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972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972B1
KR100575972B1 KR1020040009045A KR20040009045A KR100575972B1 KR 100575972 B1 KR100575972 B1 KR 100575972B1 KR 1020040009045 A KR1020040009045 A KR 1020040009045A KR 20040009045 A KR20040009045 A KR 20040009045A KR 100575972 B1 KR100575972 B1 KR 10057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ue
charging
billing
cdr
bill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880A (ko
Inventor
강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9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과금 데이터들이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과금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포맷에 상응하게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로 생성한 후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와,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와, 제1큐와 제2큐를 가지며,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1큐에 저장한 후 그 저장 순서에 상응하게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며, 이후 장애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서로 절체하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서와, 제3큐와 제4큐를 가지며, 상기 절체에 상응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3큐에 저장하고,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중 미전송 표기된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4큐에 저장한 후, 상기 제4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부터 상기 제3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의 순서로 그 저장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과금 데이터 레코드, 프로세스, 절체, 큐, 이중화 구조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AND TRANSMISSION CHARG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CDR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R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가 수집되어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체 발생 후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호(call)마다 과금 데이터 레코드(CDR: Charging Data Record, 이하 'CDR'이라 칭하기로 한다) 정보가 발생된다. 상기 과금 보드는 발생된 CDR 정보를 과금 게이트웨이(Charging Gateway, 이하 'CG'라 칭하기로 한다)로 전송하고, 상기 CG는 이를 요금 센터(billing center)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CG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현된 버퍼 큐(buffer queue)로부터 TCP/IP 통신을 통해 상기 CDR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구현한 이유는 상기 CDR 정보는 과금 전송 프로토콜인 GTP'로 부호화(encoding) 된 후에 상기 CG로 전송되는데, 이때에 상기 CDR 정보 수집 속도와 CG로 전송되는 속도가 불일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버퍼 큐를 포함한 메모리는 CDR 정보가 수집되면 연결 리스트에 하나씩 추가되어 먼저 추가된 CDR 정보 순서대로 상기 CG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버퍼 큐는 프로세스(process) 내부의 메모리 영역인 스택(stack) 영역을 사용한다. 상기 스택 영역은 프로세스가 메모리 상에서 구동 중일때에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스택 영역 자체가 소멸된다. 또한, 상기 스택 영역은 프로세스 내부의 고유 영역이므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간, 즉 액티브(active) 프로세스와 스탠바이(standby) 프로세스간에 데이터 공유가 불가능하다.
그러면, 도 1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과금 데이터의 수집 및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 구조는 상기 과금 데이터(102)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CDR 정보 형태로 CDR을 생성하는 CDR 생성부(103)와, 상기 CDR 정보의 수집을 위해 동작하는 액티브 프로세스(104)와 스탠바이 프로세스(116)가 존재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구조로 CDR 큐(106, 108, 110)와, 전송 큐(112)로 구현되며,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116)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된다.
먼저 하나의 호가 발생되면, 이에 따른 과금 데이터(102)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CDR 생성부(103)가 감지하여 CDR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상기 CDR 정보를 수집하게 되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리스트 구조로 상기 과금 데이터(102)가 추가될 때마다 CDR 정보들이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의 CDR 큐(106, 108, 110)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CDR 정보들을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GTP' 프로토콜로 부호화하여 전송 큐(112)로 이동시킨 후 상기 CG(126)로 전송한다. 만약에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가 수집하는 과금 데이터(102)들이 전송 큐(112)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CDR 정보들을 상기 CDR 큐 용량 한계까지 저장하게 된다. 이 때에 예기치 않은 오류로 인해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가 종료되는 경우 이중화 구조에 따라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스탠바이 프로세스(116)로 절체를 수행(114)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104)는 임시 저장하고 있던 CDR 정보들을 스탠바이 프로세스(116)로 전송하지 못하고 유실 처리한다. 