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411B1 - Raising seedings box - Google Patents

Raising seedings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411B1
KR100581411B1 KR1020030057336A KR20030057336A KR100581411B1 KR 100581411 B1 KR100581411 B1 KR 100581411B1 KR 1020030057336 A KR1020030057336 A KR 1020030057336A KR 20030057336 A KR20030057336 A KR 20030057336A KR 100581411 B1 KR100581411 B1 KR 10058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
seedling box
ma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9519A (en
Inventor
유남진
박성태
홍연규
Original Assignee
박성태
주식회사 남진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태, 주식회사 남진농기 filed Critical 박성태
Priority to KR102003005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411B1/en
Priority to PCT/KR2004/002086 priority patent/WO2005015978A1/en
Priority to CN200480023868A priority patent/CN100593968C/en
Publication of KR2005001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중간 프레임 제거하여 길이를 변환시킬 수 있는 육묘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육묘상자는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1 끼움홈을 갖는 제 1 테가 연장 절곡되는 메인 프레임을 갖는다. 중간 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 단부가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2 끼움홈을 갖는 제 2 테가 연장 절곡되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서브 프레임은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3 끼움홈을 갖는 제 3 테가 연장 절곡되며, 중간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중간 프레임을 함께 조립할 경우에는 육묘상자의 길이가 커져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모를 육묘할 수 있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edling box which is composed of a main frame, an intermediate frame and a subframe, and which can be changed in length by removing the intermediate frame as necessary. The seedling box has a main frame in which the top and one side are open and the first frame having the first fitting groove is extended and bent along the edge. The intermediate frame is open at the top and open at both ends, and the second frame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extended and bent along the edge, and detachably engages with the open end of the main frame. The subframe has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a third frame having a third fitting groove is extended and bent along an edge thereof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Due to such a structure, when assembling the intermediate fram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the length of the seedling box is increased, so that a large amount of seedlings can be grown at once, thereby reducing labor.

육묘상자, 볍씨, 육묘 및 모 생육Seedling boxes, rice seedlings, seedlings and seedlings

Description

육묘상자{RAISING SEEDINGS BOX}Seedling box {RAISING SEEDINGS BOX}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육묘상자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edling box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육묘상자의 메인 프레임을 보여주는 평면도; 3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frame of the seedling box of FIG.

도 4는 도 1의 육묘상자의 메인 프레임을 보여주는 저면도;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main frame of the seedling box of Figure 1;

도 5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도 6은 도 1의 육묘상자 내에서 볍씨가 생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및FIG. 6 is a view showing how rice seed is grown in the seedling box of FIG. 1; FIG. An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육묘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edling box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육묘상자 102: 구획돌부100: seedling box 102: compartment protrusion

110: 메인 프레임 112: 제 1 테110: main frame 112: first te

120: 중간 프레임 122: 제 2 테120: middle frame 122: second frame

126: 메인 결합돌기 128: 메인 끼움돌기126: main engaging projection 128: main fitting projection

130: 서브 프레임 132: 제 3 테130: sub-frame 132: third frame

134: 서브 결합돌기 136: 서브 끼움돌기134: sub engaging projection 136: sub fitting projection

140: 보강리브 142: 출입홈140: reinforcing rib 142: access groove

본 발명은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메인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중간 프레임을 제거하여 길이를 변환시킬 수 있는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box consisting of a collection of the main frame,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sub-frame, the length can be changed by removing the intermediate frame as needed.

일반적으로, 육묘상자에는 상토를 담은 다음 볍씨를 뿌리고 상토를 덮어 10㎝ ~25㎝ 정도 모를 키운다. 그리고 키운 모는 육묘상자에 담겨진 상태로 본답에 이아하기 위해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한다.In general, seedling boxes contain topsoil, sprinkle rice seeds, cover tops, and grow 10 cm to 25 cm thick. The raised seedlings are stored in seedling boxes and used to convey the answer to the answer.

