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95B1 -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95B1
KR100566995B1 KR1020040072736A KR20040072736A KR100566995B1 KR 100566995 B1 KR100566995 B1 KR 100566995B1 KR 1020040072736 A KR1020040072736 A KR 1020040072736A KR 20040072736 A KR20040072736 A KR 20040072736A KR 100566995 B1 KR100566995 B1 KR 100566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oder
main processor
standby
activ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847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액티브 보코더와 스탠바이 보코더에 의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보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상기 보코더와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TDM 스위칭을 수행하는 TDM 스위치와; 상기 보코더와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더넷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duplexing of vocoder in VoIP system}
도 1은 종래 TDM을 중심으로 한 호 이중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메인 프로세서와 액티브/스탠바이 보드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메인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보드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프로세서 20 : 보코더
21 : 액티브 보코더 22 : 스탠바이 보코더
30 : TDM 스위치 40 : 이더넷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시스템의 보코더(Vocoder)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IP는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설비들을 위한 IP 전화기술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VoIP와 인터넷 전화기술의 주요 장점은 기존 IP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VoIP는 공중 인터넷 또는 기업내부의 인트라넷상에서 IP를 이용해 음성(소리)과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인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elecommunication (Sector), 국제 통신 연합 통신 부문) H.323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VoIP 포럼을 통해 시스코, 보컬텍, 3Com, 넷스피크 등 주요 장비제작회사들이 노력함으로써 이루어졌다. VoIP 포럼은 또한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을 장려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고, 자동 전화분배와 음성메일을 위한 터치폰 신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VoIP는 원래의 IP 기능에 더하여, 패킷들이 적시에 도착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를 사용한다. 공중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그것은 현재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보장하기에 어렵다. 독자적인 기업이나, 인터넷 전화서비스 공급자(Internet Telephone Service Provider, ITSP)에 의해 관리되는 사설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더 나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빠른 패킷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넷스피크라는 장비 제작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은, 상대편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 접속을 확립하기 전에 공중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서핑을 해서, 그 결과를 토대로 가장 빠른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VoIP를 사용하려면, 기업은 게이트웨이에 시스코의 AS5300 액세스 서버와 같은 VoIP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 게이트웨이는 회사내의 사용자들로부터 패킷으로 나뉘어진 음성전달을 받아서, 그것을 인트라넷의 다른 부분으로 발송하거나 T-1 또는 E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그들을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전송한다.
도 1은 종래 TDM을 중심으로 한 호 이중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메인 프로세서이고, 2는 링크 보드이며, 3은 링크 보드 내에서 액티브로 동작하는 액티브 보드이고, 4는 링크 보드 내에서 스탠바이로 동작하는 스탠바이 보드이며, 5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송신) 스위치이고, 6은 라인(Line) 또는 링크Link)이다.
그래서 종래 기술의 경우 E1,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 방식) 등의 링크 보드(2)들은 TDM 스위치(5)를 중심으로 PCM 음성 데이터를 교환하여 사용하였다.
E1, ATM 보드, TDM 스위치들이 PCM 음성 채널의 이중화를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화를 담당하는 보드는 메인 프로세서(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액티브 보드(3)와 스탠바이 보드(4)가 동일한 정보로써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더라도 액티브 보드(3)가 가지고 있던 정보를 스탠바이 보드(4)에서 그대로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 진행되는 호는 유지된다.
그래서 도 1에서 보듯이, 종래 기술은 음성 PCM 데이터의 전달을 기준으로 한 이중화를 사용하였다.
TDM 스위치(5)는 연결 정보를 액티브/스탠바이 보드(3)(4) 모두에 지정되어 유지된다. E1 보드와 같은 링크 보드(2)는 PCM 채널에 대한 할당 권한이 없으며, TDM 스위치에서 모두 제어된다.
