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972B1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972B1
KR100580972B1 KR1020040000913A KR20040000913A KR100580972B1 KR 100580972 B1 KR100580972 B1 KR 100580972B1 KR 1020040000913 A KR1020040000913 A KR 1020040000913A KR 20040000913 A KR20040000913 A KR 20040000913A KR 100580972 B1 KR100580972 B1 KR 10058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electrode tab
ta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566A (ko
Inventor
김성우
유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0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9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의 해당 전극탭에 고정되는 전극단자와; 이 두 전극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감싸는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해당 전극탭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호일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f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폭, d는 전극탭의 폭, a는 전극탭의 길이, 그리고 g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길이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전지를 대전류로 방전하거나 충전하는 가혹한 사용환경 속에서 사용하여도 전극탭 또는 전극단자의 발열로 인한 전지의 성능저하, 전극단자의 용융파손, 또는 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전지의 수명, 내구성 및 신뢰도를 높이고, 아울러 전지의 안전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전극단자, 전지, 리튬

Description

전지{BATTERY}
도 1은 일반적인 리튬폴리머전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리튬폴리머전지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극조립체 1a: 전극탭
1aa: 양극탭 1aa': 음극탭
1b: 전극단자 1bb: 양극단자
1bb': 음극단자 2: 전지케이스
3: 접착필름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의 대전류 충방전시 전극탭 또는 전극단자에서의 저항이 증가하여 해당 전극탭 또는 전극단자로부터 과도하게 발생되는 줄열이 전지 내부로 전달되어 긍극적으로 전지의 성능저하, 에너지 손실, 또는 폭발 등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 등에는 한 개의 단위전지가 낼 수 있는 출력과 전력 저장용량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충분한 동력과 주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전지로 이루어진 리튬이차전지 모듈이 사용되게 된다.
종래의 리튬이차전지 모듈에 적용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구조를 살펴보면, 리튬폴리머전지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와; 이 전극조립체의 해당 전극탭(1a)과 연결되는 각 전극단자(1b)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용함과 아울러, 안에 일정량의 전해질이 주입된 다음 본체부분과 커버부분의 각 개구된 모서리가 열융착되는 전지케이스(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전극단자(1b)의 일부분에는 그 전지케이스와의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착필름(3)이 감겨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전지셀로 이루어진 이차전지 모듈이 고출력을 필요로 하고, 게다가 대전류 충방전이 수시로 반복해서 발생되는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적용되는 경우, 각 전지셀의 전극단자 자체에서 저항의 증가로 인해 줄열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그 전지셀의 내부로 전해져 궁극적으로 이차전지 모듈 전체의 성능저하, 전극단자의 용융 파손, 또는 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지금까지는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폴리머 전지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방식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거나, 또는 전자 전도도가 높은 단자재료를 통해 해결하려 하였을 뿐 전지의 전극탭 또는 전극단자의 저항을 줄여 줄열을 낮추려는 시도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극탭의 전기저항을 줄여 전극탭에서 발생되는 줄열에 의한 온도가 전지 내부의 온도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단자의 전기저항을 줄여 전극단자에서 발생되는 줄열에 의한 온도가 전지 내부의 온도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의 해당 전극탭에 고정되는 전극단자와; 이 두 전극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감싸는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해당 전극탭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호일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리튬폴리머전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와; 이 전극조립체의 해당 전극탭(1a)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1b)와; 이 두 전극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감싸는 전지케이스(2)로 이루어지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단자(1b)에 연결되는 해당 전극탭(1a)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호일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해당 전극탭(1a)의 폭(d)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04000525482-pat00001
여기에서, f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폭, d는 전극탭의 폭, a는 전극탭의 길이, 그리고 g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길이임.
상기 수학식 1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저항보다 전극탭의 저항이 낮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와 같은 설계조건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즉, "전극탭 저항 ≤ 전극판 저항" 이고, "전극탭 비저항 ×전극탭 길이 / 전극탭 단면적 ≤전극판 비저항 ×전극판 길이 / 전극판 단면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전극탭은 전극판의 일부를 타발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전극탭과 전극판은 동일재료이고 두께 또한 동일하며, 나아가 전극탭과 전극판의 비저항도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건식에서 "전극탭 길이 /(전극탭 폭 ×전극탭 두께) ≤전극판 길이 /(전극판 폭 ×전극판 두께)" 이며, 이로부터 "전극탭 폭 ≥전극탭 길이 ×전극판 폭 / 전극판 길이"가 유도되어진다.
