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000B1 -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 Google Patents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000B1
KR100590000B1 KR1020040006244A KR20040006244A KR100590000B1 KR 100590000 B1 KR100590000 B1 KR 100590000B1 KR 1020040006244 A KR1020040006244 A KR 1020040006244A KR 20040006244 A KR20040006244 A KR 20040006244A KR 100590000 B1 KR100590000 B1 KR 10059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ntroller
port
resistor
osd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8114A (en
Inventor
남보현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000B1/en
Publication of KR2005007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SD 키보드의 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장치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로 이루어진 메인 보드부와, 모니터의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OSD 키보드부로 이루어진 OSD 키보드 회로 구성에 있어서, 상기 OSD 키보드부(400)는 모니터 화면의 밝기, 크기, 위치 및 부가기능 선택 등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각각의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310)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보드 측의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와 OSD 키보드를 연결해 주는 회로의 와이어의 수 및 포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screen display device (OSD) keyboard circuit, comprising: a main board portion comprising a microcontroller (MCU) with a built-in memory for erasing and programmable reading, and selecting and adjusting a monitor screen so that the user can optimize the screen directly. In the OSD keyboard circuit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n OSD keyboard unit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the OSD keyboard unit 400, each switch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size, position and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of the monitor screen to suit the user; A circuit formed in a matrix form is connected between the ports of the micro control device 310, and the number of wires and the number of ports of the circuit connecting the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on the motherboard and the OSD keyboard can be reduced. The effect is that the port of the microcontroller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 OSD 키보드, 매트릭스 회로Micro Control Unit, OSD Keyboard, Matrix Circuit

Description

OSD 키보드의 회로장치{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Circuit device of an OSD keyboard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키보드 회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SD keyboard circu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키보드 회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SD keyboard circui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 라함) 키보드의 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릭스 형태의 회로를 구성하여 스위치와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회로를 구성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키보드의 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device of an On Screen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SD) keyboar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device of a keyboard in a matrix form between a switch and a port of a micro control device. It relates to a circuit device of the OSD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최근, CRT 모니터에서 LCD 모니터로 점차 대체되면서, LCD 모니터에 TV 모드 및 DVD 모드 등 여러가지 모드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예컨대, 컨트롤 키)가 기존의 OSD 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OSD 장치는 모니터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주로 화면 밝기, 콘트라스트, RGB 조정, 화면의 크기 및 위치, 모드 선택 등을 선택 조정하는 키를 포함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LCD monitor is gradually replaced by a CRT monitor, various modes such as a TV mode and a DVD mode are combined in the LCD monitor.
However, a switch (eg, a control key) for selecting such a mode is included in the existing OSD device.
The OSD device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monitor, but mainly includes keys for selectively adjusting screen brightness, contrast, RGB adjustment, screen size and position, mode selection,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상기 OSD 장치는 메인보드 측의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와 OSD 키보드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에서 OSD 키보드를 통해 컨트롤 키를 인식할 때는, 한개의 키 상태가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한개의 포트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 키가 눌려지면, 해당 포트가 접지(GND)와 연결되어 로우 레벨이 되고,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풀업(pull-up)이 되어 해당 포트의 전압이 하이 레벨로 된다.
따라서, 해당 포트가 하이 레벨인지 로우 레벨인지에 따라서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In general, the OSD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 micro-control device on the motherboard side and the OSD keyboard.
When the microcontroller recognizes a control key through the OSD keyboard, one key state is connected to one port of the microcontroller one-to-one, and when the key connected to the port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port is pressed. It is connected to ground (GND) to a low level, and when it is not pressed, it is pulled up and the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port becomes a high level.
Therefore,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port is high level or low level.

