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476B1 -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476B1
KR100568476B1 KR1020040038023A KR20040038023A KR100568476B1 KR 100568476 B1 KR100568476 B1 KR 100568476B1 KR 1020040038023 A KR1020040038023 A KR 1020040038023A KR 20040038023 A KR20040038023 A KR 20040038023A KR 100568476 B1 KR100568476 B1 KR 10056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right sides
drive
scaffold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394A (ko
Inventor
박웅규
Original Assignee
박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규 filed Critical 박웅규
Priority to KR102004003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47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원의 동력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작동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의 구동장치(40)에 의하면; 발판(21)의 좌우 양측과 대향되는 베이스패널(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과, 일측 단부는 제1베어링블록(41L)에 장착되며 타측단부는 제2베어링블록(41R)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42)과, 이 구동축(42)의 중앙부위와 벨트(46)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3)와,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마련되되 편심방향이 상호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1,제2편심축(47L)(47R)과, 이 제1,제2편심축(47L)(47R)에 각각 장착되며 외주가 발판(21)의 좌우 양측부위와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VIBRATOR FOR FITNESS}
도 1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발판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베이스패널 21..발판
30..지지부재 33..시소축
40..구동장치 41L,41R..베어링블록
42..구동축 43..구동모터
47L,47R..편심축 48L,48R..구름베어링
49L,49R..받침블록 50L,50R..밸런서
본 발명은 헬스클럽 또는 가정 등에 구비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의 반복적인 상하 시소운동으로 유산소 진동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현대인들이 매일 운동을 하기는 쉽지 않은 관계로, 간단하면서도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 실내 운동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운동기구들중의 하나로 사용자의 근력에 의하지 않고 자체 동력으로 운동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근력강화운동기구(등록특허 10-0283875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번호 10-0283875호에 개시된 근력강화운동기구는 수평면상에 안치되는 베이스(1)와, 이 베이스(1)의 정면에 세워 설치된 포스트(3)와, 베이스(1) 상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발판(2)과, 베이스(1) 내부에 배치되어 발판(2)의 양측을 시소식으로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장치(5)와, 포스트(3) 상에 설치되어 구동장치(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장치(5)는 베이스(1)에 장착된 구동원(구동모터;미도시)의 축(6)에 고정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6a)(6b)와, 각 구동풀리(6a)(6b)의 양측에 배치되어 벨트(7)로 연결된 한 쌍의 종동풀리(8)와, 각 종동풀리(8)에 끼워지고 서로간에 소정의 둔간 위상차가 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편심축(9)과, 베이스(1)상에 설치되어 각 편심축(9)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10)과, 하단이 브래킷(10)에서 돌출된 각 편심축(9)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발판(2)의 밑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편심축(9)의 회전에 의해 발판(2)을 시소식으로 동작시키는 커넥팅로드(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동장치(5)에 의해 발판(2)의 양측이 시소식으로 반복 승하강하며,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근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체적인 구동장치(5)에 의해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근력강화운동기구를 근력이 쇠퇴한 부위나 지속적인 물리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근력강화기구에서는 한 쌍의 구동풀리(6a)(6b)와, 이 구동풀리(6a)(6b)의 양측에 배치되어 벨트(7)로 연결된 한 쌍의 종동풀리(8)와, 이 한 쌍의 종동풀리(8)에 배치된 편심축(9)들과 발판(2)의 밑면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로드(11) 등과 같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동원의 동력전달 메카니즘으로 인해 근력강화기구의 전반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며 상당한 작동소음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원의 동력으로 발판을 상하 진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개선하여 운동기구의 내부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작동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패널과, 이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과, 이 발판의 중앙부를 베이스패널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되 이를 기점으로 좌우 양측을 상하 방향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통해 지지된 발판을 시소타입으로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갖춘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발판의 좌우 양측과 대향되는 베이스패널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제2베어링블록과, 일측 단부는 제1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제2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마련되되 편심방향이 상호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1,제2편심축과, 이 제1,제2편심축에 각각 장착되며 외주가 발판의 좌우 양측부위와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제2구름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제2구름베어링의 외주와 각각 접하는 제1,제2받침블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장치는 구동축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되, 제1,제2편심축의 편심방향과 상호 반대로 편심되게 이루어져 제1,제2편심축의 편심질랑을 보상하는 제1,제2밸런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는 사용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면 근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 동력으로 발판 양측이 시소타입으로 상하 진동하여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며 실내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패널(20)과, 