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128B1 -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0128B1 KR100580128B1 KR1020050101565A KR20050101565A KR100580128B1 KR 100580128 B1 KR100580128 B1 KR 100580128B1 KR 1020050101565 A KR1020050101565 A KR 1020050101565A KR 20050101565 A KR20050101565 A KR 20050101565A KR 100580128 B1 KR100580128 B1 KR 100580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stance
- fruit
- pepper
- microinjection
- anthra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25—Fruits or veget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탄저병에 대한 새로운 저항성 검정방법 개발에 관한 것으로써 고추 과실을 수확하지 않고 자연 포장상태에서 식물체에 달린 상태로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method)을 사용하여 접종한 후 젖은 타올이 들어있는 비닐장갑으로 밀봉하여 48시간 동안 포화상대습도를 유지한 다음 피봉 7일 후에 저항성 또는 이병성 반응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새롭게 개발된 방법은 기존 방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Detached microinjection method), 즉 과실을 식물체로부터 수확하여 세척한 후 기내에서 접종한 다음 환경이 조절된 인공 배양실에 배치한 7일 후에 발병을 조사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발병능력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과실의 수확 및 세척 단계를 줄임으로써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가상의 기내 환경이 아닌 자연적인 고추 재배포장 환경하에서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면에서 보다 실제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기존에 실시해 왔던 포장저항성 검정 방법, 즉 인공 접종 하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의 발병 상황을 조사하고 개체 및 계통간 상대평가 하여 선발하는 방법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던 환경 및 재배포장의 차이에 따른 발병의 회피(escape)를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즉 이병된 과실은 식물체에 달린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발병이 진전되어 포장에 존재하게 되고 이는 2차적인 전염원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포장의 병원균 밀도를 높게 유지시켜 줌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재배 후기 자연 상태의 포장저항성 평가에 있어서도 선발압 또는 선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계통 및 개체 선발에 있어서 1차적으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2차적으로 수확 후 미세주입법으로 검정한 다음 최종적으로 재배 후기에 포장저항성을 검정함으로써 발병의 회피 또는 선발의 오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저항성 계통 및 품종 육성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3중 검정 방법(triple screening system)을 확립할 수 있었다.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 식물체내 미세주입법(In planta microinjection), 수확 후 미세주입법(Detached microinjection), 포장저항성, 3중 검정 체계(triple screening system)
Description
도 1은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사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의 전 과정이다.
A: 미세주입법에 사용된 접종 기구 B: 식물체내 미세주입법 접종 단계
C: 높은 생대습도를 유지하는 단계 D: 접종 후 7일의 발병(이병성 반응)
E: 접종 후 7일의 발병(저항성 반응)
도 2는 수확 후 미세주입법과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에서 접종 후 7일에 발병량이다.
A: 수확 후 미세주입법에서의 발병량 B: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에서의 발병량
도 3은 식물체내 미세주입법 검정 포장과 수확 후 미세주입법의 배양사진이다.
