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94B1 -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94B1
KR100582194B1 KR1020040052692A KR20040052692A KR100582194B1 KR 100582194 B1 KR100582194 B1 KR 100582194B1 KR 1020040052692 A KR1020040052692 A KR 1020040052692A KR 20040052692 A KR20040052692 A KR 20040052692A KR 100582194 B1 KR100582194 B1 KR 10058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ter
time
authentic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705A (ko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지텍
Priority to KR102004005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진본(眞本) 데이터에 음성진본 데이터의 정보를 지닌 고유 암호를 실어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육안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 데이터가 생성되고 녹취되는 단계, (B)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되어 이루어진 음성진본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C) 암호키 발생기가 상기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암호키가 생성되는 단계, (D)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암호키가 인가되어 변조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E)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보여주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음성진본 데이터에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육안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하며, 비청각장애인이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고유 암호가 실리기 전과 후를 구별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암호키의 인가로 음성정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녹취, 음성진본 데이터, 변조 데이터, 암호키, 문자, 디지털 필터

Description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The method for establishing of genuine copy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조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서의 변조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서의 인가주파수에 해당되는 변조데이터를 문자인가시간동안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녹취기 20 : 음성진본 데이터 생성기
30 : 암호키 생성기 40 : 변조 데이터 생성기
본 발명은 문서의 복제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음성정보 데이터가 위조되었는지 그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 는 진본성 입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인간의 편리성 추구 요구에 따라 물품 거래 계약, 보험 계약, 금융 상품의 거래, 각 종 인허가, 기업에서 거래 상대자와의 업무상 계약 등 현대 사회에서의 대부분의 업무가 전화 통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런데, 모든 음성정보 데이터는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현재성만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경우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이루어지는 통신(telecommunication)에서 듣고 말한 내용을 재청취하거나 물증확보의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다는 일회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각종 계약이나 기타 책임 소재가 분명해야 하는 사안을 전화 통화로 처리함에 있어, 통화된 내용을 후일 발생될 수 있는 분쟁에 대비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에 따라 유선 전화기 혹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 기능을 부가하여 마그니텍 테이프나 메모리 칩에 통화 내용을 녹취하고 있으나, 이의 경우 통화 내용을 녹취 저장할 수 있는 한계가 있어 오래된 통화 내용이 삭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통화 내용의 위조(Counterfeiting) 문제이다. 즉, 녹취된 음성정보 데이터의 음원과 동일한 발성 패턴을 갖는 동일인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그 음원과 유사한 발성패턴을 갖는 사람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편집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녹취된 음성정보 데이터에 수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편집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는 책임 소재가 분명해야 하는 사안에 얽혀 있는 양 당사자간에 제출된 녹취된 통화 내용의 경우에 특히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원고가 민사분쟁에서 법원에 증거로 제출할 목적으로 과거 피고와의 통화내용이 녹음된 녹음테이프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적절히 편집하여 원고 자신에게 유리한 피고의 진술이 될 수 있도록 조작된 녹음테이프를 제작하는 경우, 그러한 조작된 녹음테이프에 대해 법원이 증거력을 인정할 경우 법원은 정당한 판결을 내릴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단, 위조 문제가 녹취된 음성정보 데이터에 한해 발생되는 것은 아니며, 위조 문제는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지폐, 주권 및 채권증서, 신용카드, 여권, 선하증권 기타 권리증, 유서 등의 권리문서들도 모두 효용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위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지금껏 있어 왔다. 변경 확인 증명서(tamper evident certificates), 항 복사 인쇄 기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음성정보 데이터를 구비한 녹취된 음성원본 데이터의 진본(眞本)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혁신적인 기술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음성진본(眞本) 데이터에 음성진본 데이터의 정보를 지닌 고유 암호를 실어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청각장애인이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고유 암호가 실리기 전과 후를 구별하지 못하도록 상기 고유 암호를 실는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정보만 녹취된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검증할 뿐만 아니라 음성정보를 구비한 동영상 정보가 녹취된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검증할 수도 있는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 데이터가 생성되고 녹취되는 단계, (B)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되어 이루어진 음성진본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C) 암호키 발생기가 상기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암호키가 생성되는 단계, (D)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암호키가 인가되어 변조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E)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보여주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상기 생성된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가 녹취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C) 단계의 생성정보는 상기 진본 데이터가 발생될 당시의 생성시각에 대한 정보와 생성장소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D) 단계는 (a) 상기 암호키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시간인 문자인가시간이 각각 동일한 시간폭을 지니는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특정범위의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가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소정의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 (c)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상기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가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된 직후부터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상기 필터계수와 같거나 다른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가 상기 문자인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반복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의 디지털 필터의 필터계수는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고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에 막히도록 