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740B1 -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740B1
KR100582740B1 KR1020040106424A KR20040106424A KR100582740B1 KR 100582740 B1 KR100582740 B1 KR 100582740B1 KR 1020040106424 A KR1020040106424 A KR 1020040106424A KR 20040106424 A KR20040106424 A KR 20040106424A KR 100582740 B1 KR100582740 B1 KR 100582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compressor
kimchi
pres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건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의 압축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판넬몸체부와; 적어도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외곽 단부에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을 제조하는데 따른 재료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면서도 그 강성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외곽 단부를 벤딩 처리함으로써 이 영역으로 인해 청소시 부상을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김치저장고, 기계실, 압축기, 베이스판넬, 벤딩부, 보강리브

Description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Base Panel Structure for Compressor of Kim-Chi Sto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이 장착된 김치저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에서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요부 확대 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도어
12 : 저장실 14 : 인너케이스
16 : 증발기 20 : 기계실
26 : 압축기 30 :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31 : 베이스판넬몸체부 32,33 : 벤딩부
34 : 보강리브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을 제조하는데 따른 재료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면서도 그 강성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외곽 단부를 벤딩 처리함으로써 이 영역으로 인해 청소시 부상을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응축기 및 증발기 등과 함께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에어컨을 포함하여 통상의 냉장고, 근자에 활발히 사용되는 김치저장고에 널리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김치저장고에 채용되는 압축기를 그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다수 출원된 바 있는 통상의 김치저장고는 일반 냉장고와는 달리 김치를 숙성시킨 후, 장기간 보존하더라도 그 신선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김치저장고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류에 따라 상이하긴 하지만 통상의 김치저장고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도어를 갖는다.
상기 본체에는 저장실 내에 수용된 김치의 종류에 따른 숙성, 보관시간 및 온도조건 등을 선택하는 복수의 선택버튼과,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실 내에는 김치 등을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용기가 수용되어 있 고 기계실 내에는 압축기, 응축기 및 냉각팬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저장실의 외측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상호작용하여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증발기의 하부에는 김치를 숙성시키는 히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저장실 내에 막 담근 김치를 저장한 저장용기를 수용시킨 다음, 컨트롤패널의 선택버튼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저장실의 외측에 마련된 히터에 의해 김치는 숙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숙성된 김치를 냉각 보관하기 위해 압축기가 가동된다.
이처럼 상기 압축기의 가동에 의해 냉매가 응축기 및 증발기로 향하면, 증발기에서는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 내로 냉기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저장실 내부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저장용기 내에서 숙성 완료된 김치는 냉기에 의해 그 신선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김치저장고의 기계실에 장착된 압축기는 기계실의 저면에 별도의 베이스판넬판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압축기를 지지하는 베이스판넬의 경우, 압축기의 중량 및 진동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제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곽 단부가 비교적 날카로운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김치저장고의 경우에는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을 제조하는데 따른 재료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기계실 의 저면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된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의 외곽 단부에 긁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을 제조하는데 따른 재료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면서도 그 강성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외곽 단부를 벤딩 처리함으로써 이 영역으로 인해 청소시 부상을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압축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판넬몸체부와; 적어도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외곽 단부에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최외곽 단부에 형성되는 제1벤딩부와, 상기 제1벤딩부의 내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부의 선단은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이 장착된 김치저장고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에서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요부 확대 절취사시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마련되되 그 내부로 상향 개방된 투입개구를 갖는 저장실(12)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14)와, 상기 인너케이스(14)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20)과, 저장실(12)의 상부 투입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상부 후면에 설치된 힌지(13)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도어(11)를 갖는다.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저장실(12) 내에 수용된 김치의 종류에 따른 숙성, 보관시간 및 온도조건 등을 선택하는 복수의 선택버튼(17a)과, 선택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7b)를 구비한 컨트롤패널(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김치저장고의 파지를 위한 파지용 손잡이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하단에는 복수의 푸트부재(19a,19b)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푸트부재(19a,19b)들 중 전방의 것은 구름 이동용으로 사용되고 후방의 것은 높이조절 및 스토퍼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인너케이스(14)의 내부 저장실(12) 내에는 김치 등이 보관된 복수의 저장용기(미도시)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인너케이스(14)의 외벽면에는 외벽면을 고리상으로 감싸는 증발기 (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16)는 냉매배관에 의해 후술할 기계실(20) 내에 배치된 압축기(26) 및 응축기(27)와 상호 연통되어 저장실(12) 내로 냉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상기 증발기(16)는 인너케이스(14)의 외벽면에 상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6)의 하부로 인너케이스(14)의 외벽면에는 저장실(12) 내를 가열함으로써 각 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막 담근 김치를 숙성시키는 히터(1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15)는 전술한 컨트롤패널(17)의 각 선택버튼(17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저장실(12)의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20)의 전방에는 기계실(20)을 개폐하는 판상의 기계실커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실(20)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6)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7)와, 압축기(26) 및 응축기(27)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8)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응축기(27)의 하부에는 응축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받침플레이트(29)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압축기(26)의 하부에는 기계실(20)의 저면(20a)에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6)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압축기용 베이스판넬(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넬(30)은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 라 플라스틱 사출물이 될 수도 있으며, 기계실(20)의 저면(20a)에 대해 볼트(B)로 고정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축기용 베이스판넬(30)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6)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상대적으로 얇은 판상의 베이스판넬몸체부(31)와,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외곽 단부에 형성된 벤딩부(32,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벤딩부(32,33)는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외곽 단부에 하나만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2중의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벤딩부(32,33)를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최외곽 단부에 형성되는 제1벤딩부(32)와, 제1벤딩부(32)의 내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벤딩부(33)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제1 및 제2벤딩부(32,33)의 선단은 필요에 따라 라운딩처리(R, 도 4 참조)됨으로써 제1 및 제2벤딩부(32,33)와 함께 이 영역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긁힘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벤딩부(32,33)는 판상의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외곽을 일정하게 구부려 형성할 수 있기에 그 제조과정도 상대적으로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할 수 있는 베이스판넬몸체부(31)에 대한 판면방향으로의 강성을 부여한다.
즉, 외곽으로 베이스판넬몸체부(31)에 대해 일정하게 구부려진 이중의 제1 및 제2벤딩부(32,33)가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스판넬몸체부(31)를 얇게 형성하더라 도 베이스판넬몸체부(31)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제1 및 제2벤딩부(32,33) 외에 추가적으로 베이스판넬몸체부(31)에 강성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판면에 보강리브(34)를 더 형성하면 된다.
상기 보강리브(34)는 그 상부에 안착될 압축기(26)의 형상에 고려하여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별도의 제조되어 베이스판넬몸체부(31)에 고정되거나 혹은 베이스판넬몸체부(31)를 일체로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의 제1 및 제2벤딩부(32,33)와 함께 베이스판넬몸체부(31)의 내부로 복수개의 보강리브(34)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압축기(26)를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용 베이스판넬(30)을 제조하는데 있어, 이중의 제1 및 제2벤딩부(32,33)와 보강리브(34)로 인해 그 강성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베이스판넬몸체부(31)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재료의 단가도 줄일 수 있고 그 무게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실(20)의 저면(20a)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압축기용 베이스판넬(3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 긁힘 등의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벤딩부(32,33)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최외곽으로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장실(12)이 한 개로 도시되어 있고, 도어(11)가 상향 개폐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저장실(12)이 두 개 이상으로 된 김치저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근자에 활발히 제조되는 서랍식 저장실(미도시)을 갖는 김치저장고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을 제조하는데 따른 재료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게 제조하면서도 그 강성은 오히려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외곽 단부를 벤딩 처리함으로써 이 영역으로 인해 청소 시 부상을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의 압축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판넬몸체부와;
    적어도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외곽 단부에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최외곽 단부에 형성되는 제1벤딩부와, 상기 제1벤딩부의 내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의 선단은 라운딩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넬몸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KR1020040106424A 2004-12-15 2004-12-15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KR10058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424A KR100582740B1 (ko) 2004-12-15 2004-12-15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424A KR100582740B1 (ko) 2004-12-15 2004-12-15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740B1 true KR100582740B1 (ko) 2006-05-22

