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484B1 -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484B1
KR100586484B1 KR1020060035505A KR20060035505A KR100586484B1 KR 100586484 B1 KR100586484 B1 KR 100586484B1 KR 1020060035505 A KR1020060035505 A KR 1020060035505A KR 20060035505 A KR20060035505 A KR 20060035505A KR 100586484 B1 KR100586484 B1 KR 10058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bolt
tape measure
arcing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묵
Original Assignee
(주)대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방재 filed Critical (주)대진방재
Priority to KR102006003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4Arcing hor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킹혼이 설치되는 삼각요크의 간격을 최소간격인 1,120mm를 유지하도록 간격보정이 용이하게 줄자를 아킹혼의 고정부 상부에 설치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며,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에 돌기이동장공(11)과 볼트고정장공(12)을 나란히 2쌍 형성하여 접지측아킹혼(30)의 고정부(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32)를 돌기이동장공(11)에 삽입하고, 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33)을 관통한 조정볼트(34)를 볼트고정장공(12)에 삽입하여 너트(35)로 고정하며, 접지측아킹혼(30)의 수직봉이 줄자홀더(40)의 수직홀(41)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줄자홀더(40)의 몸체 일측면에 줄자(71)가 삽입되도록 T형의 줄자고정홈(42)이 형성되며, 줄자홀더(40)의 몸체 타측면에 볼트홀(4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44)가 접지측아킹혼(30)에 압착되어 고정되고, 삼각요크(20)에 고정되는 전선측아킹혼(50)의 고정부(51)에 줄자고정대(60)를 고정하며, 줄자고정대(60)는 고정판(61)에 수직봉(63)으로 받침판(62)이 고정되어 받침판(62)에 줄자하우징(70)이 고정볼트(74)로 고정되고, 고정판(61)의 저면에 돌기(64)가 형성되어 고정부(51)에 형성된 고정홀(52)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65)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킹혼, 삼각요크, 줄자, 애자련, 섬락

Description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Apparatus of regulation interval using arching horn}
도 1은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의 접지측아킹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의 전선쪽 아킹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애자련 2 : 앵커쇄클
10 : 간격조정용삼각요크 11 : 돌기이동장공
12 : 볼트고정장공 13, 22 : 애자련고정홀
20 : 삼각요크 21, 33, 43, 53, 66 : 볼트홀
30 : 접지측아킹혼 31 : 고정부
32 : 가이드돌기부 34 : 조정볼트
35, 55 : 너트 40 : 줄자홀더
41 : 수직홀 42 : 줄자고정홈
44, 54, 65, 74 : 고정볼트 50 : 전선측아킹혼
51 : 고정부 52 : 고정홀
60 : 줄자고정대 61 : 고정판
62 : 받침판 63 : 수직봉
64 : 돌기 70 : 줄자하우징
71 : 줄자 72 : 고리
73 : 볼트홈
본 발명은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킹혼이 설치되는 삼각요크의 간격을 최소간격인 1,120mm를 유지하도록 간격보정이 용이하게 줄자를 아킹혼의 고정부 상부에 설치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배전선(送配電線)의 애자(碍子) 등 절연물을 끼워 놓은 두 도체간의 전압이 어떤 전압(섬락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절연물 표면에 있는 공기를 통해 아크 방전이 일어나 이것이 지속되는 현상을 섬락이라고 하고, 애자의 상하 금구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점점 이것을 높여가면 드디어는 애자 주위의 공기를 통해서 양금 구간에 지속적인 아크를 방행해서 애자가 단락된다. 이 때의 전압을 섬락 전압이라고 한다.
산악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파괴된 애자를 교체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식별하기 어려움으로 이러한 점 때문에 애자의 전압분포를 개선하고 또한 섬락시 애자를 보호하기 위해 아킹혼과 같은 것을 설치해 애자를 보호하고 있다.
