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81B1 -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 Google Patents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681B1
KR100572681B1 KR1020040043481A KR20040043481A KR100572681B1 KR 100572681 B1 KR100572681 B1 KR 100572681B1 KR 1020040043481 A KR1020040043481 A KR 1020040043481A KR 20040043481 A KR20040043481 A KR 20040043481A KR 100572681 B1 KR100572681 B1 KR 10057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reverse
unit
input
forwar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8372A (en
Inventor
한대현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to KR102004004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681B1/en
Publication of KR2005011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2Two-wa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의용 시스템의 접속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유닛들이 병렬 접속된 회의용 시스템에서 접속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의 감쇄를 방지하여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단일 신호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양방향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회의용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units of the conference system, in particula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in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single signal transmission cable By allowing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attenuation of the control signal can be prevented to accurately control a plurality of connected units connect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units connected in parallel using a single signal transmission cable can be obtained. It provides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that can easily build a conference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accurately in both directions.

병렬접속, 회의용 시스템, 신호전송케이블, 단일라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Parallel connection, Conference system, Signal transmission cable, Single lin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Description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도 1은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갖는 신호전송케이블을 통하여 제어신호의 양방향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무한유닛 병렬결합 회의용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inite unit parallel coupled confere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enable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having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도 2는 도 1의 무한유닛 병렬결합 회의용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유닛의 블록구성도,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enable amplification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line of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the infinite unit parallel combination conference system of FIG.

도 3은 도 2의 마이크유닛에서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처리부의 상세 회로도,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amplify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line of a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the microphone unit of FIG. 2;

도 4는 도 3의 제어신호 처리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의 상세 회로도.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메인컨트롤러 200: 마이크유닛100: main controller 200: microphone unit

210: MCU 220: 음성처리부210: MCU 220: voice processing unit

230: 제어신호 처리부 231, 236: 스위칭용 트랜지스터230: control signal processor 231, 236: switching transistor

232, 235: 다이오드 233, 234: 증폭용 트랜지스터232, 235: diodes 233, 234: amplifying transistors

240: 키입력부 250: 표시부240: key input unit 250: display unit

260: 마이크 270, 280: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260: microphone 270, 280: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300: 신호전송케이블 310, 320: 신호전송케이블 플러그300: signal transmission cable 310, 320: signal transmission cable plug

본 발명은 회의용 시스템의 접속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유닛들이 병렬 접속된 회의용 시스템에서 접속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의 감쇄를 방지하여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단일라인의 신호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양방향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회의용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units of the conference system, in particula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in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single signal transmission cable By allowing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attenuation of the control signal can be prevented to accurately control the multiple connection units connected in parallel, and multiple connections connected in parallel using a single line signal transmission c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that can easily construct a conference system that can accurately control units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는 회의용 시스템 설치 시, 신호전송케이블로 병렬 접속되는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의 내부회로에 구현되는 것으 로서, 상기 신호전송케이블을 구성하는 신호 전송라인들 중 제어신호 전송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을 각기 할당된 단일라인에서 양방향으로 증폭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n internal circuit of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when a conference system is installed, and a control signal among the signal transmission lines constituting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The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can be amplified in both directions in the allocated single line to be transmitted.

일반적으로 회의용 시스템은 회의를 원활하게 하는 마이크 음향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사용용도, 회의진행방법 그리고 품질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모든 참석자들의 좌석 앞 데스크에 어떤 프로그램된 마이크유닛들을 다수 설치하게 된다. Generally speaking, a conference system refers to a microphone sound system that facilitates a conference. There are many types of conference system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 method of meeting, and the quality of the conference. Many units will be installed.

이러한 회의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참석자들을 위한 다수의 마이크유닛(200)과, 회의를 진행하는 의장용 마이크 및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1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ferenc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for a plurality of participants, a chairman microphone for conducting a conference, and a main controller 100 for controlling the system as a whole.