계산되며,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육안으로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로서 식별가능하도록 계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필터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내지 (d) 단계의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는, 시간영역에서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와 시간영역에서의 상기 디지털 필터의 임펄스 응답함수를 컨벌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내지 (d) 단계는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모든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총 문자인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가주파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쳐도 비청각장애인이 음성진본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지니는 주파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은 주파수축상의 낮은 주파수로 갈수록 상기 폐주파수가 늘어나는 형상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genuine copy) 데이터를 녹취하는 녹취기, 상기 녹취기에 의해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하여 진본 데 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진본 데이터 생성기, 상기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기,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암호키를 인가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 데이터 생성기 및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변조 데이터 생성기는 상기 암호키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시간인 문자인가시간을 각각 동일한 시간폭을 지니는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하는 분할기, 디지털 필터 및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특정범위의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소정의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에 거치게 하며,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상기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된 직후부터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상기 필터계수와 같거나 다른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에 거치게 하는 과정을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총 누적된 시간이 상기 문자인가시간이 될 때까지 반복하는 혼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필터의 필터계수는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고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에 막히도록 계산되며,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육안으로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로서 식별가능하도록 계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가주파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쳐도 비청각장애인이 음성진본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지니는 주파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성립된 전화를 포함한 여타의 통신장치를 통해 녹취된 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음성 녹취 시스템을 사용하는 고객 중 한 명이 제공받은 변조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패턴(pattern)을 이용하여 위조, 변조하는 경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진본성 입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방법은 크게 5가지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genuine copy) 데이터가 생성되고 녹취된다(S10). 즉, 전화 통화시의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 내용을 이루는 음성 데이터나 그러한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동영상 데이터가 녹취의 대상이며, 실시간으로 생 성되는 진본 데이터의 재현성, 반복성을 담보하기 위해 마그네틱 테잎과 같은 저장장소에 생성된 진본 데이터가 녹취된다.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하지 않으므로 생성되는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만 녹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녹취 단계(S10)가 완료된 후엔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되어 음성진본 데이터가 생성된다(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진본 데이터 생성단계(S20)는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가 선택되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음성진본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가 완료된 후 암호키 발생기는 암호키를 생성하며(S30), 암호키는 하나 이상의 문자의 순차적 배열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암호키는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지니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본 데이터의 생성 당시의 생성시각과 생성장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파벳이나 숫자와 같은 문자들의 순차적 배열로서 암호키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생성된 암호키는 생성된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게 된다(S40). 이로써, 음성진본 데이터는 변조 데이터로 변경되며 생성된 변조 데이터는 음성 녹취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양한 고객의 요청에 의해 고객에게 제공된다. 음성진본 데이터에 어떠한 암호키가 인가되었는지는 음성 녹취 시스템의 운용자만 알고 있어야 하며 고객은 암호키를 구성하는 문자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갖고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또한, 고객은 음성진본 데이터의 음성 정보를 재현해서 반복적으로 듣고자 녹취된 진본 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므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에 실린 음성 정보가 상기 암호키의 인가에 의해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음성진본 데이터에 암호키가 인가되더라도 비청각장애인이 듣기에 암호키가 인가되기 전과 후의 차이를 느낄 수 없어야 한다. 즉, 변조 데이터(S40)란 비청각장애인이 듣기에 음성 정보가 왜곡되었다고 느낄 수 없는 범위에서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생성정보가 담긴 암호키가 인가된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변조 데이터를 제공받은 고객 중 법원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증거자료로서 상기 변조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본래 변조 데이터에는 없는 데이터도 변조 데이터 중 음성 정보의 패턴을 이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이 오늘날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위조 범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위조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법원에 증거자료로 제출된 변조 데이터의 위조여부를 발견하는 진본성 입증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처럼 암호키가 인가된 음성진본 데이터 즉, 변조 데이터는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음성 정보를 실은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에 의해 관찰되게 되고(S50), 만일 법원에서 원고가 상기 진본인 변조 데이터를 위조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하며 증거자료로 그 위조된 변조 데이터를 제출하는 경우 제출된 증거자료가 위조된 것임을 모니터 화면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 모두는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된 고유의 암호키를 음성 녹취 시스템의 운용자 이외의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함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진본(眞本)인 변조 데이터를 위조한 사람은 위조된 변조 데이터와 진본인 변조 데이터가 청취시에 차이가 없다고 느끼고 이를 진본인 증거 자료로서 제출했을 것이지만, 위조한 사람은 비청각장애인이 느낄 수 없는 범위에서 변조 데이터에 인가된 암호키를 알지 못하므로 위조한 사람이 제출한 위조된 변조 데이터의 경우는 상기 모니터 화면으로 관찰할 때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담은 암호키가 발견될 수 없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변조 데이터의 위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S50).
