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700B1 -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700B1
KR100571700B1 KR1020030057490A KR20030057490A KR100571700B1 KR 100571700 B1 KR100571700 B1 KR 100571700B1 KR 1020030057490 A KR1020030057490 A KR 1020030057490A KR 20030057490 A KR20030057490 A KR 20030057490A KR 100571700 B1 KR100571700 B1 KR 10057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main body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70423A (en
Inventor
세가와시로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05B65/0078Safety means for persons trapped within the safe, e.g. release from inside, ven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al W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문에 핸들을 설치하여, 기둥 등 본체에 빗장을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문의 내부에 핸들의 후크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기초판과 앞부분에 빗장을 설치한 조작판을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하고, 긴급시에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 밖으로 탈출가능하게 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통상 외측으로부터 문안에 출입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긴급시에 문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가능한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한다.In the door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door to fasten or peel off the main body such as a pillar, the spring is placed on the base plate which is rotat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ok of the handle in the door and the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the latch on the front part. An internal disengagement device for a door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door, and moves the operation panel horizontally in an emergency to remove the latch from the main body so as to escape from the door. In a door structure which normally enters and exits a door from the outside, an internal unlocking device is provided which can escape out of the door in an emergency.

해정장치, 조작판, 빗장, 가이드 판, 조작 핀, 작용 핀Release device, operation panel, latch, guide plate, operation pin, action pin

Description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도 1은, 문 속에 있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or.

도 2는, 도 1을 긴급시에 문 안에서 탈출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escaping FIG. 1 from the door in an emergency.

도 3은, 도 1에 있는 통상시의 문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 door opening state in FIG. 1. FIG.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과는 별도의 실시예인 본 발명 장치의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mbodiment separate from the above FIGS. 1 to 3.

도 5는, 도 4를 이용한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perspective state using FIG. 4. FIG.

도 6은, 도 5를 긴급시에 문 안에서 탈출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일부 투시상태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escaping FIG. 5 from the door in an emergency. FIG.

도 7은, 종래의 평면 핸들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lat handle.

도 8은 도 7을 이용한 문의 빗장이 본체에 걸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atch of the door using FIG. 7 is hung on the main body.

도 9는, 도 7로부터 평면 핸들의 핸들을 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andle of the plane handle is raised from FIG. 7. FIG.

도 10은, 도 9에 있는 문의 빗장이 본체로부터 벗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bar in FIG. 9 peeled off from the main body. FIG.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 기초체 2, 2' : 가이드 판1: basic body 2, 2 ': guide plate

3 : 조작판 4 : 스프링3: operation panel 4: spring

5 : 후크 부 6 : 구름모양 구멍5: hook part 6: cloud-shaped hole

7 : 조작 핀 8 : 작용 핀7: operation pin 8: action pin

11, 11' : 문 13 : 본체11, 11 ': Door 13: Body

14 : 본체의 세로로 긴 홈 15 : 빗장14: Long vertical groove of the body 15: Latches

본 발명은, 평면 핸들이나 레버 핸들등 외측 핸들을 문의 외측으로부터 돌려서, 몸체나 케이스체 또는 기둥 등의 본체로부터 빗장을 벗겨서, 문을 개폐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문의 내측으로부터에서도 긴급탈출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解錠裝置)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turning an outer handle such as a flat handle or a lever handle from the outside of a door, peeling off a body from a body, a case body or a main body such as a pillar, and the like. It relates to a decommissioning device.

종래의 레버 핸들은, 일본국 특개 2003-3700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9-32382호 공보 등이나, 첨부 도면의 도 7내지 도 10과 같이, 문짝면과 대략 동일면으로서의 평면 핸들을 원칙으로 하여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핸들을 조작하여(열쇠 있는 것과 열쇠 없는 것이 있다), 문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 평면 핸들과는 별개로, 특개평 6-346641호 공보 등의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한 레버 핸들 등 문짝면으로부터 돌출한 핸들을 조작하여 문 안으로 들어가는 것도 존재하였다.Conventional lever handles, in principle, such a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700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32382, and Figs. The handles were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with keys and keys) to get inside the door. Apart from this flat handle, there existed a door which handled the door which protruded from the door surface, such as the lever handle which protrud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346641, etc., and entered into the door.