또한, 상기 회의용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을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유닛(200)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기 위해 상기 메인컨트롤러(100)와 다수의 마이크유닛(200)간에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 전송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신호전송케이블(300)이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conference system controls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and controls between the main controller 100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to amplify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of the microphone unit 200.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of various forms for signal and voice signal transmission is connected.

이에 따라, 종래의 회의용 시스템은 회의 참석자들의 숫자에 맞는 수의 마이크유닛들과 테이블 스탠드로 연결되는 기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모든 마이크유닛들을 신호전송케이블을 통하여 믹서 및 앰프에 연결함으로써, 조작자가 믹서조정 혹은 앰프의 출력레벨을 조정하고, 전체 마이크유닛 또는 특정 마이크유닛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conference system constitutes a basic system that connects the number of microphone units and the table stand to the number of conference participants, and connects all the microphone units to the mixer and the amplifier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such as adjusting or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amplifier, turning on or off the entire microphone unit or a specific microphone unit.

이러한 회의진행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이 접속되는 회의용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기술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그 권리가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321695호 및 제321696호에 기재되어 있다. Appropriate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conference system having various functions for proceeding such a conference and to which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are connected is describ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321695 and 321696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ntitled to such a conference system. It is.

상기 실용신안등록들에 기재된 기술에 따른 회의용 시스템은 간편한 네트워크 구성으로 음성신호의 이득저하 없이 마이크유닛 등의 입력부하들을 유한 및 무한 병렬접속 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onferenc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s allows a simple network configuration to connect finite and infinite parallel input loads, such as a microphone unit, without reducing the gain of the voice signal.

상기 기술에 따른 회의용 시스템은 입력부하들의 유한 또는 무한 병렬접속 시, 이득의 저하현상 없이 음성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메인컨트롤러 또는 의장용 마이크유닛에서 병렬접속 된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병렬 접속되는 마이크유닛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그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제어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conference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normally transmits a voice signal without deterioration of gain when finite or infinite parallel connection of input loads is performed. However,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to control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main controller or the chairman microphone unit is weakened as the number of the microphone units connected in parallel increases, so that the control function can be properly performed. The problem arises that there is n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회의용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전압을 높이거나, 마이크유닛마다 트랜지스터나 포토트랜지스터 또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결합기(Photo Coupler) 등의 증폭소자를 구성하여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사용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by increasing the input voltag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ference system, or by forming an amplifier such as a photo coupler using a transistor, a phototransistor or a photodiode for each microphone unit, the control signal Was used to amplify.

그러나,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종래의 신호전송케이블은 하나의 제어신호에 대하여 각기 하나의 전송선로를 할당하여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 증폭작용을 수행하는 증폭소자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증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 증폭하여 전송할 수 없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cable for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 both directions by allocating one transmission line to each control signal, so that an amplification element that performs a simple amplification operation is used. When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cannot be amplified and transmitted in both directions.

뿐만 아니라, 회의용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전압을 높이는데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았다.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to increase the input voltag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ference system, and there are many inefficient parts.

