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116B1 -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116B1
KR100589116B1 KR1020040023372A KR20040023372A KR100589116B1 KR 100589116 B1 KR100589116 B1 KR 100589116B1 KR 1020040023372 A KR1020040023372 A KR 1020040023372A KR 20040023372 A KR20040023372 A KR 20040023372A KR 100589116 B1 KR100589116 B1 KR 10058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lay
mode
language
comput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8364A (en
Inventor
창제카리
쿵켄
Original Assignee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002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116B1/en
Publication of KR2005009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116B1/en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 모드에서 플레이 과정 동안, 시스템은 능동 또는 수동 트리거 이벤트를 통하여 학습 모드에서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트리거 이벤트에 의하여 플레이와 학습을 완전하게 결합시키고, 학습기록과 평가 결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플레이 및 학습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레이 동안 충분히 학습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During the play process in the play mode, the system may activate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n the learning mode through an active or passive trigger event. Therefore, the system can completely combine play and learning by the trigger event, and gradually adjust the play and learning mode according to the learning record and the evaluation result. Thus, the user can fully achieve learning during play.

언어학습 시스템, 트리거 이벤트, 컴퓨터 게임Language Learning Systems, Trigger Events, Computer Games

Description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the system archite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조절을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th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겸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4 shows a state which combines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능동 및 수동 이벤트 트리거를 도시한 것이다.5A and 5B illustrate active and passive event trigg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플레이 플랫폼 110: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00: play platform 110: user control interface

120: 플레이 모듈 121: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120: play module 121: play element database

122: 플레이 실행유닛 130: 학습 모듈122: play execution unit 130: learning module

131: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 132: 학습 실행유닛131: language element database 132: learning execution unit

133: 학습 조절유닛 140: 이벤트 트리거모듈133: learning control unit 140: event trigger module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게임에 적용가능하고 플레이 과정의 트리거 이벤트(triggered events)를 사용하여 점진적인 학습 과정을 활성화시키는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both computer g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at is applicable to a computer game and activates a gradual learning process using triggered events of a play process. It is about.

학습 과정은 길고 힘들며, 언어를 배운다는 것이 그러하다. 컴퓨터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특히 언어학습 분야에 더 큰 필요성을 갖는 학생들과 배우는 어린이들을 위해, 더 쉽고, 더 즐거우며 더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찾고 있다.The learning process is long and hard, and learning a language. As computer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we are looking for easier, more enjoyable, and more effective ways of learning, especially for students and children who have a greater need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방대한 학습이론들 중에서, 자기주도 학습(engaged learning)이 현재 가장 유행하는 학습중 하나이다.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강력히 집중하게 하므로, 학습자는 최대 학습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 학습을 하게 하는 언어학습 시스템이라고 명시되어 있는 많은 언어학습 시스템들이 시장에 있다. 이들 시스템들은 또한 학습자를 위한 편안하고 즐거운 학습방법을 설계하기 위하여 많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며, 따라서 사람들 사람들이 학습 과정에 몰두하게 된다.Among the vast learning theories, engaged learn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learnings at present. Self-directed learning allows the learner to concentrate strongly on the learning process so that the learner can achieve maximum learning results. Thus, there are many language learning systems on the market that are identified as language learning systems that allow learner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These systems also use a lot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y to design a comfortable and enjoyable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so people get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예를 들어, 일부 언어학습 시스템은 학습 과정에 플레이 유닛(playing unit)을 끼워넣어 학습자의 참여수준을 높인다. 이들 시스템들은 학습욕구 및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학습 과정을 더 편안하고 즐겁게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학습 과정에서 학습유닛이 치지하는 비율이 높으면, 학습자들의 주의를 최대한으로 끌어 낼 수 없고 학습자들은 학습욕구를 높일 수 없으며 최상의 학습결과를 달성할 수 없다.For example, some language learning systems incorporate a playing unit into the learning process to increase learner engagement. These systems can increase learning desires and effects, and make the learning process more comfortable and enjoyable. However, if the ratio of learning units is high in the overall learning process, the learners cannot draw the attention of the learners to the maximum, learners cannot increase the learning desires and achieve the best learning results.

