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538B1 -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538B1
KR100577538B1 KR1020040029316A KR20040029316A KR100577538B1 KR 100577538 B1 KR100577538 B1 KR 100577538B1 KR 1020040029316 A KR1020040029316 A KR 1020040029316A KR 20040029316 A KR20040029316 A KR 20040029316A KR 100577538 B1 KR100577538 B1 KR 10057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quipment
mcu
input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4082A (en
Inventor
김대현
이호룡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크리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리웨이브 filed Critical (주)크리웨이브
Priority to KR102004002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538B1/en
Publication of KR200501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과 장비/기기 제어를 위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N개의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MCU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입력 레벨 변환기와 상기 입력 레벨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MCU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MCU의 제어명령을 제어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무선 송수신 블록과 상기 MCU의 데이터를 장비 구동 및 제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해주는 출력 레벨 변환기와 상기 출력 레벨 변환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디코더(Decoder)로 연결해주는 출력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MCU내에는 장비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RS232/485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RS232/485포트에는 장비/기기가 연결되어 상기에서 연결된 장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and equipment / device contro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 MCU recognizes an input terminal receiving N digital signals or analog signals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terminal. Input level converter for converting to a signal that can be converted to the MCU to receive and control the converted signal from the input level converter and wireles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MCU and to transmit and control the control commands of the MCU to the control terminal wirelessly It consists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lock and an output level converter for converting data of the MCU into a signal suitable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equipment, and an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level converter to a decoder, and in the MCU RS232 / 485 port is provid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RS232 / 485 port Is non /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evices / equipment connected in the is provided.

제어기, 무선랜 모듈, MCU, 제어단말, RS232/485포트, 장비/기기Controller, Wireless LAN Module, MCU, Control Terminal, RS232 / 485 Port, Equipment / Device

Description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 및 그의 운용 방법{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its operation method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troller using a W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의 실시 예.2 and 3 is an embodiment of a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의 다른 실시 예.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ler using a W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ler using a W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제어기 100 : MCU10: controller 100: MCU

110 : 무선 송수신 블록 160 : RS232/485포트110: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block 160: RS232 / 485 port

170 : 장비/기기 180 : 제어단말170: equipment / device 180: control terminal

200, 300, 400 : 무선랜 모듈200, 300, 400: WLAN module

본 발명은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에 장비/기기의 전원 ON/OFF 및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능과 장비/기기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신기능을 갖는 데이터 통신과 장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equipments of the same type and a data communication having a transmission function for turning on / off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quipment / device and a reception function for sensing the status of the equipment /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using a WLAN module for controlling equipment / devic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통상적으로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은 전자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서 가정 내에서의 각종 전자기기들에 대한 전자화 및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전화선을 사용하는 방식, 전력선을 사용하는 방식, 웹을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Home automation (home automation) is a system that enables the electronic and automatio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in the use of electronic technology, using a telephone line, a power line, a web Method and the like.