도 2는 도 1의 변조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S40)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조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S40)가 크게 5단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문자인가시간이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된다(S41). 문자인가시간이란, 상기 암호키의 각각을 이루는 하나의 문자가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모든 문자의 각각의 문자인가시간이 모두 동일하다.
문자인가시간이 이처럼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되는 이유는 모니터(S50)로 관측될 암호키의 문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음성진본 데이터가 복수의 디지털 필터를 연속으로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하나의 문자를 모니터 상에서 보기 위해서는 문자인가시간을 이루는 필터통과시간의 총 수 만큼의 디지털 필터가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자인가시간을 구성하는 모든 필터통과시간의 각각이 모두 동일하다.
예컨대, 문자인가시간이 35ms 이고, 이를 7개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한다면 각각의 필터통과시간은 5ms이다. 즉, 0s부터 35ms에 해당되는 음성진본 데이터에 A라는 하나의 문자를 인가하고 싶다면, 0s부터 5ms, 5ms부터 10ms, 10ms부터 15ms, 15ms부터 20ms, 20ms부터 25ms, 25ms부터 30ms, 30ms부터 35ms의 총 7구간의 각각의 음성진본 데이터에 7개의 디지털 필터를 거치게 하는 것이다. 7개의 디지털 필터는 서로 상이한 필터일 수도 있지만, 7개 중 일부는 서로 동일한 필터일 수도 있다.
결국, 문자인가시간은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된 후(S41),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42 내지 S45). 디지털 필터를 거친다 함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성진본 데이터와 디지털 함수의 전달함수를 곱함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말해, 시간 영역에서의 음성진본 데이터와 디지털 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서로 컨볼루션(convolution)함을 의미한다.
한편, 디지털 필터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나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IR 필터보다는 FIR 필터를 위주로 살펴본다. IIR 필터는 작은 차수의 필터계수로도 좋은 주파수 응답을 얻을 수 있지만, 간혹 불안정한 결과를 만들 수 있어 항상 안정된 응답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IIR 필터의 경우는 FIR 필터의 경우 보다 실시간으로 필터계수를 계산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한 예에서와 같이 5ms마다 필터계수가 갱신되어야 하는 경우 FIR 필터를 이용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이 IIR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용이하다.
음성진본 데이터는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디지털 필터를 거치게 되며(S42),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음성진본 데이터는 바로 직전에 거쳤던 디지털 필터와 같거나 상이한 디지털 필터를 거치게 된다(S43). 또한, 만일 단 하나의 문자로 이루어진 암호키를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상기한 음성진본 데이터가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과정(S43)은 문자인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되며(S44), 만일 암호키가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져 암호키를 구성하는 총 문자인가시간이 복수 개 있다면 총 문자인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과정(S43)이 반복된다.
예컨대, 하나의 문자인가시간이 총 7개의 필터통과시간(각각은 5ms)으로 구성되고 암호키는 총 10개의 문자로 구성된다면, 0s 내지 5ms의 음성진본 데이터는 제 1 디지털 필터를 거치고(S41), 5ms 내지 10ms 의 음성진본 데이터는 제 2 디지털 필터를 거친다(S42). 또한, 10ms 내지 15ms의 음성진본 데이터는 제 3 디지털 필터를 거치게 되며(S42), 이러한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과정(S42)은 총 문자인가시간인 350ms이 경과될 때까지 반복되어 그 결과 0s 내지 350ms의 음성진본 데이터는 총 70개의 디지털 필터를 거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2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본성 입증방법이 진본성 입증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녹취기(10)는 진본 데이터를 녹취하여 저장하며, 음성진본 데이터 생성기(20)는 녹취기(10)에 의해 녹취된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하여 음성진본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변조 데이터 생성기(40)는 암호키 생성기(30)에서 생성되며 복수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암호키를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암호키는 비청각장애인이 암호키가 인가되기 전과 후를 구별할 수 없는 범위의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며 암호키는 음성 녹취 시스템의 운용자만 알고 있다.
