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315B1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Google Patents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6315B1 KR100576315B1 KR1020040065585A KR20040065585A KR100576315B1 KR 100576315 B1 KR100576315 B1 KR 100576315B1 KR 1020040065585 A KR1020040065585 A KR 1020040065585A KR 20040065585 A KR20040065585 A KR 20040065585A KR 100576315 B1 KR100576315 B1 KR 1005763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robot
- housing
- inclined plate
- water flow
- obs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2—Balancing devices using counterwe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외선 광센서로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조절하면서 수중에서 이동하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수류에 의해 상향으로 치켜져 경사지는 구조의 경사판;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과 연동하는 구조의 경사편; 상기 경사편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경사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the swimming pool moving in the water while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by adjusting the driving direction based on the infrared light senso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CLAIMS 1. A cleaning robot comprising: a rotating shaft penetratingly installed to a side of a housing; An inclined plate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nclined upward by water flow; An inclined piece integrally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inwardly of the housing and interlocked with the inclined plate;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proximity to the inclined piece and detecting a movement of the inclined pie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ion detection sensor.
경사판, 경사편, 수류, 동작감지, 장애물, 선체, 수영장, 청소, 로봇Slope, Slope, Water Flow, Motion Detection, Obstacle, Hull, Pool, Cleaning, Robo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럭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bstacle det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의 사용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used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0: 하우징 100a: 손잡이100:
110: 케이블 200: 구동벨트110: cable 200: drive belt
300: 적외선 광센서 400: 회전축300: infrared light sensor 400: rotation axis
410: 경사판 410a:무게추410:
420: 경사편 500: 동작감지센서420: inclined piece 500: motion detection sensor
600: 제어기 700: 구동부600: controller 700: drive unit
1000: 청소로봇 2000: 내벽1000: Cleaning Robot 2000: Inner Wall
3000: 사다리3000: ladder
본 발명은 수중에서 이동하며 수영장의 담수를 여과하는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치켜져 올라가는 경사판과 회전축을 통해 하우징 내측으로 위치한 경사편을 일체로 고정하여 경사판과 연동하는 경사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구조의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robot for moving in water and filtering fresh water in a swimming pool, and more specifically, to integrally fix an inclined piece located inside the housing through an inclined plate and a rotating shaft that are raised and lifted by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rob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low of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a movement of an inclined piece interlocking with an inclined plate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 absence of an obstacle.
일반적으로 청소로봇은, 별도의 청소용 흡진장치 이외에 장애물에 대한 감지로 이를 회피하여 다른 이동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부착되어 있다.In general, the cleaning robot, in addition to the separat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is equipped with a sensing device for setting the other movement path by avoiding this by detecting the obstacle.
청소로봇이 투입되는 장소의 차이에 따라 상기 흡진장치과는 상이한 청소용 설비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예로서 수영장 바닥에서 이동하며 수영장 담수를 흡수/여과하는 구조의 로봇이 있다.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place where the cleaning robot is put i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cleaning equipment different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attached. An example of this is a robot that moves on the bottom of a pool and is structured to absorb / filter pool fresh water.
상기 수영장 청소로봇은, 일반 청소로봇이 지중에서 활동하는 것과는 달리 수중에서 활동하면서 이동함으로 수밀구조가 부가되며, 흡진보다는 흡수 및 흡수를 위한 장치구조가 내설되어 있다.The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s a watertight structure added to it by moving while moving underwater, unlike a general cleaning robot operating in the ground, and has a device structure for absorption and absorption rather than dust absorption.
그리고 적외선 광센서가 하우징의 사방에 구비되어 장애물 특히 수영장 내벽에 대한 감지구조를 갖춤으로써, 이동하다가 장애물과 만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이동경로를 재설정하여 다른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frared light sensor is provided on all sides of the housing to have a sensing structure for obstacles, in particular, the inner wall of the swimming pool, and when it encounters an obstacle while moving, it detects this and resets the movement path to move in a different movement direction.