피뢰기나 애자 등의 전극간 방전에 쓰는 용어로 최단 방전거리를 섬락거리라 하고, 섬락이 발생되는 전압을 섬락전압(FOV:flashover voltage)이라 한다. 공기가 습기를 많이 품고 있거나, 절연물 표면에 비 ·눈 등으로 인한 물이 배어 있거나, 해안지방에서 염분을 포함한 물방울이 와 닿거나 하면 섬락전압이 낮아진다.
한편, 외부 이상 전압이라고 부르고 있는 뇌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절연 내압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충격파 전압(Impulse Voltage)을 사용해서 조사할 수 있다.
현재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도시와 교외 등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포설되어 있는 송전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송전선로의 종류에는 땅속에 직접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선로와, 콘크리트 장주 및 절연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조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 설치하는 가공선로 두 가지가 있으나, 별도의 절연 매개물 없이 땅속에 매설되어 대지와 직접 접촉됨으로, 매설되는 전력선 자체적으로 써어지 전압 및 상용주파수 전압에 대한 절연이 가능하도록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는 가공선로가 송전선로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도 가공선로의 비율이 지속적 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가공선로의 구성은 실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선과, 낙뢰로 인해 전력선에 유기되는 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공지선 그리고 불평형 요인으로 인한 발생전류를 유인하는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공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장주는 상기 전력선의 지지방식에 따라 크게 지지형 장주와 내장형 장주 두 가지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상기 두 가지의 장주 중에서 내장형 장주는 하나의 연속적인 전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가공선로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절단해낸 후, 상기 가공선로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이격 위치시키기 위한 철탑 장주에 일단이 연결 지지된 절연성 애자련의 타단에 연결되는 지지요크를 통해 상기 가공선로의 각 절단부를 각각 고정지지하는 한편, 상기 고정 지지된 가공선로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가공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점퍼선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내장형 철탑 장주에 있어서, 다수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과, 삼각요크, 상기 삼각요크와 전선에 연결된 앵커 쇄클과, 상기 앵커 쇄클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링크로 이루어지며, 154kV 가공송전선로 신/증설 및 정비작업시 애자련 보호를 주목적으로 취부하고 있는 아킹혼은 적정효율 54.8% ~ 76.8%(애자수량 10개~14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하한 경우에도 혼간격 1,120mm를 확보하여 시공한다.
종래 내장 애자장치용 삼각요크는 아킹혼 결합 홀이 고정되는 볼트의 크기와 일치되어 간격조절이 불가능하다. 상기 철탑 장주에 연결 지지되는 애자련의 가공 송전선로 아킹혼 최소간격(1,120mm)은 애자련의 만곡 없이 정수평 또는 수직상태에서만 유지되는 도상(圖上)의 설계 수치이므로 실제선로의 내장개소에서는 전선장력, 경간, 애자수량, 고저차등 외적여건에 의해 애자련이 만곡(카테너리 현상)되기 때문에 혼간격이 최소간격에 미달되어 애자련이 파손되거나 전력공급에 차질이 생겼으나 보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지측아킹혼이나 전선쪽 아킹혼중 일측의 삼각요크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아킹혼 최소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정할 수 있게 하였으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일이 줄자를 대고 간격을 재고 나서 다시 간격을 보정하고, 다시 줄자로 간격을 재는 과정을 반복하여 조정하였으므로 불편하였다.
