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899B1 -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899B1
KR100579899B1 KR1020050091937A KR20050091937A KR100579899B1 KR 100579899 B1 KR100579899 B1 KR 100579899B1 KR 1020050091937 A KR1020050091937 A KR 1020050091937A KR 20050091937 A KR20050091937 A KR 20050091937A KR 100579899 B1 KR100579899 B1 KR 10057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e venom
glass plate
guide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06742A (en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권해용
우순옥
이명렬
이만영
김철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청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청진테크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5009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899B1/en
Publication of KR2006000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부재(1); 상기 커버부재가 부착되며, 일측에 소정간격으로 전선 안내홈(5')이 형성된 프레임(5); 소정 간격으로 전선 안내홈(2')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5)의 타측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5)과 결합되는 조절판(2); 각 일단부가 음극과 양극에 각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5')과 상기 조절판(2)에 형성된 안내홈(2')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5)의 내부공간부(4)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전선(3); 상기 프레임(5)의 홈에 결합하며, 봉독이 수집되는 유리판(7); 상기 유리판(7)의 배면에 부착되어 유리판을 보호하는 바닥판(8); 상기 유리판(7) 및 바닥판(8)을 프레임의 내부공간부(4)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9); 상기 프레임(5)에 지지된 한쌍의 전선(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신호의 온/오프 및 소정 레벨로 출력전압을 승압시켜 시간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1); 및 상기 컨트롤러(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를 포함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ver member (1); A frame 5 to which the cover member is attached and on which one wire guide groove 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trol plate (2) coupled to the frame (5) to form a wire guide groove (2 ')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o be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5)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Ea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each of which is supported by a guide groove 5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guide groove 2' formed on the control plate 2, and thus an inner space part of the frame 5 ( A pair of wires 3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4); A glass plate 7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frame 5 and collecting bee venom; A bottom plate 8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plate 7 to protect the glass plate; A fixing member 9 for fixing the glass plate 7 and the bottom plate 8 to the inner space 4 of the frame; A controller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wires (3) supported by the frame (5) and controlling the time by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on / off and boosting the output voltage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 power supply unit 15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11.

봉독 채집 장치 Bee venom picking device

Description

봉독채집장치{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Bee Venom Collector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부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 venom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의 평면도(커버 제외)이다.2 is a plan view (without cover) of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부의 배면 구성도이다.4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ee venom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 컨트롤러의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ical controll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 컨트롤러에 의한 전기출력 파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7 shows one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output waveform by the electrical controll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과 종래 봉독채집장치의 봉독채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좌측 봉: 본 발명, 우측봉: 대조구).8 is a graph showing the bee venom collection amount of the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bee venom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ft rod: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rod: contro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 커버부재 2 : 조절판1: cover member 2: control plate

2': 조절판측 안내홈 3 : 전선2 ': guide plate side guide groove 3: wire

5: 프레임 5': 프레임측 안내홈5: Frame 5 ': Frame side guide groove

6: 체결부재 7 : 유리판6: fastening member 7: glass plate

8: 바닥판 9 : 고정부재8: bottom plate 9: fixing member

10: 걸림턱부 11 : 컨트롤러10: engaging jaw portion 11: controller

15: 전원공급부15: power supply

본 발명은 봉독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벌독을 생리생태적인 피해없이 효율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늘어난 전선으로 인해 유리판과 간격이 벌어지거나 다른 전선과의 합선,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에 의한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봉독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a large amount of bee venom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without physiological damage, easy to move and install as well as the gap between the glass plate due to the increased wire after us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that can prevent an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short circuit with other wires, contamination by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벌독이란 벌이 가진 독을 말하는 것으로 그 효능은 옛날부터 잘 알려져 왔다. 기원전 4세기 경 히포크라테스가 벌침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고 이슬람 경전인 코란에도 소개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민간요법의 일종으로 벌침을 치료에 응용하여 왔다. 그러나 벌을 잡아 그대로 사용하거나 벌침만 뽑아 내어 환부에 주입하는 종전의 방법은 벌독의 양이나 농도를 조절하기가 곤란하여 치료의 객관화 및 일반화가 어려워 쇼크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위험성이 있다.Bee venom refers to the venom of bees and its efficacy has been well known since ancient times. In the 4th century B.C.E., Hippocrates recorded the use of bee stings, and it was also introduced in the Islamic scriptures, the Koran.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tching a bee as it is or injecting only a bee sting and injecting it into the affected area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mount or concentration of bee veno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jectify and generalize the treatment, thereby causing side effects such as shock.

