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80B1 -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80B1
KR100575580B1 KR1020040102493A KR20040102493A KR100575580B1 KR 100575580 B1 KR100575580 B1 KR 100575580B1 KR 1020040102493 A KR1020040102493 A KR 1020040102493A KR 20040102493 A KR20040102493 A KR 20040102493A KR 100575580 B1 KR100575580 B1 KR 10057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learning content
content metadata
authoring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호
김용훈
문경애
오상훈
김석훈
안정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정 또는 삭제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증,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변환 및 검색하는 입력기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저장 구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어기와,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이루어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에서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에서 새로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와,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진행함으로써,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저작, 관리, 및 검색이 용이하며, 또한 원하는 학습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data-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a method of auth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eating or modifying or dele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verify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converting and retrieving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 input termi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metadata storage structure for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a metadata database for storing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reby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i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And inputting new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the user terminal, checking for errors in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if the error does not occur, generating the metadata for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 metadata. Me in the database By proceeding to the step of, easy to author, manage, and search for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also can provide fast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sired learning.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템플릿, XML, 유효성 검사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templates, XML, validation

Description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authoring method based on metadata template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입력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put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의 저작과정 및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oring process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retrieval process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5 is a view showing an input screen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의 입력화면 중 SCO 및 CA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FIG. 6A illustrates an input screen of SCO and CA among input screens of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의 입력화면 중 Manifest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creen of a manifest among input screens of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사용자단말 100: user terminal

200 : 인터페이스 200: interface

300 :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300: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310 : 입력기 310: input method

320 : 제어기 320: controller

330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Metadata DB) 330 metadata database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 템플릿(Metadata Template)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플랫폼 환경(PC-to-Mobile-to-DTV)에서 상호운용 및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및 저장 등의 관리를 가능케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data template 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autho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interoper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in a multiplatform environment (PC-to-Mobile-to-DTV).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data-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an authoring method for managing the creation, modification, deletion, and storage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e-Learning)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 그 이외에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정보를 원하는 사람에게 제공된다. 사용자(학습자, 교수자, 및 그 이외의 사람)은 원하는 학습 정보를 수집하고, 취사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편집ㆍ가공할 수 있다.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provided to learners, instructors, and others who want learning content metadata information through Internet-based e-learning. The users (learners, instructors, and others) can collect and select desired learning information, and can edit and process them.

여기서, 이러닝이란 기존의 시간/공간/내용(time/place/content)에 있어서의 한정된 학습을 즉각적/일상적/맞춤형/적응적 진행의 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이것은 관리/문화/IT의 개념적 범주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 Here, e-learning replaces existing limited learning in time / place / content with learning of immediate / daily / customized / adaptive progression. It is based on the conceptual category of management / culture / IT.

메타데이터란 데이터(자료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자료 데이터에 대한 정보 데이터)로서, 실제 콘텐츠는 아니면서 그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자원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다양한 접근점과 위치 주소를 포함한 레코드라고 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가 가지는 속성과 구조, 연결성 등의 기본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데, 데이터로 응용 시스템에서의 저장, 검색, 관리, 운영, 유지보수 등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보의 고활용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의 기본은 데이터 관리, 데이터 접근, 데이터 분석 세 가지로서, 이러한 기능들은 자원 탐색 도구들 사이에서 상호운용능력과 공유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metadata is data about data (data data) (information data about data data), and means data hav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data, not actual content. It is also a structured data that is independent of resources and is a record containing various access points and location addresses. Metadata includes the basics such as attributes, structure, and connectivity of data, and provides high utilization of information by playing a crucial role in storage, retrieval, managem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application system. . In general, there are three basic pillars of metadata: data management, data access, and data analysis. These functions can be used to enhance interoperability and sharing among resource discovery tools.

