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895B1 -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895B1
KR100577895B1 KR1020050111585A KR20050111585A KR100577895B1 KR 100577895 B1 KR100577895 B1 KR 100577895B1 KR 1020050111585 A KR1020050111585 A KR 1020050111585A KR 20050111585 A KR20050111585 A KR 20050111585A KR 100577895 B1 KR100577895 B1 KR 10057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insulating material
length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중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1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와 세대 또는 실과 실을 구획하기 위해 조성되는 건축물의 벽체를 종래의 조적쌓기에서 처럼 시멘트 접착물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일반인 누구나 쉽게 적층시켜 쌓아올라가는 방법으로 최종마감부위인 최외곽 측면부와 최상부 부위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공 되게하는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몸체(11)의 내측 중앙에 단열재(20)가 조립되는 단열재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홈(13,14)이 형성되는 블벽(10)과;, 상기 블벽(10)의 내측 단열재삽입부(12)로 삽입되는 단열재(20)와;, 상기 블벽(10)을 상,하로 고정하기 위해 블벽(10)의 체결홈(13,14)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긴 체결플레이트(30)와;, 상기 블벽(10)을 구조체와 일체화시키기 위해 일측면 최외곽측에 조립되어 일측면이 소정의 길이(폭)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과;, 상기 블벽(10)을 구조체와 일체화시키기 위해 블벽(10)의 최상부측에 조립되어 상부측이 소정의 길이(높이)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건축물, 조적, 적층, 블벽, 고정부재, 가동부재

Description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An Assembly Type Building Wall}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을 나타낸 예시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길이조절용블벽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길이조절용블벽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길이조절용블벽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의 시공 마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블벽 11: 몸체
12,413: 단열재 삽입부 13,14,411,412,511: 체결홈
20: 단열재 30: 체결플레이트
40: 측면길이조절용블벽 41,51: 고정부재
42,52: 가동부재 43,53: 주름부재
44,54: 길이조정부재 50: 상부길이조절용블벽
100: 건축물 200,210,212,203,204: 시멘트 블록
300: 시멘트 접착물 441,541: 나사부
442,542: 나사축봉 443,543: 길이조정구
444,544: 축핀
본 발명은 건축물 축조시 세대와 세대 또는 실(室)과 실(室)를 구분하는 조적 쌓기용 벽체에 고한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 일반인 누구나 손쉽게 적층시켜 쌓아올리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이나 창고, 빌라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력벽이나 칸막이벽, 옹벽 등과 같은 각종 벽체는 조적식 벽돌 쌓기 및 시멘트 볼록 쌓기가 주종을 이루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이나 장식벽 및 건축물(100)등과 같은 구조물에 조적벽체(200)와 같은 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직사각의 육면체로 구성된 시멘트 블록 및 시멘트 벽돌(201) 위에 시멘트 몰탈과 같은 시멘트 접착물(300)을 개재시켜가면서 하부에 놓인 시멘트 블록 및 시멘트 벽돌(201) 위에 또 다른 시멘트 블록 및 시멘트 벽돌(202,203,204,…)을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놓아 쌓는 방법으 로 조적벽체(200)를 축조하게 되므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숙련된 조적공에 의해서만 조적 쌓기작업을 수행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멘트 블록 및 시멘트 벽돌의 최외곽 측면부와 최상부위도 시멘트 몰탈과 같은 접착물이 충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충진이 안되어 단순히 벽돌 조각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마감하게 되어 이들 최종 마감부위에서 큰 결함이 발생되었다.