A: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포장 적용 B: 수확 후 미세주입법의 접종 후 배양
본 발명은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에 있어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3중 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수확 후 미세주입법과 자연 포장저항성 검정 방법의 단점들을 보완함은 물론 이들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조합하여 검정함으로써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단계의 방법을 확립한 것에 관한 것이다. 세 가지 검정 방법간의 구체적인 내용과 장단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추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채소 작물의 하나로써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대륙의 많은 국가의 농업 경영에 있어서 농가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작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고추는 전 재배생육기간 동안 다양한 병해충, 즉 바이러스, 역병, 탄저병, 청고병 등등으로부터 막대한 피해를 받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탄저병에 대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방제방법은 살균제 살포에 의한 화학적 방제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발병이 확인된 후의 전염속도가 빠르고 장마기에 주로 발생함에 따른 약제 살포 시기 선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그 효과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해 왔다. 이론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방제방법으로써 병 저항성 품종 육성이 거론되어 왔으나 지난 수십 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지구상에 고추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선결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의 개발이며 이를 이용한 유전적 소질의 저항성 자원을 선발하는 것이 병 저항성 육종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과정이 된다. 1980년대부터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서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원들이 보고된 바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서로 다른 저항성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방법들에 의하여 선발된 몇몇의 저항성 계통들은 대부분 재배종인 캡시쿰 애늄(Capsicum annuum)에 속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이한 검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공통된 저항성 계통의 선발은 없었으며 선발된 계통들 모두는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탄저병 병원균에 대하여 저항성 정도가 매우 낮은 것임이 후에 밝혀졌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대만의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터(AVRDC)를 중심으로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가 착실하게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검정 방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병원균의 인공접종 방법의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 즉 종래의 다양한 접종 방법들과 비교하여 매우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 Detached microinjection method)의 개발이 있었으며 이는 서울대학교의 연구팀에 의하여 그 사실이 또 한번 입증된바 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접종 방법을 사용하여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한 결과 재배종이 아닌 근연종인 캡시큠 키넨스(Capsicum chinense) 또는 캡시큠 바카튬(C. baccatum)에서 안정적인 저항성을 보이는 계통들을 선발할 수 있었다. 선발된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원들이 모두 근연종에 있음으로 종간교잡을 이용한 저항성 유전자의 도입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들의 후대 분리세대를 이용한 병 저항성 유전분석에 관한 연구들도 진행될 수 있었다. 종간교잡시 발생되는 종간불화합성 또는 유전장벽들은 부분화합성 친의 선발, 배구제 방법의 사용 및 종간 여교잡 방법 등을 통하 여 극복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병 저항성 분리세대에서도 수확 후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저항성 개체들을 선발하고 이들의 여교잡 또는 자식을 통한 세대 진전을 수행할 수 있었으나 대규모 분리세대 개체들을 모두 접종하는데 있어서 수확, 세척, 접종 및 배양의 과정 동안 매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일부 진보된 저항성 개체들을 대상으로 자연 발병환경 하에서 포장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이들 결과를 수확 후 미세주입법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나 두 방법 모두에서 일치하는 저항성 개체들을 선발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확 후 미세주입법을 대폭 변형하여 인공 접종의 결과와 자연 발병 하에서의 결과가 일치하는 새로운 접종 방법으로써 식물체내 미세주입법(in planta microinjection)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새로운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안정적인 포장저항성 개체 및 계통을 선발하기 위한 3중 검정 체계(triple screening system)를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에 개발된 안정적인 검정 방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에 있어서 고추 과실의 수확, 세척 및 인공 배양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하면서도 그 안정성은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검정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규모 분리세대를 자연 재배포장에서 선발함을 첫째 목적으로 삼았다. 또한 초기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에 의하여 선발된 개체 또는 계통들도 2차로 기존의 수확 후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끝으로 생육후기의 자연발병 환경 하에서의 포장저항성 반응까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실제적인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가장 안정적인 검정 체계를 확립하는데 최종적인 목적을 두었다.
본 발명은 고추 탄저병 저항성 계통 및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기술 개발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의 인공 검정 방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롭게 만든 인공 검정 방법인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병원균 접종원의 준비는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며 인공접종 방법 또한 미세주입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동일하지만 식물체의 과실을 수확해서 세척한 후 접종하고 인공 배양하느냐 아니면 식물체에 달린 채로 접종한 후 습도조절을 위한 비닐장갑으로 밀봉한 후 조사하느냐에 에 관한 것으로써 새로 개발된 방법은 수확 및 세척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결과를 기존의 것과 비교한 결과 발병 시기 및 발병량 등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하고자 하는 목적을 확실히 달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새롭게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실제 포장저항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와 순수하게 자연 발병환경 하에서의 포장저항성 검정 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연 발병에 비하여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병행한 실험에서 발병의 회피를 확실히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도의 저항성 개체 및 계통을 선발하는 것이 실제 탄저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데 아주 중요하기에 새롭게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과 기존의 수확 후 미세주입법 및 자연 발병 포장저항성 평가 등을 조합한 탄저병 저항성 3중 검정 체계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3중 검정 체계의 확립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병원균 접종원의 준비
우리나라 고추 재배포장에서 탄저병에 걸린 과실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한 많은 병원균주들 중에서 하나의 균주인 KSCa-1을 선택하여 일반적인 병원균 배양 배지인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아가(PDA) 배지에 치상하였고 25℃, 16시간 광 조건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증류수를 부어 포자를 채취하였다. 얻어진 포자 현탁액은 헤마사이토미터를 이용하여 그 농도를 1×106 conidia/mL로 맞추어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2. 미세주입법에 의한 탄저병 병원균의 인공 접종방법
인공 접종법으로 사용된 미세주입법은 과실 표피의 상처 깊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 위로 볼트와 너트를 접합시켜서 만든 특별한 주사바늘 부분과 접종되는 포자 현탄액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주로 식품의 성분 분석에 사용되는 주사기와 분주기를 사용하였고, 고추 과실에 상처 깊이는 0.8-1.0 밀리미터, 포자 현탁액은 접종 부위마다 2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하고 고추 과실당 상, 중, 하의 세 부분에 주입하여 접종하였다(도1A). 접종된 과실은 포화상대습도 유지가 가능한 40cm×40cm×5cm 크기로 제작된 아크릴 상자에 넣고 배양하였다.