이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21)과, 이 발판(21)의 중앙부를 베이스패널(20)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좌우 양측으로 피벗(pivot)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30)와, 이 지지부재(30)를 통해 지지된 발판(21)을 시소타입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0)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패널(20)은 바이브레이타의 외형을 이루면서 바닥에 직접 놓여 설치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포스트(22)가 마련되며, 여기에는 구동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패널(23)이 배치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발판(21)은 사용자가 여유 있게 올라설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되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지지부재(30)를 통해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30)는 상단에 베어링(32)이 장착되며 베이스패널(20)의 전후방측 중앙부에 입설된 한 쌍의 지지로드(31L)(31R)와, 양측 단부가 각각 지지로드(31L)(31R)의 베어링(3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시소축(33)과, 발판(21)의 전,후방측에 각각 마련되며 중앙부위를 시소축(33)의 양측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34L)(34R)을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지지로드(31L)(31R)는 발판(21)의 전후방측 중앙부위에 대향되는 베이스패널(20)의 전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이로 인해 시소축(33)은 발판(21)의 하부에서 전후방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따라서 시소축(33)을 기점으로 발판(21) 좌우측이 소정각도로 상하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판(21)의 상부에는 합성고무를 통해 제작된 미끄럼방지패드(미도시)가 부착되어, 여기에 사용자가 직접 올라서게 된다.
한편, 구동장치(40)는 베이스패널(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과, 이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축(42)과, 이 구동축(4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3)와,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마련된 제1,제2편심축(47L)(47R)과, 이 제1,제2편심축(47L)(47R)에 각각 장착되며 발판(21)의 좌우 양측과 각각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를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은 발판(21)의 좌우측 중앙부와 대향되는 베이스패널(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패널(20)의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세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축(42)의 일측 단부는 제1베어링블록(41L)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축(42)의 타측 단부는 제2베어링블록(41R)에 회전 가능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구동축(42)의 중앙부위에는 벨트(46) 연결을 위한 종동풀리(44)가 견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43)는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브래킷과 마운팅볼트를 매개로 견실하게 장착되고, 이의 회전축에는 종동풀리(44)와 대향되며 벨트(46)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풀리(45)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3)가 작동하게 되면,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을 통해 지지된 구동축(42)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제2편심축(47L)(47R)은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구성되는데, 이들의 편심방향이 상호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어긋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은 제1,제2편심축(47L)(47R)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의 외주는 후술하는 발판(21)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제2받침블록(49L)(49R)과 각각 접하면서 구름운동하게 된다.
또한, 제1,제2편심축(47L)(47R)과 인접하는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는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제1,제2밸런서(50L)(50R)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제2밸런서(50L)(50R)는 일측으로 편심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 삽입 결합된다. 이 때, 제1,제2밸런서(50L)(50R)의 편심방향은 상호 인접하는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방향과 각각 180도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 질량이 보상되게 된다.
한편,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과 인접하는 발판(21) 하면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제1,제2받침블록(49L)(49R)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1,제2받침블록(49L)(49R)은 합성수지를 통해 소정 크기의 블록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발판(21) 하면에 스크루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1,제2구름베어 링(48L)(48R)의 외주는 발판(21) 하면에 고정된 제1,제2받침블록(49L)(49R)의 하면과 접하면서 지속적으로 구름운동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타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발판(21) 양측을 밟고 올라선 후 포스트(22)에 마련된 콘트롤패널(23)을 통해 구동장치(4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장치(40)의 동력이 벨트(46)를 매개로 구동축(42) 측으로 전달되어 이것이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이 때, 구동축(42) 양단의 제1,제2편심축(47L)(47R) 역시 일체로 회전한다. 아울러 제1,제2편심축(47L)(47R)에 설치된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이 발판(21) 하면의 제1,제2받침블록(49L)(49R)의 하면과 접하면서 구름운동하며, 이것에 의해 발판(21)은 시소축(33)을 중심으로 상하 시소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판(21)의 상하 시소운동은 구동축(42)의 1회전당 1회씩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근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발판(21)에 서있는 상태에서 발판(21)의 반복적인 시소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결국,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지 않고서도 체지방 분해는 물론이며 무릎 발목관절 및 근력강화를 위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때, 구동축(42) 양단에 편심 배치된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이 제1,제2받침블록(49L)(49R)의 하면과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판(21)의 내부구조가 콤팩트하게 구성됨은 물론이며, 이의 작동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 는다.