상술한 바와 같은 육묘상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량되고 있는 바 대표적인 것으로, 2001년 7월 3일자로 등록 공고된 등록번호 제 20-0229272호 (발명의 명칭;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출원인; 주식회사 기광물산)가 있다. 이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다수의 홈이 바닥면에 형성되고, 그 홈들에는 하나 걸러 하나씩 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육묘상자는 뿌리가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빠져 외부로 빠져나가 본답에 이앙하기 위해 육묘상자를 못 판에서 뗄 때 뿌리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규정된 규격으로만 제작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길이가 길거나 짧은 육묘상자가 필요한 경우에 대처할 수 없어 노동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Seedling boxes as described above are being improved in a variety of ways, a typical registration No. 20-0229272 (Jan. Mountain).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the holes are formed in every other one of the groove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edling box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oot is often damaged when the seedling box is removed from the nail plate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escape to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only to the prescribed standard,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the need of a long or short seedling box as needed, which results in a problem of low lab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 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길거나 짧은 길이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육묘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ling box that can be converted to a long or short length as nee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의 생육이 빠르고 이앙시 뿌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육묘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edling box which is fast in mock growth and can prevent damage to roots in Yiangsi.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1 끼움홈을 갖는 제 1 테가 연장 절곡되는 메인 프레임; A main frame having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extending along a edge of the first frame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 단부가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2 끼움홈을 갖는 제 2 테가 연장 절곡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프레임; 및 An intermediate fram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open at both ends thereof, the second frame having a second fitting groove extending along an edge thereof, the intermediate fram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end of the main frame; And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3 끼움홈을 갖는 제 3 테가 연장 절곡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서브 프레임이 구비되고, The upper side and one side is opened, the third frame having a third fitting groove along the edge is extended and bent, the sub-frame for detachably coupling to the open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바닥에 다수의 구획돌부를 종, 횡으로 교차 배열시켜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용홈 중 하나 이상에는 출입공이 각각 관통되며 저면은 민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b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on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ivate shape.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의 저면에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의 개방된 일단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홈에 강제로 끼워지는 메인 결합돌기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며, 타단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대향된 위치에 제 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의 상기 제 2 끼움홈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테의 상기 제 1 끼움홈에 강제로 끼워지는 메인 끼움돌기가 바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개방된 단부의 저면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의 제 2 결합홈에 강제로 끼워지는 서브 결합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 3 테의 상기 제 3 끼움홈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제 2 테의 상기 제 2 끼움홈에 강제로 끼워지는 서브 끼움돌기가 바깥을 향하여 돌출된다.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main frame, and a main coupling protrusion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protrudes outward on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opposite to the main coupling protrus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second rim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first rim. Is projected outwardly, a sub engaging projection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of the intermediate frame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sub frame, and the third fitting groove of the third frame is opened. At the end, a sub fitting protrusion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second frame protrudes outward.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저면에는 보강리브가 바둑판 모양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 배열된다.Reinforcing ribs intersect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sub-frame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a checkerboard shape.