이중화 보드(3)(4)의 연결정보는 모두 메인 프로세서(1)에 의해 액티브/스탠바이 보드(3)(4) 모두에 전달되며, 두 이중화 보드(3)(4) 간에는 절체에 필요한 신호 및 정보 채널이 교환된다. 절체에 필요한 신호는 상대 보드의 액티브(Act) 신호, 펑션 페일(Function fail) 신호, 보드 오픈(Board open) 신호 등이다.
정보 채널에 전달되는 정보는 실제로 연결되는 정보가 아닌, 절체 신호 이외에 필요한 정보이며, 연결 정보는 대부분 포함되지 않는다.
가입자 제어 보드나 E1 보드의 경우에는 정보 채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ATM 보드는 ATM 링크 이중화를 위한 링크 정보 교환을 주로 한다.
이때 스탠바이 보드(4)는 실제 링크 또는 가입자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채널 연결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PCM 음성 데이터의 이중화만이 고려된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에서 액티브/스탠바이 보드에 동일하게 호를 설정하기만 하면 호 이중화가 유지된다. 그러나 VoIP 시스템의 경우, 기존 망과 같이 동일한 이더넷 링크를 액티브/스탠바이 보드가 공유할 수 없어, 스탠바이 보드의 경우 목적지의 필요한 정보인 목적지(Destination) MAC(Media Access Control)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는,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액티브 보코더와 스탠바이 보코더에 의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보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상기 보코더와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TDM 스위칭을 수행하는 TDM 스위치와; 상기 보코더와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더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은, PCM 데이터와 IP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도록 보코더를 이중화로 설정하고, ARP에 의해 MAC를 파악한 다음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었으면, 메인 프로세서와 액티브/스탠바이 보코더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지 않았으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보코더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10)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와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프로세서간 통신)로 연결되고, 액티브 보코더(21)와 스탠바이 보코더(22)에 의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보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20)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와 IPC로 연결되고, 상기 보코더(20)와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TDM 스위칭을 수행하는 TDM 스위치(30)와; 상기 보코더(20)와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더넷(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을 보인 흐름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M 데이터와 IP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도록 보코더(20)를 이중화로 설정하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어드레스 도출 프로토콜)에 의해 MAC를 파악한 다음 보코더(20)가 이중화로 실장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ST11 ~ ST13)와; 상기 보코더(20)가 이중화로 실장되었으면, 메인 프로세서(10)와 액티브/스탠바이 보코더(21)(22)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ST14)와; 상기 보코더(20)가 이중화로 실장되지 않았으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와 스탠바이 보코더(22)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3 단계(ST15)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4는 도 3에서 메인 프로세서와 액티브/스탠바이 보드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단계(ST14)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서 상기 액티브 보코더(21)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2)에 보드 리셋을 요구하여 응답받는 제 11 단계(ST21 ~ ST24)와; 상기 제 11 단계 후 상기 액티브 보코더(21)에서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소스 IP 주소, 소스 MAC 주소, 라우터 IP 주소, 넷마스크(Netmask))를 내려받아 ARP를 수행하여 라우터 MAC 주소를 얻어와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고, 네트워크 구성 설정을 수행하는 제 12 단계(ST25)(ST26)와;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아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는 제 13 단계(ST27)(ST28)와; 상기 제 13 단계 후 상기 액티브 보코더(21)는 채널 생성시 ARP를 수행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얻어와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며,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는 제 14 단계(ST29 ~ ST32)와; 상기 제 14 단계 후 통화가 끝나면 상기 액티브 보코더(21)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3)의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하는 제 15 단계(ST33 ~ ST3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5는 도 3에서 메인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보드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단계(ST15)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2)에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는 제 21 단계(ST41)(ST42)와; 상기 제 21 단계 후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2)는 기존의 액티브 보코더(21)에서 생성된 모든 채널에 대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는 제 22 단계(ST43)(ST44)와; 상기 제 22 단계 후 통화가 끝나면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23)의 모든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하는 제 23 단계(ST45)(ST4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종래 기술과 도 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VoIP 시스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하고자 한 것이다. 보코더 보드의 PCM 음성 데이터 부분은 기존의 링크 보드와 같은 TDM 인터페이스 방식으로써 PCM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P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이더넷(40) 포트가 반대쪽으로 구성되며, 이는 액티브 / 스탠바이 보코더(21)(22)에 의해 이중화 방식으로 동작된다. 두 보코더(21)(22) 간에는 이중화 신호 이외의 별도의 이중화 채널이 구성된다. PCM 데이터를 교환하는 TDM 스위치(30) 부분은 기존과 같은 구조이며, IP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더넷(40) 부분 역시 기존 링크 보드와 마찬가지로 액티브 보코더(21)에만 실제 링크가 연결된다.