이와는 달리 벌독 정제액을 통한 벌독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체질에 따라 주입하는 약의 농도 및 용량을 객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의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이나 서구 유럽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90년대 초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얻어 미국으로부터 수입된 벌독을 사용하여 아피톡신이라는 제품이 생산되어 각종 염증성 및 통증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On the contrary, the treatment of bee venom through the bee venom tablet solution provides a safe treatment method with almost no side effects because the concentration and dose of the injected drug can be obj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constitution of the patient. This method is alread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and recently, in Korea, apitoxins are produced using bee venom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with the approval of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It is becoming.

이러한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벌독은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벌독을 채취할 수 있는 채집기 또한 고가이고 채집하는 동안 죽는 벌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채취 후에도 벌의 생태에 심각한 피해를 주어 꿀벌 생산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The bee venom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se products is currently totally dependent on imports, and the harvesting equipment for bee venom is also expensive, and a large number of bees that die during the harvest are generated. It causes a problem that leads to a decrease of.

또한, 기존의 봉독채집기는 채집판의 전선이 견고하지 않아 분리 후 재사용 시 변형을 초래하여 오염원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안전상에도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전기저항과 효율적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선은 사용 후 쉽게 늘어나거나 상호 꼬이는 현상이 빈발하여 유리판과 간격이 벌어지거나 다른 전선과의 합선,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에 의한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bee venom collec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pollutants because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pollutant by re-use after separation because the wire of the collector plate is not strong, and also used to supply electrical resistance and efficient current. The wires that are easily stretched or twisted after use frequently have a problem of increasing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gaps with the glass plate, short circuits with other wires, contamination by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또한, 기존의 봉독채집장치는 채집판의 소문 앞 설치 시 국내 봉상의 높이와 크기 등 농가 실정에 맞지 않아 보조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함으로 인해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bee venom collecting device is a barrier to use due to inconvenience in use, such as the need to install a supplementary device, such as the height and size of domestic rods, such as the height and size of domestic rods when installed before the rumors of the collecting plate.

이러한 이유들로 봉독이 양봉농가의 고소득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채취기의 부재로 봉독 채취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고가의 장비구입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소득 산물인 봉독을 쉽고 간편하게 채취하기 위하여 농가의 사용에 적합한 봉독채집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에 있다.For these reasons, although bee venom is a high-income product of beekeeping farmers, bee venom is not smoothly collected due to the absence of a suitable harvester,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economy is poor due to the purchase of expensive equipm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suitable for use by farmers in order to easily and easily collect bee venom as a high-incom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지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그 목적은 다량의 벌독을 생리생태적인 피해없이 효율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선의 평형과 장력을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절판을 부착한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with a control panel that can collect a large amount of bee venom efficiently without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damage,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maintain the balance and tension of wire at a constant level at all times.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부착되며, 일측에 소정간격으로 전선 안내홈이 형성된 프레임; 소정 간격으로 전선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임의 타측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조절판; 각 일단부가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전선 안내홈과 상기 조절판에 형성된 전선 안내홈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전선; 상기 프레임의 홈에 결합하며, 봉독이 수집되는 유리판;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부착되어 유리판을 보호하는 바닥판; 상기 유리판 및 바닥판을 프레임의 내부공간부 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한쌍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신호의 온/오프 및 소정 레벨로 출력전압을 승압시켜 시간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memb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rame to which the cover member is attached and in which wire guide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frame so that the wire guide groove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s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A pair of wires,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respectively, and is supported by the wire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wire guide groove formed on the control plate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A glass plat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frame and collecting bee venom; A bottom plat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plate to protect the glass plat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glass plate and the bottom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wires supported by the frame, th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hourly by turning on / off an electric signal and boosting an output voltage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it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상기에서 전선은 바람직하게는 직경 0.5∼0.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7mm인 것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심간격이 4∼6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프레임의 양측에서 지지되어진다.The wire is preferably 0.5 to 0.8 mm in diameter, more preferably 0.6 to 0.7 mm in diameter, and is preferably supported at both sides of the frame such that the center interval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4 to 6 mm, more preferably 5 mm. Los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리판을 고정하는 바닥판은 청색 또는 황색 플라스틱 골판지 재질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for fixing the glass plate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 or yellow plastic corrugated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뒷면 상단에는 걸림턱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ack of the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the frame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plastic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절판의 사이에 나사결합을 제공하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providing a screw coupl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control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 프레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강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the plastic used in the frame provides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ineering reinforced plastics.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입력전원 직류 12V, 출력전압 AC 12V∼40V, 출력주파수 30∼400Hz를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bee venom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by an input power supply DC 12V, an output voltage AC 12V to 40V, an output frequency 30 to 400Hz.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부의 분리사시도로서, 커버부재(1), 한쌍의 전선(3), 상기 전선(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2), 상기 전선(3)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홈(5')이 일측에 형성된 프레임(5), 체결부재(6), 유리판(7), 바닥판(8) 및 고정부재(9)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의 평면도(커버부재를 벗긴 상태)를 나타낸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 venom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1), a pair of wires (3), guide plat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s (3), guides the wires (3) The wire guide groove 5 ′ includes a frame 5 formed on one side, a fastening member 6, a glass plate 7, a bottom plate 8, and a fixing member 9. Figure 2 shows a plan view (the cover member is removed) of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부의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rear view of the bee venom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프레임(5)은 중앙에 유리판과 바닥판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부(4)를 구비하며,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한쌍의 전선(3)을 안내지지하는 전선 안내홈(5')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3)은 프레임(5)의 양측면에서 커버부재(1)에 의해 보호되며, 커버부재(1)는 피스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5)에 부착된다. 상기 내부공간부(4)에는 유리판(7)이 근접 또는 밀착고정되어지며, 상기 유리판(7)은 바닥판(8)에 의해 보호되어진다.The frame 5 has an inner space portion 4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accommodating a glass plate and a bottom plate at the center, and an electric wire guide groove 5 'for guiding a pair of electric wires 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one side. ). The electric wire 3 is protected by the cover member 1 on both sides of the frame 5, and the cover member 1 is attached to the frame 5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pieces or screws. A glass plate 7 is closely or closely fixed to the inner space 4, and the glass plate 7 is protected by the bottom plate 8.