또한, 저작 시스템, 즉 저작 도구(Authoring Tool)란 프로그래밍의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일반적이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전문 프로그램으로서, 표준화된 방법과 쉽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등 각종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개발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저작 도구는 타이틀 제작(Title Production)의 대부분이 화면에 텍스트나 그림에 대한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응답에 따라 다른 화면을 보여주거나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원하는 화면을 자유롭게 이동을 가능케 하므로 멀티미디어 타이틀 제작(Multimedia Title Production) 시에 많이 이용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타이틀 제작이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특정한 연출 의도에 따라 화상이나 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하이퍼링크로 연결되어 이야기의 줄거리를 갖는 소프트웨어 제작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authoring system, that is, authoring tool (Authoring Tool) is a professional program for making a general application even without programming expertise, and a development program that can create various programs such as programs using a standardized method and a user interface easily. Say The authoring tool makes it easy to implement the program creation screen because most title productions display or move different screens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mouse or keyboard to text or pictures on the screen, and freely move the desired screen. As it enables, it is widely used in multimedia title production. Here, the production of multimedia titles refers to the production of software having a storyline by connecting multimedia data such as images, images, and voices by hyperlinks according to a specific intention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최근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와 초고속 통신기술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터넷 상에 접근하여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교육 환경도 크게 변하고 있다. 강의실 중심의 전통적인 교육 환경에서 사이버 교육, 즉 물리적인 강의실로 대표되던 전통적인 교육환경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교육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방식의 온라인 교육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더불어, 학습자(learner)뿐만 아니라 교수자(teacher)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개발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increase of Internet users and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communication technology, anyone can easily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network. At the same tim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environment centered on the classroom, cyber education, that is, the traditional education environment represented by the physical classroom, is creating a new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hat meets the service demand centered by the educational consumer who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for manag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o that not only learners but also teachers are provided with various learning content metadata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re being conducted. .

이와 같이, 최근 인터넷을 기반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가 보편화됨에 따라서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국내에도 웹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용 콘텐츠 메타데이터들과 이에 대한 저작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As such, recently, the Internet-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has been diversified, and thus the demands of users have been diversified. Accordingly, educational content metadata and authoring systems based on the web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그런데, 학습콘텐츠를 위한 메타데이터는 매우 복잡한 구성과 80여개가 넘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콘텐츠 메타데이터 규격을 모르는 이용자가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etadata for learning content has a very complicated composition and more than 80 elements. Therefore,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pecific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write the metadat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터넷 상에서 저작자(author)가 용이하게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구문 오류를 방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며, 표준 저작 프로토콜(DAM 또는 WebDAV)을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직접 메타데이터를 직접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author easily generate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on the Internet, and automatically generate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Syntax avoids syntax errors, maintains consistency, and allows you to register metadata directly into a central database directly during the creation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using standard authoring protocols (DAM or WebDAV) to facilitate learning content metadata collection. A metadata template 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즉, 저작 소요시간 및 운영시간을 줄이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다양하고 빠르게 지식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만을 저작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In other wor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author and manage only learning content metadata, which can reduce the authoring time and operation time, and facilitates management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quickly.

이를 위해 학습콘텐츠 메타데이터 규격을 모르는 저작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주석을 첨가하고, 기입 항목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메타데이터 저작 도구 뷰(view)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To this e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data authoring tool view in which detailed annotations are added and the entry items are systematically organized so that an author who does not know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pecifica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used.

또한, 국내 학습콘텐츠 제작환경에서 사용되지 않는 Asset 단위를 생략하고 SCO와 CA 단위로 학습콘텐츠 모델을 단순하게 수정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저작 도구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입된 메타데이터 항목을 자동적으로 XML 스키마에 따르도록 유효성 체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metadata authoring tool that can simply modify the learning content model by SCO and CA units, omitting asset units that are not used in domestic learning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s, and automatically fill in the metadata items with XML schema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validity checking to be follow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정 또는 삭제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증,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변환 및 검색하는 입력기;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저장 구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어기; 및 상기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generate, modify or delete learning content metadata, verify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 input to convert and search; A controller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etadata storage structure for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a metadata database for storing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이 때, 상기 입력기는,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 편집기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증, XML 변환 및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 입력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 입력기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input unit includes a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editor for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schema,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inputter for verifying, transforming, and search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edit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또한, 상기 제어기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외부로 반출하거나 또는 외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반입하기 위한 교환 및 처리 모듈과,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에 따른 XML, 관리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구조를 생성 및 관리하는 모듈을 구성한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exchange and processing module for expor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the outside or importing external learning content metadata, XML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defined by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designer, And a module for generating and managing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storage structure of the metadata database.