따라서, 학습자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학습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학습하게 하여 최상의 학습결과를 달성하게 하는 매력적이고 통합된 언어학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언어학습 시스템 산업이 중점을 둔 차기 방향이다. Therefore, the next direction of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industry is to develop attractive and integrated language learning systems that enable learners to gradually learn in a comfortable and enjoyable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best learning resul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습을 플레이에 완전히 통합시켜 학습자들이 완전히 자기주도 학습을 하게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at combines computer games, integrating learning into play to allow learners to fully self-directed learning.

본 발명의 기술은 플레이 모드에 의하여 생성된 플레이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된 능동 또는 수동 트리거 이벤트(active or passive triggered events)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는 해당하는 학습 모드의 학습 과정을 활성화시켜 학습을 플레이에 완전히 통합시킨다. 이는 플레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능동 또는 수동 트리거 이벤트를 통하여 플레이 및 학습의 완전한 통합이라는 주 목적을 달성하며, 또한 학습 기록과 평가 결과에 따라 동시에 학습 및 플레이 모드를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플레이 동안 효과적으로 학습효과를 얻는 다른 목적도 달성한다.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ctive or passive triggered events controlled by the user in the course of play generated by the play mode. The event activates the learn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 to fully integrate learning into play. This achieves the main goal of full integration of play and learning through various active or passive trigger events during the play process, and also allows for effective learning during play by gradually adjusting the learning and play modes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learning records and evaluation results. Other objectives are also achiev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개시한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은 1.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user control interface), 2.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playing element database) 및 플레이 실행유닛(playing operation unit)을 포함하는 플레이 모듈(playing module), 3.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language element database), 학습 실행유닛(learning executing unit) 및 학습 조절유닛(learning adjustment unit)을 포함하는 학습 모듈(learning module) 및 4. 이벤트 트리거 모듈(event trigger module)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user control interface, 2. a playing element database, and a playing operation unit. a playing module comprising a unit, a learning module comprising a language element database, a learning executing unit and a learning adjustment unit; 4. Include an event trigger module.

또한, 본 발명이 개시한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은 게임을 활성화시키고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 모드에 따라 게임 초기화를 실행하고 플레이 모듈에 따라 플레이 과정을 시작하는 단계;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학습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성적을 기록하고 평가하며, 상기 학습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기록 및 학습 과정의 평가에 따라, 동시에 상기 학습 모드와 상기 플레이 모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gradual language learning method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tivating the game and determining a play mode and a learning mode; Executing a game initialization according to the play mode and starting a play process according to a play module; Activating the learning mode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as a trigger event occurs; Recording and evaluating learning grad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storing the learning records; And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learning mode and the play mode according to the learning record and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범위는 아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들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므로,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단지 예로써만 제시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below.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le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are set forth 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but are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공지된 기술적 특징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의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The following describes a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effect of the above object by using the above known technical feature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레이 플랫폼(playing platform)(100)상에 구성되고, 4개의 부분들, 즉, 1.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 2. 플레이 모듈(120), 3. 학습 모듈(130), 및 4. 이벤트 트리 거모듈(140)을 포함한다. 각 부분들이 아래에 설명된다:First, Figure 1 shows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a playing platform 100, and has four parts: 1. user control interface 110, 2. play module 120, 3. learning module 130, and 4.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is included. Each part is described below:

1.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는 플레이 과정과 학습 과정에 대한 사용자(학습자를 의미함)의 동작제어를 제공한다. 대개는 다른 기능들을 갖는 많은 제어 키(control keys)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레이 과정 동안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s)와 같은 명령들을 선택하고 실행하게 하며, 학습 과정 동안 학습 질문에 대답하게 한다.1.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provides operation control of a user (meaning a learner) for a play process and a learning process. Usually by using many control keys with different functions, the user can select and execute commands such as trigger events during the play process, and answer the learning ques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2. 시스템의 기설정된 플레이 모드에 따른 플레이 과정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동작 제어에 따라 플레이 과정을 실행하는 플레이 모듈(120)은 2. The play module 120 which provides a play process according to a preset play mode of the system, and executes the play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control,