따라서, 마이크유닛들이 무한 병렬 접속되는 회의용 시스템에서 종래의 신호전송케이블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신호전송케이블이 제공하는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 증폭 전송할 수 있는 회로가 요망된다. Accordingly, a circuit capable of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ly through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provided by a signal transmission cable while using a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microphone units are connected in infinite parallel is desired.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의용 시스템에서 병렬접속 된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 및 전송할 수 있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capable of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connected in parallel in a conference system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of a signal transmission cable. To provide an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일 제어신호 라인으로 구성된 신호전송케이블을 통하여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이 병렬 접속되는 회의용 시스템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composed of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상기 마이크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출력하는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와; A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forward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crophone unit,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상기 마이크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입 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출력하는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와; A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revers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crophone unit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 중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로 되돌림되는 일부 순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고,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의 입력 시, 기 입력된 순방향 제어신호가 있으면,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는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와; If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cation unit to return to some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if there is already input forward control signal, the reverse direction A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for ground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는 통과시키고, 입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는 차단하는 역방향 제어신호 차단부와; A reverse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which passes the forward control signal and blocks an input reverse control signal;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 중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로 되돌림되는 일부 역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고,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의 입력 시, 기 입력된 역방향 제어신호가 있으면,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는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와;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the reverse control signal returned to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is grounded, and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is input, if there is a previously input reverse control signal, the forward direction A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for ground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는 통과시키고, 입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는 차단하는 순방향 제어신호 차단부와; A forward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which passes the reverse control signal and blocks an input forward control signal;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each component.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고, In this case, in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is any one of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 photo coupl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orward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Implemented,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nd a photo coupl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In addition, in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is implemented as a transistor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a transistor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revers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의 출력단과 플러스 단자가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과 연결되는 다이오드로 구현되고, In addition, in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is a di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cation unit and the positive terminal, the negativ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Implemented,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의 출력단과 플러스 단자가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과 연결되는 다이오드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The reverse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i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and a plus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갖는 신호전송케이블을 통하여 제어신호의 양방향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무한유닛 병렬결합 회의용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컨트롤러(100), 마이크유닛(200) 및 신호전송케이블(300)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inite unit parallel coupled confere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enable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having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as shown in FIG. It is composed of a microphone unit 20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도 2는 도 1의 무한유닛 병렬결합 회의용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유닛의 블록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컨트롤러(100) 및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 간의 결합은 각각 구비되는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270, 280)에 상기 신호전송케이블(300)이 연결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icro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enable amplification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line of a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the infinite unit parallel combination conference system of FIG.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s 270 and 280 provided between the main controller 100 and the microphone units 200.

상기 마이크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Multi Control Unit, 14비트마이크로프로세서)(210), 음성처리부(220), 제어신호 처리부(230), 키입력부(240), 표시부(250) 및 마이크(26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microphone unit 200 includes a MCU (Multi Control Unit, 14-bit microprocessor) 210, a voice processor 220, a control signal processor 230, a key inputter 240, and a display unit. And a microphone 260.

상기 MCU(210)는 상기 키입력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 및 상기 음성처리부(220)와 제어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전송케이블(270, 280) 및 상기 표시부(250)를 해당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The MCU 210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240 and a voice signal and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processor 220 and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3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s 270 and 280 and the display unit 250 transmit corresponding voice signals and control signals.

상기 키입력부(240)는 마이크유닛(200)의 ON/OFF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키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대응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The key input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cluding an ON / OFF switch of the microphone unit 200,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in response to a user's key input through the key button.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키입력부(24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마이크유닛(200)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LED, 마이크유닛(200) ON LED, RESET LED 등으로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250 output LED, microphone unit 200 ON LED, RESET LED, etc.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microphone unit 200 in response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 input unit 240 It consists of.

상기 음성처리부(220)는 상기 마이크(26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소정기준에 따라 신호처리한다. The voice processor 220 processe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26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한편, 상기 신호전송케이블(300)은 상기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을 결합하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 중 이웃하는 마이크유닛(200) 및 메인컨트롤러(100)를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과 상기 메인컨트롤러(100)간의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라인을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and the neighboring microphone unit 200 and the main controller 100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the plurality of It provides 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voice signal and a control signal between the microphone unit 200 and the main controller 100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전송케이블(300)은 전원공급라인(PIN 6), 제어신호라인(PIN 1, 2, 3), 데이터신호라인(PIN 4) 및 음성신호라인(PIN 7, 9) 및 접지라인(PIN 5, 8)을 동시 수용하는 D-SUB 9핀 철(凸)형 커넥터(MALE)(310) 및 요(凹)형 커넥터(FEMALE)(320)를 양단에 각각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PIN 6), a control signal line (PIN 1, 2, 3), a data signal line (PIN 4) and a voice signal line (PIN 7). , 9) and D-SUB 9-pin ferrous connector (MALE) 310 and yaw-type connector (FEMALE) 320, respectively, for accommodating ground lines (PIN 5, 8) simultaneously Equipped.

