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718B1 -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718B1
KR100579718B1 KR1019980061489A KR19980061489A KR100579718B1 KR 100579718 B1 KR100579718 B1 KR 100579718B1 KR 1019980061489 A KR1019980061489 A KR 1019980061489A KR 19980061489 A KR19980061489 A KR 19980061489A KR 100579718 B1 KR100579718 B1 KR 10057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etergent
detergent composition
carbon atoms
alkyl group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982A (ko
Inventor
정국인
이재덕
노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6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7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알킬아미도아민옥시드를 액체 세제의 주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세정력과 기포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성이 매우 작아 식기 세정용 세제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본 발명은 저자극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글리코시드(alkyl polyglycoside) 및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alkyl amidoamine oxide)를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매우 감소시킨 저자극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설페이트화 되거나 또는 설포네이트화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이 세제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고, 이들의 피부 흡착 특성과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하여 보조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에 관해서도 또한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갖는 피부 자극 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가 세제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설페이트화 또는 설포네이트화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이 세제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에 관해서도 다수의 특허 문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WO 9704057, WO 9638520, WO 9629977, 독일 특허 제4102502, 독일 특허 제4026809, 독일 특허 제4017922, 독일 특허 제4025065(이상 HENKEL특허), 유럽 특허 제70074, 유럽 특허 제70076, 유럽 특허 제70075, 미국 특허 제4599188, 미국 특허 제4483787(이상 P&G 특허), 미국 특허 제5503779, 미국 특허 제5417891, 유럽 특허 제509608, 유럽 특허 제670158, 유럽 특허 제633307(이상 Colgate특허), 독일 특허 제4036663, 독일 특허 제4036662(이상 HUELS특허) 등이 있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숙시네이트류와 세제 조성물에 병행 사용하는 것은 WO 9014411, 유럽 특허 제280143(이상 P&G특허), 유럽 특허 제509608(Colgate)등에 개시되어 있고,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알킬아민옥사이드와 세제 조성물에 병행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4599188(P&G)에 개시되어 있고,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알킬글리세릴에톡시설포네이트와 세제 조성물에 병행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WO 9109923(P&G)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를 설페이트화 또는 설포네이트화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세제 조성물에 병행 사용하는 것에 관해서는 국내 특허 제98-30209(엘지 화학)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제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한 세제는 세정력과 기포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또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글리코시드와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를 일정한 비율로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매우 저하시키면서 우수한 세정 효과를 갖는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알킬알킬폴리글리코시드 1.0 내지 30.0 중량%, b)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 1.0 내지 30.0 중량% 및 c) 이온 교환수 40 내지 98 중량%를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에 보조 계면활성제 1.0 내지 10.0 중량%를 더욱 함유함으로써, 피부 자극성이 작으면서 세정력이 우수한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가 주성분이고, 기포 증진을 위하여 지방산아마이드, 아민옥사이드 등의 보조 계면활성제 및/또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가용화제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R1O(R2O)t(G)x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4개의 알킬기이고, G는 탄소수 5 내지 6개의 사카라이드 잔분이고, t는 0 내지 25이고, x는 1 내지 10이다)
의 화합물이다.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상기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은 1.0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중량%이다.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의 함류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액체 세제 조성물은 세정력이 저하되고, 피부 자극 완화 효과도 매우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함유량이 30.0 중량%를 초과하면 세정력이 저하된다.
상기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18개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기 하이드록시알킬기이다)
의 화합물이다.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상기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의 함유량은 1.0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중량%이다.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는의 함류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액체 세제 조성물의 세정력이 저하되고, 피부 자극 완화 효과도 매우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함유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세정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상기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와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의 비율은 10:1 내지는 1:20, 바람직하게는 6:4 내지는 1:10 이다.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의 기포를 안정시키고, 점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세정 효과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다.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아미도프로필베테인, 알킬에톡시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세제 조성물 중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1.0 내지 10.0 중량%이다. 보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액체 세제의 세정력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액체 세제의 피부 자극성의 완화 효과가 감소된다. 상기 가용화제는 액체 세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의 비율에 따라 액체 세제의 성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큐멘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에는 외관 유지와 보관 등을 목적으로 통상적인 보조 성분들이 첨가되는데, 이러한 보조 성분으로는 pH 조절제, 염료, 트리크로산 등의 살균제, 향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성분의 사용량은 미량이기 때문에 액체 세제의 세정력이나 피부 자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정제의 기본적인 요구 사항은 피부 자극성이 낮고, 세정력과 기포력이 우수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세정제는 세정력과 기포력이 우수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사용 비율에서 우수한 세정력과 기포력을 나타냄으로써, 비이온계 세정제의 문제점까지 충분히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정제와 유사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현저히 낮은 피부 자극 지수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특성의 평가는 다음의 실험예에서 들어 설명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5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균일하게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1
하기 표 2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2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력과 피부 자극성 평가를 하기 실험예와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세정력 평가
우지(tallow, 牛脂)와 대두유(大豆油)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염 물질(우지:대두유 1:1 혼합물 20.0 g, 모노올레이트 0.25 g, 클로로포름 60 ml 및 오일레드(수단III)Cl-26100 0.1 g)을 제조하여 유리 시편(2.5 cm ×7.5 ㎝)에 균일하게 입힌 후, 상기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13에서 제조된 액체 세제를 사용하여 교반 혼합식 세정력 시험기(TERGOTOMER,UNITED STATES TESTING CO., INC.)에서 100 rpm으로 3 분 동안 세정하고 잔여 오염 물질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자외선 흡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오염 제거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실험예 2
피부 자극성 평가 (세포독성 시험)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일정 농도의 세포를 배양한 후, 시험 물질(실시예 1-15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액체 세제)을 처리하면 시험 물질의 독성에 의해 세포가 성장하지 못하거나 죽게되어 플레이트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각 웰에서 생존한 세포들만 NaOH로 용해시켜 단백질을 방출시키고 그 양을 흡광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 세포로는 일반적인 동물 세포와는 달리 세대 수에 관계없이 배양이 가능한 마우스 피브로블라스트(Mouse fibroblast) 3T3 세포를 사용하였고, 피부 자극성 판정 기준은 하기와 같고, 피부 자극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
3T3 세포의 생존율이 50% 되는 조성물의 농도를 ㎍/㎖로 나타내며 수치가 클수록 (세정제 사용 농도가 높을수록) 자극치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기준 시료인 SLS(라우릴설페이트)는 44 ㎍/㎖이다).
[표 1]
*: 단위 g
**: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C12~14의 알킬쇄, 디메틸기를 갖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
[표 2]
* 단위 g
**: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 C12~14의 알킬쇄, 디메틸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사용)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와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를 사용한 실시예 14와 15는 같은 비이온계인 1과 2에 비해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도 낮게 나타났으며 비이온계 주성분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보조 성분인 비교예 10과 11에 비해서도 세정력과 자극성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2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주성분인 비교예 3 내지 9와 비교하여 세정력이 저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우 낮은 피부 자극 지수를 나타내었다.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와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를 비율별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9에서는 전체적으로 피부 자극도가 낮게 나타났고, 세정력의 경우는 실시예 2 내지 4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알킬폴리글리코시드와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시드를 알킬아민옥시드, 알킬에톡시레이트,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알킬아미도프로필베테인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병행 사용한 실시예 10 내지 13의 경우에서도 비교예에서와 같이 알킬폴리글리코시드와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시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병행 사용한 것보다는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알킬아미도아민옥시드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세정력과 기포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성이 매우 작다.