여기서 종래 수영장 청소로봇의 감지구조는, 적외선 광센서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기초로 구동장치(구동모터 및 무한궤도 등)를 제어하는 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sens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is composed of an infrared light sensor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controlling a driving device (such as a driving motor and a caterpilla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한편, 적외선 광센서의 배치 구조상 주로 면체 형상의 장애물, 즉 수영장 내벽 등과 같은 장애물의 감지는 가능하다. 이 때문에 면체 장애물에 대한 감지능력은 뛰어나지만 센서 부착부위를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선체 형상의 장애물 예를 들어 봉제, 의자 또는 탁자의 다리, 사다리 등과 만나게 되면 이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frared light sensor, it is possible to mainly detect obstructions, such as an obstacle such as an inner wall of a swimming pool. Because of this, the detection of the surface obstacles is excellent, but when the hull-shaped obstacles, such as sewing, chairs or tables, legs, ladders, etc., which are located at the point away from the sensor attachment part, may not be detected properly.
즉, 상기 선체 형상의 장애물이 이동경로의 전방에 위치될 경우에는 이를 제대로 감지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지지만 로봇의 측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기가 곤란하며, 이 경우에는 정확한 센싱 데이터를 확보할 수가 없어 구동장치의 구동은 방향의 전환없이 계속됨으로 결국 장치 고장의 원인이 된다. That is, when the hull-shaped obsta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moving path, it is properly sensed to change the direction, but when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obot, it is difficult to detect it, and in this case, accurate sensing data can be secured. Since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is continued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it causes the failure of the device.
또한 청소로봇은 케이블로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유선구조이므로, 구동이 계속될 경우 제자리에서 맴돌다가 케이블이 장애물 또는 로봇의 하우징에 감기는 경우가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robot is a wired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by a cable, when the drive continues, the robot may hover in place and the cable may be wound around the obstacle or the housing of the robot.
또한, 수영장의 모서리 부분과 같은 지점 역시 로봇의 측면이 벽면에 걸리게 되어 최종 센싱지점은 멀리 떨어지게 되어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헛바퀴를 돌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 point such as a corner of the pool also causes the side of the robot to be caught on the wall, so that the final sensing point is far away and the sensing is not made, thus turning the wheel.
이러한 단점은 면체 형상의 장애물만 감지할 수 있는 감지구조만이 내설된 구조적 문제점으로부터 기인한다. 하지만 수영장 내에는 수영장을 구성하는 내벽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타 수영장 내에서 밖으로 나가기 위한 사다리, 발로 디디고 올라서기 위한 디딤대 등 선체 형상을 갖는 장애물이 존재하게 마련이기 때문에 센싱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선체 형상의 장 애물이 없다하더라도 각 내벽이 만나 이루는 구석 모서리는 면체가 아닌 선체임으로 만일 종래 청소로봇이 이에 대면할 경우 당연히 장애물로 감지하지 못하고 부딪힘은 자명할 것이다.This disadvantage is due to a structural problem inherent in only a sensing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an obstructed obstacle. However, a sensing error may occur because not only an inner wall constituting the swimming pool exists in the pool but also obstacles having a hull shape such as a ladder for stepping out of the pool and a step for stepping up and climbing out of the pool.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are no hull obstacles, the corner edges formed by the inner walls are hulls and not hulls, so if the conventional cleaning robot faces them, the bumps will be obvious.
따라서 면체 형상의 장애물 감지구조 이외에, 선체 형상의 장애물에 대한 감지 및 모서리 등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구조의 청소로봇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leaning robo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nsing a blind spot generated in a hull shape obstacle and a blind spot in addition to an obstruction-shaped obstacle detecting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선체 형상의 장애물(디딤대, 사다리 등)에 대한 감지구조가 마련되어 보다 원활한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structure for hull-shaped obstacles (steps, ladders, etc.) to the water flow that can be more smoothly cleaning work It is to provide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det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로봇 움직임에 따라 수중에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치켜져 올라가는 구조의 경사판 및 경사편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구조의 수영장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 absence of obstacles based on the motion of the inclined plate and the inclined piece of the structure being raised by the water flow generated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robot movement. To provid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우징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외선 광센서로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조절하면서 수중에서 이동하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있어서,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that moves underwater while sensing the presence / absence of obstacles by adjusting the driving direction based on the infrared light senso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하우징의 측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A rotating shaft installed through the side of the housing to enable rotation;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수류에 의해 상향으로 치켜져 경사지는 구조의 경사판; An inclined plate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nclined upward by water flow;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과 연동하는 구조의 경사편;An inclined piece integrally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inwardly of the housing and interlocked with the inclined plate;
상기 경사편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경사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proximity to the inclined piece and detecting a movement of the inclined piece; And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의하여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ion detection sensor.