접종 후 7일에 발달된 병징의 유무 및 발병률(100×병징이 발달된 접종 부위 수/총 접종 부위 수)에 따라서 병징이 전혀 없거나 발병률이 10% 미만인 경우를 저항성, 발병률이 10-20% 미만인 경우를 중도 저항성 그리고 발병률 20% 이상인 경우를 이병성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평가 하였다.
3. 자연 포장상태에서 식물체내 탄저병 병원균주 미세주입법
먼저 수확 전 고추 재배 포장에서 식물체내 상기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탄저병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고추과실에 탄저병 병원균주를 접종 후 임의적인 환경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장마기 이후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피하기 위한 적정한 계절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접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즉, 중부지방에서는 4월 25일을 전후로 하여 포장에 정식하고 비닐로 피복하여 재배하는 조숙터널재배 방식을 선택하였으며 한낮의 온도 급상승에 의한 식물체의 일소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피복의 일부를 찢어 주었다. 그리고 5월 말경에 피복을 완전히 제거한 후 재배하였다.
6월말 장마기 때부터 집중적으로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포장에서 고추과실에 상기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경우엔 과실을 수확하지 않고 식물체에 달린 채로 동일한 접종기구를 이용하여 접종(도1B)하였다. 상처의 깊이는 0.8-1.0 밀리미터, 농도가 조절된 포자 현탁액은 접종 부위마다 2 마이크로리터씩 주입하였고 고추 과실의 상, 중, 하의 세 부분에 접종하였다. 접종 후 습도 조절을 위하여 시판되는 상용 비닐장갑 안에 키친타올 1칸을 접어 넣고 증 류기로 만들어진 2차 증류수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비닐장갑 내부에 키친타올이 충분히 젖을 정도로 적신 다음 비닐장갑이 고추 과실을 감싸는 형태로 하고 과실의 꼭지부분에 칼라타이를 사용하여 묶는다. 젖은 키친타올이 들어 있는 비닐장갑으로 48시간 동안 밀봉(도1C)한 후 피봉하여 접종 후 7일에 발병량(도1D)을 조사하였다. 발병량은 총 발병한 병반 수에 대한 총 접종한 수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4. 고추 과실 수확 후 식물체내 탄저병 병원균주 미세주입법
다음은 장마기 이후에는 과실 수확 후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고추 탄저병을 검정하였다. 검정방법으로는 식물체에 달려있는 적정연령, 즉 녹숙과(완전히 성숙한 녹색 과실로써 붉은 색으로 착색되기 바로 전 단계)를 개체별로 일정 반복수에 필요한 만큼 수확한 후 실험실내에서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한 후 접종하였다. 그리고 포화상대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40cm×40cm×5cm 크기의 아크릴 상자에 키친타올을 2겹으로 깔고 증류수를 각 칸마다 100밀리미터씩 분주한 위에 접종된 과실을 정렬하며 상자의 두껑을 덮어 밀봉한 다음 25℃, 16시간 광조건의 배양실에서 배양하였고 48시간 후에 피봉하여 5일간 건조시키면서 발병량을 조사하였다.