한쌍의 전선(3) 중 어느 하나는 음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양극에 연결되어지며, 조절판(2)에 형성된 안내홈(2')과 프레임(5)에 형성된 안내홈(5')과의 사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하도록 안내 지지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이 프레임(5) 및 조절판(2)의 제1, 제4, 제5, 제8, 제9,...번째의 안내홈(5', 2')에 안내되고, 다른 전선이 프레임(5)및 조절판(2)의 제2, 제3, 제6, 제7, ...번째의 안내홈(5', 2')에 안내되도록 양측에 서 지지되어진다.One of the pair of wires 3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he guide groove 2 'formed on the control plate 2 and the guide groove 5' formed on the frame 5 and Guides are arranged to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pair of wires is the first, fourth, fifth, eighth, ninth, ... guiding groove 5 of the frame 5 and the control plate (2) ', 2'), and other wires are guided to the second, third, sixth, seventh, ... guiding grooves 5 ', 2' of the frame 5 and the throttle plate 2, respectively. It is supported on both sides as much as possible.

이때 각 전선(3)은 벌에게 쇼크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주석도금선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적인 접속은 전선의 양단을 프레임에 납땜하는 방법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3)은 직경 0.5∼0.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7mm이며, 각 전선의 중심간격은 4∼6mm 간격, 바람직하게는 5mm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선의 굵기와 전선간의 간격은 봉독 채집시의 벌의 생리생태적인 관점과 관련되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설정된 것이다.At this time, each wire (3) is for shocking the be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n-plated wire is used.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fixed by soldering both ends of the wire to the frame. Preferably, the wires 3 are 0.5 to 0.8 mm in diameter, more preferably 0.6 to 0.7 mm in diameter, and the center intervals of the respective wire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4 to 6 mm, preferably 5 mm. The thickness of the wire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wires are set to be determined to exert the most excellent effect in relation to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aspects of bee during bee venom collection.

조절판(2)은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전선 안내홈(5')과 대향하는 위치에 프레임의 타측과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6)에 의해 나사결합되어진다. 조절판(2)은 체결부재(6)의 나사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조절판(6)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한쌍의 전선(3)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djusting plate 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wire guide groove 5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is preferably screwed by the fastening member 6. The adjusting plate 2 is movable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by the screw movement of the fastening member 6, and by this movement of the adjusting plate 6,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pair of wires 3.

유리판(7)은 전선에 앉아 전기적 쇼크를 받은 벌들이 배출하는 벌독을 수집하기 위해 전선의 하부에 밀착하여 프레임(5)에 부착된다. 이때 사용되는 유리판은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를 사용하며, 무색투명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glass plate 7 is attached to the frame 5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wire to collect the bee venom discharged by the electric shocked bees sitting on the wire. At this time, the glass plate used is preferably using tempered glass, it is preferable to use a colorless transparent glass.