상기 보강리브에는 교차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의 중간 위치를 절개하여 물의 출입홈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ribs are cut out of the intermediate positions except for the intersections to form water inlet grooves.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중간 프레임을 제거하여 사용토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육묘상자는 필요에 따라 길거나 짧은 길이로 변환시켜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it consists of a main frame, an intermediate frame, and a subframe, so that the intermediate frame is removed and used as necessary.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seedling box has the effect of saving labor by converting it to a long or short length as needed.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100)가 메인 프레임(110), 중간 프레임(120) 및 서브 프레임(130)으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프레임(110), 중간 프레임(120) 및 서브 프레임(130)을 서로 결합하여 육묘상자(100)의 외형을 구성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육묘상자(100)의 일부를 상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육모상자(100)의 일부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중간 프레임(120)과 서브 프레임(13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 box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composed into the main frame 110,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 box 100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main frame 110,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of FIG. 1. 3 is a view of a part of the seedling box 100 of FIG. 4 is a view of a portion of the hair nursery box 100 of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육묘상자(100)는 메인 프레임(110), 중간 프레임(120) 및 서브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프레임(110)(120)(130)의 바닥면에는 종횡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구획돌부(102)에 의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다수의 수용홈(106)이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구획돌부(102)는 예를 들어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된다. 각각의 수용홈(106)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용홈(106)에는 출입공(103)이 각각 관통된다. 바람직하게는, 출입공(103)은 두개소의 수용홈(106)을 걸러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육묘상자(100)의 저면에는 보강리브(140)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 돌출되어 뼈대를 형성한다. 보강리브(140)에는 중간 중간을 절개하여 출입홈(142)이 형성된다(도 4와 도 5 참조).1 and 2, the seedling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frame 110, an intermediate frame 120 and a sub-frame 130.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rames 110, 120, 130,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06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are regularly formed by the partition protrusions 102 arranged to intersect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The partition protrusion 102 is partitioned into a checkered shape, for example. Each receiving groove 106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ccess holes 103 are respectively penetrated through each accommodation groove 106. Preferably, the entrance hole 103 may be formed one by one to filter the two receiving grooves (106). Preferably, on the bottom of the seedling box 100, the reinforcing ribs 140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skeleton. Reinforcing rib 140 is cut in the middle of the intermediate grooves 142 is formed (see Figs. 4 and 5).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 자리에는 하부 방향으로 제 1 끼움홈(112a)을 갖는 제 1 테(112)가 연장 절곡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측 단부의 저면에는 다수의 제 1 결합홈(112b)이 형성된다.The main frame 110 is open at one side and the top. The first edge 112 having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extends in the lower direction except for one side of the main frame 110.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112b are formed at the bottom of one open end of the main frame 110.

중간 프레임(120)은 상부와 양측면이 개방된다. 중간 프레임(120)의 의 양측 가장 자리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테(112)와 대응된 제 2 테(122)가 연장 절 곡된다. 중간 프레임(120)의 개방된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의 저면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결합홈(112b)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메인 결합돌기(126)가 돌출된다. 제 2 테(122)의 제 2 끼움홈(122a)의 후방에는 제 1 테(112)의 제 1 끼움홈(112a)에 강제로 끼워 결합되는 메인 끼움돌기(128)가 돌출된다. 제 1 끼움홈(112a)과 대향된 중간 프레임(120)의 저면에는 제 2 끼움홈(122a)이 형성된다.The intermediate frame 120 is open at the top and both sides. At both edges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the second frame 1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112 of the main frame 110 is extended and bent. A plurality of main coupling protrusions 126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ope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to be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of the main frame 110. At the rear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2a of the second rim 122, a main fitting protrusion 128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first rim 112 protrudes. A second fitting groove 122a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opposite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서브 프레임(130)은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다. 서브 프레임(130)의 개방된 일단의 저면에는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결합홈(122b)에 강제로 끼워 결합되는 서브 결합돌기(134)가 돌출된다.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테(122)의 개방된 단부의 제 3 끼움홈(132a)에는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테(122)의 제 2 결합홈(122b)에 강제로 끼워 결합되는 서브 끼움돌기(136)가 돌출된다. The subframe 130 has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On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sub-frame 130, a sub coupling protrusion 134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b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protrudes. The third fitting groove 132a of the open end of the second frame 122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is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b of the second frame 122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The sub fitting protrusion 136 is protrud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메인 프레임(110), 중간 프레임(120) 및 서브 프레임(130)을 서로 조립하여 육묘상자(100)를 만든다. 그 육묘상자(100)의 조립 과정은 다음과 같이 큰 사이즈와 작은 사이즈로 대별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큰 사이즈로 된 육묘상자(100)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0)과 중간 프레임(120)의 조립 상태를 보면,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결합홈(112b)에는 중간 프레임의 메인 결합돌기(126)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테(112)의 제 1 끼움홈(112a)에는 중간 프레임(120)의 메인 끼움돌기(126)가 기워져 결합된다. 이때, 중간 프레임(120)의 메인 결합돌기(126)의 폭은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결합홈(112b)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 가지로, 중간 프레임(120)의 메인 끼움돌기(128)의 폭은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끼움홈(112a)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4, the worker assembles the main frame 110,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to each other to make the seedling box 100.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edling box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large size and small size as follows. First, in the seedling box 100 of a large size, when the main frame 110 and the intermediate frame 120 are assembled, the main coupling of the intermediate fram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of the main frame 110. The projection 126 is fitted and coupled. At the same time, the main fitting protrusion 126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is til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first frame 112 of the main frame 110.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main coupling protrusion 126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is almost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of the main frame 110 can be coupled by interference fit. Likewise, the width of the main fitting protrusion 128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main frame 110 to be coerced by coupling.