다음에,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conventional circu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 측의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 저항(R) 그리고 OSD 키보드(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OSD 키보드(200)의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의 일단은 3.3V의 전압의 저항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각 포트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접지(GND)에 접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icrocontroller 100 on the motherboard side, the resistor R, and the OSD keyboard 200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of the OSD keyboard 200 ( One end of SW1 to SW7 is connected one-to-one to each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resistance of 3.3V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to ground (GND).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가 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3.3V의 전압이 저항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의 포트(1~7)에 인가되므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는 각 포트(1~7)의 상태가 하이 레벨임을 판단한다.
또한,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가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의 포트(1~7)는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를 통하여 접지(GND)에 연결되므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는 각 포트(1~7)의 상태가 로우 레벨임을 판단한다.
When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not pressed, a voltage of 3.3 V is applied to the ports 1 to 7 of the microcontroller 100 through a resistor, so that the micro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each port 1-7 is high level.
In addition, when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pressed, the ports 1 to 7 of the microcontroller 100 pass through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GND, the micro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each of the ports 1 to 7 is at a low leve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100)는 각 포트(1~7)의 상태를 검사하여 어느 키가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고, 눌려진 키에 따라 알맞은 동작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ntroller 100 determines which key is pressed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port 1 to 7, and performs an appropri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sed key.

그러나, 모니터에 TV 기능, DVD 기능 등 다른 기능들이 추가되면,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그 만큼 키의 숫자가 늘어나게 되는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서는 늘어나는 키의 수만큼 OSD 키보드와 키를 인식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와이어의 수 및 포트의 수가 증가할 뿐아니라, OSD 키보드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며, 유해 전파의 발생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other functions such as a TV function or a DVD function are added to the monitor, the number of keys increas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OSD keyboard and the keys are recognized by the number of increasing keys.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s and the number of ports that connect between the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as well as causing an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OSD keyboard, there wa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ausing harmful radio wav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SD 키보드와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회로를 구성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에서 키 상태를 검출하는 포트의 수를 저감하는 OSD 키보드 회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SD keyboard circuit arrangement which reduces the number of ports for detecting key states in the microcontroller by constructing a matrix circuit between the ports of the OSD keyboard and the microcont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SD 키보드와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회로를 구성하여 기능의 증가에 따라 키를 인식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수를 저감하는 OSD 키보드 회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SD keyboard circuit arrangement which reduces the number of wire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for recognizing keys as the function increases by forming a matrix circuit between the ports of the OSD keyboard and the microcontroller. It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OSD 키보드 회로장치는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장치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로 이루어진 메인 보드부와, 모니터의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OSD 키보드부로 이루어진 OSD 키보드 회로 구성에 있어서,
상기 OSD 키보드부는 모니터 화면의 밝기, 크기, 위치 및 부가기능 선택 등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각각의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회로는,
제1 스위치(SW1)의 일단측은 제1 저항(R1),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제2 저항(R2),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제3 저항(R3), 제3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2 스위치(SW2)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4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5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3 스위치(SW3)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6 다이오드(D6)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7 다이오드(D7)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4 스위치(SW4)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8 다이오드(D8)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5 스위치(SW5)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9 다이오드(D9)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0 다이오드(D10)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6 스위치(SW6)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11 다이오드(D11)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제7 스위치(SW7)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2 다이오드(D12)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의 타단은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SD keyboard circui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optimize the screen of the monitor and the main board portion consisting of a micro-control unit (MCU) with a built-in memory for erasing and programmable reading. In the OSD keyboard circuit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OSD keyboard section with the ability to select and adjust
The OSD keyboard unit is connected to each switch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size, position and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of the monitor screen to the user, and a circuit in a matrix form is connected between the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The matrix type circuit,
One end of the first switch SW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diode D1, and connects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second diode D2.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 third diode D3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SW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ourth diode D4,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ifth diode D5.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One end side of the third switch SW3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ixth diode D6,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nd a seventh diode (D7);
One end of the fourth switch SW4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eighth diode D8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One end of the fifth switch SW5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ninth diode D9.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nd a tenth diode (D10);
One end of the sixth switch SW6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eleventh diode D11.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One end of the seventh switch SW7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and a twelfth diode D12;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키보드 회로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OSD keyboard circu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SD 키보드 회로장치는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장치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로 이루어진 메인 보드부와, 모니터의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OSD 키보드부로 이루어진 OSD 키보드 회로 구성에 있어서, 상기 OSD 키보드부(400)는 모니터 화면의 밝기, 크기, 위치 및 부가기능 선택 등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각각의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310)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가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OSD 키보드 회로장치는 크게 메인 보드(300)와 OSD 키보드(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보드(3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31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OSD 키보드(400)는 컨트롤 키 역할을 하는 각각의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와, 상기 각각의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310)의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는 제1-제3 저항(R1~R3) 및 제1-제12 다이오드(D1~D12)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OSD keyboard circui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directly optimize a screen of a monitor and a main board portion formed of a micro control unit (MCU) having a memory device for erasing and programmable reading. In the OSD keyboard circuit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OSD keyboard unit having a function to select and adjust so that the OSD keyboard unit 400, the brightness, size, position and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of the monitor screen can be adjusted to suit the user, respectively. A circuit formed in a matrix form i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310.
That is, the OSD keyboard circui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main board 300 and the OSD keyboard 400, the main board 300 is composed of a micro control unit (MCU) (310).
In addition, the OSD keyboard 400 includes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serving as a control key,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and the microcontroller. It is composed of a circuit formed in the form of a matrix connecting between the ports of (310), the circu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third resistor (R1 ~ R3) and the first-twelfth diode (D1 ~ D12) is connected have.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ircuit formed in the matrix form as follows.