바닥판(8)은 상기 유리판의 뒤에 밀착 부착되어 유리판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벌의 유인 색깔인 파란색, 또는 노란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벌은 유리판에 비쳐지는 바닥판의 색에 유인되어 유리판 상부에 위치한 전선에 앉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8)은 상기 유리판(7)과 함께 프레임(5)에 형성된 내부공간부(4)에 안착되어 고정부재(9)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bottom plate 8 is close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glass plate t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glass plate, and preferably, blue or yellow, which is a bee attracting color, is used. Therefore, the bee is attracted to the color of the bottom plate reflected on the glass plate and sits on the electric wire located on the upper glass plate. The bottom plate 8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4 formed in the frame 5 together with the glass plate 7 and is firmly fixed by the fixing member 9.

컨트롤러(11)는 전선(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극전위와 음극전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의 공급시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는 외부적으로는 전원공급부(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의 온/오프를 선택하도록 하는 온/오프 스위치(12)와, 전선(3)으로의 전류공급상태(shock 상태)와 출력전압을 교류 12V∼40V로 승압하여 시간별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스위치(13,1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쇼크상태 2∼3초의 간격을 두고 제어한 결과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controller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3 to provide the positive potential and the negative potential, and can freely control the supply time of the current. The controller 11 is extern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 the on / off switch 12 to select the on / off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 and to the wire 3 There are provided setting switches 13 and 14, which can be set for each time by boosting the current supply state (shock state) and the output voltage to AC 12V to 40V,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llent effects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control at intervals of 2-3 seconds.

또한 컨트롤러(11)의 케이스에는 각각의 상태, 예를 들어, 컨트롤러의 현재 전원이 온 또는 오프인지와, 쇼크상태임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 주는 표시램프(12', 13', 14')가 해당 스위치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컨트롤러의 제 기능 및 작동은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되어진 회로도를 통해 구현되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등의 전기적 소자와 트랜지스터 및 IC 회로를 통해 간단하게 구현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로에 도시된 제어회로는 바람직하게는 입력전원 직류 12V, 출력전압 교류 12V∼40V, 출력주파수 30∼400Hz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110mm×80mm×47mm의 크기로 외장을 형성하고, 외장은 방습에 강한 ABS 수지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무게를 약 320g으로 경량화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제품(이탈리아산)이 2Kg에 달하는 것과 비교할 때 이동성에 있어 현저한 편리성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controller 11, the display lamps 12 ', 13', and 14 'which visually confirm that the respective states, for example, the controller's current power supply is on or off, and the shock state, are switched. It is good to be provided at the top of each.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such a controller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through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6. The circuit can be simply implemented through electrical elements such as resistors, diodes, transistors, and IC circuits. The control circuit shown in the circuit is preferably input power DC 12V, output voltage AC 12V-40V, output frequency 30 It is characterized by -400 H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forms an exterior having a size of 110mm × 80mm × 47mm, and the exterior was able to reduce the weight to about 320g when using an ABS resin box resistant to moisture. This offers significant convenience in mobility compared to 2Kg of conventional products (from Italy).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 컨트롤러에 의한 전기출력 파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상사점에 다다르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 벌의 생리생태 적 피해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 7 shows one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output waveform by the electrical controll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damage of bees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time to reach top dead cent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는 종래 자체 걸림턱부들 두고 있지 않아 바닥에 놓아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이로 인해 이물질 등이 장치내로 혼입되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벌통(20)의 소문(21) 앞 문턱에 걸리도록 프레임(5)의 상단에 걸림턱부(10)를 설치하여 별도의 볼트나 보조 장치 없이 벌통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4 and 5,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he conventional self-locking jaw portion and the inconvenience to be placed on the floor, and thu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s are mixed into the device. The locking jaw portion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5 so as to be caught on the front threshold of the rumor 21 of the beehive 20 so that the beehive may be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bolt or auxiliary device.

또한 이동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케이블은 콘트롤러(11)쪽에 고정하고, 프레임의 한측에는 전선이 일정간격으로 양극과 음극이 배치되도록 양극 및 음극용 플러그를 취부하여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the cable is fixed to the controller 11 side, and one side of the frame is good to install the positive and negative plugs so that the wir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s can be moved flexibly. .