Family

ID=3718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424A KR100582740B1 (ko) 2004-12-15 2004-12-15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7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916U (ko) * 1997-09-18 1999-04-15 전주범 냉장고의 기계실구조
KR20020022832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기계실용 베이스부재
KR20020041637A (ko) * 2000-11-28 2002-06-03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916U (ko) * 1997-09-18 1999-04-15 전주범 냉장고의 기계실구조
KR20020022832A (ko) * 2000-09-21 2002-03-28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기계실용 베이스부재
KR20020041637A (ko) * 2000-11-28 2002-06-03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064B2 (en) Refrigerator
US7254958B2 (en) Refrigerator
US6742855B2 (en) Freezer tip out bin
RU251722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выдвижным контейнером
US20050275326A1 (en) Refrigerator
EP3168552B1 (en) Refrigerator
KR100582740B1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용 베이스판넬 구조
US789120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61808B2 (ja) 冷蔵庫
KR100535331B1 (ko) 김치저장고 및 김치저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KR100643138B1 (ko) 김치저장고의 성에 제거구조
JP5766000B2 (ja) 冷却貯蔵庫
KR20060098095A (ko) 숙성 전용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411396Y1 (ko) 김치저장고의 베이스커버 구조
KR100644290B1 (ko) 김치저장고의 성에 착상 방지구조
KR100715340B1 (ko) 김치저장고의 제상 구조
KR20100085265A (ko) 서랍식 김치냉장고
KR100704360B1 (ko) 김치저장고의 자동 성에 제거방법
KR100643135B1 (ko) 김치저장고용 인너케이스부 조립방법 및 조립구조
KR100786256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구조
KR200379745Y1 (ko) 김치저장고의 김치통 구조
KR200295383Y1 (ko) 빌트인 타입 김치저장고
KR100689147B1 (ko) 김치저장고의 증발기 구조
KR200164796Y1 (ko) 냉장고
KR20060078781A (ko) 김치저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