전기공사는 빠른 시간내에 완료해야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위와같이 보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빠른시간내에 아킹혼의 간격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접지측아킹혼에 줄자홀더를 고정하고, 전선쪽 아킹혼에 줄자하우징을 고정하여 아킹혼의 간격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실측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한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애자련을 고정하는 양측 삼각요크중 일측에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정용 삼각요크가 설치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에 있어서, 간격조정용삼각요크에 돌기이동장공과 볼트고정장공을 나란히 2쌍 형성하여 접지측아킹혼의 고정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를 돌기이동장공에 삽입하고, 고정부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한 조정볼트를 볼트고정장공에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며, 접지측아킹혼의 수직봉이 줄자홀더의 수직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줄자홀더의 몸체 일측면에 줄자가 삽입되도록 T형의 줄자고정홈이 형성되며, 줄자홀더의 몸체 타측면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접지측아킹혼에 압착되어 고정되고, 삼각요크에 고정되는 전선측아킹혼의 고정부에 줄자고정대를 고정하며, 줄자고정대는 고정판에 수직봉으로 받침판이 고정되어 받침판에 줄자하우징이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고정판의 저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애자련을 고정하는 양측 삼각요크 중 일측의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에 접지측아킹혼(30)을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접지측아킹혼(30)에 줄자(71)의 단부인 고리(72)를 걸수 있는 줄자홀더(40)를 고정하며, 줄자(71)의 줄자하우징(70)은 전선측아킹혼(50)의 고정부(51)에 고정되는 줄자고정대(60)에 고정볼트(74)로 고정하여 아킹혼 사이의 간격을 줄자를 보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접지측아킹혼(30)이 고정되는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에는 돌기이동장공(11)과 볼트고정장공(12)이 나란히 2쌍 형성된다. 접지측아킹혼(30)은 수직봉의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직봉의 하단이 고정부(3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접지측아킹혼(30)의 고정부(31)에는 볼트홀(33)이 형성되고, 고정부(31)의 양측단부가 아래로 절곡되어 가이드돌기부(32)가 형성된다. 접지측아킹혼(30)의 가이드돌기부(32)는 돌기이동장공(11)에 삽입되고, 볼트홀(33)을 통해 관통된 조정볼트(34)가 볼트고정장공(12)을 통과해 너트(35)가 체결되어 접지측아킹혼(30)을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에 고정된다.
접지측아킹혼(30)의 수직봉이 줄자홀더(40)의 수직홀(41)에 삽입되어 줄자홀더(40)가 설치된다.
줄자홀더(40)의 몸체 일측면에 줄자(71)가 삽입되도록 T형의 줄자고정홈(42)이 형성되고, 줄자홀더(40)의 몸체 타측면에 볼트홀(4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44)가 접지측아킹혼(30)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줄자고정홈(42)은 상하에 홈이 형성되고 중간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T자형의 홈으로서 중앙의 개방구를 통해 줄자(71)를 구부려 밀어넣는 것으로 줄자(71)가 삽입된다. 줄자(71)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72)가 줄자고정홈(42)에 걸려 줄자(71)가 줄자하우징(70) 내로 삽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다른쪽의 삼각요크(20)에 고정되는 전선측아킹혼(50)은 ∩형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51)가 삼각요크(20)의 볼트홀(21)에 고정볼트(54)로 고정된다.
전선측아킹혼(50)의 고정부(51) 중앙에 고정홀(52)이 형성되고, 고정부(51)에 볼트홀(53)을 형성하여 줄자고정대(60)를 고정한다. 줄자고정대(60)는 고정판(61)에 수직봉(63)으로 받침판(62)이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고정판(61) 저면에 형성된 돌기(64)가 고정부(51)의 고정홀(52)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볼트홀(53)에 고정볼트(65)를 체결하여 고정판(61)을 고정한다.