기존의 외국산(이태리산)과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장치(하기 표 1)와의 봉독 채집량을 비교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설치 후 몇 일간은 기존과 본 발명 장치와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10일 이상 설치했을 경우에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봉독 채집량이 월등하게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son of the bee venom collected from the existing foreign production (Italian) and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ble 1) is shown in FIG. In the few days after the installation,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but when installed for more than 10 day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ee venom coll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much higher.

<표 1> 채집장치의 크기 및 재질<Table 1> Size and material of collecting device

크기 (mm)Size (mm) 재질material 채집판Collector 380×260×21380 × 260 × 21 엔지니어링강화플라스틱Engineering Reinforced Plastics 전선wire Φ0.5 & Φ0.8Φ0.5 & Φ0.8 주석도금 전선Tinned wire 유리판Glass plate 298×198×3298 × 198 × 3 안전강화유리Safety Tempered Glass

또한 설치 후 죽는 벌들의 수를 조사한 하기 표 2의 결과 기존의 봉독채집장치는 30분 이내에도 300마리 이상, 5시간 채취한 이후에는 500마리 이상의 벌들이 치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에서는 5시간 이상 채취 한 이후에 도 30마리 미만의 벌만이 치사하는 결과로 볼 때 본 발명 장치는 장시간 봉독의 채취 후에도 벌의 생존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봉독 채집량에 있어서도 기존의 외국산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bees kill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able 2, the existing bee venom collecting device was confirmed that at least 300 bees are killed after collecting more than 300, within 5 minutes, within 30 minutes. However,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llecting for more than 5 hours, only less than 30 bees were killed, and thu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no safety effect on the survival of bees even after the bee venom was collected for a long time. In terms of volume, it was confirmed to be very superior to the existing foreign production.

<표 2>TABLE 2

채집시간 채집기 Collecting Time Collector 30 분30 minutes 5 시간 이상More than 5 hours 기존existing > 300 > 300 > 500> 500 본 발명The present invention < 10<10 < 30<30

또한 설치 후 봉독 채취일수에 따른 봉독채취율을 조사한 도 8의 결과에서와 같이 기존의 봉독채집장치는 채취 30일이 지나 첫날 대비 50% 감소된 것으로 확인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봉독채집기를 이용한 결과에서는 대략 5% 정도의 감소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처음과 동일한 봉독채취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조절판을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봉독채집장치가 봉독 채취 후 늘어나거나 변형이 일어난 전선의 장력을 처음과 같이 조절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처음과 동일한 정도의 봉독 채취율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results of Fig. 8 of the bee venom collection rate according to the bee venom collection days after installation was confirmed that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was reduced by 50% compared to the first day 30 days after the collection, using the bee venom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bout 5% reduction was maintained, and the bee venom collection rate wa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time. It is believed that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trol plate was able to maintain the same level of bee venom as the first time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which is stretched or deformed after bee venom as the first time.

본 발명에 의한 봉독채집장치는 기존의 외국산 벌독채집기를 사용하여 벌독을 채취하였을 때 빈번히 발생되는 벌의 치사로 인한 벌꿀 생산량의 감소 등의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전선의 장력을 오랜 사용기간 동안에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다량의 벌독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봉장의 특성을 고려한 양봉농가의 실정에 적합한 발명으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양봉농가에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벌독 채취효과를 극대화 한다.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amatically reduces the damage of honey production due to the lethality of bees that occur frequently when the bee venom is collected using a conventional foreign bee venom collector,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ension of the wire for a long period of use. It can be kept constant so that a large amount of bee venom can be collec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a beekeeping far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beekeeping farm is excellent in durability, safety and light weight to be able to easily work in a beekeeping farm to maximize the bee venom harvesting effe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Claims (7)