그러나 전화선을 사용하는 방식이나, 전력선을 사용하는 방식은 복잡한 전자기기의 제어나 온도 및 습도제어 등의 수치제어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웹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도 종래 방식은 중앙 서버를 통하고 가정의 개별서버를 거쳐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이 방식은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또한 중앙서버 및 개별서버를 구입해야 함에 따른 고 비용 현상이 발생하며, 중앙서버 및 개별서버의 규모가 커서 단독주택이나 소규모 건물에 설치하기가 힘들었다. 특히, 기존 웹을 이용하는 방식에서 가정에 있는 가전기기에 대한 현재의 상태를 정지 화상으로 보면서 제어함에 따라 현실적이지 못하고, 각종 전자기기의 실시간 제어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method of using a telephone line or the method of using a power lin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numerical control such as control of a complicated electronic device 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n addition, in the method using the web,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a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entral server and individual home servers, but this method does not efficiently control electronic devices, and also controls the central server and individual servers. The high cost phenomena occurred due to the purchase, and because of the large size of the central server and individual servers it was difficult to install in a single house or small buildings. In particular, by controlling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ppliances in the home in a still image in the way using the existing web, it is not realistic,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 real-time control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블루투스는 초당 1,600(또는 3,200)회의 고속 홉핑을 하는 시스템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 (약 10m)의 개인영역 네트워크 기기 중 하나이다. 그 응용으로는 노트북, 핸드폰, 헤드셋, 컴퓨터 주변기기들 사이의 통신 응용이 대표적으로, 음성 통신 및 케이블 대체가 주목적이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은 IEEE 802.11b 고속 직접 확산 무선 LAN에 의한 통신과 함께 2.45 GHz ISM 대역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용 기기가 증가하게 되면 간섭에 의한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luetooth, which is in the spotlight recently, is a system that performs 1,600 (or 3,200) high-speed hopping per second and is one of relatively short distances (about 10m) of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Typical applications include communication between laptops, cell phones, headsets, and computer peripherals. Voice communication and cable replacement are the main target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shares the 2.45 GHz ISM band with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EEE 802.11b high-speed direct spread wireless LAN,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number of devices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의 각종 장비/기기에 무선랜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고 무선랜 모듈과의 연결 패스 제공을 통한 보안, QOS를 제공함으로 네트워크의 혼잡이나 채널 간섭으로부터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 및 그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necting a wireless LAN module to various equipment /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electronic products, etc. has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equipment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ler and its operation method using a wireless LAN module that provides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from network congestion or channel interference by providing security and QOS by providing a path.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에 있어서, N개의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로 다양한 입력이 연결될 수 있는 입력단자(120)와 상기 입력단자(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MCU(100)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 레벨의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입력 레벨 변환기(130)와 상기 입력 레벨 변환기(1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며 출력 레벨 변환기(140) 및 제어단말(18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MCU(Multipoint Control Unit)(100) 및 상기 MCU(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MCU의 제어결과를 제어단말(18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 블록(110)과 장비 구동 및 제어에 적합 신호로 변환을 해 주는 출력 레벨 변환기(140)와 상기 출력 레벨 변환기(140)로부터 받은 신호를 디코더(Decoder)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출력단자(150)로 구성되며, In the controller 10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equipment, the input terminal 120 and the input terminal to which a variety of inputs can be connected to a terminal for receiving N digital signals or analog signals The input level converter 130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120 into a signal of a specific level recognizable by the MCU 100, and receives and controls the converted signal from the input level converter 130.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CU (Multipoint Control Unit) 100 and the MCU 100 to transmit data to the converter 140 and the control terminal 18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ontrol results of the MCU to the control terminal 180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block 110 and an output level converter 140 for converting a signal suitable for driving and controlling equipment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level converter 140 may be combined with a decoder. And an output terminal 150, which lock connection,

상기 MCU(100)는 장비/기기(17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RS232/485포트(160)가 구비되고, 상기 RS232/485포트(160)에는 상기 MCU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실행하는 장비/기기(17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가 제공된다.
상기 MCU(1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랜 모듈과 같은 망 접속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단말기들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게 입력 레벨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신호처리하고, 출력 시에도 출력 레벨 변환기를 포함한 출력단자, 디코더(Decorder)를 통해 제어단말로 연결시켜 장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CU 100 is provided with an RS232 / 485 port 160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device / device 170, and the RS232 / 485 port 160 has a device / execution for execut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MCU / There is provided a controller 10 using a wireless LA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170 is connected.
When the MCU 10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ata inputted to be connected to different terminals by a network connection means such as a wireless LAN module is processed using an input level converter or the like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tandard. Even during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equipment / device by connecting to a control terminal through an output terminal including an output level converter and a decoder.

