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717B1 - Linear compressor - Google Patents

Linea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717B1
KR100588717B1 KR1020040068731A KR20040068731A KR100588717B1 KR 100588717 B1 KR100588717 B1 KR 100588717B1 KR 1020040068731 A KR1020040068731 A KR 1020040068731A KR 20040068731 A KR20040068731 A KR 20040068731A KR 100588717 B1 KR100588717 B1 KR 10058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winding layer
coil
load
linea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0008A (en
Inventor
김현
최봉준
조만석
박신현
장창용
신종민
노철기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717B1/en
Publication of KR2006002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1Load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4Settings
    • F04B2207/042Settings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하에 따라 운전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compressor for adjusting inductance so that an operating frequency varies depending on a load.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는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상기 고정부재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부하에 의존하여 스프링 상수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과,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며, 부하에 따라 운전주파수(fc)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다.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space therein, a movable membe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while reciprocating linear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fixed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At least one or more spring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in the movement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constant variable depending on the load,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to reciprocate linearly the movable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operate frequency according to the load (fc ) Is made of a linear motor that adjusts the inductance to vary.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Linear Compressor {LINEAR COMPRESSOR}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스트로크 및 효율이 도시된 그래프,1a and 1b is a graph showing the stroke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load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전원공급회로의 구성도,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circuit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단면도,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스트로크 및 효율이 도시된 그래프,4a and 4b is a graph showing the stroke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load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7b는 도 6의 코일로 이루어진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7A and 7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composed of the coil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밀폐용기 4: 실린더2: airtight container 4: cylinder

6: 피스톤 7: 머플러6: piston 7: muffler

8a, 8b: 제1, 2기계 스프링 10: 리니어 모터8a, 8b: 1st, 2nd mechanical spring 10: linear motor

12: 이너 스테이터 14: 아웃터 스테이터12: inner stator 14: outer stator

16: 영구자석 15, 15 : 분지수단16: permanent magnet 15, 15: branch means

18: 제어수단 22: 흡입밸브18: control means 22: suction valve

24: 토출밸브 어셈블리 24: discharge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하에 따라 운전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compressor for adjusting inductance so that an operating frequency varies depending on a load.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써,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ompresso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increases pressure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generator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turbine to compress air, refrigerant, or various other working gases. It is widely used throughout.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와,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나뉘어진다.These compressors are classified into a reciprocating compressor which compresses the refrigerant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by forming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working gas is absorbed and discharg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And a rotary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while the roller is eccentrically rot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to form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working gas is sucked and discharged between the eccentrically rotating roller and the cylinder. As a scroll compresso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while the rotating scroll rotates along the fixed scroll to form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working gas is absorbed and discharged between the orbiting scroll and the fixed scroll. Divided.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mong the reciprocating compressors, in particular, the pist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drive motor, so that there is no mechanical loss due to the motion conversion to improve the compression efficiency as well as a simple linear compressor has been developed a lot.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모터의 직선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흡입, 압축, 토출시키게 되는데, 크게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는 실린더 및 피스톤 등이 포함된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리니어 모터가 포함된 구동부로 나뉘어진다.In general, a linear compressor sucks, compresses, and discharges a refrigerant by using a linear driving force of a motor. 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 cylinder and a piston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gas is large, and a linear motor supplying driving force to the compression unit. It is divided into included driving parts.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용기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왕복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 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유입되도록 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축공간에는 흡입밸브 어셈블리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간 내부의 압력에 따라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조절한다.Specifically, the linear compressor is installed so that the cylinder is fixed inside the sealed container, the piston is installed in the cylinder to reciprocate linear movement, the compression space in the cylinder as the piston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the cylinder It is configured to compress and then discharge the refrigerant into the inlet, the inlet and outlet valv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space to adjust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또한, 상기 피스톤에 직선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실린더 주변에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이너 스테이터 및 아웃터 스테이터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이너 스테이터 또는 아웃터 스테이터 내측에는 코일(또는 코일 권선체)이 감겨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 의 간극에는 영구자석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inear motor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force to the piston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inear motor is provided with an inner stator and an outer stator configured to be lamin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ylinder with a predetermined gap, A coil (or coil winding)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stator or the outer stator, and a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stator and the outer stato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iston.

이때,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되는데, 보통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작동될 뿐 아니라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스트로크(S)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and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as the current flows in the coil, the linear motor is a constant operation Not only is it operated at frequency f c , but it also causes the piston to reciprocate linearly with a predetermined stroke S.

한편, 상기 피스톤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더라도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각종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기계 스프링의 일종인 코일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상기 밀폐용기 및 실린더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 역시 가스 스프링으로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ston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spring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even if the linear motor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specifically, a coil spring which is a kind of mechanical spring to the closed container and the cylind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I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also acts as a gas spring.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정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고,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가지며,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고려하여 피스톤(또는 리니어 압축기)의 고유주파수(fn)가 산출된다.At this time, the coil spring has a constant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the gas spring has a gas spring constant (K g ) tha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ad,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and gas spring constant (K Taking into account g ),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or linear compressor) is calculated.