이처럼 시멘트 접착물이 제대로 충진되지 않으므로 인해 시멘트 블록 및 시멘트 벽돌의 최측면 그리고 벽의 최상부 마감부에서 틈새(C)와 같은 공간이 발생되고, 상기한 틈새(C)는 결국 구조적인 불안전과 인접되는 벽 너머로의 소음을 전달하는 통로 구실을 하게 되며, 그 정도가 심한 경우 사생활이 노출은 물론 조적벽체(20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세대와 세대 또는 실과 실을 구획하기 위해 조성되는 건축물의 벽체를 시멘트 접착물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구조의 조립식 벽체를 일반인 누구나 손쉽게 적층시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개선된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 최외곽측과 최상부측의 최종 마감부위에서의 틈새가 생기지 않고 긴밀하게 밀착 시공되어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간편하면서도 강도가 높고 방음효과가 있으면서 공사비가 절감되는 건물벽체를 제공 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조적블벽 쌍기에 의해 세대나 실을 양쪽으로 구획시키는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블벽 몸체의 내측 중앙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단열재삽입부가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블벽과, 상기 블벽의 내측 단열재삽입부로 삽입되는 단열재와, 상기 블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블벽의 체결홈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블벽을 고정되게 조립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블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블벽의 일측면 최외곽측과 최상부측에 놓여서 각각 조립되는 길이조절용블벽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용블벽은 일측면으로 소정의 길이(폭)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과, 상부측으로 소정의 길이(높이)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상부길이조절용블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하여 건물벽체를 구성하는 블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하여 건물벽체를 구성하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의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길이조절용블벽의 정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5의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길이조절용블벽을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의 시공 마감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는 몸체(11)의 내측 중앙에 단열재(20)가 조립되는 단열재삽입부(12)가 형성되고, 몸체(11)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홈(13,14)이 형성되는 블벽(10)과, 상기 블벽(10)의 내측 단열재삽입부(12)로 삽입되는 단열재(20)와, 상기 블벽(10)을 상,하로 고정하기 위해 블벽(10)의 체결홈(13,14)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긴 체결플레이트(30)와, 상기 블벽(10)을 구조체와 일체화시키기 위해 일측면 최외곽측으로 조립되어 일측면이 소정의 길이(폭)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과, 상기 블벽(10)을 구조체와 일체화시키기 위해 블벽(10)의 최상부측에 조립되어 상부측이 소정의 길이(높이)만큼 크기가 가변되는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에 의해 건물벽체가 틈새없이 안전하게 구성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30)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강재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경량 자재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30)에 의해 블벽(10)이 체결플레이트(30)의 상,하로 적층되어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지며 자립되는 블벽(10)들이 서로 어긋남이 없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의 몸체는 고정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1)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동부재(42)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41)의 일측단과 가동부재(42)의 일측단은 주름부재(43) 및 길이조정부재(44)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길이조정부재(44)에 의해 가동부재(42)가 좌,우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41)에는 블벽(10)과 동일하게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되는 체결홈(411)(41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411)(412)에 블벽(10)을 고정하는 체결플레이트(30)를 결합시키도록 되고, 블벽(10의 내측 중앙부에는 단열재삽입부(413)가 형성되어 단열재 삽입부(413)로 삽입되는 단열재(20)의 일측 선단을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가동부재(42)를 좌,우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길이조정부재(44)는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되는 나사부(441)가 형성되는 나사축봉(442)과, 상기 나사부(441)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정구(443)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축봉(442)의 양단부는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부재(41)에 축핀(444)으로 결합된 길이조정구(443)를 정, 역회전 시킴에 따라 나사축봉(442)과 연결된 가동부재(42)가 안쪽으로 오무러들거나 바깥쪽방향으로 벌어지려는 즉, 좌,우로 신축/이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의 몸체는 고정부재(51)와, 상기 고정부재(51)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동부재(52)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1)의 일측단과 가동부재(52)의 일측단은 주름부재(53) 및 길이조정부재(54)에 조립되어 상기 길이조정부재(54)에 의해 가동부재(52)가 상,하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1)에는 블벽(10)과 동일하게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홈(5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511)에 블벽(10)을 고정하는 체결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정부재(5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나사부(541)가 형성되는 나사축봉(542)과, 상기 고정부재(51)에 축핀(544)으로 고정되어 나사축봉(542)의 나사부(541)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정구(543)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축봉(542)의 양쪽 선단은 고정부재(51)와 가동부재(52)에 고정되어 길이조정구(543)를 정, 역회전시킴에 따라 나사축봉(542)과 연결된 가동부재(52)가 내측으로 오무러들거나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상,하 신축/이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와 세대 또는 실과 실을 구분하는 건축물(100)의 칸막이 벽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건축물(100)의 바닥면에 블벽(10)을 횡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일렬로 배열된 블벽(10)의 한쪽면 최외곽측에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이 위치하도록 조립한 다음 각각의 블벽(10) 체결홈(13)에 길이가 긴 체결플레이트(30)의 하부측이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각각의 블벽(10)들이 체결플레이트(30)에 결합되어 서로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블벽(10)의 최외곽측에 위치한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의 길이조정부재(44)의 길이조절구(443)을 정,역회전 조작하면서 가동부재(42)를 건축물(100)의 벽측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과 수 순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조적하면서 쌓아 올린다.
이처럼 적층된 블벽(10)의 최상단에는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이 놓이도록 조립하고,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에 부설되는 길이조정부재(54)의 길이조절구(543)를 정,역회전시키면서 가동부재(52)를 건축물(100)의 벽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건축물(100)과 가동부재(50) 사이에 틈새가 6생기지 않는 벽체를 완성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세대와 세대 및 실과 실을 양분되게 구획하는 건축물의 벽체를 종래의 시멘트 블록벽 및 시멘트벽돌 벽처럼 시멘트 접착물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체결플레이트만을 이용하는 적층쌓기 방식으로 개선되므로 쌓는 기술이 요구되지 않아 일반인 누구나 손쉽게 쌓기 할 수 있고, 강도가 높고 방음효과, 작업시간단축, 공사비 절감 등의 이점을 가진다.