또한,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질량이 제1,제2밸런서(50L)(50R)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구동축(42)은 평형을 이루면서 정숙 회전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발판의 좌우 양측과 대향되는 베이스패널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제2베어링블록과, 일측 단부는 제1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 단부는 제2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중앙부위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마련되되 편심방향이 상호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1,제2편심축과, 이 제1,제2편심축에 각각 장착되며 외주가 발판의 좌우 양측부위와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제2구름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발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종래에 비해 콤팩트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제1,제2구름베어링이 발판의 좌우 양측과 항상 당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름운동하기 때문에 이의 작동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축 양단의 편심질량이 제1,제2밸런서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구동축이 보다 정숙 회전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패널(20)과,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21)과, 상기 발판(21)의 중앙부를 상기 베이스패널(20)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되 이를 기점으로 좌우 양측을 상하 방향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를 통해 지지된 상기 발판(21)을 시소타입으로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0)를 갖춘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발판(21)의 좌우 양측과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제2베어링블록(41L)(41R)과,
    일측 단부는 상기 제1베어링블록(41L)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베어링블록(41R)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모터(43)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42)과,
    상기 구동축(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편심되게 마련되되 편심방향이 상호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1,제2편심축(47L)(47R)과,
    상기 발판(21)의 좌우 양측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제2받침블록(49L)(49R)과,
    상기 제1,제2편심축(47L)(47R)에 각각 장착되며 외주가 상기 제1,제2받침블록(49L)(49R)과 접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제2구름베어링(48L)(48R)과,
    상기 구동축(42)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방향과 상호 반대로 편심되게 이루어져 상기 제1,제2편심축(47L)(47R)의 편심질랑을 보상하는 제1,제2밸런서(50L)(50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1020040038023A 2004-05-28 2004-05-28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10056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023A KR100568476B1 (ko) 2004-05-28 2004-05-28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023A KR100568476B1 (ko) 2004-05-28 2004-05-28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802U Division KR200375741Y1 (ko) 2004-05-28 2004-05-28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394A KR20050113394A (ko) 2005-12-02
KR100568476B1 true KR100568476B1 (ko) 2006-04-11

Family

ID=3728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023A KR100568476B1 (ko) 2004-05-28 2004-05-28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04B1 (ko) * 2006-03-29 2007-05-23 한정아 상하 진동 운동기구
KR200490937Y1 (ko) * 2018-08-08 2020-01-23 (주)프로이노텍 복합치료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온열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394A (ko) 200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012B1 (ko)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US11478393B2 (en) Device for vibration training
KR101219419B1 (ko) 타동 운동 기기
JP2008517679A (ja) 人体を振動により刺激する装置
KR100604112B1 (ko) 진동운동기구
EP3419725A1 (en) Exercise device
KR100568476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200375741Y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100394568B1 (ko) 진동 시소운동기구
KR20240021685A (ko) 안마의자
KR100791546B1 (ko) 체지방 분해용 운동기구
KR100745156B1 (ko) 스윙운동의 안정성이 향상된 바이브레이타
JP3311366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0797789B1 (ko) 시소운동장치
KR20050017205A (ko) 수직 상하 진동 운동기구
KR20050118149A (ko) 멀티 진동운동기
KR200334149Y1 (ko) 수직 상하 진동 운동기구
KR200341928Y1 (ko) 발판 진동구조
KR200424882Y1 (ko) 시소운동장치
KR200416305Y1 (ko) 단축구동방식을 이용한 체지방분해용 헬쓰기구
KR200428754Y1 (ko)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용 진동장치
KR100865260B1 (ko) 3차원진동 운동기구
KR100744686B1 (ko) 체지방 분해를 위한 운동 기구
KR20080064423A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200317586Y1 (ko) 근력 강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