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520B1 -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520B1
KR100578520B1 KR1020040091968A KR20040091968A KR100578520B1 KR 100578520 B1 KR100578520 B1 KR 100578520B1 KR 1020040091968 A KR1020040091968 A KR 1020040091968A KR 20040091968 A KR20040091968 A KR 20040091968A KR 100578520 B1 KR100578520 B1 KR 10057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volt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mot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 내측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랙; 하부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랙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고 피니언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기전력 발생부재; 및 피니언과 기전력 발생부재를 연결시켜 주고 피니언의 회전력을 기전력 발생부재로 전달하는 회전축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 기전력

Description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having self charge ability}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4a는 도 3에서의 랙과 피니언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3에서의 랙과 회전축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c는 도 3에서의 기전력 발생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이동통신 단말기 310: 랙
320: 피니언 330: 기전력 발생부재
340: 회전축대 410: 유도기전력 발생부
420: 전압 변환부 430: 전압 축적부
440: 정전압 처리부 450: 제어부
460: 스위칭부 500: 배터리
본 발명은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임의로 가하는 회전력에 비례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중에 어느 장소에서나 편리하게 통화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편리한 통신수단으로 사회의 발전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전화의 경우 질적 및 양적으로 발전하여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방식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개인휴대통신 및 위성개인휴대통신 등이 보다 더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를 저장해두는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구성도로서, 전력이 충전 및 방전되는 셀(110)과, 셀(11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배터리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양단자(+)와 음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셀(110)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단자(+)와 음단자(-)를 충전기 의 전원단자에 접속시킨다. 이때, 배터리와 충전기의 양단자(+)와 음단자(-)가 잘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하려면,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키되,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단자(+)와 음단자(-)가 잘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 회로(120)는 충전시 충전기를 통해 셀(110)로 과전류 및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될 경우 셀(110)이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최근에는, 메모리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방대해져 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로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메모를 저장해 두는 개인수첩 데이터, 그리고 메시지 등이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방대해져 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배터리로부터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전된 배터리 대신에 충전된 배터리로 대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대체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 외에 별도의 대체용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기 때문에, 탑재된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급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해야 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자주 왕래하지 않는 외진 장소 등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지인에게 급히 도움을 청하거나 연락을 하고자 하는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에 비례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할 때 유도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할 때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랙;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고 상기 피니언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기전력 발생부재; 및 상기 피니언과 기전력 발생부재를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기전력 발생부재로 전달하는 회전축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기전력 발생수단;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압 변환수단; 상기 전압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전압 축적수단; 상기 전압 축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용 전압 크기로 변환시켜 상기 배터리로 인가하는 정전압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피니언을 배치하여 이 피니언이 상하부 하우징이 슬라이딩될 때마다 회전되도록 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코일과 자석을 구비한 기전력 발생부재로부터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이 유도기전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 기에 한정되어 적용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형 버튼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노출되도록 부착시켜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즉,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회전형 버튼을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해 상하로 회전시킬 경우, 이 회전력에 의해 기전력 발생부재로부터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터리 충전용 유도기전력을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바타입, 플립형 또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비단, 이러한 자가 충전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는 각종 전자기기, 예를 들면 라디오, 카세트, 워크맨 및 어학기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스피커, 기능 키 및 액정화면(211) 등의 전자소자와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212, 213)이 부착된 상부 하우징(210)과, 마이크, 안테나, 배터리 및 키패드(221) 등의 전자 소자가 부착된 하부 하우징(2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부 