상기 평면 핸들의 종래예를, 첨부한 도 7 내지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이 들 그림 중 도 7은 잠그기 전의 평면 핸들(50)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 핸들(50)을 문(51)에 부착하여, 그 빗장(59)을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52)에 걸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로부터 후크(53)를 매단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핸들(50)을 문에 부착하여 본체로부터 빗장(59)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The conventional example of the said flat handle is demonstrated with attached FIGS. 7-10.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t handle 50 before locking, and FIG. 8 attaches the flat handle 50 of FIG. 7 to the door 51, and attaches the latch 59 to a fixed side such as a colum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hanged on the main body 52. FIG. 9 shows the hook 53 being disconnected from the state of FIG. 7, and FIG. 10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flat handle 50 of FIG. 9 is attached to the door and the latch 59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도 7에서는, 평면 핸들(50)의 케이스체(54)에 나사구멍(55, 56)을 가지고, 이것들에 도 8에 도시한 나사(57, 58)를 끼워서 문(51)에 붙인다. 여기서, 평면 핸들(50)이 문(51)의 세로로 긴 홈(65)과 본체(50)의 세로로 긴 홈(66)에 빗장(59)이 걸려지고, 문(51)을 본체(50)에 잠근 상태를 설명한다. 핸들(60)은 열쇠에 의해 판을 케이스체(54)에 당겨서 거는 것으로(도시생략), 스프링(61)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핸들(60)은 케이스체(54)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열쇠를 회전하여 판을 돌려서, 판을 케이스체(54)보다 벗어나게 하여도 핸들(60)은 스프링(62)이 케이스체(54)에 전후방향으로 피벗 부착되어 있는(도시생략) 누름 버턴(67)을 시계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것으로, 노치부(63)에서, 핸들(60)은 그 축(64)에 부착한 스프링(61)에 대항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는다.In FIG. 7, the screw holes 55 and 56 are provided in the case body 54 of the planar handle 50, and the screws 57 and 58 shown in FIG. 8 are inserted in these, and it attaches to the door 51. As shown in FIG. Here, the flat handle 50 is latched to the longitudinal groove 65 of the door 51 and the longitudinal groove 66 of the body 50, the latch 59 is engaged, the door 51 is the main body 50 Explain the state of locking. The handle 60 pulls the plate to the case body 54 by a key (not shown), and the handle 60 is housed in the case body 54 against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61. In this state, even if the plate is rotated by turning the key so that the plate is displaced from the case body 54, the handle 60 is pushed with the spring 62 pivotally attached to the case body 54 in the front-rear direction (not shown). By pressing the button 67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notch portion 63, the handle 60 maintains a state against the spring 61 attached to the shaft 64 and does not move.