IP 데이터의 경우, 실제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서는 MAC 어드레스(address), IP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또한 VoIP의 경우 UDP(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하므로 UDP 포트(Port) 번호 역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IP 전송을 위한 사용자 계층에서는 상대 IP 어드레스만을 가지고 패킷(packet)을 생성한다. 그러나 실재 디바이스 레벨(device level)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알아야 한다.
IP와 MAC은 시스템이 초기화가 되면서 1:1 매핑(mapping)의 구조를 가지게 되나, 시스템이 재시작되거나 또는 라우팅(routing) 환경이 변경되면 재 구성된다.
따라서 실제로 전송할 IP 주소에 따른 MAC(Media Access Control)을 알아내 는 과정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
ARP 요구는 보내고자 하는 IP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용 MAC(FF-FF-FF-FF-FF-FF)으로 전송한다.
이 ARP 요구를 받은 시스템에서는 자신의 IP가 요청하는 IP와 같으면 자신의 MAC 주소를 넣어 ARP 응답을 수행한다.
시스템의 MAC 주소의 변경 여부를 알리는 특별한 절차가 없으므로 보통 ARP로 얻어진 MAC 주소는 최종 패킷의 사용 후 30초 정도 유지된 다음 삭제되며, 이후는 ARP 절차를 다시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동일한 MAC을 가진 시스템이 동일 망에 존재한다면, 먼저 ARP 응답을 주는 system의 MAC 주소를 사용하게 되는데, IP 망의 특성상 어떤 시스템이 먼저 응답할 지 알 수 없으며, 이전에 먼저 응답한 시스템이 다음 과정에서 또다시 먼저 응답할 것인지 확정할 수 없다. 따라서 동일 망에서의 MAC 주소는 공유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적인 VoIP 호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TDM 스위치(30)의 연결에 따른 호 설정에 더하여 VoIP 호는 채널(channel) 생성, 채널 제거의 과정이 보코더 보드(20)에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채널 생성 후에 톤(tone) 생성, 톤 제거, 채널 제거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일반적인 호 설정 후 메인 프로세서(10)는 지정된 TDM 채널에 대해 IP 주소를 지정하게 되며, 이 IP 주소를 보코더 보드(20)에 전달하여, 그 IP 주소와 지정 된 TDM 채널에 대한 VoIP 채널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보코더 보드(20)는 이더넷 포트를 통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지정된 IP 주소의 MAC 주소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은 IP 주소와 MAC 주소를 사용하여 지정된 TDM 채널의 PCM 음성 데이터는 지정된 코덱(CODEC) 형태에 의해 코드-디코드(code-decode) 된다.