커버부재(1); 상기 커버부재가 부착되며, 일측에 소정간격으로 전선 안내홈(5')이 형성된 프레임(5); 소정 간격으로 전선 안내홈(2')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5)의 타측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5)과 결합되는 조절판(2); 직경이 0.5∼0.8mm인 각 전선의 일단부가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전선 안내홈(5')과 상기 조절판(2)에 형성된 전선 안내홈(2')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5)의 내부(4)에 중심간의 간격이 4∼6mm로 배열되는 한쌍의 전선(3); 상기 프레임(5)의 홈에 결합하며, 봉독이 수집되는 유리판(7); 상기 유리판(7)의 배면에 부착되어 유리판을 보호하는 바닥판(8); 상기 유리판(7) 및 바닥판(8)을 프레임의 내부공간부(4)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9); 상기 프레임(5)에 지지된 한쌍의 전선(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입력전원 직류 12V, 출력전압 교류 12V∼40V, 출력주파수 30∼400Hz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1); 및 상기 컨트롤러(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를 포함하는 봉독채집장치.Cover member 1; A frame 5 to which the cover member is attached and on which one wire guide groove 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trol plate (2) coupled to the frame (5) to form a wire guide groove (2 ')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o be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5)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One end of each wire having a diameter of 0.5 to 0.8 mm is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respectively, and is supported by the wire guide groove 5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wire guide groove 2' formed in the control plate 2. A pair of wires (3) arranged in the inner space (4) of the frame (5) with an interval between centers of 4 to 6 mm; A glass plate 7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frame 5 and collecting bee venom; A bottom plate 8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plate 7 to protect the glass plate; A fixing member 9 for fixing the glass plate 7 and the bottom plate 8 to the inner space 4 of the frame; A controller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wires (3) supported by the frame (5) and controlling the input power DC 12V, the output voltage AC 12V-40V, and the output frequency 30-400Hz; And a power supply unit 15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1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바닥판은 청색 재질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blu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뒷면 상단에는 걸림턱부(10)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cking jaw portion (1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rear surface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 프레임 및 바닥판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member, the frame and the bottom plate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제 5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강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채집장치.6. The bee venom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lastic is an engineering reinforced plastic. 삭제delete
KR1020050091937A 2005-09-30 2005-09-30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KR100579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937A KR100579899B1 (en) 2005-09-30 2005-09-30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937A KR100579899B1 (en) 2005-09-30 2005-09-30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071U Division KR200404425Y1 (en) 2005-09-30 2005-09-30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742A KR20060006742A (en) 2006-01-19
KR100579899B1 true KR100579899B1 (en) 2007-10-19

Family

ID=3711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937A KR100579899B1 (en) 2005-09-30 2005-09-30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8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91B1 (en) * 2012-05-08 2013-03-12 (주)비센 Device for collecting apitox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3287C1 (en) * 2015-10-30 2017-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Autonomous device for collection of bee venom
RU2730032C1 (en) * 2019-06-19 2020-08-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овол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Method for collection of apitox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4273A (en) * 1975-03-27 1976-10-07 Pilot Kiko Kk Device of collecting bee toxin
KR930000826B1 (en) * 1991-04-22 1993-02-06 박주태 Device for gethering bee-venom
KR200387005Y1 (en) * 2005-03-15 2005-06-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e
KR200387100Y1 (en) * 2005-03-29 2005-06-17 김현대 Extraction apparatus of bee tox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4273A (en) * 1975-03-27 1976-10-07 Pilot Kiko Kk Device of collecting bee toxin
KR930000826B1 (en) * 1991-04-22 1993-02-06 박주태 Device for gethering bee-venom
KR200387005Y1 (en) * 2005-03-15 2005-06-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e
KR200387100Y1 (en) * 2005-03-29 2005-06-17 김현대 Extraction apparatus of bee tox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91B1 (en) * 2012-05-08 2013-03-12 (주)비센 Device for collecting apitox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742A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899B1 (en)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WO2007037566A1 (en)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Baer et al. Chemistry of a mating plug in bumblebees
Adamo Parasitic suppression of feeding in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parallels with feeding depression after an immune challenge
KR200387005Y1 (en)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e
KR200404425Y1 (en) Device for Collecting Bee Venom
KR102142484B1 (en) Removing device of harmful insects in honey comb using plasma
CN105735851B (en) Mosquito killing door
RU2711988C1 (en) Poison receiver for collection of bee venom
KR200417601Y1 (en) Venom collector
KR101623314B1 (en) Bugs killer by electrical
CN212087623U (en) Novel beehive with protection network
CN212728291U (en) Indoor mushroom culture apparatus
US20170094949A1 (en) Bird Feeder with Solar Cell for Repelling Squirrels
CN212488122U (en) Electric enclosure device for bed bugs
KR200387100Y1 (en) Extraction apparatus of bee toxion
CN2614450Y (en) Cockroach catching device
CN218126475U (en) Wasp trapping and killing device
CN217722481U (en) Cattle is bred and uses mosquito eradication device
CN107787936A (en) The indoor mosquito repellent equipment of one kind cultivation
KR960010383Y1 (en) Feeding container for raising honey bees
KR20230013420A (en) Method of harmful insects in honey comb
CN216058675U (en) Mosquito-proof worm canopy of raising pigs
CN110973011A (en) Novel beehive with protection network
CN218184837U (en) Thrips catching and kil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