다음에, 상기 도 7과 도 8에서, 고정한 핸들(60)을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60)을 올리고 축(6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크(53)에 의해, 빗장(59)을 본체(52)의 세로로 긴 홈(66)으로부터 벗겨서 문(51)을 본체(52)로부터 개방한다.Next, in Figs. 7 and 8,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xed handle 60 is raised by the hook 53 which raises the handle 60 and rotates clockwise on the shaft 61. The latch 59 is removed from the longitudinally long groove 66 of the main body 52 to open the door 51 from the main body 52.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쇠를 열어서 자물쇠를 케이스체(54)로부터 벗긴 후의 핸들(60)은 도 7과 도 8의 상태에 있지만, 이 상태에서 누름 버턴(67)을 스프링(6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도 9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 누름 버튼(67)이 스프링(62)의 축(68)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노치부(63)에서 걸어맞춤 하고 있는 핸들(60)은 누름 버튼(67)으로부터 벗겨지고, 스프링(61)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60)은 튀어 오른다. 이 핸들(60)의 튀어 오름에 의하여 후크(53)는 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려간다. 이 후크(53)가 내려가서, 평면 핸들의 케이스체(54)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빗장(59)은 나사(70)를 중심으로 나사(71)가 구름모양의 구멍부(69) 안의 아래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시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빗장(59)은 본체(52)의 세로로 긴 홈(66)으로부터 벗겨지고, 문(51)은 핸들(60)이 나가는 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60 after the key is opened and the lock is removed from the case body 54 is in the state of FIGS. 7 and 8, but in this state, the push button 67 is pressed against the spring 62.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9 against the push button 67, the handle 60 engaged with the notch 63 is rotated about the axis 68 of the spring 62. Peeled from the push button 67, the handle 60 springs up about the axis by the spring 61. As the handle 60 springs up, the hook 53 rotates clockwise about the shaft 64 and descends. This hook 53 is lowered so that the latch 59 pivotally attached to the case body 54 of the flat handle has the screw 71 at the lower position in the cloud-shaped hole 69 around the screw 70. By turn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until it reaches, the latch 59 is peeled off from the longitudinal groove 66 of the body 52 and the door 51 can be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60 exits. .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은 분전반이나 금고 등 외측으로부터 해정하여서 용이하게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것의, 내측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데도 실수로 열쇠를 걸어 버리거나,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 경우에는, 안쪽으로부터 자물쇠 전방을 분해하는 등 공구를 사용하여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지만, 공구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내부가 어두워서 밖으로 탈출이 곤란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화재 등 긴급시에 신속하게 탈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hing is unlocked from the outside such as a distribution board or a safe and can easily enter the inside, and even if a person enters the inside by mistake, or if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the front of the lock is disassembled from the insid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go out using a tool, such as,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escape outside due to the absence of a tool or the inside is dark, and above all, it is impossible to escape quickly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그 제 1의 목적은 실수로 문이 닫힌 경우에, 암실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ternal disengagement device of a door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escaped to the outside by a simple operation even in a dark room when the door is accidentally clo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소 상태에서는 방의 외부로부터는 해정하여 내부로 들어가지만, 불행히도 자물쇠가 잠겨 있고, 화재가 발생하는 등 비상시에, 방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신속하게 나가는 것이 가능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lock the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room in the usual state, but unfortunately the lock is locked, the door lock internal unlock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exit from the inside of the room to the outside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To provid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맞게 이루어진 것이고, 그 요지는 문의 바깥쪽의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상자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에 조작 핀으로 피벗 부착시킨 기초체와, 이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혹은 가이드 판에 개재(介在)한 스프링과, 상기 기초체에는 상기 빗장을 상기 기초체로부터 걸거나 벗기거나 하기 위해 상기 바깥쪽 핸들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와 함께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구름 모양의 구멍내에 설치하여 상기 빗장을 본체에 거는 위치로부터 벗기는 위치까지 상기 기초체와 조작판의 회전이동거리를 규제하는 작용 핀으로 이루어지고,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handle on the outside of the door to hang or peel the latch on the main body of the fixed side such as a box, a body or a pillar, and to operate the inside of the door. A base plate pivotally attached with a pin, an operation plate having the front cladding bar which is free to slide along the guide plate provided on the base body,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and the base body or guide plate And a hook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uter handle to move up and down in order to hook or peel off the latch from the foundation body, and a cloud-shaped hole provided in the foundation body together with the hook member. Acting to regulate the rotational movement distance of the base body and the operation panel from the position where the latch is to the body to the position where the Made of pins,