여기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경사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clined plat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clined piece.
그리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경사편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plate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clined piece.
아울러 상기 경사판에는 하부 테두리에 고정되는 무게추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clined plate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added to the lower edg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로봇(1000)은, 수류발생에 따라 경사져 올라가는 경사판(410) 및 연동하는 경사편(420)을 구비한 구조로서, 청소로봇(1000)이 장애물에 부딪혀 수류의 발생이 없을 경우 경사판(410) 및 경사편(420)이 연직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동작감지센서(500)가 감지하여 장애물이 있음을 판별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1, the
이를 위해 상기 청소로봇(1000)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회전축(400)과, 상기 각 회전축(4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사판(410) 및 경사편(420)과, 상기 경사편(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500)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하우징(100)은 평편한 상부 중앙에 손잡이(100a)가 달려있고 전원공급용 케이블(110)이 상부면 일측에 관통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방은 대칭되고 경사져 있으며, 이 때 하우징(100)의 전방 표면에 부착된 것이 적외선 광센서(300)이다. The
상기 적외선 광센서(300)는 로봇(1000)의 전방으로 빛을 출사하고 되돌아오는 광량의 변화에 따라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외선 광센서(300)는 제어기(600)에 연결되어 있어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기(600)에서 구동부(700)의 구동방향을 조절하게 된다.The
그런데 상기 적외선 광센서(300)는 예를 들어 수영장의 내벽과 같이 면체 형상의 장애물에 대한 감지만이 가능하다.By the way,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부 하부에 구비된 것이 무한궤도방식의 구동밸트(200)이다. 상기 구동밸트(200)는 하우징(100)내 구동부(700)에 의해 구동되며 수영장 바닥면에서 미끄럼없이 구동되도록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700)는 제어기(600)에 의해 그 구동방향 및 작동상태가 조절된다.An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측부로 관통된 것이 회전축(400)이고, 상기 회전축(400)에 고정된 것이 경사판(410)이다. 상기 회전축(400)은 하우징(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것으로 타측은 하우징(100) 내측까지 이어져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상기 경사판(410)은 얇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직사각의 판재 형태로서, 만일 청소로봇(10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방향에 상반되게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상향으로 치켜올려지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경사판(410)과 더불어 회전하게 된다. The
또한 상기 회전축(400)의 하부테두리에 길게 끼워져 고정된 것이 고무로 이루어진 무게추(410a)이다. 상기 무게추(410a)는 만일 청소로봇(1000)이 장애물에 부딪혀 움직이지 못할 경우 수류가 사라지면, 수류에 의해 치켜올려졌던 경사판(410)이 보다 빨리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구비된 것이다.In addition, it is a weight (410a) made of rubber tha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이러한 상기 경사판(410)은 회전축(400)의 일측에 고정되는데, 이 때 회전축(400)의 타측에는 경사편(420)이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경사판(410)에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편(420)에 근접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벽에는 동작감지센서(5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500)는 상기 경사편(42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이 때 만일 경사판(410)과 연동하여 치켜올려졌던 경사편(420)이 수류발생이 사라져 연직 하방으로 낙하할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동작감지센서(500)는 상 기 회전축(400)의 하부로 상기 경사편(420)이 낙하하는 위치점에 부착되어 있다.At this time, i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것이 회전축(400)이다. 상기 회전축(400)의 양측에는 경사판(410)과 경사편(420)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the
이 때 보다 큰 것이 경사판(410)이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수중에 위치하며 하부테두리에는 고무봉의 형태로 무게추(410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다 작은 것이 경사편(420)으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410)과 경사편(420)은 회전축(400)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arger than the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는 상기 회전축(400)의 하부로 동작감지센서(500)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500)는 적외선 센싱구조로서, 상기 경사편(42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경사편(420)이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는 위치에 맞추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만일 청소로봇(1000)이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측부로 수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수류는 상기 경사판(410)이 상향으로 치켜 올라가도록 경사판(410)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된다.If the