상기 OSD 키보드(400)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310)의 포트 사이의 매트릭스 회로의 형태는, 제1 스위치(SW1)의 일단측은 제1 저항(R1),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제2 저항(R2),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제3 저항(R3), 제3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form of a matrix circuit between the OSD keyboard 400 and the port of the microcontroller 310, one end of the first switch SW1 has a microcontroller through a first resistor R1 and a first diode D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device via a second resistor (R2), a second diode (D2), and is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 third diode (D3) It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그리고, 제2 스위치(SW2)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4 다이오드(D4)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5 다이오드(D5)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of the second switch SW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ourth diode D4,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ifth diode (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via D5),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via the third resistor R3.

또한, 제3 스위치(SW3)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6 다이오드(D6)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7 다이오드(D7)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third switch SW3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ixth diode D6,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t is connected to the 2nd port of and is connected to the 3rd port of a micro control apparatus via the said 3rd resistor R3 and the 7th diode D7.

그리고, 제4 스위치(SW4)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8 다이오드(D8)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of the fourth switch SW4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eighth diode D8,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t is connected to the 2nd port of and is connected to the 3rd port of a micro control apparatus via the said 3rd resistor R3.

또한, 제5 스위치(SW5)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9 다이오드(D9)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0 다이오드(D10)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fth switch SW5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i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ninth diode D9. It is connected to the 2nd port of and is connected to the 3rd port of a micro control apparatus via the said 3rd resistor R3 and the 10th diode D10.

그리고, 제6 스위치(SW6)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11 다이오드(D11)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of the sixth switch SW6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i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eleventh diode D11. It is connected to the 2nd port of and is connected to the 3rd port of a micro control apparatus via the said 3rd resistor R3.

또한, 제7 스위치(SW7)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2 다이오드(D12)를 통하여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의 타단은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venth switch SW7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twelfth diode D12 are connect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Is connected to.

도 2의 회로도를 설명하면, 제1 스위치(SW1)가 눌려져 있는 경우, 전압은 제1 저항(R1),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접지(GND)로 흐르며,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는 0.7V의 전압이 걸린다.
상기 제1 포트과 마찬가지로, 제2 포트에는 전압이 제2 저항(R2),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접지(GND)로 흐르면,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도 0.7V의 전압이 걸린다.
또한, 제3 포트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압이 제3 저항(R3), 제3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접지(GND)로 흐르면,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도 0.7V의 전압이 걸린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치(SW1)가 눌려졌을 때에 포트(1, 2, 3)에는 000의 값이 얻어진다.
Referring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pressed, the voltage flows to the ground GND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diode D1. One port has a voltage of 0.7V.
Like the first port, when the voltage flows to the ground (GND)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the second diode (D2) to the second port, at this time, a voltage of 0.7V also appli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
Similarly, in the third port, if the voltage flows to the ground GND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third diode D3, a voltage of 0.7 V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n this manner,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pressed, a value of 000 is obtained for the ports 1, 2, and 3.