평소에는 상기 바깥쪽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조작판을 상기 조작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것과 함께,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미끄럼이동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의 안쪽 표면에 본 발명의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열쇠가 걸려 있는 등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가능하지 않은 경우, 조작판을 스프링에 대항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명과 별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문의 바깥쪽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케이스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부에 조작 핀으로 피벗 부착한 기초체와, 이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에 따라서 미끄럼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또는 가이드 판에 개재한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판을 횡방향 이동하여 사기 빗장을 상기 본체보다 벗어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작판에 맞닿아 세로로 이동시키는 이동간을 상기 문의 안쪽 핸들에 설치한 것에 의해,
평소에는 상기 바깥쪽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조작판을 상기 조작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것과 함께,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가 있다.
Usually, the outer handle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base plate and the operation plate are rotated about the operation pi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ok member to hang or peel off the latch on the main bod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do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bar against the spring by sliding the operation plate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o remove the latch from the main body to push out the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disengagement device of the d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f it is not possible to escape from the inside, such as a key being locked from the outside, the operation panel is simply moved against the spring.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latch from the body.
In an embodiment separate from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or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so that the latch is hung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of a fixed side such as a case body, a body or a pillar, and pivots with an operation pin inside the door. An operation plate having a front base attached to the base plate, and a sliding bar disposed freely along the guide plate provided on the base body,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and the base body or guide plate, and against the spring By moving the operation panel in the lateral direction to move the morale bar out of the main body, by installing a movement between the contact with the operation panel to move vertically to the inner handle of the door,
Usually, the outer handle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base plate and the operation plate are rotated about the operation pi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ok member to hang or peel off the latch on the main body. In case of an emergency, there is an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a do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p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to push out the door by pulling the operation plate against the spring from the inside of the door.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주요부인 기초체와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빗장을 가지는 조작판을, 문의 판두께내에 넣어서 이것을 안쪽 핸들에 부착한 캠 부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도록 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late having a base body,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tch sliding along the guide plate, is moved horizontally by a cam part which is placed in the thickness of the door and attached to the inner handle. The bar was to be removed from the body.

(작용)(Action)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문을 열어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에 있어서,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자물쇠가 걸려 있어도 조작판을 직접 잡아 당겨서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판이 문내에 설치되어 직접 잡아 당기는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문 안쪽의 핸들에 설치한 조작간에 의해, 빗장을 스프링에 대항하여 가로로 이동하여 본체로부터 벗긴다.In the internal release device of the door structure which opens a door from the outside of a door and enters inside, it is possible to pull out a latch from the main body directly by pulling a control panel even if the lock is locked from the outside of a door. In addition, even when the operation panel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the direct pulling operation is impossible, the latch is moved horizontally against the spring and removed from the main body by the operation provided on the handle inside the door.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를 나타낸 일부 투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비상시에 문의 안쪽에서 해정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해정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disengagement apparatus of a door structur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engaging from the inside of a door in an emergency,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engaged state.

도 1에서,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기초체이고, 나사(16, 17)로 문(11)에 표면을 동일면으로 매설되어 있는 평면 핸들(9)의 안쪽에는, 핀으로 한 나사(7)에 의해 기초체(1)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기초체(1)는, 그 상하에 위치하는 좌우로 평행 하게 접어 구부린 가이드 판(2, 2')으로 전체를 채널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하의 가이드 판(2, 2')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 핀(18, 18')이 설치되고, 각 핀은 채널형상의 가이드 판(2,2')이 부착된 기초체(1) 안에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는 조작판(3)의 상하에 설치한 미끄럼 이동판(19, 19')에 설치한 상하 2개의 가로로 긴 홈(20, 20')내를 규제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In Fig. 1, 1 is the basic body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inside of the flat handle 9 in which the surface is flush with the door 11 with screws 16 and 17, the screw 7 is made of pins. The base 1 is pivotally attached by this. The base body 1 is made into the channel shape by the guide plates 2 and 2 'which were bent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located above and below. Two guide pins 18 and 18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 and 2', and each pin is left and right in the base 1 to which the guide plates 2 and 2 'of the channel shape are attached. The upper and lower two horizontally long grooves 20 and 20 'provided on the sliding plates 19 and 19'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iding operation plate 3 are regulated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또한, 조작판(3)에는 구름 모양의 구멍(6)이 뚫려서, 이 구멍에는 종래예인 도 7이나 도 8에 나타난 핸들(60)과 일체로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5)와, 나사로서의 작용핀(8)이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 돌출해 있다.In addition, a cloud-shaped hole 6 is drilled through the operation plate 3, and the hook portion 5 and the screw that ar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handle 60 shown in Figs. The working pin 8 as is protruded in a loose state.