이로써, 위조된 변조 데이터는 모니터로 관찰시 상기 암호키가 관찰될 수 없고 따라서 변조 데이터가 음성 녹취 시스템의 고객에 의해 위조되었는지는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통해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는 모니터 상에서 어떠한 무늬를 지니는지 그 예를 살펴보고, 음성진본 데이터가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경우 어떻게 문자가 생성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서의 변조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문자가 변조 데이터 중 일부 주파수 영역에만 인가되어 있 음을 육안으로 확일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을 인가주파수라 하고, 도 4에서 제시된 인가주파수는 주파수 3KHz이상이다. 인가주파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청각장애인이 듣기에 암호키가 인가되지 않은 음성진본 데이터와 암호키가 인가된 음성진본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어야 되는 주파수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정보는 음성진본 데이터 중에서 저주파로 갈수록 밀집되어 있으며 결국, 비청각장애인이 듣기에 암호키의 인가여부를 느낄 수 없기 위해서는 변조 데이터 중 고주파 영역에 암호키가 인가되어야 한다. 도 4에서는 3KHz 이상을 제시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니터 상에서 변조 데이터는 어느 부분은 밝고 어느 부분은 어둡게 보이며 이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의미한다. 즉, 도 4에서 인가주파수 이외의 영역을 보면 밝은 부분의 시각과 주파수를 지니는 변조 데이터는 신호가 세며, 어두운 부분의 시각과 주파수를 지니는 변조 데이터는 신호가 약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상에서의 인가주파수에 해당되는 변조데이터를 문자인가시간동안 나타낸 도면이다.
음성진본 데이터가 거치는 디지털 필터(S42 내지 S45)의 필터계수는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고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에 막히도록 계산되며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육안으로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로서 식별가능하도록 계산된다.
도 4에서 인가주파수 부분의 경우 문자가 인가되어 있는데, 문자란 각 필터통과시간에서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음성진본 데이터가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여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가 0(현실적으로는 0에 가까움)인 모니터상의 어두운 부분이 하나의 문자인가시간동안 순차적으로 모여 나타내는 표시인 것이다.
한편, 변조 데이터는 디지털 통신등에 의해 제 3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그 경우 앨리어징(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에 의해 샘플링 주파수의 반보다 큰 주파수를 지닌 변조 데이터는 제거될 경우가 있다. 암호키가 변조 데이터의 높은 주파수에 주로 실림을 감안할 때 암호가 사라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암호키를 구성하는 문자는 아랫 부분이 윗 부분보다 두껍게 나타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인가주파수 중 폐주파수는 낮은 주파수로 갈수록 늘어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본성 입증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진본 데이터에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육안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청각장애인이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고유 암호가 실리기 전과 후를 구별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암호키의 인가로 음성정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5)

  1. (A)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genuine copy) 데이터가 생성되고 녹취되는 단계;
    (B)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되어 이루어진 음성진본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C) 암호키 발생기가 상기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암호키가 생성되는 단계;
    (D)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암호키가 인가되어 변조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E)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보여주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생성된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가 녹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특정시간의 진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생성정보는 상기 진본 데이터가 발생될 당시의 생성시각에 대한 정보와 생성장소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a) 상기 암호키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시간인 문자인가시간이 각각 동일한 시간폭을 지니는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특정범위의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가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소정의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
    (c)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상기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가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된 직후부터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상기 필터계수와 같거나 다른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가 상기 문자인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반복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의 디지털 필터의 필터계수는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고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에 막히도록 계산되며,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육안으로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로서 식별가능하도록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필터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d) 단계의 디지털 필터를 거치는 단계는, 시간영역에서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와 시간영역에서의 상기 디지털 필터의 임펄스 응답함수를 컨벌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d) 단계는,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모든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총 문자인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주파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쳐도 비청각장애인이 음성진본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지니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주파수축상의 낮은 주파수로 갈수록 상기 폐주파수가 늘어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방법.