하우징(210)에 장착된 전자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기판과 하부 하우징(220)에 장착된 전자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2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경우, 통화 기능 및 각종 부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키, 마이크 및 스피커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부 하우징(210)에 장착하면,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을 열지 않고도 전화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기전력 발생소자를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이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두 소자(210, 220)의 슬라이딩시 회전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는 각종 소자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부 하우징(210)에 많이 장착될수록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피니언을 장착하기 위한 보다 많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212, 213)은 공지기술로서 국내특허출원 제 2001-0014933 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내지 개선된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기전력 발생을 위한 소자들을 부착하는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부 하우징(210) 내측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랙(310)과, 하부 하우징(220) 내에 위치되고 랙(310)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320)과, 하부 하우징(220) 내에 안착되고 피니언(320)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기전력 발생부재(330)와, 피니언(320)과 기전력 발생부재(330)를 연결시켜 주고 피니언(320)의 회전력을 기전력 발생부재(330)로 전달하는 회전축대(340)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축대(340)는 비교적 가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10)은 상부 하우징(210) 내측의 중앙 부분에 세로 방향, 즉 사용자측에서 바라볼 때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의 슬라이딩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210)의 중앙 부분에 랙(310)을 부착하는 이유는, 랙(31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피니언(320)의 회전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랙(31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구조상 상기한 바와 같이 랙(310)을 부착할 때 랙(310)의 길이는 최대한도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각종 전자소자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 랙(310)의 부착 위치는 당연히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랙(310)의 길이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212, 213)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212, 213)에 비하여 랙(310)의 길이 너무 짧을 경우,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의 슬라이딩 길이가 제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피니언(320)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랙(310)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피니언(320)을 수용하는 수용홈(330)은 하부 하우징(220)에 형성되되, 랙(310)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랙의 수용홈(h1)의 직경 및 넓이는 피니언(320)의 그것에 비례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수용홈(h1)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슬라이딩되지 않고 대칭되게 포개져 있는 상태(즉, 휴대 상태임)일 때 랙(310)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피니언(320)의 대부분이 수용홈(h1)에 수용되지만, 피니언(320)이 수용홈(h1)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그의 일부분은 하부 하우징(220)의 상단면 위로 돌출되는데, 이렇게 돌출된 부분은 랙(310)과 맞물린다. 이와 같이 랙(310)과 피니언(320)의 일부분이 맞물림으로써,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의 슬라이딩시 랙(310)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3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피니언(320)의 구조에 대해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피니언(320)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에 톱니파 형상을 갖으며, 그의 정중앙에는 회전축대(3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h2)이 형성된다. 이 고정홀(h2)에는 회전축대(340)의 일측단이 삽입되되, 삽입된 회전축대(340)의 일부분이 피니언(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회전축대(340)의 일측단에는 나사선(34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321)를 이용하여 피니언(320)과 회전축대(340)의 일측단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회전축대(340)의 일측단에 형성된 나사선(340-a)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걸림턱(340-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턱과 너트에 의해 피니 언(320)과 회전축대(340)는 공고히 고정된다.
도 4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전력 발생부재(3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331)와, 몸체(331)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권선된 코일(332)이 접착되어 있는 제 1 자석(333)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에 코일(334)이 권선되어 있는 제 2 자석(335)을 구비하며, 또한 몸체(331) 바닥면의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지지홈(h3)이 형성되는데, 이 지지홈(h3)은 제 2 자석(334)을 관통하여 연장된 회전축대(340)의 일측단을 지지하여 준다.
몸체(331)는 하부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미도시)에 안착되되, 하부 하우징(2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착된다. 이러한 몸체(331)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소자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제 2 자석(335)이 회전해야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원통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몸체(331)의 상단부, 즉 지지홈(h3)의 반대측에는 회전축대(34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h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단이 피니언(320)에 고정된 회전축대(340)가 삽입홀(h4)을 통해 기전력 발생부재(330)의 몸체(331)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홀(h4)의 내측에는 부심(미도시) 등이 내장될 수 있는데, 이는 회전축대(340)가 피니언(320)에 의해 회전될 때 마모없이 보다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몸체(331)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 도통홀(h5)이 형성되는데, 이 도통홀(h5)을 통해 코일(332)의 일측단이 외부 소자로 연결된다.