5. 자연 포장상태에서 고추 과실의 저항성 검정(포장저항성 검정)
수확 말기인 9월 말경에 고추 재배포장에서 과실에 달려 있는 녹숙과 이상의 모든 고추 과실을 대상으로 탄저병이 발생된 과실을 가려냄으로써 3차적으로 포장저항성을 검정하였다. 포장저항성을 검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1, 2, 3차의 검정 결과들을 종합하여 세 가지 검정 방법 모두에서 반복적으로 저항성 반응을 보인 개 체 및 계통을 선발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3중 검정 체계의 확립하였다.
6. 병 저항성 평가
접종 후 7일에 있어서 기존 방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과 자연 포장상태에서 미세주입법으로 식물체내 발병량을 비교한 결과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접종된 개체들에 대한 최종적인 저항성 평가는 병징의 발달이 전혀 되지 않은 개체들과 발병률이 10% 미만인 개체들을 저항성, 발병률이 10-20% 미만인 개체들을 중도 저항성, 그리고 나머지 발병률이 20% 이상의 개체들을 이병성으로 평가하여 집단내 개체간 또는 집단간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실시예> 탄저병 저항성 3중 검정 체계의 확립
고추 재배 포장의 자연환경 하에서 병 저항성을 평가하고 안정적인 저항성을 보이는 개체 및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기존 접종방법과 새롭게 개발된 방법 및 관행적인 포장저항성 검정 방법의 조합으로 병 검정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고추 재배포장에서 탄저병에 걸린 과실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한 많은 병원균주들 중에서 하나의 균주인 KSCa-1을 선택하여 일반적인 병원균 배양 배지인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아가(PDA) 배지에 치상하였고 25℃, 16시간 광 조건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증류수를 부어 포자를 채취하였다. 얻어진 포자 현탁액은 헤마사이토미터를 이용하여 그 농도를 1×106 conidia/mL로 맞추어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우선 자연 노지 포장에서 안정적인 발병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장마기 시작인 6월 중순 경에 다수의 과실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따라서 재배작형으로 조숙터널재배를 선택하였다. 즉 2004년엔 충북 음성에 위치한 종묘회사의 농장에서 그리고 2005년엔 경기 수원의 서울농대 대학농장의 포장에서 관행 노지재배보다 약 3-4주 정도 빨리 정식하였으며 냉해를 막기 위한 방편으로 비닐로 피복하였다. 비닐 피복물의 일부를 열어 한낮의 일소 현상을 피했으며 식물체가 성장하면서 지속적으로 피복물을 제거하였다. 결과적으로 장마기에 돌입하기 전에 거의 모든 식물체에 많은 수의 과실을 착생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접종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로 새롭게 개발된 접종 방법인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으로 식물체당 3개의 과실에 접종하고 비닐장갑으로 밀봉하였다(도3A). 2차는 기존의 접종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으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으며(도3B) 끝으로 고추 수확 말기인 9월 말경에 포장에 자연 발병된 상황을 전체 달린 녹숙과 이상의 과실수에 있어서 병이 발생한 과실 수의 백분율을 개체별로 조사하였으며 3차에 걸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였다(표1).
결과에서 보듯이 기존의 접종 방법인 수확 후 미세주입법에서 다소 접종 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앞선 결과에서도 언급했듯이 식물체로부터 올 수 있는 저항성 반응을 직접적으로 받지 못함으로 인한 발병량의 증가라고 해석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경우 포장에서 발병된 과실들이 식물체에 달린 채로 발병이 진전되어 포장 전체에 병원균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 인한 발병의 최적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생육 후기 포장저항성 평가에 있어서 병원균의 밀도의 불균일성에 의한 발병의 회피 현상을 확실하게 경감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뿐만 아니라 3가지 검정 방법의 결과들을 비교해 본 결과 식 물체내 미세주입법의 결과와 포장저항성 검정 결과가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실제적인 상용 육종에 있어서 안정적인 저항성 개체 및 계통을 선발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보다 강하고 안정적인 저항성 품종을 육종하기 위해서는 1차 검정에 이어서 기존의 방법으로 2차 검정을 수행하여 가장 강한 개체를 선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사용된 3개의 방법을 순서대로 조합시켜 검정하는 3중 검정 체계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최종적인 결론을 내렸다.
