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799B1 -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 Google Patents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4799B1 KR100574799B1 KR1020040013546A KR20040013546A KR100574799B1 KR 100574799 B1 KR100574799 B1 KR 100574799B1 KR 1020040013546 A KR1020040013546 A KR 1020040013546A KR 20040013546 A KR20040013546 A KR 20040013546A KR 100574799 B1 KR100574799 B1 KR 100574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lk
- receiving portion
- alcohol
- inlet
- discrimin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4—Dai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우유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capable of simply measuring the state of milk.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스트물이 부분적으로 수용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상기 수용부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반응물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internal volume can be changed, the receiving portion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thinner tha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inlet for the reactant flows It is characterized by.
우유, 알코올, 간이, 판별기, 테스트, 이상유Alcohol, Alcohol, Fast, Discriminator, Te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ified material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ified material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ified material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간이판별기의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simple discriminator of Figure 1;
도 5는 도 2의 간이판별기의 사용상태도.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simple discriminator of Figure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수용부 12: 눈금10: accommodating part 12: scale
20: 입구부 22: 유입공20: inlet 22: inlet hole
24: 개폐부재(개폐테이프) 30: 피스톤24: opening and closing member (opening and closing tape) 30: piston
A: 테스트물(알코올) B: 반응물(우유) A: Test article (alcohol) B: Reactant (milk)
본 발명은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우유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물질상태(우유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ance state simple discrimi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ubstance state (milk state) simple discriminator capable of simply measuring the state of milk.
일반적으로 우유는 완전식품으로 알려질 만큼 영양소가 많은 식품이지만 또 한 상기 많은 영양소 때문에 세균의 발생 및 번식이 용이하여 산패되기 쉬운 식품이다.In general, milk is a food rich in nutrients enough to be known as a complete food, but is also a food that is prone to rancidity due to easy generation and reproduction of bacteria due to the many nutrients.
이에 우유는 젖소에서 짜낸 상태부터 소비자가 음용할 상태까지, 즉 목장에서 젖소로부터 우유를 수집하고, 상기 젖소에서 나온 우유를 가공공장으로 수송하고, 상기 가공공장에서 소비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우유를 제품화하고, 상기 가공공장에서 제품화 된 우유를 대리점으로 보급하며, 상기 대리점으로부터 상점이나 가정에 배달되는 일련의 과정이 일명 콜드체인시스템(cold chain system)이라고 하는 완전한 냉장상태로 이루어진다.The milk is squeezed from the cow to the state to be consumed by the consumer, that is, collect milk from the cow in the ranch, transport the milk from the cow to the processing plant, the milk to the consumer to drink at the processing plant The process of commercializing, distributing milk commercialized in the processing plant to a distributor, and delivering it to a store or home from the agency takes place in a completely refrigerated state called a cold chain system.
상기 콜드체인이 끊어지거나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유통기간 이내의 제품이라도 우유가 변질되는 경우가 많았다. When the cold chain is broken or a problem occur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the milk is often deteriorated even in the product within the distribution period.
그러나 소비자들은 주로 냄새와 맛에 의존하는 관능검사로 우유의 변질 여부를 판별하였기 때문에 우유 상태의 변질이 적은 경우, 소비자의 미각이나 후각이 민감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질된 것을 식별해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consumers have determined whether the milk is deteriorated by sensory tests, which mainly depend on smell and taste, there is a problem that if the quality of milk is small, it is not able to identify the deterioration when the taste or smell of the consumer is not sensitive. .
또한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등 특유의 맛과 향이 가미된 우유(이하 "가공우유"라 함)의 경우에는 맛과 냄새로 그 변질여부를 판단하기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i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cessed milk") with unique flavors and flavors such as chocolate milk, strawberry milk, banana milk,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quality is changed by taste and smell.
또한 유통기간 이내의 우유이지만 젖소가 병이 있는 상태에서 짜낸 우유, 초유, 비유말기, 칼슘이나 마그네슘에 대한 인산이나 시트르산의 비율이 정상이 아닌 소위 회분 평형이 불량인 우유, 세균에 의하여 응유효소가 생긴 우유, 혈통이나 생리적 변조에 의해 카세인의 상태가 이상인 우유, 체세포수가 축산법에서 정하는 5 등급 이상의 유방염유 등은 일반적인 소비자가 식별하기 불가능하였다. In addition, milk that is within the shelf life, but milk squeezed with diseased milk, colostrum, lactation period, the ratio of phosphate or citric acid to calcium or magnesium is not normal, so-called milk or bacteria with poor ash equilibrium. Milk produced in case of abnormal casein due to blood lineage or physiological modulation, or mastitis oil of grade 5 or higher determined by the livestock counting method was impossible for ordinary consumers to identify.