또한, 최종 마감부위는 길이가 임의로 가변되는 별도의 측면길이조절용블벽과 상부길이조절용블벽을 이용하여 기존의 벽체와 긴밀하게 밀착되게 시공을 함으로써 종래처럼 기존의 벽체와 쌓기하는 벽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소음방지 효과 및 사생활 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건물의 세대와 세대 사이 또는 실과 실 사이가 조적블벽에 의해 양쪽으로 구획되는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에 단열재(20)가 조립되는 단열재삽입부(12)를 갖는 몸체(11)의 상,하부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13,1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벽(10)과;,
    상기 단열재삽입부(12)로 끼워지는 단열재(20)와; 상기 블벽(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홈(13,14)으로 끼워지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좌,우로 연속되게 조립되는 블벽(10)(10)을 고정시키는 체결플레이트(30)와;
    상기 블벽(10)의 상,하부에 블벽(10)의 체결홈(13,14)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체결홈(411)(4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단열재삽입부(413)가 형성되는 고정부재(41)의 타측면에 주름부재(43)와 함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되는 나사부(441)가 형성되는 나사축봉(442)의 양단부가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부재(41)에 축핀(444)으로 결합된 길이조정구(443)를 정, 역회전 시킴에 따라 나사축봉(442)에 의해 좌,우로 신축/이완 가능한 길이조정부재(44)로 가동부재(42)를 고정되게 연결하여 블벽의 일측면 최외곽측에 조립되는 측면길이조절용블벽(40)과;
    하부면에 체결플레이트(30)가 조립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홈(5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주름부재(53)와 함께 일측단에 나사부(541)가 형성되는 나사축봉(542)이 고정부재(51)에 축핀(544)으로 고정되어 나사축봉(542)의 나사부(541)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조정구(543)를 정, 역회전시킴에 따라 나사축봉(542)과 연결되어 상,하 신축/이완 가능한 길이조정부재(54)로 가동부재(52)를 고정되게 연결하여 상기 블벽(10)의 최상부측에 조립되는 상부길이조절용블벽(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KR1020050111585A 2005-11-22 2005-11-22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KR10057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585A KR100577895B1 (ko) 2005-11-22 2005-11-22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585A KR100577895B1 (ko) 2005-11-22 2005-11-22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895B1 true KR100577895B1 (ko) 2006-05-10

Family

ID=3718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585A KR100577895B1 (ko) 2005-11-22 2005-11-22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48B1 (ko) * 2006-12-06 2007-03-02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KR101625842B1 (ko) 2014-08-20 2016-05-31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CN114482332A (zh) * 2022-03-22 2022-05-13 河南省光大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民用建筑装配式墙体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48B1 (ko) * 2006-12-06 2007-03-02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KR101625842B1 (ko) 2014-08-20 2016-05-31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CN114482332A (zh) * 2022-03-22 2022-05-13 河南省光大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民用建筑装配式墙体及其施工方法
CN114482332B (zh) * 2022-03-22 2023-12-12 河南省光大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民用建筑装配式墙体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7528A (en) Construction block
US8800230B2 (en) Stacking masonry block system with transition block and utility groove running therethrough
US3353315A (en) Grooved panel with load-bearing strips
JP3749825B2 (ja) 煉瓦組積構造、煉瓦組積工法及び煉瓦
US7007436B1 (en) Snap-in-place building block
US20120174512A1 (en) Building Construction Using A Structural Insulating Core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KR20010023206A (ko)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PL368735A1 (en) Hollow interconnecting panels as lost formwork
US9551147B2 (en) Building block for wall construction
KR100577895B1 (ko) 조립식 블벽판넬을 이용한 건물벽체
WO2006012230A2 (en) Interlocking blocks for construction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0901079B1 (ko) 조립식 건축물 판넬
US20210348383A1 (en) Wall block, range of wall blocks, and formwork for producing a wall block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US2126012A (en) Wall construction
US1365705A (en) Building block or tile
KR200298613Y1 (ko) 목조 판넬의 조립구조
RU141234U1 (ru) Деревя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US1344803A (en) Wall construction
EP2992146B1 (en) Modular structural element having self-supporting an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CA2440923A1 (en) Retaining wall element and system
EA008961B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стро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безрастворной кладки стеновых сооружений, в качестве облицовочного элемента и в качестве элемента вентилируемых фасадов и способ безрастворной кладки стеновых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