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111B1 - Spool for a welding wire - Google Patents
Spool for a welding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3111B1 KR100593111B1 KR1020040062512A KR20040062512A KR100593111B1 KR 100593111 B1 KR100593111 B1 KR 100593111B1 KR 1020040062512 A KR1020040062512 A KR 1020040062512A KR 20040062512 A KR20040062512 A KR 20040062512A KR 100593111 B1 KR100593111 B1 KR 100593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ding wire
- spool
- winding
- flange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선 직경의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크고, 권선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단 이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통 형상의 축부(2)와 원통 형상의 권취부(3)와, 이들을 접합하는 중간 리브(4)와, 권취부(3)의 양단부에 입설된 한쌍의 플랜지(5)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일체형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1)에 있어서, 권취부(3)는, 그 주면에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8)을 원주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있고, 이 가이드 홈(8)은 권취부(3)의 폭 방향에 걸쳐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이 가이드 홈(8)을 따라 권취부(3)에 권취된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끼리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가이드 홈(8)끼리가 병렬되어 있고,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3c)는 이러한 가이드 홈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o reducing the weight, the allowable amount for the wire diameter deviation is large, the occurrence of winding disturbance can be suppressed, and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can be increased, and the welding wire spool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tage break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Of a plastic integral type consisting of a cylindrical shaft portion 2 and a cylindrical winding portion 3, an intermediate rib 4 joining them, and a pair of flanges 5 mounted at both ends of the winding portion 3; In the spool 1 for welding wire, the winding part 3 extends the guide groove 8 of the welding wi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main surface thereof, and the guide groove 8 is the width of the winding part 3.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8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neighboring welding wires wound around the winding portion 3 along the guide grooves 8 have a constant distance, and the winding wires are started. The wound portion 3c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s a smooth surface 10 without such a guide groov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ol for welding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가이드 홈의 부분 확대 단면도,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guid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용접 와이어 삽입용 홈 구멍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1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groove hole for welding wire insertion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중간 리브를 나타내는 단면도,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rib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중간 리브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rib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중간 리브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rib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중간 리브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rib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중간 리브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rib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플랜지 루트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lange root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플랜지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ang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플랜지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ange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플랜지 외연부의 일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ange outer edge portion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플랜지 휨량 측정의 실시예을 나타내는 설명도,2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flange deflec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스풀에 따른 축부의 실시예을 나타내는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aft portion according to the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종래의 스풀을 나타내는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ool,
도 26은 종래의 스풀을 나타내는 단면도,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ool;
도 27은 본 발명의 스풀의 사진,27 is a photograph of a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스풀의 사진.28 is a photograph of a s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용접 와이어용 스풀 2, 14 : 축부1: Spool for
3 : 권취부 4 : 중간 리브3: winding part 4: intermediate rib
5 : 플랜지 6 : 보강 리브5: flange 6: reinforcement rib
7 : 홈 구멍 8 : 가이드 홈7: groove hole 8: guide groove
9 : 용접 와이어 10 : 평활한 표면9: welding wire 10: smooth surface
11 : 볼록부 12 : 두께부11
13 : 안내로 16, 17 : 보강 림부13:
본 발명은 용접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용접부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관한 것으로, 권선 프레임으로서 용접 와이어가 다층에 걸쳐 코일 형상으로 감기는 플라스틱제(합성 수지제)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l for a welding wire used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welding wire to a welding portion, wherein the welding wire is a winding frame to a spool for welding wire made of plastic (made of synthetic resin) in which a welding wire is wound in a coil shape over multiple layers. It is about.
주지와 같이, 소모 전극식 아크 용접에서는, 와이어 직경(직경)이 0.6, 0.8, 0.9, 1.0, 1.2, 1.4, 1.6㎜의 이른바 가는 직경의 용접 와이어(솔리드 와이어 또는 플럭스 함유 와이어)가 가장 광범위하게 잘 사용되고 있고, 이 가는 직경의 용접 와이어는 권선 프레임인 합성 수지제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정격 중량(예컨대 20㎏)으로 다층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와이어 송급 장치의 스풀축에 장착되고, 와이어 송급 장치의 작동에 의해 스풀로부터 그 최외측 와이어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풀려 용접 토치로 송급(送給)되어서 용접이 실행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in the consumable electrode arc welding, the so-called thin diameter welding wire (solid wire or flux containing wire) having a wire diameter (diameter) of 0.6, 0.8, 0.9, 1.0, 1.2, 1.4, 1.6 mm is most widely used. It is well used, and this thin diameter welding wire is mounted on the spool shaft of the wire feeding device in a state of being wound in multiple layers at a rated weight (for example, 20 kg) on a spool for a welding wire made of synthetic resin, which is a winding frame, and a wire feeding device. The spool is sequentially released from the outermost wire layer from the spool and fed to the welding torch to perform welding.
용접 와이어용 스풀은, 도 26에 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卷胴部)(101)와, 이 권취부의 양단부 각각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환형의 플랜지부(102)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티렌), ABS 수지(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상기 구조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welding wire spool is basically a
도 26에 도시하고, 용접 와이어(103)가 다층으로 감긴 용접 와이어용 스풀은, 일반적으로 그 권취부의 축 중심선이 수평으로 되는 자세로 와이어 권선 장치, 또는 와이어 송급 장치의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6, the welding wire spool wound by the
이와 같은 합성 수지제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은, 용접 와이어의 자동화된 제조 라인에 있어서, 제조된 용접 와이어를 자동적으로 감을 때에도, 각종 문제가 생기지 않고, 용접 와이어를 정렬하고, 또한 다층에 걸쳐 감을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접 와이어의 정렬된 다층 권선은 스풀로부터 적층된 용접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되감아서 용접 라인에 송급할 때에도, 와이어 송급 불량을 야기하지 않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해진다.Such a synthetic resin spool for welding wires, in the automated production line of welding wires, does not cause various problems even when the manufactured welding wires are automatically wound, so that the welding wires can be aligned and wound over multiple layers. Function is required. And, this ordered multilayer winding of the welding wire becomes very important in order not to cause the wire feeding failure even when sequentially winding the welding wire laminated from the spool and feeding it to the welding line.
제조된 용접 와이어를 자동적으로 감을 때에도,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용접 와이어의 권선 불량이나, 용접 와이어의 송급 불량(되감기 불량)을 야기하는 「단 이탈」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게 된다.Even when automatically winding the manufactured welding wi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winding disturbance of the welding wire.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tage departure" which causes a winding failure of the welding wire and a feeding failure (rewinding failure) of the welding wire.