2a. 플레이 모드의 플레이 과정 동안 필요한 여러가지 플레이 요소들, 즉, 게임 배경, 게임 음악, 게임 아이템(game items), 게임 규칙, 게임 엔진(game engines)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121)와,2a. A play element database 121 used to store various play elements necessary during the play process of the play mode, namely, game background, game music, game items, game rules, game engines, etc.,

2b. 먼저 게임 시작시에 플레이 모드에 의하여 설정된 플레이 과정을 사용하고,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한 수신된 동작제어를 통하여 게임 과정을 제어하며, 상기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121)로부터 하나 이상의 플레이 요소를 검색하고, 사용자에서 플레이 과정으로의 동작 제어를 수신하는 플레이 실행유닛(122)을 구비한다.2b. First use the play process set by the play mode at the start of the game, then control the game process through the received motion control by the user, retrieve one or more play elements from the play element database 121, the user And a play execution unit 122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ntrol from the play process.

플레이 모드의 설정은 플레이 과정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게임이 시작되면, 기설정된 플레이 모드가 플레이 과정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실제로, 플레이 모드는 또한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The setting of the play mode is used to determine the type of play process; When the game starts, a preset play mode is used to create the play process. In practice, the play mode also allows the user to set the mode using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3. 학습 모듈(130)은 시스템에 의하여 기설정된 학습 모드를 사용하여 학습 과정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동작 제어를 통해 학습 과정을 실행한다. 학습 모듈은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131), 학습 실행유닛(132) 및 학습 조절유닛(133)을 포함한다:3. The learning module 130 provides a learning process using a learning mode preset by the system, and execut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s motion control. The learning module includes a language element database 131, a learning execution unit 132 and a learning control unit 133:

3a.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131)는 학습 모드의 학습 과정 실행 동안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언어 요소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서로 다른 학습 모드에 따라, 낮은수준에서 높은수준으로의 (난이도가 쉬운 수준에서 어려운 수준으로의) 언어 요소들을 알파벳, 단어, 구, 문장, 문단으로 나눌 수 있다. 언어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문자, 음성 및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같은 여러 형태들로 나눌 수 있다.3a. The language element database 131 is used to store various language elements need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learning process in the learning mode. According to different learning modes, language elements from low to high levels (from easy to difficult) can be divided into alphabets, words, phrases, sentences and paragraph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language elements, it may be divid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text, voice and video (including photos and videos).

3b. 학습 실행유닛(132)은 트리거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에 의하여 사용되고,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131)로부터 하나 이상의 언어 요소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에 의한 동작 제어를 학습 과정에 수용한다. 이벤트 진행에 있어 언어 요소의 조합 조건은 문자, 음성 및 영상등과 같은 설명된 다양한 형태들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포맷을 형성할 수 있다;3b. The learning execution unit 132 is used by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for generating a trigger event, retrieves one or more language elements from the language element database 131, generates a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and controls operation by a user. Adapt to the learning process. Combination conditions of language elements in the course of an event may form a multimedia format using various described forms such as text, voice and video;

3c. 학습 조절유닛(133)은, 학습 과정 동안 사용자의 학습 기록 및 평가 결과를 기초로, 플레이 실행유닛(122)의 플레이 모드와 학습 실행유닛(132)의 학습 모드를 동시에 조절한다. 실제로, 학습 조절유닛(133)은 또한 학습 과정 실행동안 사용자의 학습 과정을 기록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평가 목적은 사용자의 학습수준과 상태를 감시하고, 동시에 플레이 및 이에 따른 학습 과정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게임이 끝나면, 학습 조절유닛(133)은 학습 기록과 평가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들 학습 기록과 평가 결과는 사용자가 다음 번 게임 학습 과정을 실행할 때 시스템이 기설정된 플레이 및 학습 모드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3c. The learning adjustment unit 133 simultaneously adjusts the play mode of the play execution unit 122 and the learning mode of the learning execution unit 132 based on the learning record and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user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 practice, the learning control unit 133 also includes recording and evaluating the user's learning proces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execution.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is to monitor the learning level and status of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o regulate the play and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ly. At the end of the game, the learning control unit 133 may store learning records and evaluation results, which are used by the system to determine a preset play and learning mode when the user executes the next game learning process. Can be.