또한 유통기간이 지난 우유이지만 보관이 잘 되어 우유가 신선한 경우에도 일반 소비자가 우유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므로 우유를 폐기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shelf life of milk is passed, even if the milk is well stored, the general consumer can not determine the state of milk accurately, there was a problem that discarded milk.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우유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which can easily determine the state of mil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소비자들도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우유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state-of-material discriminator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state of milk by a simple consum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내부 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스트물이 부분적으로 수용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상기 수용부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반응물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internal volume can be changed, the receiving portion is partially accommodated with the test object, and the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t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receiver, and may include an inlet for introducing a reactant.
또한 본 발명의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스트물이 부분적으로 수용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상기 수용부보다 가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유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의 타측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mple state material discrimi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partially accommodated with the test object.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n inlet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piston movably mount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provide an inflow force through the inlet portion.
한편 상기 테스트물은 알코올이며, 상기 반응물은 우유를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st material is alcohol, and the reactant may use milk.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알코올의 농도는 60부피% 내지 100부피%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된 알코올과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수용될 우유의 분량 비율은 1: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우유와 반응하지 않은 색소가 첨가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may be 60% by volume to 100% by volume, and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alcohol contained and the milk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inlet may be 1: 1 to 2: 1. The receiving part may be added with a pigment that does not react with the milk.
상기 수용된 테스트물의 농도가 변하지 않도록 밀폐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형상 복원력이 있으며, 육안으로 내부의 상태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ed test object may be sealed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object from changing, and the receiving part may have a shape restoring forc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observing a change in the state with the naked eye.
정확한 분량의 반응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구부가 개방되었을 때 일정량의 반응물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될 반응물의 양에 해당되는 체적만큼 미리 진공처리될 수 있다. Scal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introduce the correct amount of reactant, and when the inlet portion is opened,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reactant to be introduc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reactant flows into the receiving portion. It may be vacuumed in advance.
상기 입구부는 상기 수용부보다 가늘게 형성되되,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테스트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입구부 일측에는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The inlet portion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capillary phenomenon may be made of a diameter of the test articl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the inlet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introduced, The inlet hole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ho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테스트물을 알코올, 상기 반응물을 우유로 한정하여 사용할 것이며,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서 사용된 물질이란 우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일정 테스트물과 상기 테스트물에 반응하는 반응물에 관하여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hereinafter, the test article will be used to limit the alcohol, the reactant to milk for convenience, and the substance used in th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will be described as meaning milk, but th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test article and the reactants reacting to the tes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수용부(10), 입구부(20), 알코올(A)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eiving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알코올(A)과 반응물(미도시)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눈금(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눈금(12)은 상기 수용부(10) 내로 정확한 분량의 우유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0)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수용부(10)는 그 내부 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연성재질이며, 형상 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The
또한 상기 수용부(10)는 육안으로 그 내부의 상태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전 상기 알코올(A)이 증발되지 않도록 밀폐처리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입구부(20)는 우유 등의 반응물이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유입공(미도시), 개폐부재(24)로 구성된다. The
상기 입구부(20)는 상기 수용부(10)의 일단에 상기 수용부(10)보다 가늘게 형성되되,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알코올(A)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정 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랍직하다. The
상기 유입공은 상기 입구부(20)로 우유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유입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The inlet hole is a passage through which milk flows into the
상기 개폐부재(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식 뚜껑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유입공에 개폐테입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이하에서는 상기 알코올(A)을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로 한정하여 사용할 것이나, 알코올로서 공통 성질을 갖는 여러 종류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the alcohol (A) will be limited to ethyl alcohol and methyl alcohol, but various alcohols having common properties can be used as the alcohol.
본 발명의 이상유를 판별하기 위한 테스트물(A)로서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이론적 근거는 하기와 같다.The theoretical basis for using ethyl alcohol as the test article (A) for determining the ideal o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우유에는 여러 가지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카세인(CASEIN 등) 등의 단백질은 우유의 신선한 정도에 따라 그 등전점이 달라진다. Milk contains many nutrients, among which proteins such as casein (CASEIN, etc.) vary in their isoelectric point depending on the freshness of the milk.