한편, 양극탭과 음극탭의 폭이 동일한 경우, 상기 각 전극탭은 전극판의 폭의 1/2보다 클 수 없으므로, "전극탭 폭 < 전극판 폭 /2" 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수학식 1을 통해 제작된 전지의 전극탭(1a)(양극탭 또는 음극탭)은 전지가 대전류로 방전되거나 충전되어도 그 전지 내부의 집전체 역할을 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게 되며, 그 결과 전극탭의 줄열〔즉, 줄열 = (전류)2 ×(저항)〕에 의한 상승온도가 전극판의 줄열에 의한 것보다 낮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전극단자(1b)에 연결되는 해당 전극탭(1a)의 단면적(d×k)이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수학식2〕
Figure 112004000525482-pat00002
여기에서, d는 전극탭의 폭, k는 전극탭의 두께, h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개수, C전지는 전지의 비열용량, C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열용량, ρ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전기저항, σ전극탭은 전극탭의 밀도, W전지는 전지의 무게, R전지는 전지의 저항, q전극탭은 전극탭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 q전지는 전지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임. 또한, 상기 q전극탭은 통상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는 0.5 내지 1.0의 값을 갖 고 q전지는 0 내지 0.5의 값을 갖는다.
상기 수학식 2는 전극탭의 비열용량, 밀도, 비전기저항, 단면적 및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 그리고 전지의 비열용량, 무게, 저항 및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를 통해 전극탭의 단면적을 얻어내는 것으로, 상기 전극탭의 줄열에 의한 상승온도가 전지내부의 상승온도보다 낮다는 설계개념에서 유도되어진 것이다.
그에 따라,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수학식 2를 통해 제작된 전지의 전극탭(1a)(양극탭 또는 음극탭)은 전지가 대전류로 방전되거나 충전되어도 그 전지 내부의 집전체 역할을 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띠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전극단자(1b)의 단면적(c×m)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수학식 3〕
Figure 112004000525482-pat00003
여기에서, c는 전극단자의 폭, m은 전극단자의 두께, d는 전극탭의 폭, k는 전극탭의 두께, C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열용량, C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비열용량, ρ 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비전기저항, ρ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전기저항, σ전극탭은 전극탭의 밀도, σ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밀도. q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 q전극탭은 전극탭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임. 또한, 상기 q전극단자는 통상 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는 0.5 내지 1.0의 값을 갖고 q전지는 0 내지 0.5의 값을 갖는다.
상기 수학식 3은 각 전극탭과 전극단자의 비열용량, 밀도, 비전기저항, 단면적 및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를 통해 전극단자와 전극탭의 단면적의 비를 얻어내는 것으로, 상기 전극탭의 줄열에 의한 상승온도가 전지내부의 상승온도보다 낮다는 수학식 2의 전제하에 전극단자의 줄열에 의한 상승온도가 전극탭의 줄열에 의한 상승온도보다 낮다는 설계개념에서 유도되어진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수학식 3을 통해 제작된 전지의 전극단자(1b)(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는 전지가 대전류로 방전되거나 충전되어도 양극판과 음극판 뿐만 아니라 전극탭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띠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지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모두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하는 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2에서와 같이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군의 각 전극탭(1a)에 해당 전극단자(1b)를 연결하여 전극조립체(1)를 구성한 다음, 그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2) 안에 위치시켜 일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그 전지케이스의 모서리중 개구된 모서리를 따라 열융착시켜 밀봉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양극판은 폭 50mm, 길이 100mm, 두께 15㎛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의 적어도 한 면에 리튬망간산화물, 탄소전도체 및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아울러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길이 10mm의 양극탭(1aa)에 길이 20mm인 알루미늄 재질의 양극단자(1bb)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음극판은 폭 50mm, 길이 100mm, 두께 10㎛를 갖는 구리 호일의 적어도 한 면에 탄소 활물질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아울러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길이 10mm의 음극탭(1aa')에 길이 20mm인 구리 재질의 음극단자(1bb')를 연결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전지의 내부저항은 50mOhm, 무게는 50g, 비열용량은 1000j/(kg·k),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0.5이었고, 전극단자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0.9이었으며, 양극탭의 비열용량 897j/(kg·K), 비전기저항 2.65×10-8Ohm·m, 밀도 2.70g/cm3이고, 음극탭의 비열용량 385j/(kg·K), 비전기저항 1.70×10-8Ohm·m, 밀도 8.96g/cm3이었다.