이와 같이 산출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를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리니어 모터는 운전주파수(fc)를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공진 상태에서 운전시킴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calculated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determines the operating frequency f c of the linear motor, and the linear motor matches the operating frequency f c with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operating in the resonance sta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이 따라 상기 아웃터 스테이터 및 이너 스테이터와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linear compr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linear motor, an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interacting with the outer stator and the inner stator as a current flows in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piston connected to this causes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이때,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운전하게 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n)는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하여 공진상태에서 운전되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ear motor operates at a constant operating frequency f c , and the operating frequency f n of the linear motor coincides with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to operate in a resonance state to maximize efficiency. Can be.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고, 이와 같이 상기 압축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다음, 압축되어 토출된다. As such, the pressure inside the compression space is changed as the piston reciprocates linearly in the cylinder, and the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then compressed and discharg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리니어 모터가 설계 상에서 고려한 부하 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가스 스프링의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해 산출되는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에 일치하는 운전주파수(fc)로 운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지 설계 상에서 고려한 부하 하에서만 상기 리니어 모터가 공진 상태에서 운전됨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linear compr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which is calculated by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of the coil spring and the gas spring constant K g of the gas spring under the load considered by the linear motor in design. Since the linear motor is configured to operate at an operating frequency f c corresponding to the linear motor operates in a resonance state only under the load considered in the design,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는 실제 부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가스 스프링의 가스 스프링 상수(Kg) 및 이를 고려하여 산출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 (fn)가 변경된다.However, in the linear compressor as described above, as the actual load is changed, the gas spring constant K g of the gas spring and the natural frequency f n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gas spring constant are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시 중간부하 영역에서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하도록 운전주파수(fc)가 결정되고, 부하가 가변되더라도 이와 같이 결정된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운전되지만,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부하가 커짐에 따라 커지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linear motor, as shown in FIG. 1A, the operating frequency f c is determined to match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in the intermediate load region during design, and the constant constant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load is variable. Although operated at an operating frequency f c ,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increases as the load increases.

Figure 112004039196714-pat00001
Figure 112004039196714-pat00001

이때, 상기 fn 은 피스톤의 고유주파수이고, Km 및 Kg 는 기계 스프링 상수 및 가스 스프링 상수이며, M은 피스톤의 질량이다.Where f n i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ston, K m and K g are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and the gas spring constant, and M is the mass of the piston.

보통, 설계 당시 전체 스프링 상수(KT)에서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차지하는 비율이 작기 때문에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고려하지 않거나,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여 적용되고, 상기 피스톤의 질량(M) 및 기계 스프링 상수(Km) 역시 일정한 값을 가짐으로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상기 수학식1에 의존하여 일정한 값으로 산출된다.In general,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is small because the ratio of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to the total spring constant (K T ) at the time of design is not considered or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is set to a constant value. In addition, since the mass (M) and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of the piston also has a constant value, the natural frequency (f n ) of the piston is also calculated as a constant value depending on Equation (1).

그러나, 실제로 부하가 증가할수록 제한된 공간에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가스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이 커져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고, 이러한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비례하도록 산출되는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커지게 된다.In practice, however, the more the load increase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coolant increases in a limited space, which results the elastic force of the gas spring itself increases the gas spring constant (K g) is large, and yield to be proportional to such a gas spring constant (K g)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is also increased.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전원공급회로의 구성도로서, 일정한 인덕턴스를 지니는 코일(L)과, 일정한 컨덕턴스를 지니는 캐패시터(C)와, 전원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압 또는 전류는 전원공급회로 내의 LC 공진에 의한 운전주파수(fc)를 일정하게 지니게 된다. 이러한 운전주파수(fc)는 도 1a 및 1b의 중간부하 영역에서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하도록 적절한 L 및 C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와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일치함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까지 도달하도록 운전되어 안정적으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짐으로 압축기의 효율이 최대가 된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circuit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coil L having a constant inductance, a capacitor C having a constant conductance, and a power source. As shown,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has a constant operating frequency f c due to LC resonance in the power supply circuit. This operating frequency f c is set by selection of appropriate L and C to match the natural frequency f n in the middle load region of FIGS. 1A and 1B. Therefore,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driving frequency f c of the linear motor and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intermediate load region, thereby driving the piston to reach a top dead center. The compress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sonance stat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하지만, 저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보다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작아짐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여 과도한 압축력이 작용될 뿐 아니라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의 마찰 및 마모가 발생되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압축기 효율이 떨어진다.However, in the low load region, the piston's natural frequency (f n ) is small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f c ) of the linear motor, so that the piston is excessively moved above the top dead center, so that the excessive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as well as the piston and the cylinder. Friction and abrasion occurs, and the compressor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it is not operated in a resonance state.