또한 기초판(1)의 내부와 후술하는 조작판(3)과 일체로 설치한 빗장(15)과는 반대쪽의 미끄럼 이동판(19)에는, 인장 스프링(4)의 양단을 고정하여 있는 구멍(22, 23) 부착 돌기(20 및 21)를 설치했다.In addition, holes fixed to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4 are provided on the sliding plate 19 opposite to the latch 15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inside of the base plate 1 and the operation plate 3 to be described later ( 22, 23) The attachment protrusions 20 and 21 were provided.

더욱이, 조작판의 한쪽부(도면상 좌측)에는 문(11)과 세로로 긴 홈(12) 및 이 세로로 긴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13)에 설치한 세로로 긴 홈(14)을 관통하여 문을 본체에 고정했다.
계속하여 상기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Furthermore,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operation panel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3 on the fixed side such as a colum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11 and the longitudinally long groove 12 and the longitudinally long groove 12. The door was fix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longitudinal groove 14.
Subsequently, the internal disengagement apparatus of the d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below.

통상의 상태에서는 문(11)의 바깥쪽에 있는 평면 핸들의 핸들(60)을, 서술한 종래기술에서 기재한 것처럼 튀어 올려서, 핸들 상부에 설치한 후크 부(5)를 구름모양 구멍(6)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리고, 구름모양 구멍에 마주보고 더욱 눌러 내려서 조작판(3)을, 조작 핀(7)을 축으로 하여 구름모양 구멍의 위쪽 변에 작용 핀(8)이 마주볼 때까지 눌러 내린다(도 1 및 도 3). 이와 같이, 통상의 상태에서는 열쇠가 있든 없든 상관없이 핸들을 튀어 올려서, 문(11)을 본체(13)로 부터 열어서 문내로 들어간다. 즉, 이 경우에 문내로부터 바깥쪽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문이 열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In the normal state, the handle 60 of the flat handle on the outside of the door 11 is lifted up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the hook portion 5 provided on the top of the handle is formed in the cloud-shaped hole 6. Push down from the top to face the rolling hole and push it further down to push down the operation panel 3 until the working pin 8 faces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hole with the operation pin 7 as the axis. (FIGS. 1 and 3). In this manner, in the normal state, the handle 11 is rais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re is a key, and the door 11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3 to enter the door. That is, in this cas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to go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단, 안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것을 모르거나 자연상태에서 문을 닫고 핸들을 내려서 자물쇠를 잠근 경우, 지금까지는 도 8의 상태에서 그대로 밖으로 나가지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문의 안쪽으로부터 조작판(3)의 당김쇠인 돌출부(10)를 잡아 당겨 스프링(4)에 대항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당겨서 빗장(15)은 본체(13)에 있는 세로로 긴 홈(14)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에 의해, 그 대로 문(11)을 바깥쪽으로 밀고 나가는 것으로 용이하게 문을 본체로부터 열고 나서 외부로 탈출가능하다.However, when the door is locked in a natural state or the door is locked by lowering the handle in a natural state, it has not been out as it is in the state of FIG. 8 until now,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Pull the protrusion 10, which is the pull of the operation panel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gainst the spring 4 so that the latch 15 exits from the longitudinal groove 14 in the main body 13. As a result, the door 11 can be easily pushed outward to easily open the door from the main body and then escape to the outside.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문구조의 내부 해제장치이고, 평소 상태에서의 문(11')을 본체(13')에 빗장(15)을 건 상태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문의 내부로부터 문을 열어 탈출가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Fig. 5 is an internal release device of a d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11 'in a state of being normally fastened to the main body 13' with a latch 15. It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opened the doo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nd was able to escape.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5 and 6,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평면 핸들(9)은 문(11')에 표면을 동일면으로 매설하고, 그 표면에 채널 형상의 기초체(1)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피벗 부착 위치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기초체(1)의 가이드 판(2, 2')의 안쪽에는 미끄럼 이동판(19, 19')을 설치한 조작판(3)이 좌우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초체(1)와 조작판(3)의 사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인장 스프링(4)이 배치되어, 조작판(3)을 스프링(4)을 당겨서, 도 6에 도시하였듯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으로, 조작판의 선단에 위치한 빗장은 문(11')과 본체(13)의 각각의 세로로 긴 홈(12, 14)을 관통하여, 문(11)을 전체로 고정하고 있다.The planar handle 9 embeds the surface in the same plane on the door 11 ', and the channel-shaped base body 1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surface (pivot attachment position is not shown). Moreover, inside the guide plates 2 and 2 'of the base body 1, the operation board 3 in which the sliding plates 19 and 19' were provide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sliding to the left and righ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tension spring 4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base body 1 and the operation board 3 similarly to Example 1, and the operation board 3 is pulled out by the spring 4, and is shown in FIG. Pu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tch provided at the tip of the operation panel penetrates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nd 14 of the door 11 'and the main body 13 to fix the door 11 as a whole. Doing.

