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107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0107B1 KR100590107B1 KR1020040066651A KR20040066651A KR100590107B1 KR 100590107 B1 KR100590107 B1 KR 100590107B1 KR 1020040066651 A KR1020040066651 A KR 1020040066651A KR 20040066651 A KR20040066651 A KR 20040066651A KR 100590107 B1 KR100590107 B1 KR 100590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or
- battery
- unit cel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개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별전지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연결작업 및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선단이 상기 단위전지의 일측 단자에 고정 설치된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large capacity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batteries, so as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connection and replacement work 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dividual cells,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each unit In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the connector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is fixed to the terminal of the one end of the unit battery.
단위전지, 연결구, 용접, 단자, 너트Unit battery, connector, welding, terminal, nu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이루는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constitu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모듈 조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ssembled state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출력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단위 전지간 연결구조를 개선시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unit cells in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battery.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Recently,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electrolyte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has been developed, and a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igh output secondary batteries in series to be used in a device requiring a large powe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Done.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출력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페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one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modu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out) is made of a plurality of high-output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cel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out) connected in series. Each unit cell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 case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being sealed to the outside of the cap assembly. And a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전지(111)의 캡 조립체(1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111)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115)와 양극단자(114)간에 너트(117,118)를 매개로 연결구(116)를 연결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order to configure the
즉, 각 단자(114,115)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에 일차적으로 너트(117)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117) 위에 일측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와 다음 단위전지(111)의 음극단자(1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116)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116) 위에 다시 너트(118)가 체결되어 연결구(116)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That is, each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개별 단위 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 연결구를 연결시키기 위해 하나의 단 위 전지 당 네 개의 너트를 각 단자에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of one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several to many dozen individual unit cells, four nuts per unit cell must be fastened to each terminal to connect the connector. This is a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problem.
또한, 일부 개별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또 많은 수의 너트를 풀어 주어야 하고 다시 체결해야 하므로 유지 관리 역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In addition, maintenance of the individual battery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because a large number of nuts must be loosened and re-fastened in order to replace them.
또한, 각 단자와 연결구 간의 접촉면적이 적어 전기 전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진동 발생시 연결구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가 풀려 전지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terminal and the connector is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t holding the connector is loosened when the vibration occurs to lose the function of the battery.
특히,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이나 EV(전기 자동차)를 포함하여 모터를 사용하는 대용량 이차 전지의 경우 단위전지의 개수가 수십 개에 이르므로 상기한 문제가 더욱 커지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using a motor including a HEV (hybrid electric vehicle) or an EV (electric vehicle), the number of unit cells reaches several dozen, thereby increas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개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별전지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연결작업 및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large capacity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ells,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dividual cells is required for the connection and replacement work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save time and effort.
또한, 본 발명은 각 단위전지 연결시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전기 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increa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terminal when connecting each unit cel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위전지와 단위전지를 전기적으 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간의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일측 단위 전지의 단자에 용접 고정된 것을 그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odule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in the gist of the connector that connects the terminals between the unit cells is welded fixed to the terminal of one side unit battery d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단위전지의 단자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 선단이 상기 단위전지의 단자에 고정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To this end,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nnec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the terminals of the unit cell, the conn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terminal of the unit cell.
이에 따라 연결구를 매개로 이웃하는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구가 이미 일측 단위전지의 단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구의 나머지 한쪽 선단만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단자에만 연결하는 것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electrically connecting neighboring unit cells through the connector, the connector is already fixed to the terminal of one unit cell, so only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ill be.
상기 연결구는 전기를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구조물로,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단자간 간격에 맞춰 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connector is a plate structur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the hol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neighboring unit cells to be fitted to the cathode terminal or the cathode terminal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and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of one unit cell It has a structure formed at each end.
그리고 상기 연결구의 일측 선단과 단자와의 고정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단위전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놓여져 용접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ne end of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terminal is preferably made by wel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ing is fixed by being 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nit cell.
또한, 상기 연결구의 타측 선단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단자에 너트를 매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is preferably fixed to the terminal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via a nut.
또한, 상기 연결구에 형성되는 홀은 그 단면형태가 단자의 단면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erminal cross-sectional shape.
한편,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는 두 부재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 연부재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member for insulating the two members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unit cell may be further installed.