마찬가지로, 고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보다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커짐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못 미치도록 운전되어 압축력이 떨어지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압축기 효율이 떨어진다.Similarly, in the high load region, the piston's natural frequency f n is great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f c of the linear motor, so that the piston is operated to fall below the top dead center,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is lowered and the compressor is not operated in a resonance state. Inefficient

결과적으로,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는 부하가 가변됨에 따라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가변되는 반면,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는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리니어 모터가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그 효율이 떨어지고, 능동적으로 부하에 대응하지 못하여 신속하게 부하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linear compressor,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is variable as the load is varied, whereas the linear motor is not operated in a resonance state because the operating frequency f c of the linear motor is const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load cannot be released quickly due to the failure to actively respond to the loa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더라도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를 조절함으로 부하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압축을 수행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that efficiently performs compression in response to a load by adjusting the operating frequency (f c ) of the linear motor even if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do.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는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상기 고정부재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부하에 의존하여 스프링 상수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과,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며, 부하에 따라 운전주파수(fc)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다.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space therein, a movable membe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while reciprocating linear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fixed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At least one or more spring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in the movement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constant variable depending on the load,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to reciprocate linearly the movable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operate frequency according to the load (fc ) Is made of a linear motor that adjusts the inductance to vary.

또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냉동/공조용 사이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하는 상기 냉동/공조용 사이클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압력(응축압)과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압력(증발압)의 차에 비례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near compressor is installed in a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ycle, and the load differs between a pressure (condensation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condenses in the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ycle and a pressure (evaporation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in proportion.

또한, 상기 부하는 추가로 상기 응축압과 증발압의 평균인 압력(평균압)에 비례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ad is preferably further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average pressure) which is the average of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또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운전주파수(fc)를 부하에 비례하여 가변되는 상기 가동부재의 공진주파수(fn)에 동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near motor preferably synchronizes the driving frequency fc to the resonance frequency f n of the movable member, which varies in proportion to the load.

또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가동부재를 상사점까지 왕복 직선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near motor is preferably operated to reciprocate linear motion to the top dead center.

또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고정부재 주변을 감싸도록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이너 스테이터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아우터 스테이터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 또는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코일이 권선된 코일 권선체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의 간극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 권선체의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권선체는 반경방향으로 적층된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을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분지수단과, 상기 코일 권선체와 직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부하에 따라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는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제어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near motor includes an inner stator configured to stack a plurality of lamination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xing member, and an outer stator configured to stack a plurality of lamination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inner stator. A coil winding in which a coil is wound so as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inner stator and the outer stator, and a coil winding body wound around the inner stator and the outer stator,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A permanent magnet that linearly reciprocates by interaction, wherein the coil winding is composed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stacked radially, and the linear motor selects at least one coil winding layer to apply an input current Basin End,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further coil volume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total inductance for controlling the branc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or and the loa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ull.

또한,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layer preferably has different inductances.

또한, 상기 코일 권선층은 코일의 권선수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layer preferably has a different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또한,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코일 굵기를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layer preferably has a different coil thickness.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고부하의 경우 작은 인덕턴스가 선택되고, 저부하의 경우 큰 인덕턴스가 선택되도록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ontrol means preferably controls the branching means such that a small inductance is selected at high loads and a large inductance is selected at low loads.

또한,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분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layers are preferab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분지수단은 각 코일 권선층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공통단자와, 상기 코일 권선층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개별 단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단자에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ranching means may apply the current to at least one individual terminal among the common terminals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coil winding layer and two or more individual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또한,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layer is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분지수단은 상기 코일 권선체의 양단지점과 각 코일 권선층 사이의 연결지점 중에서 두 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nching means selects two points from both ends of the coil winding body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each coil winding layer to apply the input current.

또한,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는 리니어 압축기의 원주 방향으로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진 코일 권선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을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분지수단과, 상기 코일 권선체와 직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부하에 따라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여 운전주파수(fc)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다. In addition, the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l winding body consisting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branching mea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coil winding layer to apply an input current, and the coil winding body and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and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inductance to control the bran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load to vary the operating frequency (fc).

또한,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는 원주 방향으로 코일로 적층되며,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닌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coil winding of the linear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n coi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sists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having different inductances.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무빙 마그네트 타입의 리니어 모터가 작동되고, 이와 연결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이동되면서 냉매를 흡입, 압축, 토출시키는 리니어 압축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ar compressor for operating a moving magnet type linear motor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iston connected thereto reciprocates linearly in the cylinder to suck, compress and discharge the refrigerant. It is explain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2) 일측에 냉매가 유,출입되는 유입관(2a) 및 유출관(2b)이 설치되고, 상기 밀폐용기(2) 내측에 실린더(4)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 내부의 압축공간(P)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4) 내부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에 탄성 지지되도록 각종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6)은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더라도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동기화되도록 그 운전주파수(fc)를 제어한다.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n inlet tube 2a and an outlet tube 2b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n and out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aled container 2, and the inside of the sealed container 2 is provided. The cylinder 4 is installed to be fixed, and the piston 6 is installed in the cylinder 4 so as to reciprocate linear movement so as to compress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P inside the cylinder 4. At the same time, a variety of springs are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6), the piston (6)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inear motor 10 for generating a linear reciprocating drive forc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ston (f) Even though n )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the linear motor 10 controls its operating frequency f c to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the pist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아울러, 상기 압축공간(P)과 접하고 있는 상기 피스톤(6)의 일단에 흡입밸브(22)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간(P)과 접하고 있는 상기 실린더(4)의 일단에 토출밸브 어셈블리(24)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밸브(22)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24)는 각각 상기 압축공간(P)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된다.In addition, a suction valve 2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iston 6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space P, and a discharge valve assembly 2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4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space P. ) Is installed, and the suction valve 22 and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24 are automatically adjust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pressure inside the compression space P,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밀폐용기(2)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하부 쉘이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2a) 및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b)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 내측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4) 외측에 상기 리니어 모터(10)가 프레임(18)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러한 조립체가 상기 밀폐용기(2) 내측 바닥면에 지지스프링(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Here, the airtight container (2)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hell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side is sealed, the inlet pipe (2a) and the outlet pipe (2b) for the coolant flow in one side is installed, the The piston 6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4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for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nd the linear motor 10 is assembled to each other by the frame 18 outside the cylinder 4. The assembly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upport spring 29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aled container (2).