이 중, 용접 와이어의 단 이탈은, 도 25에 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는 직경의 용접 와이어(103)가 각 층마다 정렬 권선 상태에서 다층으로 권취(이하, 재권선이라고도 함)될 때에, 본래라면 최외측 와이어층의 끝에 있어야 되는 용접 와이어(103b)(도 26에는 예컨대 흑색원으로 나타내는 와이어)가 하방으로 파고 들어가, 한층 이상 내측의 와이어층으로 들어간 상태의 것을 말한다. 이 단 이탈은 제조된 용접 와이어의 권선시의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의 원인으로도 되고, 또한 출하된 스풀의 수송중이나, 용접시의 스풀로부터 용접 와이어의 인출 등에서도 발생한다. 이 단 이탈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는, 용접 와이어에 어떤 원인으로 큰 장력이 걸리는 것 등에 기인하여, 스풀의 플랜지부가 외측으로 무리하게 가압되어 넓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Among these, the stage detachment of the welding wire is performed when the thin
이 때문에, 종래부터 용접 와이어를 정렬하여 감기 위한 스풀 구조의 개선이나, 상기 용접 와이어의 단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풀 구조의 개선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improvement of the spool structure for aligning and winding a welding wire, improvement of the spoo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 detaching of the said welding wire, etc. are variously proposed.
예컨대, 용접 와이어를 정렬 밀착 권선하기 위해서, 상기 도 25나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권취부(101)의 주면(표면)에,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 방지용의 안내 홈(104)이 설치된 스풀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74-35080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76-7299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83-1867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310174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95-12381 호 공보 참조). 이러한 안내 홈은 스풀에 감아야 하는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과 대략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용접 와이어는 이 안내 홈에 삽입되어서 제 1층째가 권취부의 주면을 따라 정렬 밀착 권선되고, 2층째 이후는 밀착 감긴 하층의 와이어 사이에 삽입되어서 밀착 권선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closely align and wind the welding wire, as shown in FIG. 25 and FIG. 26, the
또한, 상기 「단 이탈」의 발생 방지를 목적으로,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플랜지 휨량을 규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 1998-34337 호 공보 참조). 이것은, 스풀의 각 원판 형상 플랜지에 대하여, 그 플랜지 내면의 정격 중량만큼의 용접 와이어가 권취되었을 때의 최외측 와이어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랜지부 수평 자세에서 10㎏의 점하중을 하향으로 걸었을 때의 상기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에 있어서의 플랜지 휨량(δA)을 6㎜ 이하로 하며, 또한 상기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 길이 10㎜당 플랜지 휨량(δB)을 2㎜ 이하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tage breakout", it is proposed to restrict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flange in order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8-34337). This puts a 10 kg point load downward in the horizontal posture of the fla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most wire layer when the welding wire corresponding to the rated weight of the flange inner surface was wound about each disk-shaped flange of the spool. The flange deflection amount δA at the outermost wire layer correspondence position at the time of the measurement is 6 mm or less, and the flange deflection amount δB per 10 mm in the radial length centering on the outermost wire layer correspondence position is 2 mm. It is set to mm or less.
이와 같은 플랜지 휨량으로서,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랜지를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컨대,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34337 호 공보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격 중량(20㎏)만큼의 용접 와이어가 권취되었을 때의 플랜지의 최외측 와이어층 위치 근방에 대응하는 외면 부위에, 타부위보다도 두껍게 된 플랜지 보강부로서의 환형 두께부를 외주를 따라 형성한다.As such a flange deflection amount, in order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it is effective to reinforce the flange.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8-34337, the outer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outermost wire layer position of the flange when the welding wire of the rated weight (20 kg) is wound is formed. An annular thickness portion as a flange reinforcement portion thicker than th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또한,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풀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한쌍의 플랜지끼리를 각각 권취부측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하거나(넘어져들어가게 함), 혹은 플랜지에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 1998-34337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1556548 호 공보 참조). 이들은 와이어 권선시에, 플랜지 상층부로 될수록 플랜지에 걸리는 힘이 커지는 쐐기 효과에 대항하여, 권선후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서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it is proposed to incline (turn over) the pair of opposing flanges in the spool to the inside of the winding part, respectively, or to form a taper on the flang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8-34337,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556548). These are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outer end edge of the flange after the winding, against the wedge effect in which the force applied to the flange increases as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becomes the upper portion during the winding of the wire.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74-35080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76-7299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83-1867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310174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95-12381 호 공보의 원통 형상의 권취부의 주면(표면)에,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의 방지용의 안내 홈이 설치된 스풀은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에 대하여 대응할 수 없고, 이것에 기인하는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없다.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74-35080,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1976-7299,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1983-1867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5-310174,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1995 The spool in which the guide groove for preventing the winding disturbance of the welding wire is provided on the main surface (surface) of the cylindrical winding portion of JP-A-12381 cannot cope with the deviation of the wire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resulting in the welding wire. The winding disturbance of the can not be prevented.
용접 와이어는 신선(伸線) 가공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지만, 그 선 직경의 편차가 비교적 크다. 예컨대, 선 직경의 공칭값이 1.2㎜인 용접 와이어의 경우에, 제조되는 실제의 선 직경은 엄밀히 1.2㎜가 아닐 수도 있고, 어느 정도의 편차가 허용되고 있다. 그리고, 용접 와이어의 제조시에는, 신선 다이스의 마모 등에도 기인하여, 선 직경의 편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한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88.2㎜인 스풀에, 선 직경의 공칭값이 1.2㎜인 와이어를 권선할 때, 실제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 1.21㎜인 경우에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의 권수로 용접 와이어를 수납할 수 없다.Although a welding wir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of wire drawing, etc., the deviation of the wire diameter is comparatively larg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elding wire whose nominal value of the wire diameter is 1.2 mm, the actual wire diameter produced may not be strictly 1.2 mm, and some deviation is allowed.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welding wire, deviation of a wire diameter inevitably arises also due to abrasion of a fresh die | dye, etc.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winding a wire having a nominal value of wire diameter of 1.2 mm to a spool having an interval of 88.2 mm between a pair of flang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between flanges when the wire diameter of the actual welding wire is 1.21 mm Cannot hold the welding wire.
또한, 실제 선 직경이 1.19㎜인 용접 와이어의 경우에는, 홈 피치와의 차이에 기인하여, 플랜지 근방의 턴부에서의 와이어의 권선의 안정성이 불량해진다. 즉, 상기 도 2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째의 말단부에 배치된 와이어(103b)에 권취부(101)의 축 중심을 향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1층째의 말단부에 배치된 와이어(103a)는 2층째의 말단부에 배치된 와이어에 의해 압출되어서, 권취부(10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elding wire having an actual wire diameter of 1.19 mm, due to a difference from the groove pitch, the stability of the winding of the wire at the turn portion near the flange becomes poor. That is,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25, since the force toward the axis center of the winding
이 때문에, 와이어의 권선이 흐트러져 와이어의 권선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와이어의 권선 높이의 편차는 상층이 될수록 심해진다. 종래의 스풀에 있어서는, 공칭값과 실제의 선 직경의 차가 대략 0.0l㎜ 이하이면 권선 흐 트러짐은 발생하지 않지만, 그 이상으로 공칭값과 실제의 선 직경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권선 흐트러짐이 발생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winding of the wire is disturbed, so that the winding height of the wire is not constant. And the deviation of the winding height of this wire becomes so severe that it becomes an upper layer. In the conventional spool,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minal value and the actual wire diameter is approximately 0.0 l mm or less, the winding disturbance does not occur. Howeve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minal value and the actual wire diameter is large, the winding disturbance occurs. Done.
