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489B1 -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489B1
KR100590489B1 KR1020040018130A KR20040018130A KR100590489B1 KR 100590489 B1 KR100590489 B1 KR 100590489B1 KR 1020040018130 A KR1020040018130 A KR 1020040018130A KR 20040018130 A KR20040018130 A KR 20040018130A KR 100590489 B1 KR100590489 B1 KR 10059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time
mobile communication
time notif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941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4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d) 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잔여 대기 시간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별도의 개인 업무와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서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MS, 대기 시간, 이동 통신 서비스

Description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Method for Notifying Wating Time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의 전송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프레임 내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150, 410 : 이동통신단말기 120, 140, 420 : 무선 접속망
122, 142, 422 : 기지국 전송기 124, 144, 424 : 기지국 제어기
130, 430 : 이동 통신 교환국 132, 432 : 홈 위치 등록기
134, 434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36, 436 : SMS 센터
160, 440 : 망간 연동 장치 162, 442 : WAP 게이트웨이
164, 444 : 인터넷 166, 446 : 공중 전화 교환망
202 : 키 입력부 204 : LCD 표시부
206 : 내부 메모리 208 : 프로그램 메모리
210 : 모드 상태 저장부 212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4 : 마이크로프로세서 216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8 : 베이스 밴드 변환부 220 : RF 신호 처리부
222 : 안테나 224 : 스피커
226 : 마이크로폰 300 : SMS 종류 필드
302 : 텔레서비스 식별자 필드 304 : 착신 주소 필드
306 : 전송 메시지 필드 308, 500 : 메시지 식별자 필드
310, 502 : 사용자 데이터 필드 312, 504 : 메시지 센터 시간 필드
314, 506 : 호출 번호 필드 448 : 대기 시간 알림 서버
508 : 대기 지역 필드 510 : 대기 번호 필드
512 : 대기 시간 필드
본 발명은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대기 시간이 길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대기 번호표의 대기 번호를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 후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 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 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E-mail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 한 대로 문자 메시지 작성, 금융 결제,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무선 인터넷 이용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SMS(SMS : 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유무와 상관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총 80 Byte의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서, 이메일과 달리 송신자의 발송과 동시에 내용이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SMS는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회신 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그 밖에도 문자의 형태로 은행 계정 조회, 송금, 환율 정보, 여행 정보, 교통 정보, 일기 예보, 여가 정보, TV 정보, 뉴스, 주식 정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받아볼 수도 있다. 또한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전자 결제, 전자상거래에까지 활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120, 140), 이동 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4), SMS 센터(136),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160), WAP 게이트웨이(162), 인터넷(164),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66)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는 무선 접속망(120, 140)을 통해서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 통신망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는 구비된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인터넷(164)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 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164)에 접속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무선 접속망(120, 140)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142),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24, 144) 및 중계기(Enhancer : 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무선 접속망(120, 140)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정보, 등록자 정보 및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에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4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 를 기지국 제어기(124, 14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4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4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42)는 GPS(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 14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로 전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 14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 142)를 통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3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 142)를 통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가 핸드오프(Handoff)할 때,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시스템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4, 144)는 기지국 전송기(122, 142)를 제어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 및 기지국 전송기(122, 14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 전송기(122, 142)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 144)는 위치 정보가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며, 기지국 전송기(122, 142)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120)을 송신측으로 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50), 무선 접속망(140)을 수신측으로하여 단문 메시지를 송신측에서 생성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50)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면, 송신측 기지국 제어기(124)는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신측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해 전달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며, 반대로 수신측 기지국 제어기(144)는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측 기지국 전송기(142)를 통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접속망(120, 14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 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166)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무선 접속망(120, 140)을 통해 전달받은 단문 메시지를 SMS 센터(13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다시 SMS 센터(13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아 무선 접속망(120, 14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접속망(120, 140)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정보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통신 교환국(13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4)에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2)에는 통화 대기 중인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4)는 위치 정보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송신의 경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50)로의 수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가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홈 위치 등록기(132)로 통보를 하며 홈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36)는 이동 통신 교환국(130)과 연결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 센터(136)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 통신 가입자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만일 곧바로 송신자가 전송 의뢰한 문자가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50)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송신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센터(136)에 저장된다. 송신자가 전송한 문자를 수신자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센터(136)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혹은 송신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문자는 삭제된다.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160)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망간 연동 장치(160)는 이동 통신 교환국(130)과 직접 연결되어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162)는 유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164)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164)간에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62)는 WAP 프로토콜과 TCP/IP(Transmiss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상호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인터넷(164)에 연결된 웹 서버(미도시)와 WAP 게이트웨이(162) 사이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와 WAP 게이트웨이(162) 사이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WAP 게이트웨이(162)는 WA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웹 사이트 주소(URL) 요청을 HTTP 요청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164)을 통해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웹 서버로부터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요청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62)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컨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로 전달한다. WAP 게이트웨이(162)를 경유한 데이터는 이진 코드로 변환되기 때문에 데이터 양이 적어지고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시 부담이 경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에서, WAP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164)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WAP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텍스트 코드(Text Code)를 그대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고 이를 이 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서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WAP은 모델 설계부터 WAP을 이용할 컨텐츠(Content)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고려해 설계하므로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만 갖고도 인터넷(164)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164)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50)가 이동 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66)은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전화 교환망으로 교환국을 통해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키 입력부(202), LCD 표시부(204), 내부 메모리(206), 프로그램 메모리(208), 모드 상태 저장부(210), 가입자 정보 저장부(212), 마이크로프로세서(214), 디지털 신호 처리부(216),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 RF 신호 처리부(220), 안테나(222), 스피커(224), 마이크로폰(226)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202)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특수키를 가지고 있다. 특수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
Figure 112004011052591-pat00001
' 키나 여러 가지 다양한 키로 구현할 수 있다.