한편, 상기 입력기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SCO(Sharable Contents Object), CA(Contents Aggregation), Manifest 단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구분자를 가지는데, SCO와 CA를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및 Classification로 나누어 입력하는 구분자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unit has a delimiter for divid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into a SCO (Sharable Contents Object), CA (Contents Aggregation), Manifest units, and enters SCO and CA,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It has a delimiter to enter it,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and Classification.

또한, 상기 입력기는, Manifest를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및 Sub Manifest로 나누어 입력하는 구분자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has a delimiter for dividing the Manifest into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and Sub Manifest.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는, SCO, CA 및 Manifest 별로 저장장소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t least two metadata databases are provided so that storage locations may be different for each SCO, CA, and manifest.

한편,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은, a.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에서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b. 사용자단말에서 새로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c.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 및 d.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method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i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b. Inputting new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a user terminal; c. Checking for errors in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d. If the error does not occu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a metadata database.

이하,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an authoring method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단말(100), 인터페이스(200),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로 이루 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is largely comprised of a user terminal 100, an interface 200,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는,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고,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입력기(310)와, 입력기(310)에서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변경을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0)와,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저장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외부로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교환/처리하는 제어기(320)를 포함한다.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may generate, modify, and delete a metadata schema and provide an edit screen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changed by the input unit 310. Create and manage a metadata database 330 for storing changes, a storage structure for storing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exchange / process data for importing or exporting sto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controller 320.

상기 제어기(320)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스키마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메타데이터 스키마에 따라 XML 및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종래에 알려진 메타데이터 관리기(Metadata Manager)의 모든 기능을 충족한다. The controller 320 manages XML and manag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metadata schema defined by a schema designer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satisfies all functions of a known metadata manager.

또한, 입력기(310)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입력 및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기능 외에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 사용자 검증 기능, XML 변환 기능 및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검증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310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and edi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schema as described above, a function of input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a user verification function, and XML Perform the transformation function and learning content metadata verification function.

상기 입력기(310) 및 제어기(320)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에 있어서, 각 기능별로 모듈화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input unit 310 and the controller 320 are modularized for each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입력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입력기(310)는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 편집기(310a)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의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학습 콘텐 츠 메타데이터 레코드 입력기(310b)를 포함한다. FIG. 2 illustra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put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put device 310 includes a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editor 310a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for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schema.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input unit 310b that provides an editing scree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를 사용하여, 사용자단말(100)은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접촉하여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여 관리하거나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저작자 뿐만 아니라, 이미 생성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를 모두 포함한다. Us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is contacted through the interface 200 to create, modify and delete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manage or desired learning. You can retrieve content metadata. Here,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not only an author who substantially generates and manages learning content metadata, but also a user who searches for already generat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저작(또는 편집) 시, 사용자단말(100)은 자신의 컴퓨터 상에서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SCO, CA 및 Manifest 단위로 입력하여 저장하면, 또 다른 사용자단말(100)은 웹 브라우져를 통해 지정된 서버 또는 특정 폴더에 위치한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자신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때, 보여질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XML 형태로 변환되어 뷰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XML 형태로의 변환 기능은 입력기(310)에서 수행한다. When authoring (or editing) learning content us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inputs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on its computer in units of SCO, CA, and Manifest. When stored, another user terminal 100 may view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tored in the metadata database 330 located in a specified server or a specific folder through a web browser through his web browser. In this cas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be viewed is converted into an XML form and view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function to the XML form is performed by the input unit 310.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장치의 저작 과정 및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oring process and a learning content metadata retrieval process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단말(100)은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웹 상에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에 접근한 다음,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10). 이때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은 사용자단말(100)이 본 시스템(300)를 사용 권한을 가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20),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시스템(300)은 사용 권한이 허여됨이 확인되면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러나, 시스템 사용 권한이 허여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은 시스템 사용 권한을 막는다. First,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on the web through the interface 200, and then inputs a user ID and a password (S10). At this time,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has a right to use the system 300 (S20), and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ystem 300 is granted a use right. If so, authenticate the user. Howev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ystem permission is not granted,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blocks the system permission.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의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사용자단말(100)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새롭게 생성, 기존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수정(갱신), 삭제, 또는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색할 지를 결정한다(S30).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is confirmed,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new learning content metadata, modifies (updates), deletes, or deletes the exis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o retrieve data (S30).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100)은 원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0)에 접촉하여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획득하고, XML로 변환한 다음 XML 미리보기를 통해 뷰잉한다(S40∼S60). When searching for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100 contacts the desired metadata database 330 to obtain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converts it into XML, and then views it through the XML preview ( S40 to S60).