또한,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95-12381 호 공보는 이러한 권선 흐트러짐에 대응하여 권취부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안내 홈이 권취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상기 안내 홈의 홈 피치에 비해 작게 하고 있다. 이로써, 권취부의 단부의 턴부의 홈 피치를 작게 하여, 이 부분에 와이어를 조밀하게 감음으로써, 권선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또한 한편, 중앙부의 안내 홈의 홈 피치를 크게 하여, 이 부분에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를 흡수한다. 이로써, 와이어의 직경의 편차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권선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용접 와이어를 감도록 하고 있다.Further,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5-12381 discloses that the guide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d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groove pitch of the guide groove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winding portion in response to such winding disturbance. Thereby, the groove pitch of the turn part of the edge part of a winding part is made small, and a wire is wound around this part densely, and stabilization of a winding is aimed at.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pitch of the guide groove in the center portion is increased to absorb the deviation of the wire diameter of the wire in this portion. As a result, even when the variation in the diameter of the wire is relatively large, the welding wire is wound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winding disturbance.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공고 제 1995-12381 호 공보와 같은 안내 홈에 의해서도, 선 직경이 가늘고,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가 큰 경우에 대응할 수 없고,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이러한 가이드 홈은 권취부의 주면에 어디까지나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개의 가이드 홈에 가이드된 용접 와이어는 연속해서 권취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선 직경이 가늘고,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가 클수록, 이 이동이 어려워져서,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기 쉽다. 그리고, 이 이동시의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은, 주위를 돈 용접 와이어의 상기 이동 부위가 되는,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에 특히 생기기 쉽다. However, even with guide grooves such as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5-12381,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the case where the wire diameter is thin and the deviation of the wire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is large, and winding disturbance may occur. That is, these guide groove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main surface of the winding part to the last. For this reason, the welding wire guided by one guide groove needs to move to the adjacent guide groove in order to be wound up continuously. At this time, the thinner the wire diameter and the larger the deviation of the wire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the more difficult this movement becomes, and thus the winding is liable to occur. And the winding disturbance of the welding wire at the time of this movement is easy to produce especially in the winding part site | part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tart part used as the said moving site |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elding wire.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34337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2556548 호 공보 등의,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이는 수단은, 확실히 상기 「단 이탈 」의 발생 방지에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이는 수단만으로는 상기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없다. Further, the means for increasing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such a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1998-34337 and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556548, is surely effective in preventing occurrence of the "stage breakout". However, only the means for increasing the bending strength of this spool cannot prevent the winding disturbance of the welding wir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선 직경의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크고, 권선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단 이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not only reduced in weight, but also has a large allowable amount against variations in the wire diameter,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winding disturbance, and can als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and thus the "stage depar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ool for a welding wir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원통 형상의 축부와, 그 외주측에 동심원 형상으로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와, 이러한 축부와 권취부를 접합하는 판 형상 중간 리브와,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입설(立設)된 한쌍의 원판 형상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일체형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중간 리브는 상기 축부 외주로부터 상기 권취부 내주를 향해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스풀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원판 형상 플랜지는 플랜지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되는 두꺼운 보강 리브를, 플랜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권취부는 어느 한쪽의 원판 형상 플랜지측 단부에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용의 홈 구멍을 갖고, 또한 그 주면에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을 원주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있으며, 이 가이드 홈은 권취부의 폭 방향에 걸쳐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이 가이드 홈을 따라 권취부에 권취된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끼리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가이드 홈끼리가 병렬되어 있고, 상기 홈 구멍을 갖는 권취부 부위로서,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는 이러한 가이드 홈이 없는 평활한 표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shaft portion, a cylindrical winding portion located concentric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 plate-shaped intermediate rib join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winding portion, and the winding In an integrated plastic welding wire spool made up of a pair of disk-shaped flanges each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plate-shaped intermediate ribs exten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At the same time, it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is arranged in plur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disc-shaped flange has thick reinforcing rib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an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lange outer surface. It has a structu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said winding part is a welded wire base end in either disk shaped flange side edge part. It has a groove hole for secondary insertion and extends the guide groove of a welding wi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main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guide grooves are provided in the winding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ding portion, The guide groov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neighboring weld wires w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inding pa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tart portion of the welding wire as the winding portion portion having the groove hole is smooth without such a guide groove. It is a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축부, 원통 형상의 권취부, 판 형상 중간 리브, 원판 형상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의 플라스틱제 일체형의 기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중 판 형상 중간 리브나 원판 형상 플랜지의 상기 구성에 의해, 스풀을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굽힘 강도를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lastic integral type of the spool for welding wire, which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haft portion, a cylindrical winding portion, a plate-shaped intermediate rib, and a disk-shaped flange,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late-shaped intermediate ribs and the disc-shaped flanges can not only reduce the spool but als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또한, 상기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에 부가하여, 또한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를 이러한 가이드 홈이 없는 평활한 표면으로 함으로써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의 이동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즉, 가이드 홈에 가이드되어서 권취부 주위로 회전한 용접 와이어는, 상기 평활한 표면 부위에 있어서, 권취부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횡방향 슬라이딩)할 수 있고, 원활하게 이웃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고, 용접 와이어의 연속 또는 자동적인 권선이나 되감기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of the welding wire can be smoothly executed by making the winding po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tart portion of the welding wire and a smooth surface without such a guide groove in addition to the guide groove of the welding wire. That is, the welding wire guided to the guide groove and rotated around the winding portion can slide (lateral sli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ding portion in the smooth surface portion, and can smoothly move to the adjacent guide groove. have. As a result, no winding disturbance occurs, and continuous or automatic winding or rewinding of the welding wire become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을 권취부 주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이 가이드 홈을 따라 권취부에 권취된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끼리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가이드 홈끼리를 병렬한다. 이 1층째의 용접 와이어끼리의 간격은, 1층째의 용접 와이어상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2층째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를, 이 간격을 가이드 홈으로 하여, 정렬(병렬) 권선할 수 있다. 이것은 2층째 이상의 적층의 경우도 동일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when providing the said guide groove in the winding part main surface, guide grooves are paralleled so that neighboring welding wires wound by the winding part may have a fixed space | interval along this guide groove. The space | interval of the welding wire of 1st layer serves as the guide groove of the welding wire wound as 2nd layer on the 1st layer welding wire. Therefore, the welding wire wound to the 2nd layer can be aligned (parallel) winding using this space | interval as a guide groove. This also applies to lamination of the second layer or more.