또한, 전극단자는 전극탭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그 전극단자의 비열용량, 비전기저항, 밀도 및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전술한 전극탭의 해당값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양극판 10장과 음극판 11장은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적층되었으며,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에틸렌카보네이트(DEC) 및 리튬염(LiPF6)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였고, 그 밖에 전지케이스는 알루미늄 박막 의 상하면 위에 열접착성 물질이 적층된 형태의 절연성필름재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양극탭(1aa)과 음극탭(1aa')의 폭은 수학식 1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4〕 25mm >d≥5mm
또한, 양극탭의 단면적은 수학식 2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5〕 d×k≥0.148mm2
또한, 양극단자의 단면적은 수학식 3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6〕 c×m≥1.479mm2
또한, 음극탭의 단면적은 수학식 2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7〕 d×k≥0.090mm2
또한, 음극단자의 단면적은 수학식 3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8〕 c×m≥0.993mm2
상기 관계식들을 통해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양극탭 및 음극탭과, 다양한 크기의 폭과 두께를 갖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 구성되는 전지를 제조하였고(시료번호 1,2,3), 아울러 기술비교를 위해 상기 관계식에 위배되는 전지를 제조하였으며(시료번호 4), 상기 전지들을 20A의 등전류로 50초 동 안 상온에서 방전시키는 조건하에서 전지의 내부온도, 양극탭과 음극탭의 온도,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표 2에 제시하였다.
시료번호 양극탭 음극탭 양극단자 음극단자
폭(mm) 폭(mm) 폭(mm) 두께(mm) 폭(mm) 두께(mm)
1 10 10 5 0.3 5 0.3
2 10 10 10 0.2 10 0.2
3 20 20 20 0.1 20 0.1
4 5 5 5 0.1 5 0.1
시료번호 양극탭 온도(℃) 음극탭 온도(℃) 양극단자 온도(℃) 음극단자 온도(℃) 전지 온도(℃)
1 35 33 35 29 36
2 34 31 30 27 35
3 32 29 30 27 35
4 64 58 113 64 54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료번호 1,2,3의 전지는 대전류로 방전하였을 때 전지 내부의 온도보다 양극탭과 양극단자 및 음극탭과 음극단자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지가 과열되어 부풀거나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았고, 폭발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료번호 4의 전지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서 발생한 열이 양극탭과 음극탭을 통해 전지내부로 전달되어 전지의 온도가 기존 보다 19℃ 가량 높게 상승되었으며, 방전 이후에는 전지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시예 2〕
도 2에서와 같이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군의 각 전극탭(1a)에 해당 전극단자(1b)를 연결하여 전극조립체(1)를 구성 한 다음, 그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2) 안에 위치시켜 일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그 전지케이스의 모서리중 개구된 모서리를 따라 열융착시켜 밀봉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양극판은 폭 100mm, 길이 150mm, 두께 20㎛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의 적어도 한 면에 리튬코발트산화물, 탄소전도체 및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아울러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길이 30mm의 양극탭(1aa)에 길이 10mm인 알루미늄 재질의 양극단자(1bb)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음극판은 폭 100mm, 길이 150mm, 두께 15㎛를 갖는 구리 호일의 적어도 한 면에 탄소 활물질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아울러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길이 30mm의 음극탭(1aa')에 길이 10mm인 구리 재질의 음극단자(1bb')를 연결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전지의 내부저항은 20mOhm, 무게는 200g, 비열용량은 1500j/(kg·k),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0.4이었고, 전극단자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0.95이었으며, 양극탭의 비열용량 897j/(kg·K), 비전기저항 2.65×10-8Ohm·m, 밀도 2.70g/cm3이고, 음극탭의 비열용량 385j/(kg·K), 비전기저항 1.70×10-8Ohm·m, 밀도 8.96g/cm3이었다.
또한, 전극단자는 전극탭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그 전극단자의 비열용량, 비전기저항, 밀도 및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는 전술한 전극탭의 해당값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양극판 20장과 음극판 21장은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적층되었으며,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및 리튬염(LiPF6)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였고, 그 밖에 전지케이스는 알루미늄 박막의 상하면 위에 열접착성 물질이 적층된 형태의 절연성필름재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양극탭(1aa)과 음극탭(1aa')의 폭은 수학식 1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9〕 50mm >d≥6.667mm
또한, 양극탭의 단면적은 수학식 2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10〕 d×k≥0.185mm2
또한, 양극단자의 단면적은 수학식 3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11〕 c×m≥3.698mm2
또한, 음극탭의 단면적은 수학식 2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12〕 d×k≥0.118mm2
또한, 음극단자의 단면적은 수학식 3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수학식 13〕 c×m≥4.706mm2
상기 관계식들을 통해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양극탭 및 음극탭과, 다양한 크기의 폭과 두께를 갖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 구성되는 전지를 제조하였고(시료번호 5,6,7), 아울러 기술비교를 위해 상기 관계식에 위 배되는 전지를 제조하였으며(시료번호 8), 상기 전지들을 50A의 등전류로 100초 동안 상온에서 방전시키는 조건하에서 전지의 내부온도, 양극탭과 음극탭의 온도,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표 4에 제시하였다.