이 상태에서, 중간 프레임(120)에 서브 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즉,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결합홈(122b)에는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결합돌기(134)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결합돌기(134)의 폭은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결합홈(122b)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끼움돌기(136)의 폭은 제 2 테(122)의 제 2 끼움홈(122a)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the subframe 13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120. That is, the sub coupling protrusion 134 of the sub frame 130 is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b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sub coupling protrusion 134 of the sub frame 130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 b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to be tightly coupled. The width of the sub fitting protrusion 136 of the sub frame 130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2a of the second frame 122, to thereby force the fitting.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작은 사이즈의 육묘상자(100)를 설명하면, 중간 프레임(120)을 제거한 후, 메인 프레임(110)에 서브 프레임(130)이직접 결합된 상태의 육묘상자(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중간 프레임(120)을 제외한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30) 만을 이용하여 육묘상자(100)를 조립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된 단부에 서브 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이때,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결합홈(112b)에는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결합돌기(134)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결합돌기(134)의 폭은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결합홈(112b)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테(112)의 제 1 끼움홈(112a)에는 서브 프레임(130)의 서 브 끼움돌기(136)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서브 프레임(130)의 서브 끼움돌기(136)는 메인 프레임(110)의 제 1 끼움홈(112a)과 거의 같거나 약간 커서 억지 끼움 결합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seedling box 100 having a small size is removed. After removing the intermediate frame 120, the seedling box 100 is direct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10 by the sub-frame 130.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s shown in this, the worker assembles the seedling box 100 using only the main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excluding the intermediate frame 120. In more detail, the subframe 130 is coupled to the open end of the main frame 110. At this time, the sub coupling protrusion 134 of the sub frame 130 is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of the main frame 110 to be coupl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sub coupling protrusion 134 of the sub frame 130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 b of the main frame 110 to be coerced by coupling. At the same time, the sub fitting protrusion 136 of the sub frame 130 is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first frame 112 of the main frame 110. At this time, the sub fitting protrusion 136 of the sub frame 130 is almost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main frame 110 and is forcibly fitted.

이 상태하에서, 육묘상자(100)에 형성된 각각의 수용홈(106)에는 상토(흙) 및 비료를 배합하여 어느정도, 바람직하게 육묘상자(100)의 높이의 2/3정도를 채운다. 그리고 나서, 상토와 비료의 배합 재료 위에 볍씨를 뿌리고, 볍씨 위에 다시 상토와 비료의 배합물을 채워준다. 파종한 육묘상자(100)를 못자리에 치상하면, 목자리의 물이 육묘상자(100)에 형성된 다수의 출입공(103)을 통해 유입되어 볍자리를 생육시킨다. 이때, 육묘상자(100)의 저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40)에는 출입홈(142)가 각각 절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못자리의 물은 출입홈(142)를 경유하여 출입공(103)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은 육묘상자(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홈(106)으로 모이게 된다. 그러면, 수용홈(106) 내에 위치된 볍씨의 뿌리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출입공(103)이 형성된 수용홈(106) 내에 볍씨의 뿌리가 모여 엉키게 되면, 다른 볍씨의 뿌리는 출입공(103)이 형성되지 않은 인접 수용홈(106)으로 뿌리가 모여 엉키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each receiving groove 106 formed in the seedling box 100 is mixed with soil (fertilizer) and fertilizer to a certain degree, preferably about 2/3 of the height of the seedling box 100 is filled. Then, the rice seed is sprayed on the mixture of top soil and fertilizer, and the top soil and fertilizer mixture is again filled on the rice seed. When the seedling seedling box 100 is nailed to the nail seat, water of the neck enters through a plurality of entrance holes 103 formed in the seedling box 100 to grow a rice plant. At this time, since the access grooves 142 are respectively cut in the reinforcing ribs 14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edling box 100, water of the nail seat easily passes through the access hole 103 via the access grooves 142. can do. Water introduced in this way is collected i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0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edling box 100. Then, sufficient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root of rice seed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06. In this process, when the roots of the rice seed is gathered and entangled in the receiving groove 106, the entrance hole 103 is formed, the roots of the other rice seed roots to the adjacent receiving groove 106, the entrance hole 103 is not formed. Will be tangled together.