아울러, 상기 밀폐용기(2) 내부 바닥면에는 소정의 오일이 담겨지고, 상기 조립체 하단에는 오일을 펌핑하는 오일공급장치(3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립체 하측 프레임(18) 내부에는 오일을 상기 피스톤(6)과 실린더(4)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오일공급관(18a)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오일공급장치(30)는 상기 피스톤(6)의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작동되어 오일을 펌핑하고, 이러한 오일은 상기 오일공급관(18a)을 따라 상기 피스톤(6)과 실린더(4) 사이의 간극으로 공급되어 냉각 및 윤활 작용을 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oil is contain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tight container (2), and an oil supply device (30) for pumping oi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ssembly, and oil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18) of the assembly. An oil supply pipe 18a is formed to be supplied between the 6 and the cylinder 4, so that the oil supply device 30 is operated by vibration generated by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piston 6. The oil is pumped, and this oil is supplied along the oil supply pipe 18a to the gap between the piston 6 and the cylinder 4 for cooling and lubrication.

다음, 상기 실린더(4)는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 압축공간(P)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a) 내 측에 일단이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2a)과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ylinder 4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piston 6 can reciprocate linearly, and a compression space P is formed at one side, and one end is close to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2a.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inlet pipe (2a) in the position.

물론, 상기 실린더(4)는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일단 내부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일단에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24)가 설치된다.Of course, the cylinder (4) is installed in one end close to the inlet pipe (2a) so as to reciprocate linear movement,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 24) is installed.

이때,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24)는 상기 실린더(4)의 일단 측에 소정의 토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토출커버(24a)와,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 측 일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토출밸브(24b)와, 상기 토출커버(24a)와 토출밸브(24b) 사이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일종의 코일 스프링인 밸브 스프링(24c)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4)의 일단 내둘레에 오링(R)이 끼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토출밸브(24a)가 상기 실린더(4) 일단을 밀착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24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cover 24a which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discharge space on one end side of the cylinder 4, and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ace P side of the cylinder. And a discharge valve 24b and a valve spring 24c, which is a kind of coil spring that imparts an elastic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discharge cover 24a and the discharge valve 24b, and at one end of the cylinder 4 The O-ring (R) is installed in the fitting so that the discharge valve 24a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ylinder (4).

아울러, 상기 토출커버(24a)의 일측과 상기 유출관(2b) 사이에는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 파이프(28)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루프 파이프(28)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뿐 아니라 상기 실린더(4), 피스톤(6), 리니어 모터(1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진동이 상기 밀폐용기(2)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켜 준다.In addition, a bent loop pipe 28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discharge cover 24a and the outlet pipe 2b. The loop pipe 28 guid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vibration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cylinder 4, the piston 6, and the linear motor 10 buffers the transmission of the entire sealed container 2.

따라서, 상기 피스톤(6)이 상기 실린더(4)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소정의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24c)이 압축되어 상기 토출밸브(24b)를 개방시키고,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P)으로부터 토출된 다음, 상기 루프 파이프(28) 및 유출관(2b)을 따라 완전히 외부로 토 출된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of the compression space P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charge pressure as the piston 6 reciprocates linearly in the cylinder 4, the valve spring 24c is compressed and the discharge valve ( 24b) is opened,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space P, and then completely discharged along the loop pipe 28 and the outlet pipe 2b.

다음, 상기 피스톤(6)은 상기 유입관(2a)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냉매유로(6a)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일단이 연결부재(17)에 의해 상기 리니어 모터(10)가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일단에 상기 흡입밸브(22)가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으로 각종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piston 6 has a coolant flow path 6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coolant flowing from the inlet pipe 2a flows, and one end close to the inlet pipe 2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7. In addition, the linear motor 10 is install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ction valve 2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flow pipe 2a opposite to the inflow pipe 2a, and is elastically formed by various springs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6. It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이때, 상기 흡입밸브(22)는 박판 형상으로 중앙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냉매유로(6a)를 개폐시키도록 중앙부분이 일부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피스톤(6a)의 일단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valve 22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partially cut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nt passage 6a of the piston, and one side is fixed by a screw to one end of the piston 6a. It is installed as possible.

따라서, 상기 피스톤(6)이 상기 실린더(4)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토출압력보다 더 낮은 소정의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밸브(22)가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P)으로 흡입되고,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소정의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밸브(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Therefore, as the piston 6 reciprocates linearly in the cylinder 4, when the pressure of the compression space P become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uction pressure lower than the discharge pressure, the suction valve 22 is When the refrigerant is opened and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P, and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P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uction pressure,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P is closed while the suction valve 22 is closed. Is compressed.