상기 메인컨트롤러(100) 및 마이크유닛(200)간에 동일한 신호전송케이블(300)을 사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마이크유닛(200)들이 병렬 결합된 회의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또한 간편하다. As the same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is used between the main controller 100 and the microphone unit 200, in constructing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in parallel, very fast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maintai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각기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일 제어신호 라인(PIN 1: COUNTER OVER, PIN 2: CONTROL, PIN 3: ALL OFF)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제어신호를 증폭 및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신호전송케이블(300)이 갖는 설치 및 유 지보수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PIN 1: COUNTER OVER, PIN 2: CONTROL, PIN 3: ALL OFF) for transmitt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in both directions Since the control signal can be amplified and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cable 300 as described abov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3 and 4,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2의 마이크유닛에서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처리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신호 처리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amplify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line of a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the microphone unit of FIG. 2, and FIG. 4 is a control signal processor of FIG. 3.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신호 처리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제어신호들이 단일 제어신호 라인(PIN 1: COUNTER OVER, PIN 2: CONTROL, PIN 3: ALL OFF)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각각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30 amplifies and transmits different control signals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PIN 1: COUNTER OVER, PIN 2: CONTROL, PIN 3: ALL OFF). Each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230)는 그 기능에 따라, 순방향/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 순방향/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 순방향/역방향 차단부 및 전원공급부로 구분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forward /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a forward /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a forward / reverse block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its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기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저항(R1 - R7)과 트랜지스터(231, 233, 234, 236) 및 다이오드(232, 235)로 구현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각 소자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소자로 대체하는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is shown in Figure 4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 plurality of resistors (R1-R7), transistors 231, 233, 234, 236 and diodes (232, 235) Although implemented,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well known that other embodiments can be replaced by another device that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performed by each device.

특히,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3)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 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4)도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233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nd a photo coupler that amplify and output the forward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234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nd a photo coupler that amplify and output the reverse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36)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3)에서 증폭, 출력되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transistor 236.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is turned on /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233. Is off.

상기 트랜지스터(236)는 n2의 증폭된 순방향 제어신호 S1의 제어에 따라 온(ON)되어,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되돌림되는 일부 순방향 제어신호가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4)로 입력되지 않도록 접지시킨다. The transistor 236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mplified forward control signal S1 of n2, so that a partial forward control signal returned during the output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234. Ground to prevent input.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236)는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입력된 후,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발생한 경우에, n2의 증폭된 순방향 제어신호 S1에 따라 온(ON)되어, 늦게 입력되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를 접지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generated after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input, the transistor 236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mplified forward control signal S1 of n2, and the lat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input late. Ground.

즉,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입력될 시, 기 입력된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있으면, 상기 기 입력된 순방향 제어신호 S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를 접지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input,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grounds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eviously input forward control signal S1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input.

또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31)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4)에서 증폭, 출력되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된다. In additio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transistor 231, as shown in Figure 4,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234. It is turned on / off.

상기 트랜지스터(236)는 n1의 증폭된 역방향 제어신호 S2의 제어에 따라 온(ON)되어,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되돌림되는 일부 역방향 제어신호가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3)로 입력되지 않도록 접지시킨다. The transistor 236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amplified reverse control signal S2 of n1, and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233 receives some reverse control signals returne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Ground to prevent input.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231)는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입력된 후,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발생한 경우에, n1의 증폭된 역방향 제어신호 S2에 따라 온(ON)되어, 늦게 입력되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을 접지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generated after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input, the transistor 231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mplified reverse control signal S2 of n1, and the lat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input late. Ground.