LCD 표시부(204)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단문 메시지 작성시 메시지 작성 창을 띄워 사용자가 작성하는 메시지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LCD 표시부(204)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메모리(206)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 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RAM으로 로딩(Loading)되어 구동된다. EEPROM에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기타 저장용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이름, SMS 메시지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초기화되면, 내부 메모리(206)에 있는 NAM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08)는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문자 작성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문자 작성 메뉴를 선택하면 문자 작성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단문 메시지 작성에 필요한 창을 LCD 표시부(204)에 표시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210)는 키 입력부(202)에 의해 선택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착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210)를 갱신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2)에는 MIN, ESN, 개인 보안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212)는 카드 형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의 슬롯(Slot)(미도시)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SIM 카드라고도 하는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SIM 카드 이외에도 각종 IC 카드도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카드가 아닌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칩에 가입자 정보 저장부(212)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 저장부(212)에는 최종 통화량 및 통화 요금, 발신 통화량, 총 통화량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4)는 모드 상태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4)는 내부 메모리(206)에 탑재된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 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프로그램 메모리(208)에 탑재된 문자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운로드받은 동영상, 정지화상, MP3 등의 각종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208)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14)는 LCD 표시부(204)로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다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그램 메모리(208)로부터 문자 작성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키 입력부(202)로부터 단문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아 이를 LCD 표시부(204)에 표시하며, 단문 메시지가 작성되면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로 전송하는 총체적인 역할을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2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16)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와 음성 데이터(Speech Data)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는 RF 신호 처리부(22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16), 스피커(224) 및 마이크로폰(226)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는 단문 메시지를 RF 신호 처리부(220)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20)의 전력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20)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220)는 안테나(222)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 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22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8)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226)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도 3은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의 전송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 메시지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단문 메시지의 전송 프레임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종류를 표시해주는 SMS 종류(SMS Type) 필드(300), 서비스 번호를 표시해주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ID : Teleservice Identification) 필드(302), 단문 메시지를 전달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표시해주는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 필드(304), 메시지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전송 메시지(Bearer) 필드(306)로 구성된다.
SMS 종류 필드(300)는 통상 8bit로 구성되어 3가지로 구분되는 메시지 종류를 표시한다. SMS의 종류로서는, SMS Point-to-Point, SMS Broadcast 및 SMS Acknowledge가 있으며, SMS Point-to-Point는 일대일의 형태로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만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통상적으로 '00000000'으로 설정되어 있다. SMS Broadcast는 방송형 메시지로서 한 곳에서 여러 곳으로 전달되는 일대다 방식의 메시지로서, 이 메시지를 받을 권한이 있는 사용자 모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이며, 통상적으로 '00000001'로 설정되어 있다. SMS Acknowledge는 회신 메시지로서, SMS Point-to-Point의 형태로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변을 보내는 메시지로서, 통상 적으로 '00000010'으로 설정되어 있다.
텔레서비스 식별자 필드(302)는 단문 메시지의 서비스 번호를 표시해주는데, 서비스 번호는 단문 메시지의 성격을 포함한다. 예로써, TID : 4097은 전달된 단문 메시지가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호출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TID : 4098은 텍스트 메시지, TID : 4099는 음성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착신 주소 필드(304)에는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저장된다.
전송 메시지 필드(306)에는 송신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려는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된다. 전송 메시지 필드(306)는 그 하부에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 필드(308), 사용자 데이터 필드(310), 메시지 센터 시간 필드(312) 및 호출 번호 필드(314)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식별자 필드(308)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의 구분을 위해서 사용되는 필드이다. 그리고 메시지의 구분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필드를 '0x0000'로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ACK(Acknowledge)가 필요한 메시지, 즉 SMS의 종류 필드에 '00000010'로 설정되어 있는 새로운 메시지가 전송될 때마다 메시지 식별자 필드를 증가시켜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 필드 값이 재사용되지 않도록 하여 구별한다.