본 실시예가 실시예 1과 다른 구조를 이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평면 핸들(9)의 안쪽에 있는 기초체(1)와 조작판(3) 등은 실시예 1에서는 문(11)의 안쪽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들을 문(11') 안에 매설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판(3)에 설치한 돌출부(10)는 문(11') 속에 있고, 이것을 문(11')의 안쪽으로부터 조작할 수 없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y way of example. First, the base body 1, the operation plate 3, and the like, which are inside the flat handle 9, are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door 11 in the first embodiment. Buried in). Therefore, the protrusion part 10 provided in the operation board 3 exists in the door 11 ', and it cannot operate this from the inside of the door 11'.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인 문(11')이 빗장(15)에 의해 본체(15)에 정지된 상태로 닫혀 있는 경우에, 문(11')의 안쪽으로부터 빗장(15)을 벗기는 구조로서는, 이중문(11')의 안쪽 바깥면에 나사(24)에 의해 고정된 평판(25)에 레버 핸들(26)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선단의 문(11')내에 종단면이 열쇠모양인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을 부설한 점이다.Here, when the door 11 'which is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closed by the latch 15 to the main body 15 in the closed state, as a structure which peels off the latch 15 from the inside of the door 11', it is a double door. It is provided through the lever handle 26 to the flat plate 25 fixed by the screw 24 to the inner outer surface of 11 ', and is operated as a key-shaped end surface in the door 11' of the front end. This is the point where the cam 27 is attached.