특히, 상기 피스톤(6)은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피스톤(6)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피스톤 플랜지(6b)가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기계 스프링(8a,8b)에 의해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압축공간(P)에 포함된 냉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가스 스프링으로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6)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piston 6 is installed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specifically, the piston flange 6b protruding radially at one end of the piston 6 proximate to the inlet pipe 2a is a machine such as a coil spring or the like. Resiliently suppor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6) by the spring (8a, 8b),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compression space (P)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let pipe (2a) acts as a gas spring by its elastic force The piston 6 is elastically supported.

여기서, 상기 기계 스프링(8a,8b)은 부하와 상관없이 일정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되, 상기 기계 스프링(8a,8b)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6b)를 기준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10)에 고정되는 소정의 지지프레임(26)과 상기 실린더(4)에 각각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6)에 지지되는 기계 스프링(8a)과 상기 실린더(4)에 설치되는 기계 스프링(8a)이 동일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echanical springs (8a, 8b) has a constant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irrespective of the load, the mechanical spring (8a, 8b) is the linear motor (10) relative to the piston flange (6b)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support frame 26 and the cylinder 4 are fixed to the cylinder 4 side by side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mechanical spring (8a) and the cylinder (4)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26 It is preferable that the mechanical spring 8a to be installed in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하지만,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에 의존하는 가변되는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가지되, 상기 압축공간(P)에 포함된 가스는 주변온도가 높아질수록 냉매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자체 탄성력이 커짐으로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가 커질수록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게 된다.However, the gas spring has a variable gas spring constant (K g ) depending on the load, but the gas contained in the compression space (P) increases its elastic force a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as the ambient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gas spring loads, the gas spring constant K g increases.

이때,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는 일정한 반면,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는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기 때문에 전체 스프링 상수 역시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고, 상기의 수학식1에 의존하여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존하여 가변된다.At this time,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is constant, while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load, so the total spring constant is also variable depending on the load, piston 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1) The natural frequency f n of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따라서, 부하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피스톤의 질량(M)은 일정한 반면,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가변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부하에 의존하는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그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가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동기화되도록 제어함으로 보다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부하를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load is variable,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 and the mass (M) of the piston are constant, while the natural frequency (f n ) of the piston depends on the load because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is variable. I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gas spring constant (K g ), which is determined using a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in which the natural frequency (f n ) of the piston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ad, and accordingly the operating frequency (f c) of the linear motor. )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al frequency (f n ) of the piston to increase the compressor efficiency as well as to quickly release the load.

물론, 상기 부하는 다양하게 측정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 응축, 증발, 팽창되는 냉동/공조용 사이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부하는 냉매가 응축되는 압력인 응축압과 냉매가 증발되는 압력인 증발압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응축압과 증발압을 평균낸 평균압을 고려하여 결정된다.Of course, the load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but such a linear compressor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condensed, evaporated, and expanded, so that the load is the condensing pressure which is the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t can b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the evaporation pressure, which is the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and further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pressure obtained by averaging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to increase accuracy.

즉, 상기 부하는 상기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 및 평균압에 비례하도록 산출되며, 상기 부하가 커질수록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게 되는데, 일예로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가 클수록 부하가 커지고,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가 동일하더라도 평균압이 클수록 부하가 커지도록 산출되며, 이와 같은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도록 산출된다.That is, the load is calculat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and the average pressure, and as the load increases, the gas spring constant K g increases. For exampl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increases, Even if the load is lar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is the same, the larger the average pressure is, the larger the load is. The corresponding gas spring constant K g is calculated to correspond to the load.

이때, 상기 부하는 실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압에 비례하는 응축온도 및 증발압에 비례하는 증발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응축온도와 증발온도의 차 및 평균온도에 비례하도록 산출된다.At this time, the load is actually calculated as measured in proportion to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proportional to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proportional to the evaporation pressure as shown in Figure 5, and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and the average temperature.

구체적으로,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가스 스프링 상수(Kg)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에 비해 기계 스프링 상수가 더 작은 기계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전체 스프링 상수에 대한 가스 스프링 상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아지도록 하여 부하에 따라 피스톤의 공진주파수가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변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피스톤의 고유주파수에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를 손쉽게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chanical spring constant K m and the gas spring constant K g can be determin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By applying a mechanical spring with a smaller mechanical spring constant than a conventional linear compressor, B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gas spring constant for the control so that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piston fluctuates in a relatively wide range according to the load, it is controlled to easily synchroniz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linear motor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ston tha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ad can do.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은 반경 방향으로 적층되며,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L1, L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일 권선층(L1, L2)의 개수는 제조자에 의해 선택되는 운전주파수(fc)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in a radial direction and consist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The number of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operating frequencies f c selected by the manufacturer.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권선층(L1, L2)는 서로 코일의 권선수가 다르거나, 서로 다른 코일 굵기를 지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닌다. 자세하게는, 코일 권선층(L1)의 인덕턴스는 코일 권선층(L2)의 인덕턴스보다 크게 된다. As shown, the coil winding layer (L1, L2) has a different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or have a different coil thickness, and have different inductance. In detail, the inductance of the coil winding layer L1 becomes larger than the inductance of the coil winding layer L2.