Claims (2)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 1.0 내지 30.0 중량%;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 1.0 내지 30.0 중량%;
    c)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아미도프로필베테인 및 알킬에톡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 계면활성제 1.0 내지 10. 중량%; 및
    d) 이온 교환수 잔부
    를 포함하는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화학식 1]
    R1O(R2O)t(G)x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4개의 알킬기이고, G는 탄소수 5 내지 6개의 사카라이드 잔분이고, t는 0 내지 25이고, x는 1 내지 10 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18개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개의 알킬기 하이드록시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알킬아미도아민옥사이드의 비율이 10:1 내지 1:20 인것인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KR1019980061489A 1998-12-30 1998-12-30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KR10057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9A KR100579718B1 (ko) 1998-12-30 1998-12-30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9A KR100579718B1 (ko) 1998-12-30 1998-12-30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2A KR20000044982A (ko) 2000-07-15
KR100579718B1 true KR100579718B1 (ko) 2006-08-18

Family

ID=1956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89A KR100579718B1 (ko) 1998-12-30 1998-12-30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5900B2 (ja) * 2012-04-27 2015-09-30 ライオン株式会社 台所用液体洗浄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976A (ko) * 1994-12-26 1996-07-18 성재갑 섬유 유연 효과를 겸비한 액체세제 조성물
KR960022973A (ko) * 1994-12-30 1996-07-18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976A (ko) * 1994-12-26 1996-07-18 성재갑 섬유 유연 효과를 겸비한 액체세제 조성물
KR960022973A (ko) * 1994-12-30 1996-07-18 성재갑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2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4702B1 (en) Detergent composition
US5154850A (en) Neutral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EP0070076B2 (en) Foaming dishwashing liquid compositions
US5073293A (en) Mil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glycoside and dicarboxylic acid surfactants
JPH05132699A (ja) 軽質液体洗剤組成物
EP0388810B1 (en) Neutral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RU2095402C1 (ru) Пенящее жидк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легченн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RU2073700C1 (ru) Жидкая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ытья посуды
US5503779A (en) High foaming light duty liquid detergent
WO1990002164A1 (en)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KR100579718B1 (ko)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제 조성물
GB2234983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2530215B2 (ja) 洗浄剤組成物
EP0508507B1 (en) Liquid dishwashing composition
US6248792B1 (en) Use of carboxylate alkyl polyglycoside surfactant to increase the foam of other anionic surfactants
US6610639B1 (en) High foaming, grease cutting light duty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zinc chloride
EP0981594A1 (en) Improved light-duty liquid performance of ether sulfate using alkyl polyglycoside
US6172022B1 (en) High foaming, grease cutting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rising poly (oxyethylene) diamine
NO179952B (no) Flytende oppvaskmiddelblanding
JPH0699710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203732B1 (ko) 액체세정제 조성물
KR960007875B1 (ko) 식기 세정용 액체세정제 조성물
KR20070000676A (ko) 주방용 액체세제 조성물
KR20000009652A (ko) 식기 세정용 액체세정제 조성물
KR19990054319A (ko) 알킬글루코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