즉, 우유는 산도가 증가하면 내열성이 감소되는 동시에 알코올에 대한 감수성이 강하게 되므로 알코올을 사용하여 우유의 신선도와 내열성을 검사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acidity increases, the heat resistance decreases and the sensitivity to alcohol increases, so that the milk is tested for freshness and heat resistance using alcohol.
알코올 반응 결과 신선하고 산패되지 않은 우유는 음성(무침전)으로 나타나며, 세균에 의해 산이 생성된 우유, 칼슘, 마그네슘, 인산, 구연산의 비율이 정상이 아닌 우유, 초유, 말기유, 유방염유, 환원유(분유를 물에 풀어서 제조한 액상우유), 젖소의 신진대사 장애로 인한 우유, 고름우유(체세포 1000만 이상/㎖)는 양성(침전)이 나타나게 된다.As a result of alcohol reaction, fresh and unprecipitated milk is negative (no precipitation), and the acid produced by bacteria, milk, colostrum, horse oil, mast salt oil, reducing milk, calcium, magnesium, phosphoric acid and citric acid are not normal Milk (liquid milk prepared by dissolving milk powder in water), milk due to metabolic disorders of cows, pus milk (more than 10 million / ml of somatic cells) will be positive (precipitation).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알코올의 농도는 60부피% 내지 100부피%인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우유의 등급, 흰우유, 가공우유, 각 제조회사 첨가수의 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다만 통상 기준을 따른 흰 우유인 경우에는 상기 알코올의 농도는 69부피% 내지 81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used in the reaction is preferably from 60% to 100% by volume,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ade of milk, white milk, processed milk, and the amount of water added by each manufacturer. However, in the case of white milk according to the usual standard, the concentration of the alcohol is preferably 69% to 81% by volume.
상기 수용된 알코올과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수용될 우유의 분량 비율은 1:1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또한 우유의 등급, 흰우유, 가공우유, 각 제조회사 첨가수의 양에 맞추어 적용된다. 다만 통상 기준을 따른 흰 우유인 경우에는 상기 알코올과 상기 우유의 비율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mount of alcohol contained and the amount of milk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inlet is preferably 1: 1 to 2: 1, which is also adapted to the grade of milk, white milk, processed milk, and the amount of water added by each manufacturer. . However, in the case of white milk according to a normal standard, the ratio of the alcohol and the milk is preferably 1: 1.
상기 수용부(10)에 수용된 알코올(A)은 휘발성이므로 사용전 상기 알코올 성분의 증발로 상기 알코올(A)의 농도가 변하지 않도록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밀폐처리하였다. Since the alcohol (A) accommodat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수용부(10), 입구부(20), 알코올(A)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상기 입구부(20), 알코올(A)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와 동등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수용부(10)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상기 수용부(10)에는 일정한 분량의 알코올(A)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입구부(20)가 개방되었을 때 일정량의 반응물이 상기 수용부(10)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될 우유의 양에 해당되는 체적만큼 미리 진공 처리되어 있 다. A certain amount of alcohol (A) is accommodated in the
또한 상기 수용부(10)가 유입될 우유량에 해당되는 체적만큼 미리 진공 처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공(22)으로부터 상기 개폐부재(24)가 제거되면 필요한 양의 우유가 정확하게 유입되는 바, 상기 수용부(10)에는 눈금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20)의 유입공(22)은 상기 입구부(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수용부(10), 입구부(20), 피스톤(30), 알코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알코올과 반응물(미도시)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눈금(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눈금(12)은 상기 수용부(10) 내로 정확한 분량의 우유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0)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수용부(10)는 강성의 재질이며, 육안으로 그 내부의 상태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The receiving
상기 피스톤(30)의 상기 수용부(10)의 타측 내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10)로 우유가 유입되도록 유입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간이판별기 사용전에 상기 수용부(10)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수용부(10)에 수용된 알코올이 증발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수용부(10) 내측에 밀착 삽입되어 있다. A member that is moun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그 외 알코올, 입구부(2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등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alcohol an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의 사용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e of use of th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도 1의 간이판별기의 사용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implified discriminator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간이판별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사용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simple discriminator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in the following process.