  12. 음성 데이터를 구비한 진본(genuine copy) 데이터를 녹취하는 녹취기;
    상기 녹취기에 의해 녹취된 진본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만 선택하여 진본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진본 데이터 생성기;
    상기 진본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기;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상기 암호키를 인가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 데이터 생성기; 및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라 주장되는 변조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데이터 생성기는,
    상기 암호키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에 인가되는 시간인 문자인가시간을 각각 동일한 시간폭을 지니는 복수의 필터통과시간으로 분할하는 분할기;
    디지털 필터; 및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특정범위의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소정의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에 거치게 하며,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 중 상기 인가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경과된 직후부터 상기 필터통과시간동안 상기 필터계수와 같거나 다른 필터계수를 갖는 디지털 필터에 거치게 하는 과정을 상기 필터통과시간이 총 누적된 시간이 상기 문자인가시간이 될 때까지 반복하는 혼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필터의 필터계수는 상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과하고 상 기 인가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주파수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는 모두 상기 디지털 필터에 막히도록 계산되며,
    X축에 시간, Y축에 주파수를 지정한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의 신호세기를 명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모니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문자인가시간동안 집적된 상기 모니터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육안으로 상기 암호키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로서 식별가능하도록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주파수는,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쳐도 비청각장애인이 음성진본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의 상기 음성진본 데이터가 지니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본성 입증장치.
KR1020040052692A 2004-07-07 2004-07-07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KR10058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692A KR100582194B1 (ko) 2004-07-07 2004-07-07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692A KR100582194B1 (ko) 2004-07-07 2004-07-07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05A KR20060003705A (ko) 2006-01-11
KR100582194B1 true KR100582194B1 (ko) 2006-05-23

Family

ID=3710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692A KR100582194B1 (ko) 2004-07-07 2004-07-07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87B1 (ko) * 2007-08-13 2009-04-16 주식회사 삼화양행 변압기를 채택한 펄스형 면광원 구동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6220A (ko) * 2002-09-23 2004-03-30 (주)마크텍 컴퓨터 전화 통합 시스템에서 통화 데이터의 위/변조를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32786A (ko) * 2002-10-09 2004-04-17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허가되지 않은 복제에 대한 녹음된 멀티미디어 내용물의보호방법
KR20040087759A (ko) * 2003-04-08 2004-10-15 (주)마크텍 신호의 특성값의 양자화에 의한 워터마크 삽입 및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6220A (ko) * 2002-09-23 2004-03-30 (주)마크텍 컴퓨터 전화 통합 시스템에서 통화 데이터의 위/변조를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32786A (ko) * 2002-10-09 2004-04-17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허가되지 않은 복제에 대한 녹음된 멀티미디어 내용물의보호방법
KR20040087759A (ko) * 2003-04-08 2004-10-15 (주)마크텍 신호의 특성값의 양자화에 의한 워터마크 삽입 및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05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31806T2 (de) Gebrauch im Transformationsbereich steganographisch eingebetteter Kalibrierungsdaten zur Detektion von Bildverzerrungen
US8254542B2 (en) Phone key authentication
DE69435076T2 (de) Einbetten eines steganographischen Kodes in ein Bildsignal
US8447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or authenticating a source of received electronic data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or voice authentication
US8843418B2 (en) Authentication of an end user
CN107395557A (zh) 一种业务请求的处理方法及装置
EP3665600B1 (fr) Procédé de signature électronique d&#39;un document par une pluralité de signataires
EP1368930A2 (fr) Authentification cryptographique par modules ephemeres
CN101110667B (zh) 用户认证方法和用户认证系统
US200901036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l Tones Screening
CN10819795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防伪方法及系统
CN109858911A (zh) 资质验证方法、装置、系统、设备和可读存储介质
EP0838050B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digital data works
CN100507952C (zh) 授权检验方法以及适用的设备
CN108681890A (zh) 私密信息的处理方法、处理设备以及处理系统
CN102150166B (zh) 交易数据的准许
KR100582194B1 (ko)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
US20040139344A1 (en) Digital declaration, method for creating a digital declaration, and a software product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CN110516427A (zh) 终端用户的身份验证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020076359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계약 인증 시스템
CN113595724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记账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298199A (zh) 一种基于电子证照保真技术的应用本生成方法及装置
CN1236147A (zh) 票据查验系统
WO2020250614A1 (ja) 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rusin Signature Identity Content: Handwriting in an Age of Digital Reme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