89
실시예 2
조사(照射)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안정성 연구
DMSO 중의 40 % (w/w)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약물 송달 장치의 저장소에 충전하였다. 모든 저장소는 티타늄으로 제조하였다.
충전된 장치를 코발트 60 을 사용하여 2.5 메가래드 감마 조사된 Sterigenics (Tustin, California), Sterigenics' Tustin Main Cell 내의 "운반 상자 (tote box)" 조사 3-레벨으로 보냈다. 표 Ⅲ 에서, "냉각" 이라고 라벨링된 샘플을 선적하고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조사하였다. 샘플을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숙성을 촉진시킨다. 샘플을 0 일 및 7 일째에 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RP-HPLC 및 SEC 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조사된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표 Ⅲ 에 나타낸 결과는 상기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가 조사(照射) 후에 안정함을 증명한다. 각 경우에, 65 % 이상의 류프롤라이드가 낮은 수준의 응집을 형성하면서 유지되었다.
티타늄 저장소 내에서 2.5 메가래드 감마 조사된 후 40 % (w/w)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극성 비양성자성 제제의 안정성
제제 조사 7 일 후류프롤라이드 % (RP-HPLC) SEC
0 일 7 일
단량체 % 이량체/삼량체 % 단량체 % 이량체/삼량체 %
DMSO중 40% 100 98.1 0.5 97.7 1.9
DMSO중 40% 90 100 0 98.5 1.1
DMSO중 40% 냉각 99 99.1 0.2 98.3 1.4
DMSO중 40% 95 99.1 0.8 95.3 2
DMSO중 40% 비검출 100 0 106.1 0
DMSO중 40% 90 99.4 0.6 99.4 2.2
DMSO중 40% 100 100 0 104 1
DMSO중 40% 88 99.5 0.5 97.7 1.8
DMSO중 40% 83 99.5 0.5 91.7 1.5
실시예 3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촉진화된 장기간 안정성 연구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w/w) 용액을 제조하고, 저장소에 넣고, 80 ℃ 에서 2 개월 동안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도 1 (RP-HPLC) 및 도 2 (SEC) 에 나타낸 결과는 단지 14.6 % 가 화학적으로 분해되고, 5.1 % 가 물리적으로 응집되면서 81.1 % 의 류프롤라이드가 회수되었음을 나타낸다.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하고, 넣고, 80 ℃ 에서 6 개월 동안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도 4 는 류프롤라이드 및 6 개월 시간 경과 후 회수된 그의 화학적 및 물리적 분해 생성물의 플롯으로, 출발 물질인 모든 펩타이드 물질과 80 ℃ 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 상기 제제를 설명하였다. 상기 세가지 요소의 합은 또한 질량 밸런스로 나타낸다. 도 5 는 상기 데이터의 자연로그의 플롯이며, 상기 제제가 시험된 전체 온도 범위에 걸쳐 선형 동력학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조 및 분석된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용액의 화학적 안정성은 도 6 에 나타낸다. 37 ℃ 에서 9 개월 후에, 90 % (93.5 %) 이상의 류프롤라이드가 존재하며, 5 % 미만 (2.9 %) 의 화학적 분해 생성물 (도면에서 "초기" 에 나타남) 및 5 % 미만 (2.3 %) 의 물리적 분해 생성물 (RP-HPLC 구배 기준으로 "말기" 에 나타남, SEC 와 일치하지 않음) 을 갖는다.
DMSO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w/w) 의 용액을 제조하고, 저장소에 넣고, 37 ℃, 50 ℃, 65 ℃ 또는 80 ℃ 에서 저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RP-HPLC 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Physical Pharmacy: Physical Chemical Principles in the Pharmaceutical Sciences, 제 3 판, Martin 등, 14 장 (1983)] 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DMSO 제제로부터의 류프롤라이드의 손실은 비선형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를 하기에 나타내며, 아레니우스 플롯을 도 3 에 나타낸다.
80 ℃ 에서 저장된 DMSO 제제의 아레니우스 플롯이 류프롤라이드의 손실을 비선형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37 ℃ 에서 회수된 안정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37 ℃ 에서 14.4 개월의 상기 제제에 대한 t90 을 계산하였다.
DMSO
Kobs (개월-1) t1/2 (개월)
37 7.29 × 10-3 95.1
50 9.74 × 10-3 71.2
65 2.48 × 10-2 27.9
80 0.108 6.4
Ea = 비선형
실시예 4
DMSO/물 중에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안정성 연구
DMSO, DMSO/물 (95:5, 90:10, 70:30, 50:50 및 30:70) 및 물 중의 40 % 류프롤라이드 제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고, 80 ℃ 에서 7 일 동안 배양하였다. 푸리에 전사 적외 분광법 (FTIR) 분석을 0 일 및 7 일 째에 수행하였다.
결과는 시험된 모든 제제의 숙성이 촉진된 후에, 류프롤라이드의 구조적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구조는 DMSO 제제 중에서 주로 랜덤 코일 또는 α-헬릭스인 한편, 펩타이드 구조는 물 제제 중에서 주로 β 시이트 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실시하기 위한 상기 양태의 변형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기법에 따라 당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기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일례일 뿐이며,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주이다.