또한, 본 발명은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초기화 후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S510), 상기에서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했을 경우 자기제어모드로 설정하는 단계(S520), 상기에서 제어단말(180)과 연결을 시도하여 성공하였을 경우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는 단계(S530)로 구성되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ler 10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equipment, the step of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ntrol terminal 180 after the system initialization (S510),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ntrol terminal 180 in the case of failing to set the self-control mode (S520),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ntrol terminal 180 in the case of success in the step of setting to the remote control mode ( S530),

상기 자기제어모드 설정단계(S520)는 제어단말(180)과 연결 재시도 후 연결 에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모드 설정단계를 시행하고,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입출력 상태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긴급입력이 발생할 경우나 예약이나 타이머를 지정해 놓는 등의 특정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예약된 조건을 수행하고 출력을 제어하며 주기적으로 제어단말(180)과의 연결 가능성을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In the self-control mode setting step (S520), if the connection is successful after the re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the remote control mode setting step is performed, and if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fails, the input / output Retrieves and saves the status, and executes the reserved condition, controls the output, and periodically checks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when an emergency input occurs or when a specific condition occurs such as setting a reservation or a timer. Including doing it,

상기 원격제어모드 설정단계(S530)는 제어단말(18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으면 장비/기기(170)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제어하여 입출력 상태를 저장하고, 긴급입력이 발생하였을 경우 장비/기기 인식 프로토콜을 변조하여 통제하고, 예약이나 타이머와 같은 특정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수행한 후 입출력 상태를 제어단말(180)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의 운용방법이 제공된다.The remote control mode setting step (S530),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terminal 180, converts and controls the protocol to recognize the equipment / device 170, and stores the input and output state, if the emergency input occurs equipment / Modulates and controls the device recognition protocol, and if a specific condition such as a reservation or a timer occurs,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 using the wireless LAN module including transmitting the input / output state to the control terminal 180 after performing this. A method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 및 그의 운용방법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에 있어서 입력단자(120), 입력 레벨 변환기(130), MCU(Multipoint Control Unit)(100), 무선 송수신 블록(110), 출력 레벨 변환기(140), 출력단자(150), RS232/485포트(160)와 장비/기기(170) 및 제어단말(180)로 구성되는데,As illustrated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terminal 120, an input level converter 130, and a MCU (Multipoint Control) in a controller 10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heterogeneous equipment. Unit) 100,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block 110, the output level converter 140, the output terminal 150, RS232 / 485 port 160 and the equipment / device 170 and the control terminal 180,

상기 입력단자(120)는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레벨 변환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입력 레벨 변환기(130)는 상기 입력단자(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MCU(1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MCU(100)는 상기 입력 레벨 변환기(1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고 출력 레벨 변환기(140) 및 제어단말(18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송수신 블록(110)은 상기 MCU(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MCU의 제어결과를 제어단말에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출력 레벨 변환기(140)는 장비 구동 및 제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을 해주는 기능을 하고, 상기 출력단자(150)는 상기 출력 레벨 변환기(140)로부터 받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Decoder)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RS232/485포트(160)는 상기 MCU(100) 내에 구비되어 장비/기기(17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제어기(10)로부터 전송된 제어결과를 장비/기기(17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장비/기기(170)는 RS232/485포트(16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18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을 수행한다.The input terminal 120 receives a plurality of digital signals or analog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input level converter 130. The input level converter 130 transmit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terminal 120 to the MCU. The MCU 100 converts the signal into a signal of a specific level so that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The MCU 100 receives and controls the signal converted by the input level converter 130 and outputs the level converter 140 and the control terminal. At the same tim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block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MCU 100 and wirelessly transmits a control result of the MCU to a control terminal. The converter 140 converts a signal suitable for driving and controlling equipment, and the output terminal 150 conver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level converter 140 into an analog signal. A function of connecting to a coder (Decoder), the RS232 / 485 port 160 is provided in the MCU 100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equipment / device 170, the control terminal is the controller 10 It transmits the control result transmitted from the equipment / device 170, the equipment / device 170 is connected to the RS232 / 485 port 160 to perform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control terminal 180 do.

상기 무선 송수신 블록(110)은 무선랜,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블록을 구현하며, 상기 장비/기기(170)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Home Server 등이 연결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block 110 implements hardware and software blocks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LAN and Bluetooth, and the equipment / device 170 is connected to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 home serv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RS232/485포트(160)는 장비 및 센서류와 무선랜 모듈 사이의 중간 매개 역할을 하며 장비 및 센서로부터 네트워크 망으로 유연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전용 프로토콜을 통하여 직접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S232 / 485 port 160 serves as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equipment and sensors and the wireless LAN module, enables flexible data transmission from the equipment and sensors to the network, and directly controls the equipment through a dedicated protocol. have.