제 1 자석(333)의 외측은 접착제 등에 의해 몸체(331)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그의 내측에는 권선된 코일(332)이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된다. 권선 및 접착 과정 을 살펴보면, 제조시에 코일(332)을 우선적으로 권선한 후 권선된 코일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 1 자석(333)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접착 방식을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자석(333)의 형태를 입체적으로 변형시켜 코일을 권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 1 자석(333)에 부착된 권선 코일(332)의 일측단은 도통홀(h5)을 통해 외부 소자로 연결된다.
제 2 자석(335)은 그 중앙에 회전축대(340)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h6)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h6)을 관통한 회전축대(340)는 몸체(331) 하단의 지지홈(h3)까지 연장된다. 이렇게 관통홀(h6)을 관통하는 회전축대(340)는 접착제나 본딩에 의해 제 2 자석(335)에 공고히 고정되되, 반드시 접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너트 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축대(340)를 제 2 자석(335)에 체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대(340)가 제 2 자석(335)에 부착됨으로써, 피니언(320)이 회전하면 회전축대(340)와 함께 제 2 자석(335)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석(335)을 원통형으로 개시하였는데, 제 2 자석(335)의 형상을 이에 한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자석(335)이 회전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원통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석(335)에는 코일(334)이 권선되되, 이 권선 코일(334)은 제 1 자석(333)에 접착된 권선 코일(332)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몸체(331)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홈(h3)은 피니언(320)에 의해 회전축대(340) 가 회전할 때 그 일측단을 지지하여 주어 회전축대(340)와 고정된 제 2 자석(335)이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회전축대(340)의 지지 방식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도기전력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기전력 발생부(410)와, 유도기전력 발생부(410)로부터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압 변환부(420)와, 전압 변환부(42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전압 축적부(430)와, 전압 축적부(43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배터리(500)의 충전용 전압 크기로 변환시켜 배터리(500)로 인가하는 정전압 처리부(4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유도기전력 발생부(410)는 랙(310), 피니언(320), 기전력 발생부재(330), 그리고 회전축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압 축적부(430)는 콘덴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압 축적부(430)는 일정 크기의 전압이 축적되면 축적된 전압을 방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을 슬라이딩시키면, 랙(310)이 일직선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피니언(320)은 랙(310)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한다. 이렇게 피니언(320)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일측단이 피니언(320)에 고정된 회전축대(240)와 연결된 제 2 자석(335)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권선 코일(332, 334)들로부터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이때, 일측단이 도통홀(h5)을 통해 전압 변환부(420)의 입력단에 연결된 권선 코일(332)에는 교류전압이 흐르게 되고, 이 교류전압은 전압 변환부(420)로 인가된다.
그리고, 전압 변환부(420)는 유도기전력 발생부(410)로부터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전압 축적부(430)로 인가한다. 이렇게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 축적부(430)에 축적되되, 축적된 전압이 일정 크기, 예를 들어 2.7V 이상되면, 전압 축적부(430)는 축적된 전압을 정전압 처리부(440)로 방전한다. 이어서, 정전압 처리부(440)는 전압 축적부(430)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배터리(500)의 충전용 전압 크기, 즉 4.2V로 변환시켜 전원단자(+,-)를 통해 배터리(500)로 인가한다.
예를 들면, 전압 축적부(430)로부터 4.2V 이상의 전압, 예로서 5.1V의 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정전압 처리부(440)는 입력된 5.1V를 충전 전압으로 출력하지 않고 입력된 5.1V를 충전용 전압으로 변화시켜 충전 전압 4.2V를 배터리(550)로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도기전력 발생부(410), 전압 변환부 (420), 전압 축적부(430), 그리고 정전압 처리부(440)를 구비하되, 배터리(500)의 충전용량에 따라 전압 축적부(430)의 전압을 인가시켜 배터리(500)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50)와,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전압 축적부(430)에 축적된 전압을 정전압 처리부(440)로 스위칭시키기 위한 스위칭부(46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450)는 배터리(500)의 충전 용량을 계속적으로 체크하고, 체크결과 현재 충전 용량이 일정 수준 미만으로 방전되면, 스위칭부(460)를 전압 축적부(430) 방향으로 스위칭시킨다. 이렇게 스위칭되는 경우, 전압 축적부(430)에 축적된 전압이 방전되어 정전압 처리부(440)로 입력된다.