제1단계(S100a), 상기 입구부(20)에 설치된 개폐부재(24)를 떼어낸다.In the first step (S100a), the opening and closing
제2단계(S200a), 상기 수용부(10) 본체에 압력을 가하여 일정량의 우유(B)가 상기 수용부(10)로 유입되도록 손으로 쥐는 등의 외력을 가하여 상기 유입될 우유(B)의 양에 해당되는 체적만큼의 공기를 추출한다.The second step (S200a), by applying pressure to the main body of the receiving
제3단계(S300a), 상기 수용부(10) 본체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상기 입구부(20)의 유입공(22)을 상기 우유(B)에 입수시킨다.In the third step (S300a), the
제4단계(S400a), 상기 수용부(10)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한다.Step 4 (S400a),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ain body of the receiving
제5단계(S500a), 상기 수용부(10)는 형상 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유입공(22)을 통해 추출된 공기의 체적만큼의 우유(B)가 유입된다. 단, 상기 알코올(A)과 상기 우유(B)가 수용된 상태에서 흔들어서 교반할 수 있는 공간을 남길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fth step (S500a), since the receiving
제6단계(S600a), 상기 수용부(10)내에 기수용되 있는 알코올(A) 상기 유입된 우유(B)를 혼합시킨 후 관찰한다.In the sixth step (S600a), the alcohol (A) that is banned in the receiving
도 5는 도 2의 간이판별기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implified discriminator of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간이판별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사용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simple discriminato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used in the following process.
제1단계(S100b), 상기 개폐테이프(2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부(20)의 유입공(22)을 상기 우유(B)에 입수시킨다.In the first step (S100b), the
제2단계(S200b), 상기 유입공(22)이 상기 우유(B)에 입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테이프(24)를 떼어낸다.In the second step (S200b), the opening and closing
제3단계(S300b), 상기 수용부(10)는 형상 복원력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유입공(22)을 통해 정확하게 진공처리된 체적만큼의 우유(B)가 유입된다.In the third step (S300b), since the receiving
제4단계(S400b), 상기 수용부(10)내에 기수용되 있는 알코올(A) 상기 유입된 우유(B)를 혼합시킨 후 관찰한다.In the fourth step (S400b), the alcohol (A) that is banned in the receiving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판별기는 상기 유입공(22)의 상기 개폐부재(24)를 떼어내고, 상기 유입공(22)을 상기 우유(B)에 입수시키며, 상기 피스톤(30)을 작동시켜 상기 수용부(10) 외면에 형성된 눈금까지 상기 우유(B)를 유입시킨다.Meanwhile, the simpl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 removes the opening / closing
상기와 같이 알코올과 우유가 혼합 반응하면 신선하고 산패되지 않은 우유는 음성(무침전)으로 나타나며, 세균에 의해 산이 생성된 우유, 칼슘, 마그네슘, 인산, 구연산의 비율이 정상이 아닌 우유, 초유, 말기유, 유방염유, 환원유(분유를 물어 풀어서 제조한 액상우유), 젖소의 신진대사 장애로 인한 우유, 고름우유(체세 포 1000만 이상/㎖)는 양성(침전)이 나타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lcohol and milk are mixed and reacted, the fresh and unripe milk is negative (no precipitation), and the acid produced by bacteria, milk, colostrum, Horse oil, breast milk, reducing milk (liquid milk prepared by loosening milk powder), milk due to metabolic disorders of cows, pus milk (more than 10 million cells / ml) are positive (precipit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 따르면 간단하게 우유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which can simply determine the state of mil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 따르면 일반 소비자들도 우유의 상태를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substance state discriminator that can determine the state of milk accurately with a simple method of use.
즉, 도 1에 도시된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개폐부재를 개방하고 수용부를 눌러 공기를 뺀 후에 우유에 담금으로써 입구부의 모세관 현상 및 수용부 복원력에 의해 우유가 유입되므로 누구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판별기를 제공하게 된다. That is, the simple state discriminator shown in Fig. 1 is a simple discrimination tha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because the milk is introduc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inlet portion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inlet by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releasing the air by pressing the accommodating part and immersing it in the milk. Will provide a flag.
또한 제1실시예의 간이판별기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우유의 양을 유입시켜 반응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cale is displayed on the simple discriminator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ct by introducing the correct amount of milk.
또한, 도 2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판별기에서는 유입될 우유의 양에 해당되는 체적만큼 미리 진공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우유에 유입부를 담그고 단지 개폐 테이프만 떼어내면 정확한 분량의 우유가 유입되어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우유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imple determ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The condition of the milk can be determined with a simple operation.