이러한 상이한 인덕턴스를 지닌 코일 권선층(L1, L2)은 직렬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거나, 병렬의 형태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having such different inductanc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parallel.

도 7a 및 7b는 도 6의 코일로 이루어진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7A and 7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composed of the coil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복수개의 라미네이션(12a)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8)에 의해 상기 실린더(4)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2)와, 코일이 감겨지도록 구성된 코일 권선체 (14a) 주변에 복수개의 라미네이션(14b)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8)에 의해 상기 실린더(4) 외측에 상기 이너 스테이터(12)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아웃터 스테이터(14)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12)와 아웃터 스테이터(14) 사이의 간극에 위치되어 상기 피스톤(6)과 연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영구자석(1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 권선체(14a)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12)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linear motor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minations (12a) are lamin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inner stator 12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4) by the frame 18 and And a plurality of laminations 14b are lamin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oil winding body 14a configured to wind the coils so that the inner stator 12 and the inner stator 12 are disposed outside the cylinder 4 by the frame 18. Permanent magnet installed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tator (14) and the inner stator (12) and the outer stator (14) installed with a gap of the piston 6 and the connecting member (17) 16, the coil winding 14a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tator 12.

특히,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인덕턴스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 권선체(14a)가 반경방향으로 적층된 두 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L1,L2)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L1,L2)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L1,L2)을 선택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인가하는 분지수단(15, 15 )과, 상기 부하를 판단하여 상기 분지수단(15, 15 )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8)을 더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linear motor 10 may vary inductance. Specifically, the linear motor 1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in which the coil winding 14a is radially stacked, and the linear The motor 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applying a current to at least one coil winding layer (L1, L2).
Here, the linear motor 10 is a branching means (15, 15) for applying at least one coil winding layer (L1, L2) to apply a current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branching means (15) by determining the load And control means 18 for controlling 15).

삭제delete

이때, 각 코일 권선층(L1,L2)이 서로 다른 인덕턴스(L)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권선층(L1, L2)에 코일의 권선수 및/또는 코일의 굵기(선경)가 서로 다르도록 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il winding layer (L1, L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inductance (L), for exampl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and / or the thickness of the coil (wire diameter) in each winding layer (L1, L2) ) Can be different.

도 7a는 코일 권선체(14a)의 코일 권선층(L1, L2)가 서로 분리되어 병렬적인 구조인 경우이고, 도 7b는 코일 권선체(14a)의 코일 권선층(L1, L2)이 서로 연결되어 직렬적인 구조인 경우이다. 이러한 코일 권선층(L1, L2)의 연결 상태에 따라 분지수단(15, 15 )은 다양한 인덕턴스의 조합을 야기할 수 있다. FIG. 7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of the coil winding body 14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ave a parallel structure. FIG. 7B illustrates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of the coil winding body 14a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is the case of a se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the branching means 15 and 15 may cause a combination of various inductances.

먼저, 도 7a에서, 연결단자(15a)는 코일 권선층(L1, L2)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단자(15b)는 코일 권선층(L1)의 타단에 연결되고, 연결단자(15c)는 코일 권선층(L2)의 타단에 연결되며, 분지수단(15)은 연결단자(15a)를 항상 선택하고, 연결단자(15b, 15c)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스위치(15d)에 의해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한다. 따라서, 분지수단(15)에 의해 선택되어 조합될 수 있는 인덕턴스는 코일 권선층(L1), (L2) 각각의 선택될 때의 2 경우와, 코일 권선층(L1, L2)가 함께 선택될 때의 1경우(L1과 L2의 병렬 연결로 별도의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요구됨)이다. First, in FIG. 7A, the connection terminal 15a is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5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L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5c.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L2, the branching means 15 always selects the connecting terminal 15a, and selects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terminals 15b and 15c by the switch 15d and inputs it. Apply a current. Accordingly, the inductances that can be selected and combined by the branching means 15 are the two cases when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when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are selected together. In case 1 (an additional switch is required due to the parallel connection of L1 and L2).

