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568B1 -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568B1
KR100583568B1 KR1020000080622A KR20000080622A KR100583568B1 KR 100583568 B1 KR100583568 B1 KR 100583568B1 KR 1020000080622 A KR1020000080622 A KR 1020000080622A KR 20000080622 A KR20000080622 A KR 20000080622A KR 100583568 B1 KR100583568 B1 KR 10058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filter
filter
detachabl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138A (ko
Inventor
양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5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는, 개방된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53)와,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성형되는 위치홈(51)을 포함하는 먼지필터(50)와; 상기 먼지필터의 체결부를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착탈부(45)와, 상기 착탈부의 중심부에 성형되는 토출구멍(42)과, 상기 먼지필터의 착탈에 따라 폐쇄 또는 개방되는 착탈확인홈(41)을 포함하여 구성된 덮개(40)와; 상기 덮개로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먼지통(60)과; 먼지필터가 착탈된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31)와; 상기 스위칭부가 체결되는 상부몸체(30)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먼지통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세한 먼지를 공기에서 분리하는 먼지필터가 먼지통의 덮개에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먼지통이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먼지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야기될 수 있는 미세한 먼지에 의한 청소기 본체의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진공청소기, 먼지통, 먼지필터, 스위치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Filter of fix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 장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 착탈확인장치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가 장착된 먼지통이 수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먼지통이 수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하부몸체 21 ..... 가이드부
30 ..... 상부몸체 31 ..... 스위칭부
31B .... 몸체 31M,31P .... 전극부
31Q .... 지지편 31R .... 롤러
31S .... 액츄에이터 31T .... 탄성체
40 ..... 덮개 42 ..... 토출구멍
43 ..... 경사면 45 ..... 착탈부
50 ..... 먼지필터 51 ..... 위치홈
53 ..... 체결부 60 ..... 먼지통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 착탈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 중에서 먼지통의 분리판에 의하여 1차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가 걸러진 후에, 미세한 먼지를 공기와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먼지필터가 먼지통에 장착된 여부에 따라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6)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체(1)의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를 통하여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에서 먼지통(7)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여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통(7)은, 진공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함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먼지통(7)을 반드시 본체에 체결한 후에, 청소기를 운전해야 흡입구(2)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이 공기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먼지통(7)은, 하부몸체(5)와 상부몸체(6)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체결하게 된다. 먼지통에 성형된 손잡이(7b)의 상부에 성형된 체결버튼(7a)을 누른 상태에서 수납공간에 밀어 넣고 체결버튼(7a)을 놓게 되면 상부몸체(6)의 입구턱(6t)에 체결버튼(7a)에 성형된 걸림돌기가 걸려 먼지통(7)이 안전하게 본체(1)에 체결되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먼지통(7)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걸림편(12a)이 구성되어 있는 먼지필터(12)를 덮개(11)의 저면에 구성되어 있는 체결부(11a)에 끼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먼지필터(12)를 체결할 수 있는 덮개(11)는, 상부가 개방된 먼지통(7)을 덮어주게 된다. 그리고, 먼지통(7)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벽에 손잡이(7b)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7b)의 상부에는 체결버튼(7a)과 탄성체 등이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는 수납부(7g)이 성형되어 있다. 탄성체(7s)의 상부에 고정되는 체결버튼(7a)에는, 눌림 정도에 따라 돌출되는 높이가 달라지는 걸림돌기(7c)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버튼(7a)이 수납부(7g)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7d)에 성형된 체결공(7e)이 수납부(7g)에 성형된 체결돌기(7f)에 끼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진공청소기의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 문에, 먼지필터(12)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의 먼지통(7)을 수납하더라도 무리없이 진공청소기를 운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흡입구멍(11c)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중에서 부피가 큰 먼지는 분리판(7h)에 의하여 분리되지만, 미세한 먼지는 토출구멍(11b)을 통하여 본체 내부를 유동하게 되어 흡입수단의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체결버튼(7a)을 조립할 수 있도록 먼지통(7)의 일측에 별도의 수납부(7g)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먼지통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한 먼지를 공기와 분리하는 기능을 가진 먼지필터가 먼지통에 장착되지 않으면, 먼지통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체결되더라도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운전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체결부가 개방된 일단부에 구비되는 먼지필터와; 상기 먼지필터의 체결부가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먼지필터의 착탈에 따라 폐쇄 또는 개방되는 착탈확인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로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먼지통과; 상기 덮개의 착탈부에 먼지필터가 착탈된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가 체결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먼지통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필터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해 진공청소기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통(60)의 저부가 안착되어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1)를 가지는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에 체결되며, 토출구(32)와 롤러장착홈(33)이 성형되어 있고, 스위칭부(31) 등의 전장품이 체결되는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의 중간에 수납되는 먼지통(6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몸체(30)에 장착되는 스위칭부(31)는, 전기가 통하도록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전극부(31P,31M)를 가지는 몸체(31B)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탄성체(31T)로 체결된 액츄에이터(31S)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1S)의 끝단에는 롤러(31R)가 지지편(31Q)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스위칭부(31)는 상부몸체(30)에 성형되어 있는 롤러장착홈(31R)을 통하여 롤러(31R)가 통과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60)은 1차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를 공기와 분리시켜 주는 분리판(62)과, 진공청소기의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 사이에 상기 먼지통(60)을 손쉽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손잡이(63)로 구성된다. 분리판(62)에 의하여 공기와 분리되지 않는 미세한 먼지를 공기와 분리시키기 위하여 먼지통(60)에 내장되는 먼지필터(50)는, 개방된 먼지통(60)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40)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 먼지필터(50)에는, 미세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52)와, 상기 토출부의 가장자리에서 외향되게 성형된 체결부(53)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53)는, 다수개의 체결편(53b)과, 상기 체결편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개방부(53a)와, 상기 체결편의 상부면 일측에 오목하게 구성되는 위치홈(51)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먼지필터(50)가 체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먼지통(60)을 덮어주는 덮개(40)는, 먼지필터의 토출부(5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먼지통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성형된 토출구멍(42)과, 상기 토출구멍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덮개(40)의 하면에 성형된 착탈부(45)와, 상기 착탈부의 타측에 성형되는 착탈확인홈(41)과, 스위칭부의 액츄에이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경사면(43)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필터 착탈확인장치가 체결되는 것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덮개(40)의 저면에 성형된 착탈부(45)에 먼지필터(50)의 체결부(53)를 접촉시켜 먼지필터(50)를 회전시킨다. 