이후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116)는 절체 이후 발생되는 새로운 과금 데이터들을 수집하게 되고 전송 큐(124)에서 상기 CG(126)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송 큐(124)가 CG(126)로 전송한 CDR 정보는 연결 리스트 구조로 구현된 CDR 큐에서 삭제되게 된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상기 CDR 정보 포맷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CDR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CDR은 순차적으로 CG로 전송되기 위해서 시퀀스(sequence)(202) 정보를 가진다. 상기 시퀀스 정보는 각 CDR 포맷별로 고유한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CDR 길이가 CDR size 필드(204)에 기록되며, CDR 데이터 필드(206)에는 과금 데이터가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는 상기 CDR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CG로 전송한다. 이때에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는 일정 용량의 CDR 정보들을 상기 버퍼 큐에 임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상기 CG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주 프로세스가 예기치 않은 오류로 인해 종료가 되는 경우 스탠바이 프로세스로 절체가 발생되며, 이 때에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 내부 버퍼 큐에 저장된 CDR 정보들은 보존되지 못하고 유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유실없이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액티브 프로세스와, 스탠바이 프로세스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과금 데이터들이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과금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포맷에 상응하게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로 생성한 후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와,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와, 제1큐와 제2큐를 가지며,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1큐에 저장한 후 그 저장 순서에 상응하게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며, 이후 장애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로 절체하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와, 제3큐와 제4큐를 가지며, 상기 절체에 상응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3큐에 저장하고,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중 미전송 표기된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4큐에 저장한 후, 상기 제4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부터 상기 제3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의 순서로 그 저장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유실없이 전송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과금 데이터 레코드(CDR: Charging Data Record, 이하 'CDR'이라 칭하기로 한다) 정보를 새롭게 정의하여 버퍼 큐(buffer queue)에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일종의 보조 기억 메모리인 과금 디스크(disk)에도 상기 CDR을 기록함으로써, 프로세스간에 절체 수행시에도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CDR을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데이터 유실이 발생되지 않는 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면,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 구조는 상기 과금 데이터(302)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CDR을 생성하는 CDR 생성부(303)와, 상기 CDR을 수집하기 위해 동작하는 액티브(active) 프로세스(304)와, 스탠바이(standby) 프로세스(320) 및 보조 기억 메모리(일예로 하드 디스크)인 과금 디스크(315)를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구조로 CDR 큐(306, 308, 310)와, 상기 과금 디스크(315)로부터 CDR 정보를 읽어오는 임시(temporary) CDR 큐(314, 316, 318)와, 전송 큐(312)로 구현되며, 상 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된다. 한편, 상기 과금 디스크(315)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한 CDR 포맷으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 또는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에 CDR이 기록될 때 이와 동시에 기록된다. 상기 새로운 CDR 포맷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먼저 호(call)가 발생되면 과금 데이터(302)가 발생된다. 상기 CDR 생성부(303)는 이를 감지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정의된 CDR 포맷으로 CDR을 생성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생성된 CDR을 수집 및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보조 기억 메모리인 과금 디스크(315)도 상기 생성된 CDR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서도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상기 주 프로세스(304) 내부 메모리인 CDR 큐 및 임시(temporary) CDR 큐의 데이터 구조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현되었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과금 데이터, 즉 CDR 정보를 GTP' 프로토콜로 부호화(encoding)한 후 전송 큐(312)에 전송한다. 상기 전송 큐(312)는 상기 부호화 된 CDR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과금 게이트웨이(Charging Gateway, 이하 'CG'라 칭하기로 한다)(336)로 전송한다. 상기 CDR을 수신한 상기 CG(336)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로 긍정 응답(ACKnowledge)을 전송한다.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과금 디스크(315)의 해당 CDR의 전송 플래그(send flag)에 'S'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가 상기 CDR 큐에 CDR을 수집하여 기록하는 중에 예기치 않은 오류로 인해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로 절체가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해 본다. 