이 레버 핸들(26)로서의 핸들이나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은, 통상의 상태, 즉 문(11')의 바깥쪽의 핸들(9)을 조작하여 문을 개폐하여 출입하는 경우는 도 7 내지 도 10과 다르지 않지만, 사람이 문안에 들어가 있는 경우에 빗장(15)이 걸려 있는 비상시에는 도 6에 도시한 조작이 필요하다. 이 조작은 문(11')의 안쪽에 돌출하여 있는 레버 핸들(2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작동간(27)을 돌려서, 이것을 조작판(3)의 돌기부(10)에 맞닿게 하고, 작동간으로서의 캠(27)의 선단의 원호부(28)를 따라 조작판(3)을 스프링(4)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왼쪽으로 가로로 이동하여 빗장(15)을 본체(13)의 세로로 긴 구멍(14)으로부터 벗겨서, 문(11')을 도면 상 맞은편으로 밀어서 열고, 바깥으로 탈출할 수 있다.The handle 27 as the lever handle 26 and the cam 27 as the operation period are operated under normal conditions, that is, when the door 9 is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the handle 9 on the outside of the door 11 '. Although not different from FIG. 10, the operation shown in FIG. 6 is required in an emergency in which a latch 15 is hung when a person enters the door. This operation rotates the lever handle 26 protruding inwardly of the door 11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rotates the operation lever 27 to bring i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10 of the operation panel 3. , Along the arc portion 28 of the tip of the cam 27 as the operation, moves the operation plate 3 horizontally to the left against the tension force of the spring 4 to move the latch 15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3. The door 11 ′ can be opened by pushing the door 11 ′ opposite the drawing, and escaping out of the furnace long hole 14.

또한, 도 4는 실시예 2의 요부를 도시한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의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ternal disengagement device of the door structure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상 서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핸들의 안쪽에 기초체로 조작판과 그 양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문의 안쪽으로부터 이 스프링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판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긴급시에 빗장을 본체로부터 벗기는 것에 의해, 문의 안쪽으로 닫고 들어간 사람을 탈출가능하게 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and both of them as a base body on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the operation plate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gainst the tension force of the spring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nd the latch is urgent in an emergency. By peeling off from the main body, the person who closed the inside of the door was allowed to escape.

Claims (5)

문의 바깥쪽의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케이스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안쪽에 조작핀으로 피벗 부착한 기초체와, 이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또는 가이드 판에 개재한 스프링과, 상기 기초체에는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걸거나 벗기거나 하기 위하여 상기 바깥쪽 핸들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와 함께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구름모양 구멍 내에 설치하여 상기 빗장을 본체에 거는 위치로부터 벗기는 위치까지 상기 기초체와 조작판의 회전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작용핀으로 이루어지고,In a door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latch is hung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of the fixed side such as a case body, a body or a pillar, and the base body pivotal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with an operation pin, In order to hang or peel off the latch from the main body, the operation plate having the cladding plate disposed freely along the guide plate at the front part, the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and the base body or the guide plate, A hook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handle and moves up and down, and is installed in a cloud-shaped hole provided in the base body together with the hook member, and the base body and the operation panel from a position where the latch is removed from the body It consists of a working pin that regulates the rotational movement distance of 평상시에는 상기 바깥쪽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상기 조작판을 상기 조작핀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면서,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Normally, while operating the outer handl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by rotating the base plate and the operation plate about the operation pi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ok member, while hanging or peeling the cladding to the main body, And in case of an emergency, said operating panel is slid against said spring from the inside of said door so that said latch is removed from said main body to push out the door. 문의 바깥쪽 핸들을 조작하여 빗장을 케이스체나 몸체 또는 기둥 등 고정측의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는 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부에 조작 핀으로 피벗 부착한 기초체와, 상기 기초체에 설치한 가이드 판을 따라 미끄럼 이동 자유로이 배치한 상기 빗장을 앞부분에 가지는 조작판과, 이 조작판과 상기 기초체 또는 가이드 판에 개재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판을 가로로 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서 벗기기 위해, 상기 조작판에 맞닿아 가로로 이동시키는 이동간을 상기 문의 안쪽 핸들에 설치한 것에 의해,In a door structure in which a latch is hung or peeled off the main body of a fixed side such as a case body, a body or a pillar by operating an outer handle of the door, a base body pivotal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by an operation pin, and a guide installed on the base body. An operation plate having the cladding bar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freely slid along the plate;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and the base or guide plate; and moving the operation plate horizontally against the spring to move the latch plate. In order to peel off from the said main body, by installing the movement part which touches the said operation panel and moves horizontally to the inside handle of the said door, 평상시에는, 상기 핸들을 문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후크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기초판과 조작판을 상기 조작핀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에 걸거나 벗기거나 하면서, 비상시에는 문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조작판을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빗장을 상기 본체로부터 벗겨서 문을 밀고 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In normal times, the handle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base plate and the operation plate are rotated about the operation pi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ok member, and the latch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or peeled off. The internal unlocking device of the do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is peeled from the main body to push out the door by pulling the operation plate against the spring from the inside of the do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반대쪽의 조작판에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3. The internal unlocking device of a do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operation plate opposite to the latc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과 상기 본체에는, 상기 빗장을 회전이동과 왕복이동이 가능한 세로로 긴 걸어 잠그는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The internal unlocking device of a do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oor and the main body are provided with a vertically long locking groove capable of rotating and reciprocating the la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과 상기 본체에는, 상기 빗장을 회전이동과 왕복이동이 가능한 세로로 긴 걸어 잠그는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4. The internal unlocking device of a do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oor and the main body are provided with a vertically long locking groove capable of rotating and reciprocating the latch.
KR1020030057490A 2003-02-03 2003-08-20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KR1005717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5840 2003-02-03
JP2003025840A JP4009538B2 (en) 2003-02-03 2003-02-03 Door structure internal unloc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23A KR20040070423A (en) 2004-08-09
KR100571700B1 true KR100571700B1 (en) 2006-04-17