이에 대하여,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끼리가 일정한 간격을 갖지 않고, 밀착하여 권취된 경우, 1층째의 용접 와이어상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용접 와이어가 권취부 폭 방향으로 넘어가(선 넘음이 생김), 순서대로 정렬(병렬)할 수 없고, 권취부 폭 방향으로 공간이 생기는 등,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이 생긴다.In contrast, as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adjacent welding wires are wou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having a constant interval, there is no guide groove of the welding wire wound as the second layer on the welding wire of the first layer. For this reason, the winding wire of a welding wire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for example, a welding wire may cross over in the winding part width direction (it may cause line crossing), it may not be aligned (parallel) in order, and a space may arise in the winding part width direction.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을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래부터 하기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concretely using drawing.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 from the original,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dd and implement suitably in the range which may be suitable for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and they are all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Included in
(스풀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Spool)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전제로 되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풀(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First, the basic structure of the spool for welding wire which is presupposed i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elow usin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풀(1)은, 예컨대 내경이 52㎜ 내지 53㎜인 원통 형상의 축부(2)와, 그 외주측에 동심원 형상으로 위치하는, 예컨대 외경이 140㎜ 내지 200㎜인 원통 형상의 권취부(3)와, 이러한 축부와 권취부를 접합하는 판 형상 중간 리브(4)와,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입설된, 예컨대 외주 직경이 270 내지 285㎜인 한쌍의 원판 형상 플랜지(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플랜지(5, 5)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87㎜ 내지 90㎜이다.1 and 2, the
축부(2)는 용접 와이어의 권선기나 용접 와이어의 송급기(재권선기)의 지지축(회전축)에 결합되어서 스풀을 회전시킨다. 권취부(3)는 제조된 용접 와이어의 권선에 있어서는, 스풀의 회전에 의해, 그 외주 표면(3a)에 용접 와이어를 정렬 및 다층으로 권취한다. 또한, 권취부(3)는 용접 와이어 공급시의 되감기에 있어서는, 스풀의 회전에 의해 정렬 및 다층으로 권취된 용접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되감아, 용접 장치를 향해 송출한다.The
도 1,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14)는 판 형상 중간 리브(4)의 하나에 상기 원통 형상의 축부(2)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 2 원통 형상의 축부이다. 이 축부(14)는 상기 원통 형상의 축부(2)의 슬립을 방지하여, 스풀의 회전을 보다 정확히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한다.1 and 2,
도 1,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7)는 권취부(3)의 어느 한쪽의 원판 형상 플랜지(5)측 단부에 설치된,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용의 홈 구멍이다. 또한, 참조부호(15a, 15b)는 원판 형상 플랜지(5)에 설치된 용접 와이어 종단부 삽입용의 종단 구멍이다.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있어서는, 이러한 용접 와이어 기단부나 종단부를 삽입하는 구멍이 반드시 설치된다. 이러한 홈 구멍(7)에 삽입된 용접 와이어 기단부는 권취부 내주면측에서 절곡되어 구속된다. 또한, 이러한 종단 구멍(15a, 15b)에 삽입된 용접 와이어 종단부는 플랜지(5) 외면측에서 절곡되어 구속된다.In FIG. 1, FIG. 2, the
종단 구멍(15a, 15b)은 재권선기의 개시단, 종단 구멍 위치 검출 기구에도 의존하지만, 예컨대 자동 재권선기의 위치 결정용으로, 상기 제 2 원통 형상의 축부(14)의 위치에 대하여, 플랜지(5)의 원주 방향의 대략 90° 떨어진 위치의 각 원판 형상 플랜지(5)의 가장자리부 근방 부분에, 상기 보강 림부 및 보강 리브부(후술)를 제외한 부분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대측의 플랜지(5)의 가장자리부 근방의 2개소에도, 종단 구멍(15c, 15d)이 보조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end holes 15a and 15b also depend on the start end of the rewinder and the end hole position detection mechanism. For example, for the positioning of the automatic rewinder, the end holes 15a and 15b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또한, 이러한 종단 구멍(15a 내지 15d)은 플랜지(5)에 간단히 뚫은 구멍이 아니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5)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융기된 두께의 구멍 가장자리 부분을 갖는 스탠드 부착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 운전에 있어서, 용접 와이어 종단부를 기계적으로 종단 구멍에 삽입할 때에, 종단 구멍에 부하되는 응력에 의해, 종단 구멍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종단 구멍이 플랜지(5)에 간단히 뚫은 구멍에서는, 용접 와이어 종단부를 기계적으로 종단 구멍에 삽입할 때에,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Further, these
이러한 축부(2), 권취부(3), 중간 리브(4), 플랜지(5)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풀(1)은, 후술하는 각부의 상세한 구조나 구성을 포함하여,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제작된다.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로는, 스풀에 범용되고 있는, 상기한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티렌), ABS(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 등의 수지가 예시된다. 스풀(1)의 중량은, 예컨대 와이어 직경 1.2㎜, 20㎏ 권선용으로 PP제의 경우 650 내지 700g/개 정도이다. The
이상의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의 기본 구성을 전제로, 이하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각부의 형상, 구성과 그 기술적인 의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spool for welding wire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the shape, structure, and technical significance of each characteristic part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권취부의 가이드 홈)(Guide home of the winding part)
도 1에 있어서, 권취부(3)는, 그 주면(외주 표면)(3a)에,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안내 홈)(8)을 원주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또한, 이 가이드 홈(8)은 권취부(3)의 폭 방향에 걸쳐 다수(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In FIG. 1, the winding
이 가이드 홈(8)은 용접 와이어를 정렬 권선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가이드 홈(8)은 이 가이드 홈(8)을 따라 권취부(3)에 권취된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끼리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정렬 권선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 홈(8)은 이 안내 기능을 갖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나 배열수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다.This
단,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가이드 홈(8)이 권취부(3)의 원주면(원주 방향)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연속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즉 특히,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용의 홈 구멍(7)을 갖는 권취부 부위(3c)로서,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3c)는 소정의 범위에서 적어도, 이러한 가이드 홈(8)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으로 되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이드 홈(8)과 같이, 권취부(3)의 외주면(원주 방향)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된 경우에는, 선 직경이 가늘고,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가 큰 경우에 대응할 수 없고,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권취부의 주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웃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동할 때에는, 용접 와이어는 권취부(3)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평행 이동)하는 움직임을 원할히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 가늘고,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가 클수록, 요철이 연속되는 가이드 홈으로부터 가이드 홈으로의 이 슬라이딩에 의한 이동이 어려워지고,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기 쉽다. 그리고, 이 이동시의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은 권취부(3) 주위로 회전한 용접 와이어의 상기 이동 부위가 되는,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에 특히 생기기 쉽다. As described above, when extending continuously 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ing