이 때, 먼지필터의 위치홈(51)이 덮개의 착탈확인홈(41)의 저면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회전시켜야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먼지필터(50)가 덮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필터(50)가 덮개(40)에 장착되면 개방되어 있는 먼지통(60)의 상부를 덮어 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통(60)에 덮개(40)를 덮은 후에,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에 먼지통(60)을 수납하게 된다. 이 때, 먼지통(60)의 저면은 하부몸체(20)에 성형되어 있는 가이드부(21)의 안내를 받게 된다. 먼지통(60)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롤러장착홈(33)을 통하여 상부몸체(30)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위칭부(31)의 액츄에이터(31S)가 몸체(31B)에 닿도록 상부로 밀어넣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1S)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편(31Q)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는 롤러(31R)가 덮개(40)의 후방 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경사면(43)을 따라 덮개(40)의 상면을 유동하게 된다. 이 때, 먼지통이 본체에 완전히 수납되면, 액츄에이터(31S)의 롤러(31R)가 착탈확인홈(4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롤러(31R)는 착탈확인홈(41)의 저부에 접촉되어 있는 먼지필터(50)의 체결부(53)에 의하여 상부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액츄에이터(31S)가 스위칭부(31)의 내부에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전극부(31P,31M)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수납된 먼지통(60)의 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덮개(40)의 착탈부(45)에 장착된 먼지필터(50)의 체결부(53)에 의하여 액츄에이터(31S)가 스위칭부(31)에 닿게 된다. 즉, 먼지필터(50)의 체결부(53)가 액츄에이터(31S)의 끝단에 체결되어 있는 롤러(31R)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액츄에이터(31S)가 스위칭부(31)의 내부에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액츄에이터(31S)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1T)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먼지통의 덮개(40)에 먼지필터(50)가 장착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운전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흡입단계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1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먼지통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만 개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운전대기 상태의 진공청소기를 사용자가 흡입단계를 조절하여 운전하게 되면 먼지통(60)으로 유입된 공기에서 비중이 큰 이물질은 분리판(62)에 성형된 구멍(62a)을 통과하여 저부(64)에 모이게 되고,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먼지는 먼지필터(50)에 의하여 분리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만 토출구멍(42)과 토출구(32)를 거쳐 먼지통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먼지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먼지통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수납된 경우를 보이기 위해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31T)에 의하여 복원력을 가지는 스위칭부(31)의 액츄에이터(31S)는, 상부몸체(30)의 롤러장착홈(33)을 거쳐 덮개(40)에 성형되어 있는 착탈확인홈(41)으로 돌출된다. 즉, 먼지필터가 장착되지 않으면 액츄에이터의 롤러를 하부에서 지지해 주는 체결부가 없기 때문에, 덮개의 착탈확인홈이 개방되어 액츄에이터의 롤러가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액츄에이터(31S)가 스위칭부(31) 내부에서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지 못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미세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먼지필터가 덮개에 정확하게 체결되지 않으면, 진공청소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운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 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모으는 먼지통에 먼지필터의 장착 여부에 따라 먼지통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되므로, 먼지통에 먼지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진공청소기를 운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체결부가 개방된 일단부에 구비되는 먼지필터와;
    상기 먼지필터의 체결부가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먼지필터의 착탈에 따라 폐쇄 또는 개방되는 착탈확인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로 상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먼지통과;
    상기 덮개의 착탈부에 먼지필터가 착탈된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가 체결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먼지통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필터의 체결부는;
    상기 덮개의 저면에 토출구멍을 중심으로 접촉되어 착탈부의 안내에 따라 회전되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된 다수개의 개방부와;
    상기 체결편의 일측에 오목하게 성형된 위치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전기가 통하도록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전극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탄성체에 지지되어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확인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는;
    스위칭부의 액츄에이터에 체결되어 있는 롤러가 돌출되어 유동할 수 있는 롤러장착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면으로 액츄에이터의 롤러가 유동할 수 있도록 후방 측벽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KR1020000080622A 2000-12-22 2000-12-22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KR10058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622A KR100583568B1 (ko) 2000-12-22 2000-12-22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622A KR100583568B1 (ko) 2000-12-22 2000-12-22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138A KR20020051138A (ko) 2002-06-28
KR100583568B1 true KR100583568B1 (ko) 2006-05-26

Family

ID=2768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622A KR100583568B1 (ko) 2000-12-22 2000-12-22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788B1 (ko) * 2006-06-30 2007-08-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의 먼지통 조립장치
KR100778708B1 (ko) * 2006-06-3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KR100783140B1 (ko) * 2006-10-31 2007-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138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567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착탈확인 구조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7325274B2 (en) Vacuum cleaner with dust collecting device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US762883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50091834A (ko) 진공청소기
KR2005010334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6333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83568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장치
KR100583566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장착구조
KR100582054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 구조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33277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 구조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593383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
KR10114378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4741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장착장치
KR200366599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313203Y1 (ko) 공기청정기
KR100985670B1 (ko) 진공 청소기
KR20060107626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920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9201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