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662B1 -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662B1
KR100586662B1 KR1020030059211A KR20030059211A KR100586662B1 KR 100586662 B1 KR100586662 B1 KR 100586662B1 KR 1020030059211 A KR1020030059211 A KR 1020030059211A KR 20030059211 A KR20030059211 A KR 20030059211A KR 100586662 B1 KR100586662 B1 KR 10058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fixing
circuit system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113A (ko
Inventor
신동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테크
Priority to KR102003005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6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보안(保安) 분야의 폐회로 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에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내구성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유도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변환하는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이 기판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기판을 끼움 결합력 또는 탄성력에의해 2방향 이상으로 고정하는 고정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시스템, 케이스, 기판, 렌즈부, 고체촬상소자 카메라, 고정부재, 종고정부 및 횡고정부, 탄성부재, 압축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멈춤링, 1방향 이상으로 지지 및 고정되는 기판, 기판의 흔들림 방지.

Description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Camera For Colsed Circui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의 고정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분야의 폐회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내구성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개회로 시스템(Open Circuit System)과 폐회로 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되고, 상기 개회로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인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들면, 일반 TV 방송 분야가 이에 해당하고, 상기 폐회로 시스템은 특정 목적으로 특정인에게 화상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들면, 보안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폐회로 시스템은 주로 은행이나 상가, 주차장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 및 공장, 댐 등과 같은 공업용 시설물 등에서 보안 유지가 요구되는 특정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근래에는 교통관제 분야 및 개인 방법 및 방재 분야에도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폐회로 시스템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전류의 세기로 전환하는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영상신호 전환기와, 이 전환기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어 한 곳에서 여러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카메라는 그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며, 보안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의 일반적인 구조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서 피사체의 상이 입사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를 통과하는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전환시켜주는 소자들이 설치된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의 소자들을 통하여 영상 신호가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달되어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때에 표면의 단자부들이 금 속 물질 등과 접촉되어 전기적 손상 및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일측단만 끼움 결합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기판이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단순하게 끼움 결합으로 고정된 구조이므로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자세가 흔들리면서 예를들면, 접속 단자들의 불규칙하게 접속되거나 전기적 쇼트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유발되면 기판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이거니와 잦은 유지보수가 불가피하고 디스플레이 상태가 저하되는 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화상 품질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유도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변환하는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이 기판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기판을 끼움 결합력 또는 탄성력에의해 2방향 이상으로 고정하는 고정구들로 이루어지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 내부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유도하는 렌즈부(4)와, 이 렌즈부(4)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변환하는 소자가 설치된 기판(6)과, 이 기판(6)을 상기 케이스(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는 후술하는 렌즈부(4)와 기판(6), 고정부재(8)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일정한 영역의 공간부(10)가 제공되며, 이 공간부(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파여진다.
상기 케이스(2)의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선정하여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2)는 소정의 설치 장소 예를들면,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도 1에서와 같은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12)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상부에는 외부 설치시 빗물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2)를 보호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렌즈부(4)가 햇빛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역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의 가리개(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에는 공간부(10)의 개구측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도록 캡(16)이 설치되고 이 캡(16)은 상기 케이스(2)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공간부(10) 개구측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캡(16)에는 상기 케이스(2)에 끼워진 후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통상의 고무링(18)이 끼워진다.
상기 렌즈부(4)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 일측단에 단차지게 뚫려진 관통홀(20)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20)에는 상기 렌즈부(4)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커버(22)가 설치된다.
상기 렌즈부(4)는 감시 영역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예를들면, 고체 촬상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렌즈는 감시 카메라 등에 이미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판(6)은 상기 렌즈부(4)에 대응하여 이 렌즈부(4)에서 유도되는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센서(S)와 각종 전기 및 전자 소자들이 제공되는 통상의 회로기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 수평한 자세로 위치한다.
한편, 상기한 기판(6)은 고정부재(8)에 의해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서 도 2에서와 같은 자세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8)이 상기 기판(6)의 표면을 기준으로 2방향 즉,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 각각 고정하는 횡고정구(24)와, 종고정구(26)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횡고정구(24)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공간부(10) 내주면에 대응하는 원판 모양으로 제작되고 상기 기판(6)의 양측단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2개가 1조로 구성된다.
상기 횡고정구(24)의 재질은 상기 기판(6)과 접촉할 때에 일체의 스크래치가 유발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도 2에서와 같은 자세로 상기 기판(6)의 양측단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횡고정구(24)의 중심부에는 고정홀(H)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6)의 양측단에는 상기 고정홀(H)에 대응하는 고정돌기(H1)가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4) 측에 위치하는 횡고정구(24)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2)의 센서(S)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중심부가 일정한 영역으로 뚫려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일측 횡고정구(24)와 기판(6)에 형성되는 고정홀(H)과 고정돌기(H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S)를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 횡고정구(24)의 고정홀(H) 크기는 상기 기판(6)의 고정돌기(H1)가 원활하게 끼워짐과 아울러 고정돌기(H1)가 끼워진 후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로 형성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일측 횡고정구(24)가 상기 케이스(2)에서 상기 공간부(10)와 관통홀(20)의 단차진 측벽면에 접촉되도록 셋팅된다.
상기 종고정구(26)는 상기 기판(6)을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6)의 일측단에 접촉될 수 있는 자세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고정구(26)가 예를들면, 홈부의 내주면에 끼워져서 축 등을 고정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E"자 모양의 멈춤링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종고정구(26) 즉, 멈춤링의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주 방향 테두리 일부 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테두리부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연장부(26a)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종고정구(26)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 파여진 링홈(28)에 외주면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러한 종고정구(26)의 고정방법은 상기 종고정구(26)의 테두리부가 중심부를 향하여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한 통상의 링 고정 도구(T)로 고정될 수 있다.(도 3참조)
상기에서는 종고정구(26)가 규격화된 통상의 멈춤링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링을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직접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종고정구(26)가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서 도 2에서와 같이 링홈(28)에 끼워질 때에는 연장부(26a)가 상기 기판(6)의 일측단에 일정한 탄성력을 갖으며 접촉될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26a)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에 상기 기판(6)을 좌측으로 밀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판(6)에는 상기 렌즈부(4)의 감지 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케이블(C)이 연결되는데, 이 케이블(C)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횡고정구(24) 및 상기 케이스(2)의 캡(14)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선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기판(6)이 고정부재(8) 즉, 횡고정구(24)와 종고정구(26)에 의해 2방향으로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 고정되면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 도 일체의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기판(6)의 흔들림에 의한 내구성 및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8)의 종고정구(26)가 상기 기판(6)을 종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멈춤링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4에서와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종고정구(26)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종고정구(26)는 상기 케이스(2) 공간부(10)에서 일측 횡고정구(24)와 캡(14) 사이에서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위치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측 횡고정구(24)를 가압할 수 있도록 셋팅되어 상기 기판(6)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 이외에도 예를들면, 도 5에서와 같이 판스프링이 종고정구(26)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6)의 일측단을 가압하거나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일측 횡고정구(26) 표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는, 케이 스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을 고정부재에 의해 1방향 이상 즉,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각각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후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기판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내구성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판을 끼움 결합력 및 탄성력으로 간단하게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고정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유도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전류의 세기로 변환하는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이 기판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기판을 끼움 결합력 또는 탄성력에의해 2방향 이상으로 고정하는 고정구들로 이루어지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 고정구는 상기 기판과 돌기 및 홈들의 끼움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1개 또는 그 이상이 위치하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구는 멈춤링 또는 압축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서 기판 또는 끼움 결합 고정구를 탄성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자세로 셋팅되는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KR1020030059211A 2003-08-26 2003-08-26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KR10058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11A KR100586662B1 (ko) 2003-08-26 2003-08-26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11A KR100586662B1 (ko) 2003-08-26 2003-08-26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13A KR20050021113A (ko) 2005-03-07
KR100586662B1 true KR100586662B1 (ko) 2006-06-09