학습 모드의 설정은 학습 과정 형태 및 내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게임이 시작되면, 기설정된 학습 모드는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사실, 학습 모드는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learning mode is used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cess type and content. When the game starts, the preset learning mode is used to create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n fact, the learning mode can be set by the user using the user control interface 10.

4. 이벤트 트리거모듈(140)은 플레이 과정 동안 플레이 실행유닛(122)에 따라 트리거된 이벤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학습 실행유닛(132)에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은 플레이 모듈(120) 및 학습 모듈(130)과는 별개이고, 이벤트에 따른 플레이 과정과 학습 과정의 완전한 통합을 야기한다. 트리거 이벤트 형태는 능동 및 수동 트리거 이벤트로 분류될 수 있다. 능동 트리거 이벤트는 시스템에 의하여 플레이 과정 동안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트리거된 이벤트이다. 수동 트리거 이벤트는 플레이 과정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제어에 의하여 트리거된 이벤트이다.4.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is used to generate an event triggered by the play execution unit 122 during the play process, and to activate the learn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execution unit 132.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is separate from the play module 120 and the learning module 130 and causes a complete integration of the play process and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vent. Trigger event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active and passive trigger events. An active trigger event is an event that is irregularly triggered by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during the play process by the system. The manual trigger event is an event triggered by the user's motion control for a predetermined event during the play process.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게임을 활성화시키고(플레이 플랫폼의 활성화 100) 시스템의 기설정된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를 입력한다(단계 200). 기설정된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는,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에 의하여, 게임의 활성화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고, 이들은 또한 이전에 종료된 학습 과정으로부터 사용자의 저장된 학습 기록과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런 후, 플레이 모드에 따라, 게임을 초기화하고 플레이 과정을 실행하기 시작한다(단계 210). 사용자는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를 사용하여 게임의 다른 동작들을 제어하기 시작할 수 있다. 플레이 과정은 임의의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감시하기 시작한다(단계 220). 능동 또는 수동 이벤트가 발생하면, 학습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실행한다(단계 230). 능동 트리거링(active triggering)은 플레이 과정 동안 불규칙하게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활성화된다; 수동 트리거링은 플레이 과정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에 응답하는 사용자 동작 제어를 통해 이벤트를 생성한다. 어떠한 트리거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으면, 플레이 과정은 계속되고(단계 225), 동시에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을 계속 감시한다(단계 220). 학습 과정의 실행동안, 사용자 학습 상태가 기록되고 평가된다(단계 240). 평가 결과가 수치적으로 계산되고 사용자의 학습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정량화된다.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조절이 필요한지를 결정한다(단계 250). 어떠한 조절도 필요하지 않으면, 단계 220으로 돌아가서 플레이 과정을 계속하며 새로운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계속 알아본다. 조절이 필요하면, 학습 모드와 플레이 모드는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리셋된다(단계 260). 학습 모드의 조절은 다음의 도 3을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플레이 모드의 조절은 학습 모드를 사용하거나 시스템의 기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조절을 한 후에, 새로운 플레이모드가 새로운 플레이 과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단계 270). 새로운 플레이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트리거 이벤트는 새로운 학습 모드의 학습 과정을 실행한다.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 조절을 완료하고 새로운 플레이 과정을 실행하기 시작한 후에, 시스템은 사용자가 게임학습을 종료하고 싶어하는지를 결정한다(단계 280). 사실, 사용자는 게임 활성화 후에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를 사용하여, 임의의 시간에서 게임학습 실행을 종료할 수 있으므로, 단계(280)는 다음 과정에서 설명된 동작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게임학습을 종료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들이 단계(220)으로 돌아가서 플레이 과정을 계속하며 새로운 트리거 이벤트들이 발생했는지를 계속 알아본다. 사용자가 게임학습을 종료하면, 모든 학습 기록과 평가결과들이 저장되고(단계 290), 게임학습이 초기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를 설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학습분석 소프트웨어가 학습결과 분석을 제공하기 위한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2 shows a flow chart fo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game is activated (activation 100 of the play platform) and a predetermined play mode and learning mode of the system are input (step 200). The preset play mode and learning mod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prior to activation of the game by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which also uses the user's stored learning records and evaluation results from the previously completed learning process. Can be determined. Then, according to the play mode, the game is initialized and the play process starts to be executed (step 210). The user may begin to control other actions of the game using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The play process begins to monitor whether any trigger event has occurred (step 220). If an active or passive event occurs, the learning mode is activated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s executed (step 230). Active triggering is automatically activated by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irregularly during the play process; Manual triggering generates events through user motion control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events during the play process. If no trigger event occurs, the play process continues (step 225) and simultaneously monitors the occurrence of the trigger event (step 220). During execution of the learning process, user learning status is recorded and evaluated (step 240). Evaluation results are numerically calculated and quantified to determine the learning statu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learning adjustment is necessary (step 250). If no adjustment is needed, go back to step 220 to continue the play process to see if a new trigger event has occurred. If adjustment is needed, the learning mode and play mode are reset using the evaluation result (step 260). Adjustment of the learning mod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following FIG. 3. Adjustment of the play mode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learning mode or by a predetermined method of the system. After making the adjustment, a new play mode is used to execute a new play process (step 270). The trigger event generated by the new play process executes the learning process of the new learning mode. After completing the play mode and learning mode adjustments and starting to execute a new play process, the system determines if the user wants to end game learning (step 280). In fact, since the user can terminate the game learning execution at any time using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after game activation, step 280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opera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If the user does not complete the game learning, the next steps return to step 220 to continue the play process and to see if new trigger events have occurred. When the user completes the game learning, all learning records and evaluation results are stored (step 290) and the game learning can be used when setting the initial play mode and learning mode. Other learning analysis software can also be used as a source for providing learning analysis.