또한, 도 3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판별기는 주사기 형태로 형성되었으므로, 눈금에 따라 피스톤을 조작하여 정확하게 우유를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imple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yringe, milk can be precisely introduced by operating the piston according to the scale.
또한, 본 발명의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는 밀폐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알코올등 의 테스트물이 증발하거나 변질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ubstance state simple discrimi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led, the test article such as alcohol does not evaporate or deteriorate, thereby enabling long-term storage.
또한 수용부는 투명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육안으로 누구든지 반응결과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ecause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yone can easily determine the reaction result with the naked eye.
또한 색소가 첨가되어 투명성 있는 재질의 수용부 내에서 발생되는 응집 반응 결과를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observe the result of the aggregation reaction gener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added pigment.
또한 개폐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실험 전 조작부주의로 간이판별기를 측방향, 역방향으로 잡은 경우에도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입구부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알코올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imple discriminator is hel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with care of the operation part before the experimen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pen, alcohol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inlet part unless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상태 간이판별기에는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알코올이 테스트물로 수용되어 있으며, 용기 자체도 저렴한 일반 합성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저렴하므로 안전하고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물질상태 간이판별기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mple state of matter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eap and harmless alcohol is contained as a test object, the container itself is a disposable material that can be safely and easily purchased and used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ecause it uses a cheap synthetic resin It will provide a state discriminator.
또한 간이판별기를 사용하여 누구든지 간편하게 우유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유통기간 이내의 우유이지만 변질된 우유, 고름우유 등과 같은 이상유를 판별할 수 있는 바, 음용 직전 간단히 실험을 통해 언제나 신선한 우유를 음용할 수 있게 되며, 한편 유통기간은 지났지만 보관이 잘 된 우유는 폐기하지 않고 음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된다.
In addition, anyone can easily determine the state of milk by using a simple discriminator, it is milk within the distribution period, but can identify abnormal milk such as deteriorated milk, pus milk, etc. It is possible to drink, while the shelf life has passed, but well-kept milk can be consumed without being discarded, which is very economically useful.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3546A KR100574799B1 (en) | 2004-02-27 | 2004-02-27 |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3546A KR100574799B1 (en) | 2004-02-27 | 2004-02-27 |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7622A KR20050087622A (en) | 2005-08-31 |
KR100574799B1 true KR100574799B1 (en) | 2006-04-27 |
Family
ID=3727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3546A KR100574799B1 (en) | 2004-02-27 | 2004-02-27 |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4799B1 (en) |
-
2004
- 2004-02-27 KR KR1020040013546A patent/KR10057479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7622A (en) | 2005-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18630B2 (en) | Blood test kit and blood analysis method | |
US7472797B2 (en) | Container for collecting and storing breast milk | |
US10702250B2 (en) | Sample collection device | |
CN110088013B (en) | Device for monitoring food freshnes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JP6522556B2 (en) | Blood test kit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20305514A1 (en) | Baby bottle with mixing device | |
CN106461643B (en) | Tradable testing element retainer | |
KR100574799B1 (en) | Simple tester for checking milk's condition | |
WO2018124275A1 (en) | Blood test kit and blood analysis method | |
US6187556B1 (en) | Composition,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Helicobacter pylori in biopsy | |
US20190011436A1 (en) | A method for in situ detection of breastmilk spoilage | |
WO2017006961A1 (en) | Blood test kit and blood analysis method | |
US20070059678A1 (en) | Breast milk contaminant detection device | |
US4247634A (en) | Culture cup and method for sampling and microbial-count determination | |
Judkins | The Principles of Dairying, Testing and Manufactures | |
CN105815003A (en) | Method for judging seed activity based on microcosmic dynamic molecular flow detection technology | |
KR20180130965A (en) | Container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ternal drinks | |
US20230070210A1 (en) | Simulation Model Sample for Evaluation of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Evaluating Heat Treatment Using Simulation Model Sample | |
WO2008105764A2 (en) | Breast milk contaminant detection device | |
Barthel | Methods used in the examina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 |
WO2018124273A1 (en) | Blood analysis method and blood test kit | |
Palmer | Laboratory experiments in dairy chemistry | |
Delahunty et al. | Volatile compound release during consumption: a proposed aroma stimulus index | |
JP3150643U (en) |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kit | |
CN204008217U (en) | Container for inspection and feces collectio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