즉,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마이크유닛(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270)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유닛(200)을 제어하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입력될 시, 상기 마이크유닛(2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280)을 통하여 기 입력된 상기 마이크유닛(200)을 제어하는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있으면, 상기 기 입력된 역방향 제어신호 S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을 접지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receives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unit 200 through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2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crophone unit 200, If there is a reverse control signal S2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unit 200 previously inputted through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28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crophone unit 200,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previously input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grounded.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233)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입력될 시, 기 입력된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없으면,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을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 출력하기 위하여 npn형 제1 트랜지스터로 증폭시키고, 상기 npn형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pnp형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입력신호로 인가하여 증폭시키는 2단 트랜지스터 증폭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input,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233 amplifies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when there is no input backward control signal S2 and through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In order to amplify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inputted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it is amplified by the npn type first transistor, and the collector output signal of the npn type first transistor is the base of the pnp type second transistor.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 two-stage transistor amplifier that is applied as an input signal and amplified.

한편,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엘이디(LED)와, 상기 엘이디의 광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광결합기로도 구현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coupler consisting of an LED (LED)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and a phototransistor for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of the LED into a current signal,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current signal. .

또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입력될 시, 기 입력된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없으면,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270)을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와 동일하게 2단 트랜지스터 증폭기 또는 광결합기로 구현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input,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amplifies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when there is no previously inputted forward control signal S1, and then converts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270 into the reverse signal. It performs a function to output through, and is implemented as a two-stage transistor amplifier or optical coupler in the same way as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이 입력된 후, 역방향 제어신호 S2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를 차단하고, 이를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이오드(235)나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verse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s input and then receiv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and apply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to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235 or a transistor is preferable.

또한, 순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S2가 입력된 후, 순방향 제어신호 S1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S1을 차단하고, 이를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이오드(232) 또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In addition, the forward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after the reverse control signal S2 is input, if there is an input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forward control signal S1 and applying it to the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It is implemented with a diode 232 or a transist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는 회의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을 무한 병렬 접속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기존의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하여 전송함으로써 회의용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control the system through the existing single control signal line even in the infinite paralle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constituting the conference system By amplifying and transmitting in both directions, the conferencing system can be easily constructed, and the system can be controlled accuratel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닛들이 병렬 접속된 회의용 시스템에서 접속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신호전송케이블의 단일 제어신호 라인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증폭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의 감쇄를 방지하여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s in both directions through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of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in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reby attenuating the control sig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control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connected in parallel by preventing the.

또한, 본 발명은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들을 양방향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회의용 시스템을 종래의 신호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build a conference system that can accurately control a plurality of parallel connected units in both directions using a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cab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회의용 시스템에 마이크유닛을 무한병렬 접속 하더라도, 전체 회의용 시스템의 제어가 용이하며, 새로운 케이블의 설치 없이 회의용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고, 그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icrophone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conference system, it is easy to control the entire conference system, can easily build the conference system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new c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use the function. .

Claims (7)