여기서 상기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한다.The unit cell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 case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sealing it,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hole and protrude outside the cap assembly.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단위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웃하는 단위전지 간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The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alternated between neighboring unit cells.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하이브리드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that operates by using a motor such as a HEV (hybrid vehicle), an EV (electric vehicle),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ha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이루는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모듈 조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constitu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ssembly stat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이루는 각 단위전지(11)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3), 상기 양,음극판 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4,15)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each
상기 케이스(12)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 조립체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전지(11)는 캡 조립체(13) 위로 두 개의 단자(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1)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자(14,15)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일측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Each
이에 따라 단위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즉,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본 이차 전지는 각 단위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1)간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20)는 일측 선단이 상기 단위전지의 일측 단자(14)에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고 타측 선단에는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단자(15)에 끼워지도록 홀(21)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에 체결되는 너트(22)를 매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battery module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secondary battery is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즉, 두 단위전지(11)를 연결하는 연결구(20)가 일측 단위 전지의 단자에 미리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시 상기 연결구(20)의 자유단만을 이웃하는 단위전지와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따라서 두 개의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너트(22)를 한번만 사용함으로써 너트(22) 체결작업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또한, 상기 연결구(20)와 단위전지의 캡 조립체(13) 사이에는 단위전지의 단자(14,15)에 끼워지는 절연부재(30)가 개재되어 연결구(20)와 단위전지의 캡 조립체(13) 사이를 절연시키게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이러한 절연부재(30)가 연결구(20)와 캡 조립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연결구(20)와 캡 조립체 사이의 틈새에서 혹시라도 발생될지 모를 통전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inserting the
좀더 상세하게 상기 연결구(20)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구(20)는 전기를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구조물로, 양단에는 단자(14,15)가 끼워질 수 있도록 된 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21)은 단자의 단면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Looking at the
상기 연결구(20)는 단위전지 제조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는 데, 단위 전지에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단자 중 일측 단자(14)에 상기 연결구(20)의 홀(21)을 끼 우고 상기 연결구(20)를 단위전지(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자(14)와 연결구(20)를 용접시킴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The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는 단위전지(11) 상의 두 개의 단자 중 일측 단자(14)에 고정되어 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여기서 상기 연결구(20)와 용접되는 단위전지의 단자(14)는 나머지 단자(15)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너트(22)를 체결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그 길이가 짧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Here, the
도 4는 연결구(20)가 단위전지의 단자(14)에 끼워지고 용접이 이루어져 연결구(20)와 단자(14)의 접면을 따라 용접비드(B)가 형성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한편, 상기 연결구를 매개로 각 단위전지를 직렬연결시키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process of serially connecting each unit cell through the connector is as follows.
도 2는 연결구(20)가 단위전지에 설치되는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는 데,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각 단위전지(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배열된 각 단위전지는 단위전지에 설치된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이 상태에서 일측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와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15)에 연결구(20)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음 단위전지(11)의 다른쪽 단자열에 위치한 양극단자(14)는 그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15)와 연결구(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 단위전지(11)가 직렬로 연결된다.In this state, the
여기서 상기 연결구(20)는 일측 단위전지의 음극단자(15)(또는 양극단자(14))에 이미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구(20)의 자유단에 형성된 홀(21)을 통해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14)(또는 음극단자(15))를 끼우고 연결구(20)의 홀(21)을 통해 돌출된 단자(15)에 너트(22)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단위전지의 단자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The
이때, 상기 단자에는 절연부재(30)를 끼워 연결구(20)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캡 조립체 사이에 절연부재(30)를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이와같이 단위전지(11)를 연결구(20)로 직렬연결시킴에 있어서 연결구(20)가 이미 일측 단위 전지(11)의 단자(14)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단자(15)에만 너트(22)로 체결하면 연결구(2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 조립을 위한 너트 체결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를 전지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수리시 간단히 분리하여 원하는 단위 전지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battery and can be easily separated during repair to replace the desired unit battery.
또한, 하나의 부품을 통해 단위전지간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가 용이 하고 작업량을 줄일 수 있으며, 부품 감소를 통한 원가 상승의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between unit cells is made through one componen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amount of work can be reduced, and the cost increase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component is obtained.
또한, 모터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연결구가 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osening of the connector by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motor is driven.
또한, 연결구와 단자가 용접으로 연결됨으로써 단자와 연결구 사이의 도전율을 높여 전지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by welding,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by increasing the conductiv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651A KR100590107B1 (en) | 2004-08-24 | 2004-08-24 |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651A KR100590107B1 (en) | 2004-08-24 | 2004-08-24 |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8326A KR20060018326A (en) | 2006-03-02 |
KR100590107B1 true KR100590107B1 (en) | 2006-06-14 |
Family
ID=3712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6651A KR100590107B1 (en) | 2004-08-24 | 2004-08-24 |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01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763B1 (en) * | 2005-07-29 | 2007-02-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nnector |
KR100778511B1 (en) | 2006-09-11 | 2007-11-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
US9196880B2 (en) | 2011-01-26 | 2015-11-24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with offset battery cells |
DE102012215206B4 (en) | 2012-08-28 | 2022-01-13 | Robert Bosch Gmbh | Battery cell, battery cell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module, battery and motor vehicle |
WO2019017211A1 (en) * | 2017-07-18 | 2019-01-2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Busbar and battery laminated bod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17546A (en) * | 1983-11-05 | 1985-06-25 | ブラウン・ボバリ・ウント・シ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Battery connector |
KR20010057626A (en) * | 1999-12-23 | 2001-07-05 | 이계안 |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
-
2004
- 2004-08-24 KR KR1020040066651A patent/KR10059010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17546A (en) * | 1983-11-05 | 1985-06-25 | ブラウン・ボバリ・ウント・シ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Battery connector |
KR20010057626A (en) * | 1999-12-23 | 2001-07-05 | 이계안 |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10057626 * |
60117546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8326A (en) | 2006-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0483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84743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84763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nnector | |
KR100949333B1 (en) | Battery module | |
KR100684846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EP1643570B1 (en) | Combination battery | |
KR100669468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wall of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27306B1 (en) | Secondary battery | |
JP2005332823A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KR100669436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070014655A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restraint rod | |
KR100590049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 |
KR100570779B1 (en)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90107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084064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 |
KR100696670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84762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 |
KR100658686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84744B1 (en)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99733B1 (en) |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thereof | |
KR100599806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99617B1 (en)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62734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nnector | |
KR100696637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wall of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90046B1 (en)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