Claims (36)

  1. 37 ℃에서 3 개월 이상 안정한, a)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 ; 및 b)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로서, 상기 펩타이드 화합물이 LHRH 관련 화합물인 비수성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1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3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화합물이 류프롤라이드, LHRH, 나파렐린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80 ℃에서 2 개월 이상 안정한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37 ℃에서 1 년 이상 안정한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이식가능한 약물 송달 장치에 사용되는 제제.
  8. 제 1 항에 있어서, 비수성 양성자성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제.
  9. 제 1 항에 있어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DMSO 및 DMF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겔화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제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DMSO 중에 30 % 내지 50 %(w/w)의 LHRH 관련 화합물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제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1 ml의 DMSO 중에 370 mg 의 류프롤라이드의 비율로 류프롤라이드 및 DMSO 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제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조사(irradiation) 후에 안정한 제제.
  14. LHRH 관련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항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1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30 %(w/w)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화합물이 류프롤라이드, LHRH, 나파렐린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비수성 양성자성 용매를 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30 % 내지 50 %(w/w)의 LHRH 관련 화합물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DMSO 중에 용해시키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370 mg 의 류프롤라이드를 1 ml 의 DMSO 중에 용해시키는 방법.
  21. LHRH 관련 화합물인 펩타이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서 완화시킬 수 있는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 1 항의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비경구적 투여인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장기간 연속 투여인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이식가능한 약물 송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가 전립선암이고, 펩타이드 화합물이 류프롤라이드인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80 μg 이상의 류프롤라이드를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3 개월, 6 개월 및 12 개월 중에서 기간을 선택하여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3 개월, 6 개월 및 12 개월 중에서 선택된 기간 동안의 매일 투여가 이식가능한 약물 송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투여인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가 전립선암이고 펩타이드 화합물이 LHRH 길항제인 방법.
  30. 37 ℃에서 3 개월 이상 안정한, a)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 ; 및 b)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로서, 상기 펩타이드 화합물이 LHRH 관련 화합물이고, 상기 제제가 추가된 물을 함유하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인 비수성 제제.
  31. LHRH 관련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제가 추가된 물을 함유하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수성 제제인 제조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비활성 기체의 대기 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건조 질소 대기 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34. 통상적인 세균발육저지제, 살균제 또는 살아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균발육저지, 살균 또는 살아포 작용을 나타내는, a)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 ; 및 b)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로서, 상기 펩타이드 화합물이 LHRH 관련 화합물인 비수성 제제.
  35. 통상적인 세균발육저지제, 살균제 또는 살아포제를 제제에 가하지 않는, LHRH 관련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36 항의 안정한 비수성 제제의 제조방법.
  36. 펩타이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제 36 항의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
KR1019980710824A 1996-07-03 1997-07-01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KR10059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824A KR100593221B1 (ko) 1996-07-03 1997-07-01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22,699 1996-07-03
KR1019980710824A KR100593221B1 (ko) 1996-07-03 1997-07-01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93A KR20000022393A (ko) 2000-04-25
KR100593221B1 true KR100593221B1 (ko) 2007-03-02

Family

ID=4162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24A KR100593221B1 (ko) 1996-07-03 1997-07-01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2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8403A (en) * 1977-11-04 1979-06-06 Christie R B Parsons J A Peptide Compositions
WO1994006452A1 (en) * 1992-09-21 1994-03-31 The Upjohn Company Sustained-release protein formul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8403A (en) * 1977-11-04 1979-06-06 Christie R B Parsons J A Peptide Compositions
WO1994006452A1 (en) * 1992-09-21 1994-03-31 The Upjohn Company Sustained-release protein form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93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547A (en) 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AU737664B2 (en) Non-aqueous protic peptide formulations
US5916582A (e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US6066619A (en) Non-aqueous protic peptide formulations
KR100593221B1 (ko) 비수성극성비양성자성펩타이드제제
AU775395B2 (en) 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KR100594519B1 (ko) 비수성양성자성펩티드제제
KR100517091B1 (ko) 펩티드의수성제제
AU2004242540B2 (e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11

Effective date: 2006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