이에 반하여, 본 발명과 같이,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3c)를 가이드 홈(8)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으로 한 경우, 이 평활한 표면 부분에 있어서, 일정 장력으로 감기는 용접 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구동력이 부여되어서, 용접 와이어의 권취부(3)의 폭 방향으로의 슬라이딩(평행 이동)을 원활히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 가늘고,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의 편차가 커도, 가이드 홈의 요철이 없는, 평활한 표면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용접 와이어의 원활한 슬라이딩에 대한 악영향은 작아진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ing-up
또한, 이러한 가이드 홈(8)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으로 되어 있는 권취부 부위는, 또한 용접 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용접 와이어의 권취 개시부에 상당하는 권취부 부위(3c) 이외의 권취부 부위에 설치하면 무방하다. 이 예로서, 특히 도 3, 도 4는 상기 권취부 부위(3c) 이외에, 이 권취부 부위(3c)의 위치[권취부(3)의 홈 구멍(7)을 갖는 위치]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떨어진 위치의 각 권취부 부위(3a, 3b)의 표면도 가이드 홈(8)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 가늘거나, 용접 와이어 선 직경의 편차가 큰 것의 악영향을 또한 없앨 수 있다. Moreover, the winding part site | part which becomes the
이러한 가이드 홈(8)이 없는 평활한 표면(10)을 갖는 권취부 부위(3c, 3a, 3b)의 폭(주면 길이)은 용접 와이어의 선 직경이 가늘기나, 용접 와이어 선 직경의 편차가 큰 것의 악영향의 크기에 의해 적절히 설계된다. 또한, 권취부 부위(3c) 이외에 설치하는 권취부 부위(3a 또는 3b)의 수나 위치도 동일하다. 단, 이러한 평활한 표면 부위의 외주면 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크면, 가이드 홈(8)에 의한 용접 와이어의 정렬 안내 효과가 없어져, 전체 원주에 걸쳐 가이드 홈(8)이 없는 권취부와 큰 차이가 없어진다. The width (main surface length) of the winding
(가이드 홈의 구체적인 구성)(Specific structure of guide groove)
도 5 내지 도 10에 가이드 홈(8)의 각종 실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가이드 홈(8)은 공통적으로 권취부(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에 걸쳐 연장하는 동시에, 권취부(3)의 폭방향에 걸쳐 복수개 평행하게 배열하여 설치된, 볼록부(혹은 이랑)(1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5 to 10 sh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이 볼록부(11)의 단면 형상이나,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홈(8)의 단면 형상은, 용접 와이어 조건 또는 용접 와이어의 권선이나 되감기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도 5에는, R(반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평면으로(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In FIG. 5, the cross section (bottom) shape of the
도 6에서는, 정상부가 평탄하고 대략 원호 형상의 능선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R(반원) 형상의 오목면으로 구성되어 있다.In FIG. 6, the cross-sectional (bottom) shape of the
도 7에서는, 삼각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평면으로(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In FIG. 7, the cross-sectional shape (bottom surface) of the
도 8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역삼각 형상의 오목면에 구성되어 있다.In FIG. 8, the cross-sectional shape (bottom surface) of the
도 9에서는, R(반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R(반원) 형상의 오목면에 구성되어 있다.In FIG. 9, the cross section (bottom surface) shape of the
도 10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11)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홈(8)의 단면(저면) 형상은 평면으로(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In FIG. 10, the cross section (bottom) shape of the
단, 이러한 가이드 홈(8)을 권취부 주면에 설치할 때에는, 이 가이드 홈(8)을 따라 권취부(3)로 권취된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9)끼리가 일정한 간격(ℓ)을 갖도록 가이드 홈(8)끼리를 병렬할 필요가 있다. 이 용접 와이어(9)끼리의 간격(ℓ)은, 1층째의 용접 와이어(9)상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의 가이드 홈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2층째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를 이 간격(ℓ)을 가이드 홈으로 하여 정렬(병렬) 권선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2층째 이상의 적층의 경우에도, 하층의 용접 와이어(9)끼리의 간격이 가이드 홈의 역할을 하고, 순차적으로 적층 및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를, 이 간격을 가이드 홈으로 하여 정렬 권선할 수 있다.However, when such a
한편,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9)끼리가 일정한 간격(ℓ)을 갖지 않고, 서로 밀착하여 권취된 경우, 1층째의 용접 와이어(9)상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9)의 가이드 홈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용접 와이어가 권취부 폭 방향으로 넘어가(선 넘음이 생김), 순차적으로 정렬(병렬) 권선할 수 없고, 권취부 폭 방향으로 공간이 생기는 등,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이 생긴다. 이러한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은 2층째 이후의 용접 와이어의 권취에서도 동일하게 생긴다. 이와 같이, 1층째의 이웃하는 용접 와이어(9)끼리의 간격(ℓ)은, 순차적으로 적층 및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의 정렬 권선에 큰 영향을 미친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권취부(3)에 감긴 인접하는 용접 와이어(9)끼리가 일정한 간격(ℓ)을 갖도록, 바꿔 말하면 용접 와이어의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고, 용접 와이어를 정렬 권선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부분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8)[볼록부(11)]의 높이(H)와, 가이드 홈(8)[볼록부(11)]의 피치(P)의 설정이 중요하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hat
통상의 20㎏ 정도의 정격 중량만큼의 용접 와이어를 권취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가이드 홈(8)[볼록부(11)]의 높이(H)가 용접 와이어 선 직경(d)[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용 스풀이 대상으로 하는 표준 용접 와이어 선 직경에 상당하는 정수이다. 이하에는, 이 의미로 간단히 「용접 와이어 선 직경(d)」이라 칭함]의 관계에서, 0.15d≤H≤0.25d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H가 0.15d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 와이어(9)끼리의 간격(ℓ)이 지나치게 작아져, 용접 와이어의 선 넘음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H가 0.25d를 초과하여 커지면, 볼록부(11)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가 주위를 회전했을 때에, 이 높이를 넘어 이웃하는 간격상으로 넘어갈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진다.Assuming that the welding wire is wound as much as a normal rated weight of about 20 kg, the height H of the guide groove 8 (convex portion 11) is the welding wire wire diameter d [the we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teger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welding wire wire diameter for which the wire spool is the target. Hereinafter, in this meaning, simply referred to as "welding wire wire diameter (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0.15d <= H <= 0.25d. When H is less than 0.15d, the space |
또한, 동일하게, 가이드 홈(8)[볼록부(11)]의 피치(P)가 용접 와이어 선 직경(d)과의 관계에서 d≤P≤1.03d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P가 d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 와이어(9)의 정렬 권선 자체가 가능하지 않게 된다. 한편, P가 1.03d를 초과하여 커지면, 용접 와이어(9)끼리의 간격(ℓ)이 지나치게 커져,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가 주위로 회전했을 때에, 이 간격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진다.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P of the guide groove 8 (the convex portion 11) is in the range of d ≦ P ≦ 1.03d in relation to the welding wire wire diameter d. When P is less than d, the alignment winding itself of the
(2층째 권취 가이드용 두께부)(Thickness part for the second-layer winding guid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또한 도 12에 상세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의 2층째 권취 가이드용 두께부(1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두께부(12)는 권취부(3)의 폭 방향 단부로서, 상기 홈 구멍(7)을 설치한 단부와는 반대측의 플랜지(5)측의 단부에 플랜지(5)의 권취부측 루트부를 따라 권취부(3)의 원주 방향에 걸쳐 설치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etailed sectional drawing in FIG. 3 and FIG. 12, the