Family

ID=3722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211A KR100586662B1 (ko) 2003-08-26 2003-08-26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31B1 (ko) * 2006-07-28 2008-02-1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하우징
KR101151537B1 (ko) * 2011-03-03 2012-05-30 이장옥 감시 카메라용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13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197B2 (en) Camera assembly with waterproof features
US8050551B2 (en) Covert camera with a fixed lens
US9882305B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10416537B2 (en) Heat sink of a camera
US20180013271A1 (en) Mounting Mechanism for Outdoor Power Converter
KR10073644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WO2013073783A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KR100586662B1 (ko) 폐회로 시스템용 감시카메라
US20180013272A1 (en) Clip For Securing Outdoor Cable
EP3485541B1 (en) Waterproof electrical device
KR200342138Y1 (ko) 난반사로 인한 허상촬영을 없앤 돔형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1580603B1 (ko) 조립이 간편한 cctv하우징
KR102347121B1 (ko) 도어 고정용 브라켓을 갖는 도어캠
KR101228316B1 (ko) 감시용 카메라장치
KR101299248B1 (ko) 감시 카메라
KR200316928Y1 (ko) 돔형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102347120B1 (ko) 케이블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CN210839748U (zh) 摄像机
KR102364425B1 (ko) 케이블 수납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0710665B1 (ko) 인체감지 센서의 고정구조
EP3467444B1 (en) Watertightness of sensors
KR200320754Y1 (ko) 감시용 카메라의 보호커버
KR200386137Y1 (ko) 인체 감지 센서장치
KR10091724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카메라 모듈 지지체
KR200320755Y1 (ko) 감시용 카메라의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