작은 사이즈의 RS232/485포트(160), Ethernet, DI/DO(410) 인터페이스와 같은 단순ㆍ유연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Non-OS Based, 인스톨, 매니지먼트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802.11b standard 사용으로 인증 요구를 충족하여 기존의 클라이언트 어댑터와 연속성 및 확장성이 구축되며, 무선랜 모듈과의 연결 패스 제공을 통한 보안, QOS, 채널 간섭 회피 등 안정성 및 보안을 최대한 고려하여 상기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는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의 제어기 1대당 256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mple and flexible interface such as small size RS232 / 485 port 160, Ethernet, DI / DO 410 interface, non-OS based, eas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802.11b standard Continuity and scalability are established with existing client adapters by satisfying the authentication requirements through use, and the WLAN modul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nd security such as security, QOS, and channel interference avoidance through providing a connection path with the WLAN module. The controller used ha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256 devices per controller by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heterogeneous equipment.

도 2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의 실시 예로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2 and 3 and 4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10 using the W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는 웹 카메라(210)에 무선랜 모듈(200)을 장착하여 상기의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2 is implement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using the WLAN module by mounting the WLAN module 200 in the web camera 210,

상기 무선랜 모듈은 802.11b 기반의 standard를 지원하고, 카메라와 제어기와의 변환 프로토콜 구현 및 MPEG4(211) 부호화 데이터를 전달 및 제어한다.The WLAN module supports an 802.11b-based standard, implements a conversion protocol between a camera and a controller, and transfers and controls MPEG4 211 encoded data.

상기 웹 카메라 모듈은 CCD 센서 모듈로 연결하고, MPEG4(211)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며, CIF(120f/s)와 VGA(30f/s) 및 클라이언트 PC 유틸리티를 위한 OCX가 제공되고, 부분별 특정화된 프로토콜 및 요구사항의 구현에 용이하며, Non-OS Based의 원가 절감에도 효과가 있다.The web camera module connects to the CCD sensor module, applies MPEG4 211 coding technology, provides OCX for CIF (120f / s) and VGA (30f / s), and client PC utilities, and is part-specific. It is easy to implement protocols and requirements, and it is also effective for cost reduction of non-OS based.

도 3은 자동 급식기(310)나 보일러(320) 등과 같은 장비/기기 내에 무선랜 모듈을 장착하여 상기의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으로,3 is implement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using the wireless LAN module by mounting the wireless LAN module in the equipment / equipment, such as automatic feeder 310 or boiler 320,

상기 무선랜 모듈(300)이 내장된 장비/기기에는 제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어기와 제어단말 사이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The equipment / device in which the WLAN module 300 is embedded includes a control function and performs a protocol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 terminal.

도 4는 RS232/485포트(160) 대신에 DI/DO(410)를 장착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10)의 다른 실시 예로, 무선랜 모듈(400)은 비상 신호(440) 인식 및 가전제품(450)의 제어가 가능하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10 using the wireless LAN module equipped with the DI / DO 410 instead of the RS232 / 485 port 160, the wireless LAN module 400 recognizes the emergency signal 440 and home appliances Control of product 450 is possible.

상기 무선랜 모듈(400)은 카메라와의 연동을 통한 제어 상태를 확인하며, serial(411)을 통하여 홈 컨트롤러 기기(430)와 연동하여 가전제품(450)이나 비상 신호(440) 및 화재ㆍ방범 시스템(470)을 제어할 수 있다.The wireless LAN module 400 checks the control stat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camera, and interworks with the home controller device 430 through the serial 411 to protect the home appliance 450 or the emergency signal 440 and fire and crime prevention. System 470 can be controlled.