그런데 상기 경사판(410)은 경사편(420)과 일체로 회전축(4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평면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경사판(410)의 경사방향에 동일하게 경사편(420) 또한 상향으로 치켜올려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청소로봇(1000)이 멈춰 수류가 사라질 경우 경사판(410)은 그대로 낙하하여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By the way, the
*또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경사편(420) 또한 연직 하방으로 내려와 멈추게 되며 이러한 경사편(420)의 움직임은 상기 동작감지센서(500)가 감지함으로써 청소로봇(1000)이 장애물과 부딪혀 멈춘 것이 판별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로봇(1000) 내에는 제어기(60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600)에는 청소로봇(1000)의 구동부(700)와 동작감지센서(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동작감지센서(500)는 경사편(420)이 연직 하방으로 내려와 고정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편(420)이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The
만일 경사편(420)이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면 동작감지센서(500)는 이를 감지하여 신호로서 제어기(600)에 송출하게 된다. 제어기(600)는 이를 수신하고 청소로봇(1000)이 장애물과 부딪힘으로 인지하여 구동부(700)를 조작하여 구동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I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의 사용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used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410)은 청소로봇(1000)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전방에서 후방으로 발생되는 수류에 따라 후방 상향으로 치켜 올라가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이러한 경사판(410)에는 회전축(400)으로 경사편(420)이 고정되어 있음으로 경사판(41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경사편(420)도 치켜올려지는 구조가 마련된다.The
만일 상기 청소로봇(1000)이 수영장 내에 수장되어 이동하다가 수영장 내벽에 설치된 사다리에 부딪힐 경우 상기 청소로봇(1000)은 멈추게 된다.If the
그러나 사다리는 선체 형상의 장애물이기 때문에, 기존의 적외선 광감지센서(500)로서는 감지되지 않는다. 그런데 하우징(100) 측부의 경사판(410)은 청소로봇(1000)이 멈추게 되면서 이동시 발생되었던 수류가 사라짐으로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However, since the ladder is a hull-shaped obstacle, it is not detected by the existing infrared
이때 경사판(410)의 하부에 무게추(410a)가 구비되어 보다 빠른 낙하속도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weight (410a)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그런데 상기 경사판(410)은 회전축(400)으로 경사편(42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편(420) 또한 연직 하방으로 내려오고 이를 동작감지센서(500)가 감지하게 된다.However, the
동작감지센서(500)는 적외선 광센싱 구조임으로 빛을 출사하여 상기 경사편(420)의 모서리에 맞고 되돌아오는 광량변화에 따라 경사편(420)이 현직 하방을 내려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Since the
이에 따라 청소로봇(1000)이 장애물에 부딪힘이 판별되며 제어기(600)에는 구동부(700)를 조작하여 구동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Accordingly,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 장 청소로봇(1000)에서, 경사판(410)은 1개가 구비되는 것 이외에, 대칭되게 다수개가 구비되는 구조 또는 스크류 구조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swimming
또한 상기 동작감지센서(500)는 예시된 적외선 센싱구조 이외에, 초음파감지센싱 구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1000)은 수영장 이외에, 아파트나 대규모 오피스텔의 물탱크, 물고기 또는 어패류 양식장 등의 청소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에 의하면, 기존의 적외선 감지센서만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선체 형상의 구조물(예를 들어 사다리, 디딤대 등)을 감지하는 구조임으로, 보다 원활한 청소동작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an obstacle sen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for detecting a hull-shaped structure (for example, ladder, stepping, etc.) not detected by the existing infrared sensor only Im, there is a feature that can support a more smooth cleaning operation.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기존 청소용 로봇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to apply to the existing cleaning robot.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5585A KR100576315B1 (en) | 2004-08-19 | 2004-08-19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5585A KR100576315B1 (en) | 2004-08-19 | 2004-08-19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6415U Division KR200325878Y1 (en) | 2003-05-27 | 2003-05-27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953A KR20040101953A (en) | 2004-12-03 |
KR100576315B1 true KR100576315B1 (en) | 2006-05-03 |
Family