그리고, 제2 스위치(SW2)가 눌려져 있는 경우, 전압은 제2 저항(R2), 제4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접지(GND)로 흐르며,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는 0.7V의 전압이 걸린다.
상기 제1 포트과 마찬가지로, 제2 포트에는 제2 저항(R2), 제5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접지(GND)로 흐르면,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도 0.7V의 전압이 걸린다.
또한, 제3 포트에서는 제3 저항(R3)를 통해 3.3V의 전압이 걸린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치(SW2)가 눌려졌을 때에 포트(1, 2, 3)에는 001의 값이 얻어진다.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pressed, the voltage flows to the ground GND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ourth diode D4, and at this time, 0.7 V is appli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Voltage is applied.
Similar to the first port, when the second port flows to the ground GND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ifth diode D5, a voltage of 0.7 V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n addition, the third port receives a voltage of 3.3 V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In this manner,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pressed, a value of 001 is obtained in the ports 1, 2, and 3.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3 스위치(SW3)가 눌려져 있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1, 3)에는 0.7V의 전압이 걸리고, 포트(3)에는 3.3V가 걸려 포트(1, 2, 3)에는 010의 값이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pressed, a voltage of 0.7 V is applied to the ports 1 and 3 of the microcontroller, and 3.3 V is applied to the port 3 and the ports 1, 2 and 3 A value of 010 is obtained.

이와 같은 원리로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가 눌려져 있는 경우, 포트(1, 2, 3)에서의 각각 000~110의 값을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에서 인식하여 어떤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눌려진 스위치(예컨대, 컨트롤키)에 따라 스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이 수행된다.In the same principle, when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pressed, the microcontroller recognizes the values of 000 to 110 at the ports 1, 2, and 3, respectively, and which switch is pressed. The operation set in the switch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sed switch (for example, the control key).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와이어의 수를 저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number of wires can be reduced, but also the number of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키보드 회로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OSD keyboard circui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 보드(500)와 OSD 키보드(6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보드(5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51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OSD 키보드(600)는 컨트롤 키 역할을 하는 각각의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와, 각각의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와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510)의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회로와, 상기 회로는 제1-제3 저항(R1~R3) 및 제4-제15 저항(R4~R15)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ard 500 and the OSD keyboard 600 are largely configured, and the main board 500 includes a micro control unit (MCU) 510.
In addition, the OSD keyboard 600 may include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and the microcontroller 510 that serve as control keys. The circuit formed in the form of a matrix connecting between the ports of the circuit, and the circu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resistors R1 to R3 and the fourth to fifteenth resistors R4 to R15 are connected.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제1-제12 다이오드(D1~D12)를 제4-제15 저항(R4~R15)으로 대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ircuit structure of the matrix form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first to twelfth diodes D1 to D12 are replaced with the fourth to fifteenth resistors R4 to R15 a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단, 상기 제4-제15 저항(R4~R15)은 저항의 시정수를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하이 레벨 인식전압과 로우 레벨 인식전압을 고려하여 값을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However, the fourth to fifteenth resistors R4 to R15 must set a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constant of the resistor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level recognition voltage and the low level recognition voltage of the microcontroller.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와이어의 수를 저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number of wires can be reduced, but also the number of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보드 측의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와 OSD 키보드를 연결해 주는 회로의 와이어의 수 및 포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ires and the number of ports of the circuit connecting the OSD keyboard and the port of the microcontroller on the motherboard can be reduced, and the port of the microcontroller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ere is an effect.