상기 실시 예는 무선 웹 카메라 또는 자동 급식기나 보일러를 실시 예로 들었으나 그 외의 장비/기기나 각종 센서류 및 검침기류에도 무선랜 모듈을 장착하여 제어가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a wireless web camera or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or a boiler has been exemplified, but other devices / devices, various sensors, and meter devices can be controlled by installing a wireless LAN modu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5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equipment of the same,

상기 제어기(10)를 동작시켜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난 후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을 시도한다(S510). After operating the controller 10 and initializing the system by connecting to a network, an attempt is made to connect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S510).

상기에서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을 시도할 때에 연결에 실패할 경우에는 자기제어모드로 설정하는데, 상기 자기제어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을 재시도하고 이 때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에 성공하면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고, 또 다시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에 실패를 하면 입출력 상태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긴급입력이 발생할 경우나 예약이나 타이머를 지정해 놓는 등의 특정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예약된 조건을 수행하고 출력을 제어하며 주기적으로 제어단말(180)과의 연결 가능성을 체크한다(S520).If the connection fails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is attempted, the self control mode is set. In the setting of the self control mode,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is retried. If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is successful, set the remote control mode, and if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fails again, retrieve and store the input / output status, and if an emergency input occurs or a reservation or timer If a specific condition such as designation occurs, the reserved condition is performed, the output is controlled, an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180 is periodically checked (S520).

상기 제어기(10)와 제어단말(180)과의 연결에 성공하면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는데, 상기 원격제어모드는 제어단말(18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으면 장비/기기(170)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장비/기기(170)를 제어하고 결과값을 변환 및 저장하고 입출력 상태를 저장하여 제어단말(180)에 전송하고, 긴급입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장비/기기 인식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제하며, 예약이나 타이머와 같은 특정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수행한 후 입출력 상태를 제어단말(180)에 전송한 뒤 다시 상기 원격제어모드 설정단계의 처음으로 돌아간다(S530).If the controller 10 is successfully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180, the remote control mode is set. The remote control mode can be recognized by the equipment / device 170 when th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terminal 180. Converts to a protocol to control the equipment / device 170, converts and stores the result value, stores the input / output state, transmits it to the control terminal 180, and converts the equipment / device recognition protocol when an emergency input occurs. If a specific condition such as a reservation or a timer occurs, the controller returns to the beginning of the remote control mode setting step after transmitting the input / output state to the control terminal 180 after performing this operation (S530).

이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The foregoing has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his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존 PC BASE의 무선 솔루션에서 탈피한 가정 및 산업용의 다양한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하여 장비 및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전화선이나 전력선의 설치없이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무선랜 모듈과의 연결 패스 제공을 통한 보안, QOS를 제공함으로 네트워크의 혼잡이나 채널 간섭으로부터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stalls a telephone line or a power line by controlling equipment and devices by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various heterogeneous equipments of home and industrial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PC BASE wireless solution. Wireless control is possible, providing security and QOS by providing a connection path with a wireless LAN module, thereby providing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from network congestion or channel interference.