이 경우 종래에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가 임시로 저장하고 있던 CDR 정보들은 유실처리되고,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로 절체가 수행(319)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에 CDR 정보가 기록될 뿐 아니라 동시에 과금 디스크(315)에도 동일하게 CDR 정보가 기록된다. 물론, 상기 과금 디스크(315)는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와도 CDR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른 프로세스로 절체가 수행되면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절체가 수행되기 전까지 저장된 CDR 정보들 중 상기 CG(336)로 전송되지 못해 전송 플래그에 'N'으로 기록된 CDR들을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의 임시 CDR 큐(330, 332, 334)로 읽어와 저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R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CDR 생성부(303)는 하기와 같은 필드(field)들로 상기 CDR 정보 형태를 구현한다. 상기 CDR 포맷은 시퀀스(sequence)(402), 전송 플래그(404), 프로세스 식별자(process IDentify)(406), CDR size(408) 및 CDR 데이터(410)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시퀀스 필드(402)에는 CDR 정보가 발생된 순서에 상응하게 고유한 값이 표기된다. 상기 시퀀스 필드(402)에 표기된 고유값에 따라 상기 CDR 정보가 상기 전송 큐(312, 328)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송 플래그 필드(404)에는 상기 전송 큐(312, 328)가 전송하지 못한 CDR에 대해서는 'N'이 표기될 수 있으며, 전송한 CDR에 대해서는 CG(336)의 긍정 응답을 수신한 후 'S'가 표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 큐(312, 328)가 상기 시퀀스 정보에 따라 상기 CG(336)로 CDR 정보를 순 차적으로 전송을 할 때, 전송된 CDR 정보는 삭제되며 상기 과금 디스크(315)의 해당 CDR 필드의 전송 플래그(404)에 'N'이 표기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스 식별자(406) 필드에는 상기 CDR 정보가 기록되는 해당 프로세스의 고유 식별자가 기록된다. 예컨대,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의 프로세스 식별자 값이 '0'이고, 의도되지 않은 오류 발생으로 인해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로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과금 디스크(315)는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의 제어에 의해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CDR 정보중 전송 플래그에 'N'으로 기록된 CDR 정보를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의 임시 CDR 큐(330, 332, 334)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의 임시 CDR 큐(330, 332, 334)에 저장 된 CDR 포맷의 프로세스 식별자 필드(406)에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의 프로세스 식별자인 '0'이 기록되어 있다.
이후,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새롭게 생성된 과금 데이터들을 상기 CDR 큐(322, 324, 326)에 수집한다. 이때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상기 프로세스의 고유 프로세스 식별자 값이 '1'일 경우 CDR 정보의 프로세스 식별자 필드(406)에 상기 '1'의 값이 표기된다. 결국, 상기 프로세스별로 각각 수집한 CDR 정보를 상기 프로세스 식별자 필드(406)에 표기된 값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이는 상기 CG(336)로 중복된 CDR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DR size 필드(408)에는 수집되는 CDR 정보의 길이가 표기된다. 상기 CDR 정보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가변 길이를 가지며, 이는 상기 절체 수행 후의 프로세스가 상기 과금 디스크(315)로부터 CDR을 읽어올 경우 필요로 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상기 CDR 데이터 필드(410)에는 CDR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도 3에서는 과금 데이터 수집 및 전송하는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였고,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한 CDR 포맷을 설명하였다. 이후 도 5에서는 상기 과금 데이터가 수집되어 상기 CDR 포맷에 기록되고 전송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액티브 프로세스(304)가 동작 중에 오류로 인해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로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에서 액티브 프로세스(304)로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이 적용됨에 유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데이터가 수집되어 전송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02단계에서 상기 CDR 생성부(303)는 과금 데이터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고 5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4단계에서 상기 CDR 생성부(303)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한 CDR 포맷으로 CDR을 생성하고 5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생성된 CDR을 수집하여 CDR 큐에 기록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과금 디스크(315)에도 상기 CDR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5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8단계에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CDR을 GTP' 프로토콜로 부호화하고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상기 부호화 된 CDR을 전송 큐(312)로 이동하고 5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전송 큐(312)는 상기 CDR을 CG(336)로 전송하고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4단계에서 상기 CG(336)가 상기 CDR을 수신하면 긍정 응답을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로 전송하고,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는 이를 수신하고 5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6단계에서 상기 과금 디스크(315)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304)의 제어로 상기 CG(336)로 전송된 해당 CDR의 전송 플래그에 'S'를 표기한다.