학습 모드에 대한 조절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라. 본 발명의 예는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까지(난이도가 쉬운 수준에서 어려운 수준까지)의 언어학습 언어 요소들을 5개 모드로 나눈다; 즉, 알파벳(모드 1), 단어(모드 2), 구(모드 3), 문장(모드 4) 및 문단(모드 5). 대개, 시스템은 모드 1의 기설정된 값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인 언어학습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사용자의 학습상태에 따라 학습 과정을 청구하여 더 높은 수준이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조절한다. 사용자는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를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거나, 상술한 5개 모드들이 시스템의 무작위 선택에 따라 학습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더 양호한 예를 제공한다.For adjustments to the learning mode, see FIG. 3.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language learning language elements from low to high levels (from easy to difficult) into five modes; That is, alphabet (mode 1), word (mode 2), phrase (mode 3), sentence (mode 4), and paragraph (mode 5). Usually, the system starts at a preset value of mode 1 and charges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status to adjust to a higher or lower level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The user can change the settings using the user control interface 110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or the five modes described above can execute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andom selection of th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etter example.

학습 과정에서 언어 요소의 다른 태양들은 다중 선택을 하게 하는 조합 조건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4를 사용하여, 언어 요소 "단어(words)"는 문자, 음성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거나, 교재, 음성 및 영상의 무작위 조합을 통한 멀티미디어 상태들로 나타낼 수 있다. 최종 학습 과정을 나타내는 방법은 또한 플레이 과정과 협력해야하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적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하여 강조되는 점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논의하지 않는다.In the learning process, different aspects of language elements have combinatorial conditions that allow multiple choices. For example, using FIG. 4, the language element “words” can be represented using text, voice, or images (including photographs or videos), or multimedia through random combinations of textbooks, voice, and images. Can be represented by states. The method of representing the final learning process should also cooperate with the play process, but this known technical method is not discussed herein, as it is not emphas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도 5a 및 도 5b는 플레이 플랫폼(100)의 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능동 트리거 이벤트 예를 나타낸 것이다. 플레이 과정 동안,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은 능동적으로, 스크린 상에 플레이 과정 동안 동작 제어를 통하여 단어 "새(bird)"를 찾도록 요구하는 등과 같이, 무작위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 과정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학습을 시작하게 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수동 트리거 이벤트 예를 나타낸 것이다. 플레이 과정 동안, 사용자는, 플레이 캐릭터(character)가 스크린 상의 "?" 아이템으로 뛰게하고 닿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동작과 같이, 제어를 자유롭게 동작하여 기설정된 이벤트를 찾아 트리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가 트리거 되고 알파벳 T에 대한 학습 과정을 생성한다. 사실, 능동 또는 수동 트리거 이벤트와는 무관하게, 실제적인 표현상태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Finally, FIGS. 5A and 5B are examples of play platform 100. 5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ctive trigger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play process, the event trigger module 140 actively activates the learning process using a random method, such as requiring the user to find the word “bird” through motion control during the play process on the screen, and the like. Have students start learning. 5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nual trigger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play process, the user is asked if the play character has a "?" Like the user's action of jumping and touching an item, the control can be freely operated to find and trigger a predetermined event. As such, the event is triggered and creates a learning sequence for the letter T. In fact, regardless of the active or passive trigger event, the actual presentation state can be changed freely an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은 여러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 에게 명백한 모든 이러한 변경들은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되어있다.It is therefore evident that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 many ways. Such variations are not to be regarded as a departure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언어학습 분야에 더 큰 필요성을 갖는 학습자들을 위해, 더 쉽고, 더 즐거우며 더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학습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학습하게 하여 최상의 학습결과를 달성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learners having a greater need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by providing an easier, more enjoyable and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the learners gradually learn in a comfortable and enjoyable learning environment Ensure the best learning results.

Claims (13)