또한, 도 7b에서, 연결단자(15a )는 코일 권선층(L1)의 일단에 연결되고, 연결단자(15b )는 코일 권선층(L2)의 일단에 연결되고, 연결단자(15c )는 코일 권선층(L1)과 (L2)의 연결지점에 연결되며, 분지수단(15 )는 연결단자(15a , 15b , 15c ) 중에서 2개를 스위치(15d , 15e )에 의해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한다. 따라서, 분지수단(15 )에 의해 선택되어 조합될 수 있는 인덕턴스는 연결단자(15a , 15c )가 선택될 때의 코일 권선층(L1)과, 연결단자(15b , 15c )가 선택될 때의 코일 권선층(L2)과, 연결단자(15a , 15b )가 선택될 때의 코일 권선층(L1)과 (L2)의 직렬 연결 상태이다.In addition, in FIG. 7B, the connecting terminal 15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L1, the connecting terminal 15b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L2, and the connecting terminal 15c is coil winding.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ayers L1 and L2, and the branching means 15 selects two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5a, 15b, and 15c by the switches 15d and 15e to apply an input current. Therefore, the inductance that can be selected and combined by the branching means 15 is the coil winding layer L1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15a and 15c are selected and the coil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15b and 15c are selected. The winding layer L2 and the coil winding layers L1 and L2 are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15a and 15b are selected.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8)은 냉매의 응축온도 및 증발온도를 입력받아 부하를 판단한 다음(예를 들면, 소정의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입력된 온도정보를 통하여 도 5의 그래프 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유주파수(fn)를 추정한 다음 ), 그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분지수단(15, 15 )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18)은 고부하(또는 고냉력)의 경우 작은 인덕턴스가 선택되어 운전주파수(fc)가 높아지도록 하고, 저부하(또는 저냉력)의 경우 큰 인덕턴스가 선택되도록 하여 운전주파수(fc)를 낮아지도록 상기 분지수단(15, 15 )을 제어한다. 이러한 분지수단(15, 15 )의 제어수단(18)에 의한 제어는 상술된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고유주파수(fn)에 운전주파수(fc)가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하여 공진 상태에서 리니어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인덕턴스 중에서 적절한 인덕턴스를 조합하기 위한 제어이다. Then, the control unit 18 receives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o determine the load (for example, by using the data on the graph of FIG. 5 through temperature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After estimating the natural frequency f n ), the operation of the branching means 15, 15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The control means 18 allows a small inductance to be selected in case of high load (or high cooling power) to increase the operating frequency f c and a large inductance to be selected in case of low load (or low cooling power) operating frequency f c ) controlling the branching means 15, 15 to lower.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18 of the branching means 15, 15 allows the operating compressor f c to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al frequency f n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load so that the linear compressor is in a resonant state. Control to combine the appropriate inductance among the various inductances for oper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하에 따라 가스 스프링 상수 및 고유주파수가 가변되는 것을 소정의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에 의해 추정하고, 추정된 고유주파수에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를 동기화시킴으로 공진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as spring constant and the natural frequency are varied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loa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resonance state by synchronizing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linear motor with the estimated natural frequency. And, consequently, the compress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Claims (28)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A fixing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space therein;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와;A movable membe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while reciprocating linearly in the fixe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부하에 의존하여 스프링 상수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과;At least one spring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able member in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nd varying a spring constant depending on a load;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며, 부하에 따라 운전주파수(fc)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a linear moto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to reciprocate linearly the movable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o adjust the inductance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fc) varies according to the loa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냉동/공조용 사이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하는 상기 냉동/공조용 사이클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압력(응축압)과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압력(증발압)의 차에 비례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The linear compressor is installed in a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ycle, and the load is proportional to a difference between a pressure (condensation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condenses in the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ycle and a pressure (evaporation pressure) at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부하는 추가로 상기 응축압과 증발압의 평균인 압력(평균압)에 비례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And the load is further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average pressure) which is the average of the condens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운전주파수(fc)를 부하에 비례하여 가변되는 상기 가동부재의 공진주파수(fn)에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the linear motor synchronizes the operation frequency fc to a resonance frequency f n of the movable member which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load.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가동부재를 상사점까지 왕복 직선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the linear motor operates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to the top dead cent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고정부재 주변을 감싸는 이너 스테이터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 아우터 스테이터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 또는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된 코일이 권선된 코일 권선체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의 간극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권선체는 반경방향으로 적층된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을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분지수단과, 상기 코일 권선체와 직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부하에 따라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는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제어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linear motor may include an inner stator surrounding the fixing member, an outer stator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the inner stator, and a coil winding body in which a coil located between the inner stator or the outer stator is wound; A permanent magnet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stator and the outer stator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wherein the coil winding body is composed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radially stacked, and the linear motor includes at least one Branching means for selecting the coil winding layer to apply an input current,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il winding body, and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overall inductance for controlling the bran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load Linear compressor mad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the coil winding layer has different inductance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코일 권선층은 코일의 권선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coil winding lay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s differen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코일 굵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coil winding lay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coil thickness.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상기 제어수단은 고부하의 경우 작은 인덕턴스가 선택되고, 저부하의 경우 큰 인덕턴스가 선택되도록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said control means controls said branching means such that a small inductance is selected at high loads and a large inductance is selected at low load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coil winding lay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분지수단은 각 코일 권선층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공통단자와, 상기 코일 권선층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개별 단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단자에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branching means may apply the current to a commo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coil winding layer, and at least one individual terminal among two or more individual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the coil winding lay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분지수단은 상기 코일 권선체의 양단지점과 각 코일 권선층 사이의 연결지점 중에서 두 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nd the branching means selects two points from both ends of the coil winding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each coil winding layer to apply the input current. 반경방향으로 두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진 코일 권선체와; A coil winding body comprising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in a radial direc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권선층을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분지수단과; Branching mea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coil winding layer to apply an input current; 상기 코일 권선체와 직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il winding; 부하에 따라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여 운전주파수(fc)가 가변되도록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ductance so as to control the branching means according to the load so that an operating frequency fc is variable.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 And the coil winding layer has different inductances.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코일의 권선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 The coil winding layer is a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s different.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코일 굵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The coil winding layer is a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coil thickness.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8, 상기 제어수단은 고부하의 경우 작은 인덕턴스가 선택되고, 저부하의 경우 큰 인덕턴스가 선택되도록 상기 분지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And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branching means such that a small inductance is selected at high loads and a large inductance is selected at low loads.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And the coil winding layer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분지수단은 각 코일 권선층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공통단자와, 상기 코일 권선층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개별 단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단자에 상기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The branch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pply the input current to at least one individual terminal of the commo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coil winding layer, and at least two individual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winding layer. Compressor Control.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And the coil winding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분지수단은 상기 코일 권선체의 양단지점과 각 코일 권선층 사이의 연결지점 중에서 두 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입력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장치.And the branching means selects two points from both ends of the coil winding body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each coil winding layer to apply an input current.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지니되, 반경 방향으로 적층된 두 개 이상의 코일 권선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Coil winding body of a linear compressor having a different inductance, consisting of two or more coil winding layers stacked in a radial direction. 제2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코일 권선층은 코일의 권선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 The coil winding layer is a coil winding of the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s different. 제2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다른 코일 굵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The coil winding layer of the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winding layer has a different coil thickness. 제24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The coil winding layer of the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winding layer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24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6, 상기 코일 권선층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코일 권선체.The coil winding of the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winding lay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0040068731A 2004-08-30 2004-08-30 Linear compressor KR100588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731A KR100588717B1 (en) 2004-08-30 2004-08-30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731A KR100588717B1 (en) 2004-08-30 2004-08-30 Linea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008A KR20060020008A (en) 2006-03-06
KR100588717B1 true KR100588717B1 (en) 2006-06-12