사용자 데이터 필드(310)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사용자 데이터 필드(310)에 포함되는 내용의 용량은 총 80 Byte까지 가능하다.
메시지 센터 시간 필드(312)는 SMS 센터에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메 시지를 전송한 시간을 저장하는 필드이다. 메시지 센터 시간 필드(312)는 총 8 by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6 byte가 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연, 월, 일, 시, 분, 초를 나타내는 데 각각 1 byte가 소요되고, 각각의 byte는 4 bit로 나뉘어져 2자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로서, 93년이라면, 메시지 전송시 해당 년도를 표시하는 1 byte는 4 bit씩 2개로 나뉘어져 각각 9를 나타내는 '1001', 3을 나타내는 '0011'이 되어 93년은 '10010011'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다른 월, 일, 시, 분, 초도 표시하여 SMS 센터로부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호출 번호 필드(314)는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단문 메시지는 전술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메시지가 이동 통신망을 거쳐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면, 메시지 내용은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곧바로 표시된다.
사람들이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방문해서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대기 번호가 찍힌 대기 번호표를 대기 번호표 발급기에서 뽑은 후 자신의 대기 번호가 호출 될 때까지 대기실에서 차례를 기다렸다가 업무를 처리한다. 하지만,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서 업무가 집중되는 시기에는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많은 시간을 대기실에서 지루하게 기다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을 도로변 또는 갓길에 임시 주차한 후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 잠시 들러서 업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상 보다 대기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임시 주차에 신경쓴 나머지 업무를 원할히 처리하지 못하고 심리적으로 불안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기 번호표의 대기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로부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d) 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따르면,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 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을 거쳐 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시간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고자하는 장소를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d) 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과 유사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410),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420), 이동 통신 교환국(4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432),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434), SMS 센터(436),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440), WAP 게이트웨이(442), 인터넷(444),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446) 등을 포함하지만, 추가로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를 포함한다.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인터넷(444)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와 접속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위치, 명칭 및 각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포 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에 제공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가 이동 통신 단말기(410)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첫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GPS(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GPS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둘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이동통신 교환국(430)에 등록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셋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410) 사용자는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위치, 명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탑-다운 방식으로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기(410)가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대기 번호, 대기 번호를 전송한 전송 시각 및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의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여 대기 장소의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컴퓨터 언어로 코딩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410)에 디스플레이된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메뉴 형태의 정보 중에서 잔여 대기 시간을 알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고,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대기 번호를 입력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로 전송하면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관을 입력값으로 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와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로 전송된 대기 번호 및 대기 번호가 전송된 시각을 토대로 대기 장소의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1회 또 는 수회에 걸쳐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프레임 내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프레임 내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포맷은 도 3에 도시된 단문 메시지 프레임과 유사하게 메시지 식별자 필드(500), 메시지 센터 시간 필드(504), 호출 번호 필드(506)를 포함하지만, 사용자 데이터 필드(502)는 대기 지역 필드(W_Area)(508), 대기 번호 필드(W_Number)(510), 대기 시간 필드(W_Time)(512)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총 80 byte의 크기를 가지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502)는 대기 지역 필드(W_Area)(508), 대기 번호 필드(W_Number)(514), 대기 시간 필드(W_Time)(512) 를 포함한다.
대기 지역 필드(W_Area)(508)는 20 Byte로 구성되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기관명이 저장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기관명을 대기 지역 필드(W_Area)(508)에 세팅한다.
대기 번호(W_Number) 필드(510)는 2 Byte로 구성되며, 0 내지 9999까지의 번호를 세팅할 수 있다. 즉,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대기 번호를 대기 번호 필드(510)에 세팅한다.
대기 시간(W_Time) 필드(512)는 2 Byte 내지 4 Byte로 구성되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계산된 잔여 대기 시간이 세팅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와 접속한 후,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면,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 후 대기 시간 필드(512)에 잔여 대기 시간을 세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444)에 접속한 후,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접속한다(S600).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4)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무선 접속망(420)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위치가 표시된 메뉴를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자신이 위치한 기관이 표시된 메뉴를 선택한다(S602).
단계 S602 이후,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는 대기 번호 입력 창이 로딩되고, 대기 번호 입력창에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대기 번호를 입력한다(S604).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데이터베 이스의 해당 기관의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이동 통신 단말기(410)가 전송하는 대기 번호, 대기 번호를 전송한 전송 시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다(S606).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SMS 센터(436)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SMS 센터(436)는 대기 지역, 대기 번호,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1차 전송한다(S608).
단계 S608에서 1차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실패하면, SMS 센터(436)는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610).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하여 SMS 센터(436)로 전송하면, SMS 센터(436)는 2차 단문 메시지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한다(S612).