이 두께부(12)는 도 12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째 권취의 종단인 용접 와이어(9a)의 상방의 2층째 권취의 개시단 위치로, 이어지는 용접 와이어(9b)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9a)에 이어지는 용접 와이어(9b)를 2층째 권취의 개시단 위치로 이동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스풀에, 이러한 가이드용 두께부(12)가 없는 경우, 용접 와이어(9b)가 2층째 권취의 개시단 위치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용접 와이어가 정렬되지 않고, 이 2층째 권취의 개시단 위치상에서 용접 와이어가 몇겹으로 중첩되는 권선 흐트러짐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선단이 가는 주걱 형상의 지그로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용접 와이어(9b)의 2층째 권취 개시단 위치로의 이동을 보조, 도울 필요가 있고, 스풀의 권선을 자동화할 수 없게 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2, the
이와 같은 두께부(12)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가이드용 두께부(12)의 높이(h)와 폭(w)이, 용접 와이어 선 직경(d)과의 관계에서, 높이는 d/2≤h≤dcos30°의 범위이고, 폭(w)은 d/3≤w≤d/2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부(12)의 h가 d/2 미만, 또는 w가 d/3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부(12)의 높이나 폭이 부족하여, 상기 가이드의 역할을 다할 수 없게 되어, 용접 와이어의 선 넘김의 가능성이 높아진다.In order to exhibit the function of the
한편, 두께부(12)의 h가 dcos30°를 초과하여 커지면, 두께부(12)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2층째로서 권취되는 용접 와이어(9b)가 단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두께부(12)의 폭(w)이, d/2를 초과하여 커지면, 역시 상기 가이드의 역할을 다할 수 없게 되어, 두께부(12)상에서 용접 와이어가 몇겹으로 중첩되는 권선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쉽다.On the other hand, when h of the
(용접 와이어용 안내로)(Guide wire for welding wire)
도 1, 도 3, 또한 도 13에 평면도로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용 스풀에 있어서는, 반드시 용접 와이어 기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홈 구멍(7)이 권취부(3)의 어느 한쪽의 원판 형상 플랜지(5) 측단부에 설치된다. 홈 구멍(7)에 삽입된 용접 와이어 기단부는 권취부 내주면측에서 절곡되어 구속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 FIG. 3, and FIG. 13 in a plan view, in the spool for the welding wire, the
이 홈 구멍(7)의 형상은,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통상은 용접 와이어 직경보다도 큰 홈 구멍 폭으로 되는 동시에, 권취부 원주 방향으로 긴(신장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다. 또한, 홈 구멍(7)을 구성하는 측벽도, 수직이 아니라, 플랜지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벽으로 되어도 무방하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weld wire base end, the shape of the
또한, 이 홈 구멍(7)의 전면에, 홈 구멍(7)으로의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권취부 표면으로부터 홈 구멍을 향해서 경사 하강하는 용접 와이어용 안내로(13)도 설치된다. 홈 구멍의 동체측 측면이 플랜지측을 향해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선재의 선단부는 경사면을 따라 플랜지 측면을 향하도록 안내되어서 삽입된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 선단부는 플랜지 측면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홈 구멍(7)에 용이하게 삽입된다.Moreover, the guide path for welding
단, 이와 같이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용의 안내로나 홈 구멍을 구성한 경우, 안내로(13)의 권취부 표면측 기단부(13a), 홈 구멍(7)의 모서리부(7a, 7b)에는, 용접 와이어 기단부 삽입시에 큰 응력이 집중적으로 부하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개소를 기점으로 하여, 스풀의 균열이 생기기 쉽다.However, when the guide path for inserting the weld wire base end or the groove hole is constituted in this manner, the weld wire is formed on the winding end surface side
이러한 기단부(13a), 홈 구멍(7)의 모서리부(7a, 7b)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고, 스풀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평면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여 R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호의 반경(R1)은 0.5㎜≤R1≤0.8㎜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이 0.5㎜ 미만이면,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없고, R1이 0.8㎜을 초과한 경우, 용접 와이어의 안내나 삽입 자체가 어려워진다.In order to prevent such stress concentrations on the
(중간 리브)(Middle rib)
이하에, 중간 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 리브(4)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 외주(2a)로부터 권취부 내주(3b)를 향해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스풀의 축 방향으로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중간 리브(4)가, 도 1, 도 2에서는, 축부(2)의 외주(2a)에 걸쳐, 원주 방향으로 60°의 소정 간격으로 6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리브(4)의 형상 및 분할 구조로 한 것은, 스풀을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의 굽힘 강도 등, 필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스풀에 부하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도 있다. Below, the preferable Example of an intermediate rib is described. 1 and 2, the
도 1, 도 2와 같이 중간 리브(4)를 분할하여, 상호간에 공간을 설치하지 않고, 예컨대 중간 리브를 1매(1개)의 판 형상으로 한 경우는, 스풀 경량화가 희생하게 된다. 또한, 중간 리브를 스풀의 직경 방향(플랜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판 형상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스풀의 강도가 희생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중간 리브(4)의 개수는 스풀을 경량화하고 필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 개수가 선택된다. 단, 통상의 20㎏ 정도의 정격 중량만큼의 용접 와이어를 권취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중간 리브(4)의 개수는 4개 내지 12개 정도가 선택된다.The number of
스풀을 경량화하고 필요 강도를 확보하는 중간 리브(4)의 형상으로는, 도 14에 단면도로 기본 형상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2)의 축 방향의 판 폭이 작은 잘록한 부분(4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 도 2의 중간 리브(4)도 이러한 형상을 하고 있다. As the shape of the
이 도 14에서는, 이 밖에 중간 리브(4)가 상기 스풀 폭(a)에 상당하는 판 폭을 갖는, 판 폭 돌출 부분(4b)을 상기 권취부측의 상부에 갖는 실시예도 나타내고 있다. 이 돌출 부분(4b)에 의해,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확보하여, 용접 와이어의 다층 권선시의 내침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돌출 부분(4b)의 스풀 직경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의 돌출 길이(b2)는 0㎜로부터 판 형상 중간 리브(4)의 스풀 직경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b3)까지이다. In addition, in FIG. 14, the Example which has the board | substrate
도 15 내지 도 18에 상기 잘록한 부분(4a)을 갖는 각종 실시예을 단면도로 예시한다. 이들중 어느 형상의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잘록한 부분(4a)의 판 폭(b1)이 상기 한쌍의 원판 형상 플랜지(5)끼리의 간격에 의해 규정되는 스풀 폭(a)의 1/2 이상이고, 스풀 폭(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잘록한 부분의 도면중 상방부의 수평에 대한 경사각(θ)은 5° 내지 90° 미만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15 to 18 illustrate in cross section various embodiments having the
도 15는 잘록한 부분(4a)의 형상이 횡방향의 반원호형 형상, 도 16은 횡방향의 사다리꼴 형상, 도 17은 상기 돌출부(4b)를 설치한 횡방향의 반원호 형상, 도 18은 횡방향의 원호형 형상을 하고 있다. 15 is a semicircular arc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G. 16 is a trapezoidal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G. 17 is a semicircular arc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which the
(플랜지) (flange)
이하에, 플랜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의 한쌍의 원판 형상 플랜지(5)는, 플랜지(5)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두꺼운 보강 리브(6)를 플랜지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플랜지 외면은 원판 부분(5a)과 보강 리브(6)가 교대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을 갖는다. 이 보강 리브(6)는 원판 형상 플랜지(5)를 박형화,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용접 와이어가 적층되는 플랜지 내면측은 보강 리브(6)가 없는 원판 부분으로만 구성된 평활한 면을 갖는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ang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FIG. 2, the pair of disk-shaped
이 보강 리브(6)의 개수는, 상기 효과 발휘를 위해서, 통상의 20㎏ 정도의 정격 중량만큼의 용접 와이어를 권취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1개의 원판 형상 플랜지(5)당, 12개 내지 48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당 보강 리브(6)의 폭도, 동일하게 3㎜ 내지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플랜지 외경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면, 1개당 보강 리브(6)의 폭은 플랜지 외경의 대략 0.01배 내지 0.04배가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플랜지의 루트부)(Root part of flange)