Family

ID=3712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731A KR100588717B1 (en) 2004-08-30 2004-08-30 Linea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71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00A1 (en) * 2008-08-05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WO2010016723A1 (en) * 2008-08-07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WO2010016712A3 (en) * 2008-08-06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KR20150145406A (en) * 2014-06-19 2015-12-30 강용주 Apparatus for linear motor actuator
WO2016032168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307B1 (en) * 2007-10-24 2013-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681325B1 (en) * 2010-02-26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CN112555123B (en) * 2020-12-10 2023-06-02 武汉高芯科技有限公司 Linear compressor capable of maintaining constant balance position of pist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97A (en) * 1993-04-12 1994-10-28 Nippon Steel Corp Superconducting linear induction motor driver
JPH07264789A (en) * 1994-03-22 1995-10-13 Fuji Electric Co Ltd Winding method for stator winding of rotary electric machine and holding method therefor
KR19980059780A (en)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Linear compressor drive circuit
KR20020013930A (en) * 1999-06-21 2002-02-21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Linear motor
KR20020054154A (en) * 2000-12-27 2002-07-06 구자홍 Capacity variable motor driving circuit for linear compressor
KR20020054155A (en) * 2000-12-27 2002-07-06 구자홍 Copacity variable motor for linear compressor
KR20040106937A (en) * 2003-06-05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mo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97A (en) * 1993-04-12 1994-10-28 Nippon Steel Corp Superconducting linear induction motor driver
JPH07264789A (en) * 1994-03-22 1995-10-13 Fuji Electric Co Ltd Winding method for stator winding of rotary electric machine and holding method therefor
KR19980059780A (en)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Linear compressor drive circuit
KR20020013930A (en) * 1999-06-21 2002-02-21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Linear motor
KR20020054154A (en) * 2000-12-27 2002-07-06 구자홍 Capacity variable motor driving circuit for linear compressor
KR20020054155A (en) * 2000-12-27 2002-07-06 구자홍 Copacity variable motor for linear compressor
KR20040106937A (en) * 2003-06-05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moto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00A1 (en) * 2008-08-05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CN102105689A (en) * 2008-08-05 2011-06-22 Lg电子株式会社 Linear compressor
WO2010016712A3 (en) * 2008-08-06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WO2010016723A1 (en) * 2008-08-07 201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CN102105690A (en) * 2008-08-07 2011-06-22 Lg电子株式会社 Linear compressor
KR20150145406A (en) * 2014-06-19 2015-12-30 강용주 Apparatus for linear motor actuator
KR101646499B1 (en) 2014-06-19 2016-08-08 강용주 Apparatus for linear motor actuator
WO2016032168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US10598175B2 (en) 2014-08-25 2020-03-2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008A (en)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662B2 (en) Linear compressor
JP5457409B2 (en) Linear compressor controller
JP4662991B2 (en) Linear compressor
US20120034104A1 (en) Linear compressor
US9194386B2 (en) Linear compressor having a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KR100588717B1 (en) Linear compressor
US9217429B2 (en) Linear compressor
US8430642B2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JP4851457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inear compressor
JP2008511792A (en) Linear compressor
KR10129954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and method of the same
KR100690164B1 (en) Control method for a linear compressor
KR100588718B1 (en) Linear compressor
KR100690153B1 (en) Linear compressor
KR100648787B1 (en) Linear compressor
EP2503149B1 (en) Linear compressor
US20080213108A1 (en) Linear Compressor
KR100756721B1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100648818B1 (en) Linear compressor
KR100597295B1 (en) Linear compressor
KR100673735B1 (en) Compression method in a linear compressor
KR100756720B1 (en) Control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20070087915A (en) Control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