그러나,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기가 아닌,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입력/수정/삭제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입력/수정/삭제 중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여 수행한다(S31).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발생하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은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해 자동으로 오류가 있는지 여부, 즉 유효성 검사를 실시한다(S32). 상기 유효성 검사는 실시간 (real-time)으로 행해지며,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작업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오류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input / modification / deletion is selected instead of searching for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and performs a desired operation during input / modification / deletion (S31). When the above operation occur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automatically checks whether there is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hat is, checking the validity (S32). The validity check is performed in real time, and the user terminal 100 can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o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worked by the user terminal 100.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작업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 여부를 선택한다(S33). When the validation is complete,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whether or not to preview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worked by the user (S33).

미리보기가 선택되면,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XML로 변환되어 미리보기를 통해 뷰잉된다(S50∼S60). When the preview is selected,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converted into XML and viewed through the preview (S50 to S60).

그러나, 미리보기가 선택되지 않으면,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다(S34). However, if the preview is not selected,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stored in the metadata database 330 (S3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의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는 분기점을 SCO, CA, 및 Manifest 단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SCO for processing and manag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units of CA, and Manifest.

먼저, 사용자단말(100)은 인테페이스(20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300)에 접촉하고, 사용자 인증을 받는다. 그 다음, 웹 상의 편집화면을 통해 파일을 연다(S100). First, the user terminal 100 contact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terface 200 and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Next, the file is opened through the edit screen on the web (S100).

파일을 열면, SCO, CA, 및 Manifest 중 하나를 선택한다(S200, 또는 S220, 또는 S2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장치의 입력화면 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a는 SCO 및 CA의 입력화면을, 도 6b는 Manifest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When the file is opened, one of SCO, CA, and Manifest is selected (S200, S220, or S230). 5 illustrates an input screen of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shows an input screen of SCO and CA, and FIG. 6B shows an input screen of Manifest.

도 6a에 있어서, SCO와 CA의 입력화면은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및 Classification로, 9개의 범주로 나누어 입력할 수 있다. 그 자세한 설명은 다음 [표 1]과 같다. In FIG. 6A, input screens of SCO and CA may b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and Class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s follows [Table 1].

구 분division 설 명Explanation GeneralGeneral 전체적으로 자원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Items that correspond to general information that describes the resource as a whole Life CycleLife cycle 학습 콘텐츠에 대한 내역과 최근 상태 및 콘텐츠와 관련된 기여자등의 정보를 기술Describe the history of the learning content, recent status, and contributors related to the content. Meta-metadataMeta-metadata - 메타데이터 기록 자체에 대한 특정 정보를 입력하는 항목 -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사람, 기록 방법, 기록일자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Item to input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metadata record itself-Enter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who recorded the metadata, the recording method, and the date of recording TechnicalTechnical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자원에 대한 기술적인 특징을 입력Enter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requirements and resources EducationalEducational 콘텐츠의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입력Information input to explain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content RightsRights 제반 권리에 대한 지적재산권 및 조건 등의 졍보를 입력Enter information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nditions for all rights RelationRelation 해당 학습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와 관계가 있을 경우 상호관계를 기술하는 입력 항목An entry that describes the correlation if the learning content is related to other content. AnnotationAnnotation 추가적인 설명에 대하 정보를 입력하는 항목, 즉 추가 설명을 한 사람, 일시, 내용에 대한 정보에 해당Item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additional descriptions, i.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date, and content of the additional description. ClassificationClassification 자원이 특정한 분류 내에서 위치하고 있는 정보를 입력하는 항목Item that inputs information where resource is located within specific classification

도 6b에 있어서, Manifest의 입력화면은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및 Sub Manifest로, 4개의 범주로 나누어 입력할 수 있다. 그 자세한 설명은 다음 [표 2]와 같다. In FIG. 6B, the input screen of the manifest may be a manifest, an organization, a resource, and a sub manifest,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s follows [Table 2].