표 1. 세 가지 검정 방법을 통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평가 결과 비교.
결과적으로 고추 탄저병 3중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근연종인 캡시큠 바카튬(Capsicum baccatum)으로부터 도입된 안정적인 탄저병 계통을 선발하였다(표2).
표 2. 근연종인 캡시큠 바카튬(Capsicum baccatum)으로부터 탄저병 저항성이 도입된 재배종 계통 육성.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탄저병 저항성 검정 방법은 기존의 수확 후 미세주입법에 비하여 병 저항성 평가에 대한 정확도, 즉 접종 후의 발병 시기 및 발병량은 동일하면서도 고추 과실의 수확 및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하우스재배에서 수행할 경우 높은 상대습도 유지를 위한 비닐장갑의 밀봉 단계를 생략해도 발병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으로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개발된 식물체내 미세주입법과 기존의 수확 후 미세주입법 및 관행적인 포장저항성 검정 방법 등을 효과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실제 고추 재배포장에서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분리세대의 저항성 검정이 가능하며 선발된 저항성은 후대에 안정적으로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추 탄저병 저항성 품종 육성에 사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검정 체계가 확립됨으로써 향후 근연종에 존재하는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들이 도입된 재배종 저항성 계통 및 품종 개발을 확실히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탄저병 저항성 품종의 육성은 매년 총 생산량의 10% 이상(약 1천억원)의 손실로부터 농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피해가 심각한 중국 남부, 인도네시아 및 인도의 광활한 고추 재배 단지에 적용할 수 있음에 따른 국내 종자의 해외 시장개척의 확실한 교두보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Claims (7)
- a)고추 과실을 수확하지 않고 자연 포장상태에서 과실에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탄저병 병원균주를 접종하는 단계,b)접종한 과실을 젖은 키친타올이 들어있는 비닐장갑으로 밀봉하고 48시간 동안 포화상대습도를 유지하는 단계,c)접종 과실의 피봉 7일 후에 병징이 나타난 결과를 조사하여 고추 과실의 저항성 또는 이병성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포장 상태에서 고추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고추 과실에 미세주입 하는 방법은 접종되는 과실 표면에 주사기와 분주기를 사용하여 상처의 깊이는 0.8-1.0 밀리미터(mm), 포자 현탁액은 접종 부위마다 2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하고 고추 과실당 상, 중, 하의 세 부분에 주입하여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포장상태에서 고추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포화상대습도를 유지하는 단계는 시판되는 상용 비닐장갑 안에 키친타올 1칸을 접어 넣고 증류기로 만들어진 2차 증류수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비닐장갑 내부의 키친타올을 충분히 적신 다음 비닐장갑이 고추 과실을 감싸는 형태로 하고 과실의 꼭지부분에 칼라타이를 사용하여 묶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연포장상태에서 고추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방법.
- a) 고추 재배 포장에서 고추 과실에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탄저병 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b) 고추 과실 수확 후 과실에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접종하여 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c) 고추 수확의 말기에 포장에서 포장저항성을 평가하여 저항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중 검정 체계(triple screening system)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고추 재배 포장에서 고추 과실에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탄저병을 검정하는 단계에 있어서는 조숙터널재배 방식으로 재배하여 6월말 장마기부터 집중적으로 고추 과실에 미세주입법을 이용하여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고추 과실 수확 후 미세주입법을 사용하여 고추 탄저병을 검정하는 단계는 식물체에 달려 있는 적정 연령의 고추, 즉 녹숙과(완전히 성숙한 녹색 과실로써 붉은색으로 착색되기 바로 전 단계)를 개체별로 수확한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미세주입법으로 접종한 다음 포화상대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40cm×40cm×5cm 크기로 자체 제작된 아크릴 상자에 키친 타올을 깔고 증류수를 분주한 위에 접종된 과실을 정렬하며 상자의 뚜껑을 덮고 48시간 동안 밀봉하여 25℃의 배양실에 배양하면서 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c)단계의 포장에서 포장저항성을 검정하는 평가하는 단계는 a), b)단계로 검정한 후 수확 말기인 9월 말경에 고추 재배포장에서 과실에 달려 있는 녹숙과 이상의 모든 고추 과실을 대상으로 탄저병이 발생된 과실을 가려냄으로써 3차적으로 검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a), b), c) 단계의 검정 결과들을 종합하여 검정함으로써 세 가지 검정 방법 모두에서 반복적으로 저항성 반응을 보인 개체를 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565A KR100580128B1 (ko) | 2005-10-27 | 2005-10-27 |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565A KR100580128B1 (ko) | 2005-10-27 | 2005-10-27 |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80128B1 true KR100580128B1 (ko) | 2006-05-16 |