받침판(62)에 형성된 볼트홀(66)을 통하여 고정볼트(74)를 줄자하우징(70)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홈(73)에 체결하여 줄자하우징(70)을 고정하고, 줄자하우징(70)은 줄자가 내부에 탄력지지되어 항상 수납되는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한다.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와 삼각요크(20)에 애자련(1)을 고정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줄자하우징(70)에서 줄자(71)를 꺼내어 줄자홀더(40)의 줄자고정홈(42)에 끼워 고정하면 줄자(71)는 탄력지지되어 접지측아킹혼(30)의 좌우 이동에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조정볼트(34)에서 너트(35)를 풀고, 고정부(31)를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의 돌기이동장공(11)내에서 이동시켜 정확한 간격을 줄자(71)의 눈금으로 측정한뒤에 너트(35)를 다시 조정볼트(34)에 체결시켜 아킹혼 간의 간격 보정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접지측아킹혼과 전선측아킹혼 사이의 간격을 고정된 줄자에 의해 간편하게 측정하여 조정볼트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줄자가 줄자하우징내에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간격조정시에도 팽팽함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정볼트를 풀어 줄자를 보고 최소 아킹혼 간격을 유지한 후 너트를 조이면 한번에 간격보정이 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작업을 끝마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애자련을 고정하는 양측 삼각요크중 일측에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정용 삼각요크가 설치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에 있어서,
    간격조정용삼각요크(10)에 돌기이동장공(11)과 볼트고정장공(12)을 나란히 2쌍 형성하여 접지측아킹혼(30)의 고정부(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32)를 돌기이동장공(11)에 삽입하고, 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33)을 관통한 조정볼트(34)를 볼트고정장공(12)에 삽입하여 너트(35)로 고정하며, 접지측아킹혼(30)의 수직봉이 줄자홀더(40)의 수직홀(41)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줄자홀더(40)의 몸체 일측면에 줄자(71)가 삽입되도록 T형의 줄자고정홈(42)이 형성되며, 줄자홀더(40)의 몸체 타측면에 볼트홀(4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44)가 접지측아킹혼(30)에 압착되어 고정되고, 삼각요크(20)에 고정되는 전선측아킹혼(50)의 고정부(51)에 줄자고정대(60)를 고정하며, 줄자고정대(60)는 고정판(61)에 수직봉(63)으로 받침판(62)이 고정되어 받침판(62)에 줄자하우징(70)이 고정볼트(74)로 고정되고, 고정판(61)의 저면에 돌기(64)가 형성되어 고정부(51)에 형성된 고정홀(52)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65)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KR1020060035505A 2006-04-19 2006-04-19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KR10058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05A KR100586484B1 (ko) 2006-04-19 2006-04-19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05A KR100586484B1 (ko) 2006-04-19 2006-04-19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484B1 true KR100586484B1 (ko) 2006-06-08

Family

ID=371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05A KR100586484B1 (ko) 2006-04-19 2006-04-19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48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98B1 (ko) * 2007-01-11 2007-02-2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장치
KR100845788B1 (ko)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KR102348870B1 (ko) * 2021-09-03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진동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CN114068113A (zh) * 2021-12-01 2022-02-18 芦溪县鸿泰工业瓷厂 一种地线绝缘子
KR102400886B1 (ko) * 2021-08-23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400887B1 (ko) * 2021-08-27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선간의 충돌 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KR102619193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단선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용 지지기구
KR102619192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98B1 (ko) * 2007-01-11 2007-02-2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장치
KR100845788B1 (ko) 2008-04-15 2008-07-11 (주)천도건축사사무소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장치
KR102400886B1 (ko) * 2021-08-23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400887B1 (ko) * 2021-08-27 2022-05-24 주식회사 대덕 가공송전선간의 충돌 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KR102348870B1 (ko) * 2021-09-03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진동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CN114068113A (zh) * 2021-12-01 2022-02-18 芦溪县鸿泰工业瓷厂 一种地线绝缘子
KR102619193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단선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용 지지기구
KR102619192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484B1 (ko)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EP1588464A2 (en) Flexible distribution line cov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WO2013033103A2 (en) Avian nesting divert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0685298B1 (ko)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장치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585821B1 (ko) 야간설치가 용이한 아킹혼 간격조절 장치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2393163B1 (ko) 송전탑 애자장치의 피뢰기 및 아킹혼 설치구조
KR10051597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834772B1 (ko) 송배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GB2585960A (en) A system for guiding a dielectric cable from phase-to-ground potential
RU2636657C1 (ru) ЗАЗЕМ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 ИЗОЛИРОВАННЫМИ ПРОВОДАМИ ДО 1 кВ
KR101674206B1 (ko) 애자련에의 피뢰기 부착 구조
KR200298256Y1 (ko) 아킹혼 취부간격 조절용 삼각요크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JP2004291712A (ja) 電車線路の異常電圧防護装置
KR100237070B1 (ko) 송전선로의 애자련 보호용 점퍼 아킹장치
KR200251758Y1 (ko)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20210043138A (ko) 송전선로 피뢰기의 설치구조
KR19990011116A (ko) 가공배전장주용 전선지지체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