구 분division 설 명Explanation ManifestManifest 콘텐츠 패키징을 서술하기 위한 정보를 표현하는 파일File representing information for describing content packaging OrganizationOrganization - 콘텐츠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되는 입력항목 - 학습 콘텐츠 분류 구조를 위한 입력 폼-Input items to provide structure of content-input form for learning content classification structure ResourcesResources - 외부 리소스를 서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입력항목 - 리소스들이 구조적으로 상호 연계되어 구성되어 있는지를 표현-Metadata entry to describe external resource-Express whether resources are structured and interconnected Sub ManifestSub manifest - 최상위 Manifest에 다수의 하위 Manifest를 입력하는 항목 -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강의 단위 또는 모듈단위의 정보를 입력-Enter a number of subordinate manifests in the topmost manifest.-Enter the information in lecture units or module units.

상기와 같이, 선택된 SCO 및 CA 또는 Manifest의 항목별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사가 실시간으로 행해진다(S300∼S4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try for each item of the selected SCO and CA or Manifest is completed, validation of the input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performed in real time (S300 to S400).

상기 작업을 수행한 사용자단말(100)이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를 선택하면,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XML로 변경되어 웹 브라우져를 통해 미리보기가 행해진다(S500∼S7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ing the operation selects the preview of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changed to XML and previewed through the web browser (S500 to S700).

그러나, 미리보기가 선택되지 않으면, 변경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다(S500∼S510). However, if the preview is not selected, the chang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stored in the metadata database 330 (S500 to S5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SCO, CA, Manifest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있어 효율적인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저작, 관리, 및 검색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사용자, 즉 학습자 및 교수자는 원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검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learning content metadata into SCO, CA, and Manifest to enable authoring, managing, and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metadata effective for a user. Thus, users, that is,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easily create and retrieve desired learning content metadata.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방법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SCO, CA, Manifest로 구분하여 생성 또는 수정 또는 삭제하고,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저작, 관리, 및 검색이 용이하며, 또한 원하는 학습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and the authoring method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assified into SCO, CA, and Manifest to generate, modify, or delete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thereby enabling searching. The user can easily author, manage, and search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can also be provided with the desired learning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Claims (19)