시료번호 양극탭 음극탭 양극단자 음극단자
폭(mm) 폭(mm) 폭(mm) 두께(mm) 폭(mm) 두께(mm)
5 10 10 10 0.5 10 0.5
6 10 10 20 0.3 20 0.3
7 20 20 30 0.2 30 0.2
8 10 10 5 0.2 5 0.2
시료번호 양극탭 온도(℃) 음극탭 온도(℃) 양극단자 온도(℃) 음극단자 온도(℃) 전지 온도(℃)
5 34 34 30 34 35
6 34 32 29 31 34
7 33 32 29 31 34
8 135 189 162 246 92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시료번호 5,6,7의 전지는 대전류로 방전하였을 때 전지 내부의 온도보다 양극탭과 양극단자 및 음극탭과 음극단자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지가 과열되어 부풀거나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았고, 폭발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시료번호 8의 전지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서 발생한 열이 양극탭과 음극탭을 통해 전지내부로 전달되어 전지의 온도가 기존 보다 더 상승되었으며, 방전 도중 전지가 부풀면서 폭발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를 대전류로 방전하거나 충전하는 가혹한 사용환경 속에서 사용하여도 전극탭 또는 전극단자의 발열로 인한 전지의 성능저 하, 전극단자의 용융파손, 또는 전지의 폭발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전지의 수명, 내구성 및 신뢰도를 높이고, 아울러 전지의 안전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의 각 전극판의 일부분에 형성된 전극탭에 고정되는 전극단자와; 이 두 전극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탭의 저항이 해당 양극판 또는 음극판 호일의 저항보다 낮도록 상기 각 전극탭의 폭(d)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그 각 전극탭의 단면적(d×k)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며,
    상기 각 전극탭은 해당 양극판 또는 음극판과 동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수학식 1〕
    Figure 112005064457140-pat00004
    여기에서, f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폭, d는 전극탭의 폭, a는 전극탭의 길이, 그리고 g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길이임,
    〔수학식2〕
    Figure 112005064457140-pat00005
    여기에서, d는 전극탭의 폭, k는 전극탭의 두께, h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개수, C전지는 전지의 비열용량, C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열용량, ρ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전기저항, σ전극탭은 전극탭의 밀도, W전지는 전지의 무게, R전지는 전지의 저항, q전극탭은 전극탭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 q전지는 전지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단자의 단면적(c×m)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인 전지:
    〔수학식 3〕
    Figure 112004000525482-pat00006
    여기에서, c는 전극단자의 폭, m은 전극단자의 두께, d는 전극탭의 폭, k는 전극탭의 두께, C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열용량, C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비열용량, ρ 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비전기저항, ρ전극탭은 전극탭의 비전기저항, σ전극탭은 전극탭의 밀도, σ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밀도, q전극단자는 전극단자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 q전극탭은 전극탭의 열발생량에 대한 열발산량의 비임.
KR1020040000913A 2004-01-07 2004-01-07 전지 KR10058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13A KR100580972B1 (ko) 2004-01-07 2004-01-07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13A KR100580972B1 (ko) 2004-01-07 2004-01-07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66A KR20050072566A (ko) 2005-07-12
KR100580972B1 true KR100580972B1 (ko) 2006-05-17

Family

ID=3726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913A KR100580972B1 (ko) 2004-01-07 2004-01-07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113A1 (en) * 2005-01-21 2006-07-27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excellent sealability
KR101478785B1 (ko) * 2010-12-06 2015-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KR102504791B1 (ko) * 2015-10-23 202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탭을 갖는 이차 전지
CN210403798U (zh) * 2019-01-09 2020-04-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单体电池、动力电池包及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66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66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ion cell and lithium cell using the same
US20030099880A1 (en) Battery unit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US20010041285A1 (en) Electrode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1037335A2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529B1 (ko) 노치가 형성된 리드박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91410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180058370A (ko) 전극판의 경계 부위에 절연 보강부가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090076280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포장재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80119106A (ko)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911004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이차전지
JP4218792B2 (ja) 非水二次電池
KR100580972B1 (ko) 전지
KR102601624B1 (ko)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US7166387B2 (en) Thin battery with an electrode having a higher strength base portion than a tip portion
KR101404707B1 (ko) 외부로 돌출된 전압검출용 단자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
KR100614401B1 (ko) 이차 전지
JP4594478B2 (ja) 非水系二次電池
KR102294996B1 (ko) 전도성 튜브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30066961A (ko) 각형밀폐전지
CN113454833A (zh)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KR100670452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502354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328155Y1 (ko)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US20240088535A1 (en) Secondary batte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