상기 도 5는 절체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은 절체가 발생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체 발생 후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2단계에서 상기 과금 디스크(315)는 상기 프로세스 간에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 전송 플래그에 'N'으로 표기된 CDR들을 스탠바이 프로세스(320)의 제어에 의해 임시 CDR 큐(330,332,334)에 전송하고 6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4단계에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새롭게 생성된 CDR들을 상기 프로세스 내의 CDR 큐(322,324,326)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과금 디스크(315)도 상기 새롭게 발생된 CDR들을 저장한 후 6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6단계에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임시 CDR 큐(330,332,334)에 저장된 CDR부터 GTP' 프로토콜로 부호화 한 후 전송 큐(328)로 이동하고 6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전송 큐(328)는 상기 CDR을 CG(336)로 전송하고 6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상기 CG(336)에서 긍정 응답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긍정 응답을 수신하면 6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CG(336)로 재전송한다. 상기 612단계에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상기 과금 디스크(314)의 전송 CDR의 전송 플래그에 'S'를 표기하고 6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4단계에서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320)는 상기 CDR 큐에 새롭게 저장한 CDR들을 전송 큐(328)로 이동하고 다시 608단계부터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한 과금 데이터 기록 정보를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큐(queue)에 저장하며, 이와 동시에 보조 기억 메모리인 과금 디스크에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현함으로써 다른 프로세스로 절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상기 큐 내의 과금 데이터들을 안전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절체 수행 후의 프로세스로 back up 할 수 있어 과금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액티브 프로세스와, 스탠바이 프로세스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과금 데이터들이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과금 데이터들을 전송 플래그 필드를 포함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로 생성한 후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와,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와,
    제1큐와 제2큐를 가지며,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1큐에 저장한 후 그 저장 순서에 따라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며, 이후 장애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로 절체하는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와,
    제3큐와 제4큐를 가지며, 상기 절체에 따라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에서 출력하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3큐에 저장하고,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 중 상기 전송 플래그 필드에 미전송 표기된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을 상기 제4큐에 저장한 후, 상기 제4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부터 상기 제3큐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의 순서로 그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과금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는 프로세스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는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식별자 필드에는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를 전송한 프로세스를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와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가 포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플래그 필드에는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의 전송 완료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세스 또는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스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되는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의 상기 전송 플래그 필드에는 미전송 또는 전송 완료로 표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 생성부는 생성되는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의 상기 전송 플래그 필드에 미전송으로 표기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 레코드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0040009045A 2004-02-11 2004-02-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KR10057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45A KR10057597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45A KR10057597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80A KR20050080880A (ko) 2005-08-18
KR100575972B1 true KR100575972B1 (ko) 2006-05-02

Family

ID=3726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045A KR10057597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63B1 (ko) 2008-12-31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바이패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486546B1 (ko) * 2013-05-15 2015-01-27 주식회사 한국거래소 장애 대비를 위한 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50B1 (ko) * 2006-04-12 2008-04-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과금 검증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71953B1 (ko) * 2007-01-26 2008-12-08 엘지노텔 주식회사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호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63B1 (ko) 2008-12-31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바이패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486546B1 (ko) * 2013-05-15 2015-01-27 주식회사 한국거래소 장애 대비를 위한 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80A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2252B (zh) 一种恢复数据的方法及系统
JPS5866448A (ja) パケット交換における誤り検出方式
JP3472511B2 (ja) データ伝送装置
US6892244B2 (en) Method of transmitting real-time data from a network element to an application server
CN101720478A (zh) 高有效性传输
CN108347463A (zh) 一种终端文件上传方法
US7069305B2 (en) Computer system and a data transfer method thereof using remote direct memory access
KR10057597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JPWO2015059889A1 (ja) イニシエータ端末、ターゲット端末、イニシエータ端末のエラー処理方法、ターゲット端末のエラー処理方法
JPH08328970A (ja) 被管理機器のログ取得方式
WO2007010593A1 (ja) Tcpセッションエ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7664863B2 (en) Data transferring method
JP2004186802A (ja) 無瞬断二重化切り替え装置及び方法
KR100476986B1 (ko) 교환 시스템의 과금 처리 방법
CN111698151B (zh) 路由信息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318939B1 (ko) 과금화일정보 오류보정방법
JPH1051451A (ja) ネットワーク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3679935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06112972A (ja) パケット再送方式
JP3600444B2 (ja) 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3654243B2 (ja) 送信データ順序保証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844709B2 (ja) 通信制御装置
JPH06216883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及び無線データ通信方法
CN117544617A (zh) 一种数据报文断点续传方法与装置
JP2855768B2 (ja) メッセージ転送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