메타데이터 템플릿(Metadata Template)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정 또는 삭제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증,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변환 및 검색하는 입력기; An input unit which generates, modifies, or deletes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verifies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transforms and retrieves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저장 구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어기; 및 A controller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etadata storage structure for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상기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Metadata database for storing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Metadata template 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 편집기; 및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editor for creating, modifying, and deleting schemas; And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검증, XML 변환 및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 입력기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input tool that validates, XML transforms, and retrieves learning content metadata.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Metadata template-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 입력기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record input unit,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A learning template metadata authoring system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for editing the learning contents metadata rec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외부로 반출하거나 또는 외부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반입하기 위한 교환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And an exchange and processing module for export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the outside or importing external learning content meta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스키마에 따른 XML, 관리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구조를 생성 및 관리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comprising a module for generating and managing XML,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storage structure of the metadata database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defined by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schema designer. Data author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SCO(Sharable Contents Object), CA(Contents Aggregation), Manifest 단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구분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elimiter for dividing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into SCO (Sharable Contents Object), Contents Aggregation (CA), Manifest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put unit, SCO와 CA를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및 Classification로 나누어 입력하는 구분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Metadata template-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characterized by having a delimiter for dividing SCO and CA into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and Classific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put unit, Manifest를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및 Sub Manifest로 나누어 입력하는 구분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Metadata template-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elimiter for dividing the manifest into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and Sub Manif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adata database, SCO, CA 및 Manifest 별로 저장장소를 달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Learning template metadata authoring system based on the metadata templat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so that the storage location for each SCO, CA and Manifest. a.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서버에서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a.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in the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server; b. 사용자단말에서 새로운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Inputting new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a user terminal; c.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 c. Checking for errors in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d.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d. If the error does not occur, storing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 metadata in a metadata databa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Metadata template-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method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b. The steps are, SCO(Sharable Contents Object), CA(Contents Aggregation) 및 Manifest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one of a SCO (Contents Aggregation), a Content Aggregation (CA) and a Manifes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CO 선택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selecting the SCO,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및 Classif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A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one of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and Classific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A 선택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selecting the CA: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및 Classif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A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one of General, Life Cycle, Meta-metadata, Technical, Educational, Rights, Relation, Annotation, and Classific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Manifest 선택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upon selecting the manifest,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및 Sub Manifest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Manifest, Organization, Resources, and Sub Manifes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c. The steps are,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신규로 입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한 작업이 수행되었을 경우에 진행되며, 저장 전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A method of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which is performed when an operation including new input,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learning content metadata is performed, and is performed in real time before storag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 The steps are, 상기 생성 또는 수정된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Selecting a preview of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nd 상기 미리보기가 선택되면, 상기 생성 또는 수정된 상기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 실행 후,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If the preview is selected, after previewing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storing in the metadata databa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Metadata template-based learning content metadata authoring method comprising 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생성 또는 수정된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nverting the generated or modified learning content metadata to the XML forma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etadata database, SCO, CA 및 Manifest 단위로 구분하여 발생된 작업 결과를 SCO, CA 및 Manifest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content metadata based on a metadata tem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results generated by dividing into SCO, CA, and Manifest units are stored as SCO, CA, and Manifes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 템플릿 기반의 학습 콘텐츠 메타데이터 저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two metadata databases are provided.
KR1020040102493A 2004-12-07 2004-12-07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KR100575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493A KR100575580B1 (en) 2004-12-07 2004-12-07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493A KR100575580B1 (en) 2004-12-07 2004-12-07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580B1 true KR100575580B1 (en) 2006-05-03

Family

ID=3718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493A KR100575580B1 (en) 2004-12-07 2004-12-07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5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20B1 (en) * 2007-07-06 2010-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grated storage format for efficient storage/management/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electronic comic contents service using the same
WO2022092332A1 (en)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유니크유엑스 Micro-learning system using time attribute markup language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888A (en) * 2001-12-20 2002-02-06 이계철 Xml based administrator system for tele-gateway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20040040942A (en) * 2002-11-08 2004-05-13 한국과학기술원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888A (en) * 2001-12-20 2002-02-06 이계철 Xml based administrator system for tele-gateway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20040040942A (en) * 2002-11-08 2004-05-13 한국과학기술원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20B1 (en) * 2007-07-06 2010-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grated storage format for efficient storage/management/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electronic comic contents service using the same
WO2022092332A1 (en)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유니크유엑스 Micro-learning system using time attribute markup language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982B2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platform independent presentation design
JP2021061034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questionnaire
US20070100829A1 (en) Content manager system and method
Marquardt et al. A pre-processing tool for web usage mining in the distance education domain
Ioannidis et 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technology infrastructures
CN101488086A (en) Softwar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field model
Zhu et al. Web-based construction document processing via malleable frame
Möller Lifecycle models of data-centric systems and domains
González et al. A navigational role-centric model oriented web approach-moweba
CN110889069A (en) Resource access platform based on web online learning
KR2013005038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analysis
TWI629602B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website interactive program
KR101660640B1 (en) Lab Meet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Sharing Experiment Note
KR1005755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e-learning metadata based on metadata template
Stewart et al. Interoperability between AEH user models
KR100931820B1 (en)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Feliciati et al. Archives on the web and users expectations: Towards a convergence with digital libraries
Duval et al. Musicology of early music with europeana tools and services
Macedo et al. Automatically linking live experiences captured with a ubiquitous infrastructure
CN113705177A (en) Manuscript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grated manuscript writing environment and computer equipment
Megzari et al. Meta-data and media management in a multimedia interactive telelearning system
Sara et al. A web development system for producing an interactive electronic book
WO20101196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 information aggregation
Borbinha et al. Reference models for digital libraries: actors and roles
Sundaravadivelu et al. Knowledge reuse of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decisions and rationale within the enterpr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