Family
ID=3718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1565A KR100580128B1 (ko) | 2005-10-27 | 2005-10-27 |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01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3641A (ko) * | 2018-12-14 | 2020-06-24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플라스틱 백을 이용한 식물의 병해저항성 평가방법 |
-
2005
- 2005-10-27 KR KR1020050101565A patent/KR1005801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3641A (ko) * | 2018-12-14 | 2020-06-24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플라스틱 백을 이용한 식물의 병해저항성 평가방법 |
KR102294282B1 (ko) * | 2018-12-14 | 2021-08-27 | 대한민국 | 플라스틱 백을 이용한 식물의 병해저항성 평가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38313B (zh) | 利用分子标记选育抗粗缩病的玉米自交系 | |
Drori et al. | Molecular diagnosis for Harpophora maydis, the cause of maize late wilt in Israel | |
CN101990819B (zh) | 由禾谷镰刀菌引起的小麦根颈腐病苗期抗性鉴定方法 | |
López‐Gómez et al. | Differential reproduc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and M. javanica in watermelon cultivars and cucurbit rootstocks | |
Rastas et al. | Occurrence of Plasmodiophora brassicae in Finnish turnip rape and oilseed rape fields | |
Zemouli-Benfreha et al. | Fusarium wilt of chickpea (Cicer arietinum L.) in North-West Algeria | |
Bilgi et al. | Root rot of dry edible bean caused by Fusarium graminearum | |
Muslim et al. | Diseases severity, genetic variation, and pathogenicity of Ceratocystis wilt on Lansium domesticum in South Sumatra, Indonesia | |
Diéguez-Uribeondo et al. | Effect of wetness du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anthracnose on selected almond tissues and comparison of cultivar susceptibility | |
Hutton et al. | Association of the Fusarium wilt race 3 resistance gene, I-3, on chromosome 7 with increased susceptibility to bacterial spot race T4 in tomato | |
Boyaci et al. | Genetic analysis of resistance to wilt caused by Fusarium (Fusarium oxysporum melongenae) in eggplant (Solanum melongena) | |
Candole et al. | Evaluation of phytophthora root rot-resistant Capsicum annuum accessions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foliar blight and phytophthora stem blight | |
CN109329046B (zh) | 一种长萼片、抗tylcv樱桃番茄自交系的选育方法 | |
CN109287473B (zh) | 一种二倍体西瓜自交系的选育方法及选育的二倍体西瓜自交系的应用 | |
Kumar et al. | Enhancing castor (Ricinus communis L.) productivity through genetic improvement for Fusarium wilt resistance–a review | |
KR100580128B1 (ko) | 식물체내 미세주입법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저항성 검정방법 | |
US20110258732A1 (en) | Pest resistant plant | |
Candole et al. | The disease reactions of heirloom bell pepper “California Wonder” to Phytophthora capsici | |
Patel | Studies on anthracnose resistance in watermelon germplasm | |
Saude et al. |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a Phytophthora sp. pathogenic to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in Michigan | |
Edirisinghe | Characterization of Flax Germplasm for Resistance to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lini | |
KR101046489B1 (ko) | Capsicum annuum과 C. baccatum간 종간교잡을 통하여육성된 고추 탄저병 저항성‘P&B-AR4’식물 계통 | |
KR101046511B1 (ko) | Capsicum annuum과 C. baccatum간 종간교잡을 통하여육성된 고추 탄저병 저항성 'P&B-AR5' 식물 계통 | |
Jiang | Utilizing class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to breed for disease resistant hybrid chile peppers (Capsicum) | |
Fazio | Evaluating and improving rootstocks for apple cultiv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