Claims (3)

삭제delete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장치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MCU)로 이루어진 메인 보드부와, 모니터의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OSD 키보드부로 이루어진 OSD 키보드 회로 구성에 있어서,OSD keyboard circuit with main board section consisting of microcontroller (MCU) with built-in erasing and programmable reading memory and OSD keyboard section with the ability to select and adjust the monitor's screen for user optimization In the configuration, 상기 OSD 키보드부는 모니터 화면의 밝기, 크기, 위치 및 부가기능 선택 등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각각의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포트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회로가 연결되어 있으며,The OSD keyboard unit is connected to each switch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size, position and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of the monitor screen to the user, and a circuit in a matrix form is connected between the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회로는,The matrix type circuit, 제1 스위치(SW1)의 일단측은 제1 저항(R1),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제2 저항(R2),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제3 저항(R3), 제3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first switch SW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diode D1, and connects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second diode D2.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 third diode D3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제2 스위치(SW2)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4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5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second switch SW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ourth diode D4,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ifth diode D5.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제3 스위치(SW3)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6 다이오드(D6)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7 다이오드(D7)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side of the third switch SW3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ixth diode D6,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nd a seventh diode (D7); 제4 스위치(SW4)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 제8 다이오드(D8)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fourth switch SW4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eighth diode D8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제5 스위치(SW5)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9 다이오드(D9)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0 다이오드(D10)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fifth switch SW5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ninth diode D9.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a third resistor (R3) and a tenth diode (D10); 제6 스위치(SW6)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 제11 다이오드(D11)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sixth switch SW6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eleventh diode D11. Is connected to a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제7 스위치(SW7)의 일단측은 상기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1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저항(R2)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2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R3), 제12 다이오드(D12)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장치의 제3 포트에 접속되고,One end of the seventh switch SW7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o a third port of the micro control device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and a twelfth diode D12; 상기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의 타단은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키보드 회로장치.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es (SW1 to SW7)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제1 스위치 내지 제7 스위치(SW1~SW7)의 일단에 제4-제15 저항(R4~R15)을 각각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키보드 회로장치.OSD keyboard circu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fourth to the fifteenth resistor (R4 ~ R15) to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switch (SW1 ~ SW7).
KR1020040006244A 2004-01-30 2004-01-30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KR100590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44A KR100590000B1 (en) 2004-01-30 2004-01-30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44A KR100590000B1 (en) 2004-01-30 2004-01-30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14A KR20050078114A (en) 2005-08-04
KR100590000B1 true KR100590000B1 (en) 2006-06-14

Family

ID=3726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44A KR100590000B1 (en) 2004-01-30 2004-01-30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00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14A (en)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6809A1 (en) Display panel
US10310684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apparatus
CN102035910B (en) Multi-screen mobile phone
US8125465B2 (en) Image displaying systems
TW512302B (en) Signal line drive circuit,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US20020166009A1 (en) USB interface flash memory card reader with a built-in flash memory
US6052742A (en) Host machine interface for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peripheral card prior to providing operational supply voltage to the card
US6476716B1 (en) Temperature-controlled variable resistor
US7612772B2 (en) Display monitor with a common display data channel
KR102519744B1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protection circuit
US7543162B2 (en) CPU frequency regulating circuit
US8320132B2 (en) Computer motherboard
KR100590000B1 (en) Circuit device of osd key board
US20030227390A1 (en) Low-battery-status in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7991938B2 (en) Bus width configurat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configuring bus width
US20130283077A1 (en) Wake-up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WI718913B (en) Display method
US20110291820A1 (en) Passive User Input Attachment Engaging Compressible Conductive Ele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6210948A (en) A kind of on-off circuit, earphone socket,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7170520B2 (en) Display for sharing display data channel
CN112988109A (en) Single-audio interface signal switching circuit and single-audio interface switching device
JP4403405B2 (en) Electronics
TW201815159A (en) HDMI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365422B (en) Digital/analog video switching device and method and keyboard/screen/mous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KR102390437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a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