Family

ID=3295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90A KR100571700B1 (en) 2003-02-03 2003-08-20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09538B2 (en)
KR (1) KR100571700B1 (en)
CN (1) CN100557180C (en)
HK (1) HK1067680A1 (en)
TW (1) TWI22416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1342B2 (en) * 2009-06-18 2013-07-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Cab partition door opening lock device
JP5813541B2 (en) * 2012-03-16 2015-11-17 Ykk Ap株式会社 Joinery
CN105386703A (en) * 2015-11-25 2016-03-09 重庆昊江耐火材料有限责任公司 Fireproof and soundproof door structure
DE102017119835A1 (en) * 2017-08-29 2019-02-28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closure device
JP7086639B2 (en) * 2018-02-27 2022-06-20 株式会社Lixil Storag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38799A (en) 2004-08-26
CN100557180C (en) 2009-11-04
KR20040070423A (en) 2004-08-09
TW200415294A (en) 2004-08-16
JP4009538B2 (en) 2007-11-14
TWI224166B (en) 2004-11-21
HK1067680A1 (en) 2005-04-15
CN1519452A (en)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21Y1 (en) push pull door lock capable of selecting lever work direction
KR102475979B1 (en) Window locking device with lock display function
KR100571700B1 (en) Internal unlocking device for door structure
KR100855307B1 (en) Mortice lock of disital doorlock
JPWO2006022240A1 (en) Bag locking device
JP2012519243A (en) Locking mechanism for padlocks, for example, can be latched and re-locked after baggage inspection
KR200457002Y1 (en) A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windows
KR101398143B1 (en) A door lock device
KR101891784B1 (en) Mortise
RU176247U1 (en) LOCK WITH FUNCTION OF LOCKING AND DISABLING LATCHES
KR0139218Y1 (en) Door open/close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
KR20200111596A (en)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KR102315686B1 (en) Doorknob unlocking device
KR200187425Y1 (en) Locking epuipment for a shutter
KR102661398B1 (en) Door Lock for Preventing from Confinement
JPH01299979A (en) Door latch lock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KR940003915Y1 (en) Maindoor lock installation of large size safe
JP4573111B2 (en) Push-pull pin lock
KR101793455B1 (en) Window forcible removal prevention device
JP2520147Y2 (en) Storag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KR101881042B1 (en) Dead latch
JP4441346B2 (en) Device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the shoji locking mechanism
JPH07269210A (en) Dropping lock device
KR101119149B1 (en) Locking device of supporting frame and cover for manhole
JPH0810140Y2 (en)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