만일, 배터리(500)가 만충전 상태로 확인되면, 제어부(450)는 스위칭부(460)를 접지 방향으로 스위칭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전압 축적부(430)와 정전압 처리부(440)가 전기적으로 단전되기 때문에 전압 축적부(430)에 축적된 전압이 정전압 처리부(440)로 인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횟수를 대폭 줄여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충전기를 사 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랙;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고 상기 피니언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기전력 발생부재; 및
    상기 피니언과 기전력 발생부재를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기전력 발생부재로 전달하는 회전축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되, 장축 방향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이 상기 수용홈에 완전히 수용된 경우, 상기 피니언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슬라이딩되지 않고 대칭되게 포개져 있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피니언은 상기 랙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단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상기 피니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권선된 제 1 코일이 부착되어 있는 제 1 자석;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대가 관통되며, 외측에 제 2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 2 자석을 구비하되,
    상기 제 2 자석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단은 상기 피니언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단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자석을 관통하여 연장된 상기 회전축대를 지지하여 주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대는 상기 제 2 자석의 관통홀을 관통하되, 상기 제 2 자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상기 피니언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대는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 1 코일의 일측단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시키기 위한 도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기전력 발생수단;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압 변환수단;
    상기 전압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전압 축적수단;
    상기 전압 축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용 전압 크기로 변환시켜 상기 배터리로 인가하는 정전압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용량에 따라 상기 전압 축적수단의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압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압을 상기 정전압 처리수단으로 스위칭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1968A 2004-11-11 2004-11-11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68A KR100578520B1 (ko) 2004-11-11 2004-11-11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68A KR100578520B1 (ko) 2004-11-11 2004-11-11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520B1 true KR100578520B1 (ko) 2006-05-12

Family

ID=3718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68A KR100578520B1 (ko) 2004-11-11 2004-11-11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5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95B1 (ko) 2006-11-27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1604492B1 (en) * 2021-11-05 2023-03-14 Motorola Mobility Llc Sliding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electrochemical cell rollers
US11907018B2 (en) 2021-08-27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95B1 (ko) 2006-11-27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1907018B2 (en) 2021-08-27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604492B1 (en) * 2021-11-05 2023-03-14 Motorola Mobility Llc Sliding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electrochemical cell roll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171B2 (en) Attach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7615900B1 (en) Power generator for electronic devices
KR20140135899A (ko)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US80553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23806A1 (en) vehicle used power charg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35786A1 (en) Portable communiation device
CA2608293A1 (en) An energy storage mobile charging adapter
KR100578520B1 (ko)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5203672B2 (ja) 充電装置
US20090058360A1 (en) Self-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1045126A (ja) 携帯電話機
JP2007235562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US7844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36726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10148169A (ja) 携帯型電子機器
US20020154527A1 (en) AC/DC PORTABLE CHARGER FOR Li-ION BATTERIES, CELLULAR TELEPHONES AND PDAS
KR102196543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H10137025A (ja) 携帯電話等の充電装置付き携行鞄
CN209982122U (zh) 带伸缩线结构移动电源
KR20120009890A (ko) 휴대단말기용 젠더
CN219164255U (zh) 一种共享充电装置
CN218040851U (zh) 无线充电移动电源
KR20030080386A (ko) 휴대용 자동 충전기
CN210274199U (zh) 一种带耳机充电的手机壳
KR102648521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