이에 따라, 벼의 생육이 빠르고, 특히 생육된 벼의 뿌리가 육묘상자(100)의 바닥면을 통과하지 못해 이앙시 뿌리의 손상이 예방된다 (도 6 참조)Accordingly, the growth of the rice is fast, in particular, the root of the grown rice does not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edling box 100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root at Yiang (see Fig. 6).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묘상자는 메인 프 레임, 중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중간 프레임을 함께 조립할 경우에는 육묘상자의 길이가 커서 한꺼번에 많은 모를 육묘할 수 있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mentioned above,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main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sub-frame, when assembling the intermediate fram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the length of the seedling box is large, so that many seedlings at once It can have the effect of saving labor.

게다가, 육묘모판의 바닥면, 즉 메인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구획돌부에 의해 바닥판 모양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들 사이로 물의 출입공이 관통되어 못자리의 물이 각각의 수용홈에 고이면서 모의 생육이 빠르고, 모의 뿌리가 육묘모판의 수용홈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앙시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edling nursery,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sub-frame is arranged in the shape of a bottom plate by the partition protrusion to form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the water access hole is penetrat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s Since the water is accumulated in each receiving groove, the growth of the mock is fast, and the root of the mock seedling i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edling seedlings, thereby preventing the roots from being damag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or improve the technology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knowledge.

Claims (4)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1 끼움홈(112a)을 갖는 제 1 테(112)가 연장 절곡되는 메인 프레임(110); A main frame 110 having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extending from a first frame 112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112a along an edge thereof;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 단부가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2 끼움홈(122a)을 갖는 제 2 테(122)가 연장 절곡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프레임(120); 및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both ends are opened, and the second frame 122 having the second fitting groove 122a is extended and bent along the edg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end of the main frame 110. An intermediate frame 120 for; And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제 3 끼움홈(132a)을 갖는 제 3 테가 연장 절곡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120)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서브 프레임(130)이 구비되고, The upper side and one side is opened, and the third frame having the third fitting groove 132a is extended and bent along the edge, and the sub frame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기 중간 프레임(120) 및 상기 서브 프레임(130)의 바닥에 다수의 구획돌부(102))를 종, 횡으로 교차 배열시켜 다수의 수용홈(106)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수용홈(102) 중 하나 이상에는 출입공(103)이 각각 관통되며 저면은 민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06 are formed b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i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102 at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10,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At least one of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102, the access hole 103 is passed through each of the seedl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has a private-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단의 저면에는 제 1 결합홈(112b)이 형성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main frame 110, 상기 중간 프레임(120)의 개방된 일단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홈(112b)에 강제로 끼워지는 메인 결합돌기(126)가 바깥을 향하여 돌출되며, 타단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126)와 대향된 위치에 제 2 결합홈(122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122)의 상기 제 2 끼움홈(122a)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테(112)의 상기 제 1 끼움홈(112a)에 강제로 끼워지는 메인 끼움돌기(128)가 바깥을 향하여 돌출되고, The main coupling protrusion 126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2b protrudes outward on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main coupling protrusion 126 on the bottom of the other e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b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112a of the first frame 1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2a of the second frame 122. The main fitting protrusion 128, which is forcibly fitted in, protrudes outward, 상기 서브 프레임(130)의 개방된 단부의 저면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120)의 제 2 결합홈(122b)에 강제로 끼워지는 서브 결합돌기(134)가 돌출되며, 상기 제 3 테(132)의 상기 제 3 끼움홈(132a)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제 2 테(122)의 상기 제 2 끼움홈(122a)에 강제로 끼워지는 서브 끼움돌기(136)가 바깥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The sub coupling protrusion 134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b of the intermediate frame 120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open end of the sub frame 130. At the open end of the third fitting groove 132a, a sub fitting protrusion 136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122a of the second rim 122 protrudes outward. Seedling bo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기 중간 프레임(120) 및 상기 서브 프레임(130)의 저면에는 보강리브(140)가 바둑판 모양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the intermediate frame 120 and the sub-frame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rib 140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Seedling box to do.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40)에는 교차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의 중간 위치를 절개하여 물의 출입홈(14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ribs (140) are cut out of the intermediate positions except for the intersections to form the water inlet (1402).
KR1020030057336A 2003-08-19 2003-08-19 Raising seedings box KR100581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336A KR100581411B1 (en) 2003-08-19 2003-08-19 Raising seedings box
PCT/KR2004/002086 WO2005015978A1 (en) 2003-08-19 2004-08-19 A box for raising seedings
CN200480023868A CN100593968C (en) 2003-08-19 2004-08-19 A box for raising seed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336A KR100581411B1 (en) 2003-08-19 2003-08-19 Raising seedings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519A KR20050019519A (en) 2005-03-03
KR100581411B1 true KR100581411B1 (en) 2006-05-23