도 19에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5)의 권취부측 루트부(5b)로서, 권취부(3)의 폭 방향 단부와 교차하는 부분은, 원호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랜지(5)의 권취부측 루트부(5b)를 원호로 함으로써 용접 와이어가 플랜지(5)의 내주면을 따르기 용이하게 되고, 용접 와이어를 정렬로 권취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플랜지(5)의 권취부측 루트부(5b)로 부하되는 응력을 분산하고, 응력 집중을 방지하는 동시에, 원호 부분에 판두께가 두꺼워지는 판 두께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플랜지(5)의 권취부측 루트부(5b)의 파손을 방지하고, 플랜지(5)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플랜지(5)의 굽힘 강도가 향상하면, 용접 와이어의 적층에 수반하는 응력 부하에 의한, 플랜지(5)의 외측으로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고, 용접 와이어의 「단 이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by the partial sectional drawing in FIG. 19, as a winding part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권취부(3)의 폭 방향 단부와 교차하는 연직 방향의 원호(R2)가, 용접 와이어 직경(d)과의 관계에서, d/4≤R2≤d/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스풀에서는, R2가 d/4 미만이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한편, R2를 d/2를 초과하여 크게 하면, 오히려 용접 와이어가 원호부에 올라가는 등, 용접 와이어를 정렬 권취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다른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R2를 d/2를 초과하여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xhibit such an effect, the vertical arc R 2 crossing the width direction edge part of the winding
(플랜지의 두께)(Thickness of the flange)
도 20에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5)의 원판 부분(5a)이 플랜지(5)의 직경 방향의 선단부(외연부)로 갈수록 얇게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강 리브(6)가 플랜지(5)의 직경 방향의 선단부(외연부)로 갈수록 두껍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랜지의 두께를, 선단(외연부)과 루트에서 동일 하게 하지 않고, 선단(외연부)과 루트에서 변경한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플랜지(5)를 박형화,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a partial sectional view in FIG. 20, the
(플랜지의 경사)(Slope of flange)
도 21에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5)끼리가 각각 권취부(3)측에 플랜지(5)내 측벽의 각도로, 연직 방향에 대하여 2°이하의 각도(θ)로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수단에 의해, 플랜지(5)의 굽힘 강도는 향상하지만, 조건에 따라서는, 용접 와이어의 권선 후, 플랜지(5)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3㎜ 내지 4㎜ 정도 외측 단부 가장자리가 넓어지는 현상이 생기기 쉽다. 이 외측 단부 가장자리가 넓어지는 현상이 생기면, 정렬 권선된 용접 와이어가, 와이어층중으로 파고드는 단 이탈이 발생한다. 또한, 플랜지(5)의 루트에 큰 힘이 걸려, 스풀 균열의 원인으로 된다. 이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5)끼리가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2°이하의 각도(θ)로 경사(내측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FIG. 21, the
플랜지(5)의 경사 각도가 0° 이하인 경우에는, 플랜지(5)가, 반대로 외측으로, 외측 단부 가장자리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어, 상기 단 이탈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플랜지(5)의 경사 각도가 2°를 초과한 경우, 플랜지(5)의 내측 경사가 지나치게 커져, 용접 와이어의 권선 자체가 어려워진다.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플랜지 외연부)(Flange outer edge)
플랜지의 외연부(직경 방향 선단부, 주연부)(5c)의 형상에 대해서는, 우선 도 22에 부분 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외연부(5c)의 모서리부의 R(반경)이 이 플랜지의 폭(B)과의 관계에서 0.1B≤R≤0.5B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접 와이어의 안정 재권선을 위해서, 플랜지 외연부(5c)의 모서리부에 r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R이 0.1B 미만이면, 재권선중에 용접 와이어가 튀기 쉽다. 한편, 이 R을 0.5 B를 초과하여 크게 할 필요는 없다. Regarding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diamet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다음에, 도 22나 그 밖에 도 1, 도 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외연부(5c)를 따라, 환상의 두꺼운 보강 림부(16)를 갖고, 이 두꺼운 보강 림부(16)의 플랜지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가 이 플랜지의 폭(B)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꺼운 보강 림부(16)를 설치함으로써 플랜지의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두꺼운 보강 림부(16)의 길이(L)가 플랜지의 폭(B) 이상으로 되면, 플랜지 선단(외연부)이 외측으로 확장되기 용이해지고, 오히려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저하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22 and other FIG. 1, FIG. 2, it has the annular thick
또한, 도 1, 도 2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의 루트의 내연부를 따라서도, 환상의 두꺼운 보강 림부(17)를 설치하고, 각 보강 리브(6)와 두꺼운 보강 림부(16)를 서로 연결하여,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1 and 2, the annular thick reinforcing
(플랜지 휨량) (Flange deflection)
이상 설명한 플랜지의 보강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플랜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 때의, 플랜지의 필요 굽힘 강도의 기준으로서의 플랜지 휨량을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의 필요 굽힘 강도의 기준으로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내면에서의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P)에, 플랜지부 수평 자세에서 무게 10㎏(후술하는 정격 중량의 절반)의 C형 추(W)에 의한 점하중을 하향으로 걸었을 때,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P)에서의 플랜지 휨량(δA)이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또한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P)를 중심으로 하여 플랜지 반경 방향 길이 10㎜당 플랜지 휨량(δB)이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하로 한다. The bending strength of a flange is improved by combining suitably the reinforcement means of the flange demonstrated above. The flange deflection amount as a reference for the required bending strength of the flange at that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ference for the required bending strength of the flange, as shown in Fig. 23, the weight of the outermost wire layer corresponding position 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용접 와이어용 스풀의 각 플랜지는 그 기단이 권취부에 고정·지지된 「캔틸레버 빔」이라고 구조적으로는 사료된다. 여기서, 용접 와이어가 다층으로 권취되었을 때, 단 이탈의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플랜지 휨량은 플랜지 기단(루트)보다 선단(외연부)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 내면의, 정격 중량만큼(이 예에서는 20㎏)의 용접 와이어가 권취되었을 때의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P)에서의 플랜지 휨량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플랜지를 수평의 자세로 하여, 소정 무게의 점하중을 하향으로 걸었을 때, 최외측 와이어층 대응 위치(P)(플랜지부에서의 단 이탈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부위)에 있어서의 2종류의 플랜지 휨량(δA, δB)을 상기 값 이하가 되도록 규제하면, 용접 와이어의 단 이탈의 발생이 매우 적어진다. Each flange of the welding wire spool is structurally considered to be a "cantilever beam" whose base end is fixed and supported by a winding-up part. Here, when the welding wire is wound in multiple layers,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flange, which is the cause of end separation, tends to increase as the tip (outer edge) is moved from the flange base (root). Therefore, the amount of flange deflection at the outermost wire layer correspondence position P when the welding wi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by the rated weight (20 kg in this example) is wound is important. Therefore, when the flange is placed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point load of a predetermined weight is applied downward, two types at the outermost wire layer correspondence position P (parts most likely to cause the step detachment from the flange portion). When the flange deflection amounts δA and δB are regula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value, the occurrence of the end deviation of the welding wire becomes very small.