단계 S612에서 2차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실패하면, SMS 센터(436)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614).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와 접속하면 도 7A 화면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표시부에 초기 화면이 로딩된다.
도 7B 화면은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가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가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GPS(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GPS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둘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이동통신 교환국(430)에 등록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을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셋째,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410) 사용자는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의 위치, 명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 중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기관을 선택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번호 입력창이 로딩된다.
도 7C에 도시된 대기 번호 입력창에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대기 번호를 입력하면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로 대기 번호, 대기 번호를 입력한 시각이 전송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10) 사용자가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기관의 대기 시간을 계산하여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에서 생성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SMS 센터(436)로 전송되고, SMS 센터(436)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대기 시간 알림 서버(448)는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를 재생성하여 SMS 센터(436)로 전달하면, SMS 센터(436)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7A 내지 7E에서 설명한 화면은 하나의 예시 화면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화면을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 방문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대기 번호표를 소지한 채로 대기실에서 차례를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잔여 대기 시간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별도의 개인 업무와 은행, 병원, 공공 기관 등에서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1)

  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 형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d) 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상기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명칭 및 상기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대기 번호, 상기 대기 번호를 전송한 전송 시각 및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여 대기 장소의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컴퓨터 언어로 코딩되어 있으며,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GPS(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을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세팅되는 대기 지역 필드;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상기 대기 번호가 세팅되는 대기 번호 필드; 및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저장되는 대기 시간 필드
    중 전부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 림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지역 필드는 20 Byte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번호 필드는 2 Byte로 구성되며, 0 내지 9999까지의 번호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필드는 2 Byte 내지 4 Byte로 구성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서 계산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명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번호 입력 창에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 후,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15. 삭제
  16.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을 거쳐 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시간 알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GPS(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등록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을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대기 번호, 상기 대기 번호를 전송한 전송 시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컴퓨터 언어로 코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세팅되는 대기 지역 필드;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상기 대기 번호가 세팅되는 대기 번호 필드; 및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저장되는 대기 시간 필드
    중 일부나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지역 필드는 20 Byte 내외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번호 필드는 2 Byte 내외로 구성되며, 0 내지 9999까지의 번호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필드는 2 Byte 내지 4 Byte로 구성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서 계산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상기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2. 삭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및 상기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명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면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27. 삭제
  28. 삭제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센터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0.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장소를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d) 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상기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명칭 및 상기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대기 번호, 상기 대기 번호를 전송한 전송 시각 및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기관의 월별, 일별, 시간대별로 수집된 대기 시간에 대한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여 대기 장소의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컴퓨터 언어로 코딩되어 있으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 구비된 각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위치, 명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검색된 결과를 메뉴 형태의 정보로 제공받으며,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대기 시간 예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잔여 대기 시간을 계산한 후,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세팅되는 대기 지역 필드;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상기 대기 번호가 세팅되는 대기 번호 필드; 및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저장되는 대기 시간 필드
    중 전부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지역 필드는 20 Byte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역의 은행, 병원, 공공 기관의 기관명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번호 필드는 2 Byte로 구성되며, 0 내지 9999까지의 번호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필드는 2 Byte 내지 4 Byte로 구성되며,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에서 계산된 상기 잔여 대기 시간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번호 입력 창에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대기 시간 알림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40. 삭제
  41. 삭제
KR1020040018130A 2004-03-17 2004-03-17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KR10059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130A KR100590489B1 (ko) 2004-03-17 2004-03-17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130A KR100590489B1 (ko) 2004-03-17 2004-03-17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41A KR20050092941A (ko) 2005-09-23
KR100590489B1 true KR100590489B1 (ko) 2006-06-19

Family

ID=373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130A KR100590489B1 (ko) 2004-03-17 2004-03-17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2707B (zh) * 2010-06-25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自动纠正短消息中心号码的方法和短消息发送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941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70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101777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EP1191805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database, and method
JP2002532796A5 (ko)
JP4220394B2 (ja) 電子的フォームを記入するための移動端末及びプロバイダ
KR10126234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맞춤형 피오아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2005516545A5 (ko)
KR100590489B1 (ko) Sms를 활용한 대기 시간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40052132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가맹점 멤버쉽 프로그램 다운로드방법 및 시스템
KR100466858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번호 원격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8955A (ko) 위치 기반 지능형 캐릭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5047B1 (ko) 무선 이동 통신 기반 위치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5213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04384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모임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03183B1 (ko) 비밀 번호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35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활용한 계좌 거래 통지 서비스 방법
KR20040039659A (ko) Sms를 이용한 은행번호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551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40091416A (ko) 수신자 부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68621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2833A (ko) 단축 코드를 이용하는 sms 동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01966B1 (ko) 다중수신자 지정메시지 발송시스템 및 방법
KR10108766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