Family

ID=3419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336A KR100581411B1 (en) 2003-08-19 2003-08-19 Raising seedings box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81411B1 (en)
CN (1) CN100593968C (en)
WO (1) WO200501597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7165A (en) * 2016-12-28 2018-11-27 卢加贵 Reusable agricultural greenhouse floating seedlings cultivate float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616A (en) * 1986-10-23 1988-05-10 永松 睦雄 Soil for vegetation of plant such as turf
KR910002464Y1 (en) * 1988-06-28 1991-04-20 조남월 Prefabricated devices of rice seed bed
JP2811626B2 (en) * 1994-02-09 1998-10-15 鹿島建設株式会社 Sports turf
KR200229272Y1 (en) * 2000-11-10 2001-07-03 주식회사 기광물산 The breeding box of rice-seed for young rice plant to be dispersed
KR100494271B1 (en) * 2002-08-01 2005-06-13 임일용 The method and box of sowing for raising seed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519A (en) 2005-03-03
WO2005015978A1 (en) 2005-02-24
CN1838873A (en) 2006-09-27
CN100593968C (en)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146B2 (en) Cultivation assembly
KR100581411B1 (en) Raising seedings box
US10492379B1 (en) Modular planting system
JP2003116356A (en) Planting tray
JP2003047342A (en) Unit planter for vegetation
KR101292176B1 (en) Seed-bed and frame to seed using the same
JPH10102516A (en) Vegetation greening piled-up block
KR100902663B1 (en) Greening mat of tray typ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H10280417A (en) Waterside block planting bod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229272Y1 (en) The breeding box of rice-seed for young rice plant to be dispersed
KR100657638B1 (en) soil-sack and greening method of cutting surface the ground use that
KR200242455Y1 (en) The breeding box of rice-seed for young rice plant to be dispersed
CN216292294U (en) Multifunctional landscape flowerpot
JP2003147788A (en) Retaining wall block
JPH10183650A (en) Block for greening retaining wall
KR20220160410A (en) bed for raising rice seedling
KR200227662Y1 (en) Port for raising seedlings
JPH086112Y2 (en) Vegetation block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JPS5825811Y2 (en) Seedling container
JP3123622U (en) Combination of different gardening tools
JP3119249U (en) Gardening equipment and garden structure
KR200281133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eedling box
JP3046956U (en) Gardening cases
KR20230036082A (en) Pot for plant cultivation
JPH0629015Y2 (en) Multi-row nursery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