Claims (7)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에 있어서,In the 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se equipment,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자;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or an analog signal;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MCU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 레벨의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입력 레벨 변환기;An input level converter conver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terminal into a signal of a specific leve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CU; 상기 입력 레벨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며 출력 레벨 변환기 및 제어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장비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RS232/485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U;An MCU having an RS232 / 485 port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a signal converted by the input level converter, transmitting data to an output level converter and a control terminal, and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equipment; 상기 MCU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MCU의 제어결과를 제어단말에 무선 전송하며 802.11b standard를 지원하고, 10Mbps 이더넷(Ethernet), RS232/485포트 및 DI/DO포트를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외부 안테나 포트와 리셋 스위치로 구성되는 무선랜과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블록을 구현하는 무선 송수신 블록;Communication interface and external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CU,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ontrol result of the MCU to the control terminal, supporting the 802.11b standard, supporting 10Mbps Ethernet, RS232 / 485 port and DI / DO port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block implementing hardware and software blocks for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wireless LAN and Bluetooth including a port and a reset switch; 상기 제어신호를 장비 구동 및 제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을 해 주는 출력 레벨 변환기;An output leve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into a signal suitable for driving and controlling equipment; 상기 출력 레벨 변환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디코더(Decoder)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출력단자로 구성되며,It is composed of an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level converter to be combined with a decoder (Decoder), 상기 제어단말과의 연결을 통해 장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기.Controller using a wireless LA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equipment /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 기종 장비간의 프로토콜 변환 및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a control method using a wireless LAN module having a protocol conversion and control function between these equipment, 시스템 초기화 후 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Attempting to connect with a control terminal after system initialization; 상기 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했을 경우 자기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재시도 후에도 제어단말과의 연결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입출력 상태를 검색하여 저장하며 긴급입력이 발생할 경우나 예약이나 타이머를 지정해 놓는 등의 특정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예약된 조건을 수행하고 출력을 제어하며 주기적으로 제어단말과의 연결 가능성을 체크하는 자기제어모드 설정단계;If it fails to connect with the control terminal, set to the self control mode.If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fails even after retrying, search and save the input / output status, and specify an emergency input or a reservation or timer. A self-control mode setting step of performing a reserved condition, controlling an output, and periodically checking a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a control terminal when a specific condition such as setting occurs; 상기 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시도하여 성공하였을 경우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으면 장비/기기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며 제어하여 입출력 상태를 저장하고, 긴급입력이 발생하였을 경우 장비/기기 인식 프로토콜을 변조하여 통제하며, 예약이나 타이머와 같은 특정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수행한 후 입출력 상태를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원격제어모드 설정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한 제어 방법.Attempt to connect with the control terminal, if successful, set to the remote control mode, and upo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terminal, converts to a protocol that can recognize the equipment / device, controls and stores the input / output status, and an emergency input occurs. A remote control mode setting step of modulating and controlling a device / device recognition protocol, and transmitting an input / output state to a control terminal after performing this when a specific condition such as a reservation or a timer occurs; Control method using a wireless LA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29316A 2004-04-28 2004-04-28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KR100577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16A KR100577538B1 (en) 2004-04-28 2004-04-28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16A KR100577538B1 (en) 2004-04-28 2004-04-28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82A KR20050104082A (en) 2005-11-02
KR100577538B1 true KR100577538B1 (en) 2006-05-10

Family

ID=3728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316A KR100577538B1 (en) 2004-04-28 2004-04-28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5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1717A (en) * 2018-12-23 2019-03-26 上海上实龙创智慧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dge calculations logic controller with protocol trans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92B1 (en) * 2009-06-19 2011-05-06 (주)씨맥스와이어리스 A secure standalone WLAN embedded system for controlling an external module supporting only wired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CN107493270A (en) * 2017-07-29 2017-12-19 安徽金大仪器有限公司 The conversion equipment of various protocols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1717A (en) * 2018-12-23 2019-03-26 上海上实龙创智慧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dge calculations logic controller with protocol trans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82A (en)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624B1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EP1815311B1 (en) Ethernet-to-analog controller
GB2393620A (en) Home network system
US20100156176A1 (en) Dc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multiple variable voltage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10101771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KR20200090652A (en) Integrated IoT module and IoT-based Management System
CN212905932U (en) Intelligent home gateway control device based on multiple IOT platforms
KR100577538B1 (en)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module and the practical method thereof
CN102411836A (en) Intelligent home wireless bilateral control system
CN101594384B (en)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 by using real-time message and control device
KR20050018206A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R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00117705A (en) Plc control system using usn
KR20180121813A (en) Integrated gateway for iot
KR20200067067A (en) PLC Wireless Input/Output module
CN211506252U (en) Intelligent home system with host not participating in work
KR20050112806A (en)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gateway
KR20070095638A (en) A distributed home network system supporting ubiquitous environments
KR100437045B1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3613135B2 (en) Network system
KR100424298B1 (en)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KR100383664B1 (en) Security System by Using Low Power Simple Wireless Network and Mobile Phone Network
KR20040045658A (en) Home network system
KR100946149B1 (en) An installation for driving home network in power saving of personal computer and method thereof
KR200411412Y1 (e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Home Automation System Equipped Therewith
CN115022417A (en) Multi-protocol conversion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