기설정된 플레이 모드에 따른 플레이 과정을 제공하고, 동작 제어를 수신하여 상기 플레이 과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며,It is used to provide a play process according to a preset play mode, receive motion control and execute the play process, 상기 플레이 모드의 상기 플레이 과정에 필요한 플레이 요소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121)와,A play element database 121 used to store play elements required for the play process of the play mode; 상기 플레이 과정에 대한 상기 동작 제어를 수신한 후에, 상기 해당 플레이 과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 요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 요소를 검색하고, 상기 플레이 과정에 대한 상기 동작 제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플레이 실행유닛(122)을 더 포함하는 플레이 모듈(120);After receiving the motion control for the play process, the play execution used to retrieve at least one play element from the play element database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play process and to receive the motion control for the play process. A play module 120 further comprising a unit 122; 플레이 과정 및 학습 과정에 상기 동작 제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110);A user control interface (110) used to provide the motion control in a play process and a learning process; 상기 플레이 과정 동안 생성된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 해당 학습 과정을 요청하는 이벤트 트리거 모듈(140); 및An event trigger module 140 for requesting a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 trigger event generated during the play process; And 기설정된 학습 모드에 따라 학습 과정을 제공하고 상기 동작 제어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 과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학습 모드의 학습 과정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언어 요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요소 데이터베이스(131)와,The language element database 131 is used to provide a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mode, receive the operation control, and execute the learning process, and store language elements required by the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ing mode. Wow, 적어도 하나의 언어 요소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과정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신하는, 상기 트리거 이벤트에 따른, 학습 실행유닛(132)과,A learning execution unit 132, according to the trigger event, to receive at least one language element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and receive operation control for the learning process; 학습 및 평가 기록에 따라 상기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학습 모드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학습 조절유닛(133)을 더 포함하는 학습 모듈(130)을 구비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having a learning module (130) further comprising a learning control unit (133) used to adjust the play mode and the learning mode according to a learning and evaluation reco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는 상기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학습 모드를 제공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And the user control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 procedure for providing the play mode and the learn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능동 트리거 이벤트와 수동 트리거 이벤트의 2가지 형태로 구성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The trigger event is a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combines a computer game consisting of two types of active trigger events and passive trigger even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조절유닛은 상기 학습 과정 동안 학습 기록과 평가를 실행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The learning control unit is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combined with a computer game further compris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a learning record and assessment during the learning proces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학습 조절유닛은 상기 플레이 과정 및 상기 학습 과정이 종료될 때 상기 학습기록을 저장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The learning control unit is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with a computer game, further comprising a process of storing the learning record when the play process and the learning process is finish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모드는 알파벳, 단어, 구, 문장 및 문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드인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Wherein said learning mode is a mo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phabets, words, phrases, sentences, and paragraph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학습요소는 문자, 음성 및 영상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소인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시스템.The learning element is a gradual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combines a computer game with an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xt, voice and video. 