ID=3737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5585A KR100576315B1 (en) | 2004-08-19 | 2004-08-19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631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867B1 (en) * | 2010-12-27 | 2013-04-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Water or chemical luquid tank working robot |
US12099367B2 (en) | 2018-04-28 | 2024-09-24 | Wybotics Co., Ltd. | Pool cleaner having obstacle detect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7053311A1 (en) | 2007-06-21 | 2008-12-24 | Robert Bosch Gmbh | Drive system for a robotic vehicle |
DE102007053310A1 (en) | 2007-11-08 | 2009-06-10 | Robert Bosch Gmbh | Robotic vehicle has drive device provided for driving and steering robotic vehicle on operating area, and control device is provided for controlling drive device depending on sensor information of sensor device |
KR101369913B1 (en) * | 2012-07-04 | 2014-03-0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Underwater moving body capable of measuring water strea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stream |
KR101895798B1 (en) | 2017-12-27 | 2018-09-07 | (주)로신시스텍 | Robot Cleaner for Swimming Pool |
KR102049720B1 (en) * | 2018-11-01 | 2019-11-28 | (주)아이로 | Method for controlling escape from obstacles of robot fish |
CN112790666B (en) * | 2021-02-02 | 2022-03-25 |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 Fish tank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ode |
CN114319954B (en) * | 2022-02-18 | 2022-08-19 | 智橙动力(北京)科技有限公司 | Wall-touching turning of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and swimming pool edge cleaning method and device |
CN116466725B (en) * | 2022-08-05 | 2023-11-28 | 智橙动力(北京)科技有限公司 | Pool wall obstacle avoidance moving method and device of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7260816B (en) * | 2023-11-23 | 2024-02-02 | 江苏鼎盛智能科技有限公司 | Front obstacle removing device for robot inspection |
-
2004
- 2004-08-19 KR KR1020040065585A patent/KR10057631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867B1 (en) * | 2010-12-27 | 2013-04-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Water or chemical luquid tank working robot |
US12099367B2 (en) | 2018-04-28 | 2024-09-24 | Wybotics Co., Ltd. | Pool cleaner having obstacle detec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953A (en) | 2004-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6315B1 (en)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
US20090301522A1 (en) | Customized Programmable Pool Cleaner Method and Apparatus | |
TWI679959B (en) |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322970B1 (en) | Robotic cleaning device | |
US9259129B2 (en) | Autonomous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84575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US8590090B2 (en) | Adjustable intake port for submersible pool and tank cleaner | |
US7272868B2 (en) |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21211A (en) |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060059637A1 (en) | Apparatus for improved subaqueous stability | |
US20060053580A1 (en) | Robot cleaner | |
KR102601463B1 (en) | Robot clean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150065134A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00103900A (en) |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WO2018225174A1 (en)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
US20210251451A1 (en) |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47208B1 (en) |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 |
US20240240482A1 (en) | Water Surface Profile Cleaning Method and System of Robot Swimming Pool Clean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09095361A (en) | Self-propelled type 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 |
KR200325878Y1 (en) | A Swimming Pool Cleaning Robot Having Obstacle Sensing Funcine | |
US20230349186A1 (en) | Swimming pool sewage su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254796A1 (en) | Automatic swimming pool cleaners especially adept at climbing and cleaning pool stairs | |
KR10204972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escape from obstacles of robot fish | |
JP2005211478A (en) | Automatic traveling cleaner | |
CN217538070U (en) | Swimming pool dirt suction dev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