단일 제어신호 라인으로 구성된 신호전송케이블을 통하여 다수의 마이크유닛들이 병렬 접속되는 회의용 시스템에 있어서, In a confer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cable composed of a single control signal line, 상기 마이크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출력하는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와; A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forward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crophone unit,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상기 마이크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을 통하여 출력하는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와; A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revers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crophone unit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 중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로 되돌림되는 일부 순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고,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의 입력 시, 기 입력된 순방향 제어신호가 있으면,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는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와; If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cation unit to return to some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if there is already input forward control signal, the reverse direction A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for ground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는 통과시키고, 입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는 차단하는 역방향 제어신호 차단부와; A reverse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which passes the forward control signal and blocks an input reverse control signal;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 중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로 되돌림되는 일부 역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고,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의 입력 시, 기 입력된 역방향 제어신호가 있으면,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를 접지시키는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와;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the reverse control signal returned to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ying unit is grounded, and when the forward control signal is input, if there is a previously input reverse control signal, the forward direction A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for ground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는 통과시키고, 입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는 차단하는 순방향 제어신호 차단부와; A forward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which passes the reverse control signal and blocks an input forward control signal;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each compon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And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nd a photo coupl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orward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는,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를 입력 위상과 동일한 위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2단 반전 증폭기, 2단 트랜지스터, 포토 커플러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And a two-stage inverting amplifier, a two-stage transistor, and a photo coupl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reverse control signal in the same phase as the input ph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verse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순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 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transistor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스위칭부는, 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forward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역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stor i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상기 순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의 출력단과 플러스 단자가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제2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과 연결되는 다이오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rward control signal amplifier and the plus terminal is connected, the negative terminal is implemented with a diode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차단부는, The method of claim 1 or 6, wherein the reverse control signal blocking unit, 상기 역방향 제어신호 증폭부의 출력단과 플러스 단자가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제1 신호전송케이블 접속잭과 연결되는 다이오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양방향 증폭전송 회로. A control signal bidirectional amplification transmis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verse control signal amplifier and the plus terminal is connected, the negative terminal is implemented with a diod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jack.
KR1020040043481A 2004-06-14 2004-06-14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KR100572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81A KR100572681B1 (en) 2004-06-14 2004-06-14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81A KR100572681B1 (en) 2004-06-14 2004-06-14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72A KR20050118372A (en) 2005-12-19
KR100572681B1 true KR100572681B1 (en) 2006-04-24

Family

ID=3729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81A KR100572681B1 (en) 2004-06-14 2004-06-14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6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374A (en) 1997-12-19 1999-07-09 Miharu Tsushin Kk Bi-directional amplifier for catv
JPH11355739A (en) 1998-04-10 1999-12-24 Anten Kk Two-way amplifier for catv
JP2003338793A (en) 2002-05-20 2003-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its supervisory method
US6686875B1 (en) 2002-10-04 2004-02-03 Phase Iv Systems, Inc. Bi-directional amplifier module for insertion between microwave transmission chann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374A (en) 1997-12-19 1999-07-09 Miharu Tsushin Kk Bi-directional amplifier for catv
JPH11355739A (en) 1998-04-10 1999-12-24 Anten Kk Two-way amplifier for catv
JP2003338793A (en) 2002-05-20 2003-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its supervisory method
US6686875B1 (en) 2002-10-04 2004-02-03 Phase Iv Systems, Inc. Bi-directional amplifier module for insertion between microwave transmission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72A (en)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8573B2 (en)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47712A1 (en) Scalable,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fully connected network intercom system
US4491694A (en) Telephone to stereo amplifier interface coupling
JP2009535877A (en) Assembly to enable power-over-Ethernet connection
JP4622656B2 (en) Intercom system for housing complex
KR100572681B1 (en) Circuit for duplex amplifying an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US10547919B2 (en) Ethernet switch for fiberoptic network
US10587946B2 (en) Headphone with adaptive controls
CN110248143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unit meeting management system
JP2002051105A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502657B1 (en) Conference system embedded audio power amplifier
KR910006607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unbalanced communication paths
ATE3933T1 (en) BUTTON CONTROLLED INTERCOM, INTERCOM OR SPEAKERPHONE.
KR101946900B1 (en) Media peripherals Wireless connection system
KR100454940B1 (en) Apparatus for the connection betwee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main audio devices or ear microphone audio devices
CN214070025U (en) Photoelectric matrix KVM seat system
JPH09307990A (en) Signal input output circuit for audio equipment
CN210781303U (en) Sound system and electronic system
CN211860090U (en) Communication device for intercom system
US20100056064A1 (en) Apparatus for multi-party conversation
WO2007047001A2 (en) Amplifier with passive data port for continuous voip
JP2006270842A (en) Circuit for switching transmission direction of video signal, video image controller, device for switching transmission direction of signal for video image controller,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of video signal
JP2007235219A (en) Interphone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US20130279688A1 (en) Interface circuit and main device
KR100502656B1 (en) Multi-point controllable confer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