게임을 활성화시키고 플레이 모드와 학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Activating the game and determining a play mode and a learning mode; 플레이 모듈에 따라, 게임 초기화를 실행하고 플레이 과정을 시작하는 단계;According to the play module, executing game initialization and starting a play process;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학습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실행하는 단계;Activating the learning mode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as a trigger event occurs;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성적을 기록하고 평가하며, 상기 학습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Recording and evaluating learning grad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storing the learning records; And 상기 학습 기록에 따라 즉시 상기 학습 모드와 상기 플레이 모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And gradually adjusting the learning mode and the play mode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recor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학습 모드는 알파벳, 단어, 구, 문장 및 문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드인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Wherein the learning mode is a mode selected from a group consisting of alphabets, words, phrases, sentences, and paragraph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학습요소는 문자, 음성 및 영상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요소인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The learning element is a gradual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combines a computer game tha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xt, voice and video.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능동 트리거 이벤트와 수동 트리거 이벤트의 2가지 형태로 구성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The trigger event is a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combines a computer game consisting of two types of active trigger event and passive trigger even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플레이 과정 및 학습 과정이 종료될 때 상기 학습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And storing the learning record when the play process and the learning process are finishe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학습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콘트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겸한 점진적인 언어학습 방법.And using a user control interface to provide the play mode and the learning mode.
KR1020040023372A 2004-04-06 2004-04-06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589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2A KR100589116B1 (en) 2004-04-06 2004-04-06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2A KR100589116B1 (en) 2004-04-06 2004-04-06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64A KR20050098364A (en) 2005-10-12
KR100589116B1 true KR100589116B1 (en) 2006-06-14

Family

ID=3727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72A KR100589116B1 (en) 2004-04-06 2004-04-06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11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64A (en)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mmenos et al. Designing universally accessible games
Yuan et al. Game accessibility: a survey
US62964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unicating and behavior skills training
US7048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using a human interaction simulator
US7627536B2 (en) Dynamic interaction menus from natural language representations
Jokinen et al. Modelling learning of new keyboard layouts
Torrente Vigil et al. Towards a low cost adaptation of educational gam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P5997261B2 (en) A language learning system configured to customize language learning for individual users
US20060160055A1 (en) Learning progra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20150325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nd interactive legal education
Thomas Framing the ‘melancomic’: character, aesthetics and affect in Wes Anderson's Rushmore
US20070238079A1 (en) Strategic enforcement of long-term memory
EP11337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using a human interaction simulator
Zagalo Multimodality and Expressivity in Videogames.
KR100589116B1 (en)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Röber et al. Interactive audiobooks: combining narratives with game elements
US20050208459A1 (en) Computer game combined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oidl et al. Dynamically adjusting digital educational games towards learning objectives
Horswill Game design for classical AI
US10460619B2 (en) Method and system of customizing scripture study
Satria et al. EFL learning media for early childhood through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
Sauvé Online educational games: guidelines for intergenerational use
JP2005300719A (en) Progres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combined with computer game, and method for the same
Gernigon et al. Learned helplessness: A survey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perceptual-motor consequences in motor tasks
Benson Games based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