상기 플랜지 휨량(δA)이 6㎜보다 큰 것은 플랜지부 전체로서의 강도가 부족하다. 한편, 플랜지 휨량(δA)이 6㎜ 이하의 것이어도, 상기 플랜지 휨량(δB)이 2.0㎜보다 큰 것은, 플랜지부에서의 상기 최외측 와이어층 위치 근방에서의 국부적인 휨이 크고, 그 스풀에 감긴 정격 중량만큼의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에, 용접 와이어의 단 이탈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If the said flange deflection amount (delta) A is larger than 6 mm, the intensity | strength as the whole flange part will run short.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lange deflection amount δA is 6 mm or less, the flange deflection amount δB is larger than 2.0 mm because the local deflection near the outermost wire layer position at the flange portion is large, When starting to use the welding wire of the rated weight wound up, stage detachment of a welding wire tends to occur and it is unpreferable.
(원통 형상 축부)(Cylindrical shaft part)
도 24에 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의 상기 원통 형상 축부(2)의 축 구멍(2b)에, 축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의 축 방향으로, 축 방향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구멍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하는, 이 테이퍼 각도(θ)를 0.2°≤θ≤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in FIG. 24, the hole diameter increases in the
도 27, 도 28에 본 발명에 의한 스풀의 일례를 사진으로 나타낸다. 이 스풀은, 직경 φ1.2m 와이어의 20㎏ 권선용의 PP제 스풀이고, 스풀 중량은 650 내지 700g/개이다. 27 and 28 show an example of a s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hotograph. This spool is a PP spool for 20 kg winding of a wire of diameter 1.2 m, and the spool weight is 650 to 700 g / pie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할 뿐만 아니라, 선 직경의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크고, 권선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스풀의 굽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단 이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용 스풀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duces the weight, but also allows a large amount of variation in the wire diameter,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the winding disturbance, and increases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oo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ool for a welding wire that can prevent occurrence.
Claims (2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12A KR100593111B1 (en) | 2004-08-09 | 2004-08-09 | Spool for a welding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12A KR100593111B1 (en) | 2004-08-09 | 2004-08-09 | Spool for a welding w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893A KR20060013893A (en) | 2006-02-14 |
KR100593111B1 true KR100593111B1 (en) | 2006-06-26 |
Family
ID=3712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2512A KR100593111B1 (en) | 2004-08-09 | 2004-08-09 | Spool for a welding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31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504Y1 (en) * | 2012-12-18 | 2018-01-16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Bobbin for winding cable or wire |
KR102046710B1 (en) * | 2018-04-04 | 2019-11-19 | 문연시 | Shaft-hole-type submarine cable drum with reinforced support structure of wheel member |
KR102298578B1 (en) | 2020-03-02 | 2021-09-03 | 송호철 | Reel and Manufacturing Jig Thereof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1524U (en) | 1973-11-08 | 1975-06-24 | ||
JPS53113223U (en) | 1977-01-20 | 1978-09-09 | ||
JPH0246785U (en) * | 1988-09-28 | 1990-03-30 | ||
KR920019462A (en) * | 1991-04-29 | 1992-11-19 | 엘리스 에프. 스모리크 | Storage Reel for Weld Wire |
JPH0654671U (en) * | 1992-12-28 | 1994-07-26 | 日鐵溶接工業株式会社 | Spool for winding metal wire |
JPH08169643A (en) * | 1994-12-21 | 1996-07-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pool for welding wire |
JPH0976070A (en) * | 1994-07-14 | 1997-03-25 | Drahtwarenfab Drahtzug Stein Gmbh & Co Kg | Spool for cord or wire, especially welding wire, composed ofmetal, plastic, etc. |
JP2000071071A (en) * | 1998-09-01 | 2000-03-07 | Kobe Steel Ltd | Pulling out jig for spool wound welding wire and pulling out method of spool wound welding wire |
-
2004
- 2004-08-09 KR KR1020040062512A patent/KR1005931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1524U (en) | 1973-11-08 | 1975-06-24 | ||
JPS53113223U (en) | 1977-01-20 | 1978-09-09 | ||
JPH0246785U (en) * | 1988-09-28 | 1990-03-30 | ||
KR920019462A (en) * | 1991-04-29 | 1992-11-19 | 엘리스 에프. 스모리크 | Storage Reel for Weld Wire |
JPH0654671U (en) * | 1992-12-28 | 1994-07-26 | 日鐵溶接工業株式会社 | Spool for winding metal wire |
JPH0976070A (en) * | 1994-07-14 | 1997-03-25 | Drahtwarenfab Drahtzug Stein Gmbh & Co Kg | Spool for cord or wire, especially welding wire, composed ofmetal, plastic, etc. |
JPH08169643A (en) * | 1994-12-21 | 1996-07-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pool for welding wire |
JP2000071071A (en) * | 1998-09-01 | 2000-03-07 | Kobe Steel Ltd | Pulling out jig for spool wound welding wire and pulling out method of spool wound welding w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893A (en) | 2006-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93108A (en) | Bobbin for receiving elongated winding material | |
KR100636489B1 (en) | Ro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 |
US6913145B2 (en) | Welding wire container with ribbed walls and a mating retainer ring | |
US4081151A (en) | Stackable winding cores for magnetic tapes | |
US20140312021A1 (en) | Welding system having a wire-specific interface | |
JP4428652B2 (en) | Insulator, electric motor, and winding method | |
KR100593111B1 (en) | Spool for a welding wire | |
US3334841A (en) | Plastic spool of complementary halves | |
US8678186B2 (en) | Wire payoff brush and container containing a wire payoff brush | |
US20020148925A1 (en) | Reel having deforming engagement of core to flange | |
KR101350909B1 (en) | Winding drum for winding a long object | |
JP2009277802A (en) | Coil component | |
JP2016074435A (en) | palette | |
DE2909502C2 (en) | ||
US2150392A (en) | Reel or spool | |
CN215758987U (en) | End-plate-free precast pile stretch-draw nut positioning device | |
US2092731A (en) | Reel | |
DE60111578T2 (en) | Reel for recording media | |
EP0552724B1 (en) | Magnetic tape cassette | |
US2284426A (en) | Spool | |
JP4686298B2 (en) | Rotating body structure of switchgear | |
JP3378149B2 (en) | Spool for welding wire | |
US20180022571A1 (en) | Reinforced cable spool | |
US4910623A (en) | Magnetic tape cassette | |
JP2535966B2 (en) | Reel of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