이 과정에서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실제 이더넷(40)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ARP 처리를 실패하게 되어 지정된 IP의 MAC 주소를 알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탠바이 보코더(22)의 이더넷 포트를 망에 연결하여 ARP를 수행한다 하더라도 동일 망의 MAC은 하나만 존재해야 하므로 액티브와 스탠바이의 MAC 주소는 다르게 지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절체를 하면 호가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이더넷(40) 망에 직접 연결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과정을 기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메인 프로세서(10)에서 액티브 / 스탠바이 보코더(21)(22)를 모두 처리를 하려 하면, 액티브 보코더(21)는 채널 생성을 완료하였다는 응답을 보내게 되지만,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채널 생성 실패를 응답하게 되며, 메인 프로세서(10)는 절체시 스탠바이 보코더(22)에서 액티브 보코더(21)로 변경되는 보드의 채널을 모두 다시 생성하여야 하는 과정이 들어가야만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액티브 보코더(21)가 ARP를 통해 얻은 MAC 주소를 이용하여 채널 생성 후에 스탠바이 보코더(22)에게 MAC 주소 등의 정보를 넘겨줘서 채널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의 문제점은 액티브/스탠 바이 보코더(21)(22) 간 채널 생성/제거의 시간차가 존재하고, 액티브 보코더(21)와 스탠바이 보코더(22) 간 IPC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보코더 보드(20)의 로드(load)가 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보코더(21)는 ARP를 통해서 목적지(destination) MAC 주소를 얻어와서 채널을 생성하고, 스탠바이 보코더(22)는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IPC를 통해 라우터(Router) MAC 주소를 받아서 채널을 생성하도록 한다.
스탠바이 보코더(22)가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액티브 보코더(21)에서 ARP를 통해서 얻은 MAC 주소를 메인 프로세서(10)에게 보고하고, 이를 받은 메인 프로세서(10)가 스탠바이 보코더(22)에게 IPC를 통해 라우터 MAC 주소를 내려주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이중화 보드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프로세서(10)에서 액티브 보코더(21)와 스탠바이 보코더(22)에 보드 리셋을 요구하여 응답 받는다.
액티브 보코더(21)에서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소스 IP 주소, 소스 MAC 주소, 라우터 IP 주소, 넷마스크(Netmask))를 내려받아 ARP를 수행하여 라우터 MAC 주소를 얻어와서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하고, 네트워크 구성 설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넷마스크(Netmask)란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가리거나 걸러서 호 스트 컴퓨터의 주소 부분만이 남도록 하기 위해 0과 1이 조합되어 있는 문자열을 말한다. 마스크가 이진수 1로 시작하는 것은 IP 주소의 네트워크 ID 부분을 0으로 변환한다. 그 후에 나타나는 이진수 0은 호스트 ID가 남도록 해준다. 자주 사용되는 넷마스크로서 "255.255.255.0"이 있는데, 이는 최대 255대까지의 호스트 컴퓨터를 수용할 수 있는 C 클래스 서브넷을 위해 사용되며, 넷마스크 "255.255.255.0" 내의 ".0"은 특정한 호스트 컴퓨터 주소를 명백히 보이도록 해준다.
그리고 스탠바이 보코더(22)는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아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한다.
이후 액티브 보코더(21)는 채널 생성시 ARP를 수행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얻어와서 채널을 생성하고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한다.
스탠바이 보코더(22)는 채널 생성시 ARP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목적지 MAC 주소 대신에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한다. 라우터는 목적지 IP 주소만 보고 IP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이중화 절체 시 채널 이중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통화가 끝나면 액티브 보코더(21)와 스탠바이 보코더(23)의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이중화 절체를 했을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은 스탠바이 보코더(22)에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한다.
스탠바이 보코더(22)는 기존의 액티브 보코더(21)에서 생성된 모든 채널에 대해서 메인 프로세서(10)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메인 프로세서(10)에게 응답한다.
통화가 끝나면 스탠바이 보코더(23)의 모든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은 VoIP 시스템 내에서 보코더 보드를 이중화로 구현하여 보코더 보드의 유지 보수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보코더 보드에서만 이중화를 구현할 때 발생하는 액티브 보코더와 스탠바이 보코더 간의 시간 차와 로드 부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액티브 보코더와 스탠바이 보코더에 의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보코딩을 수행하는 보코더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IPC로 연결되고, 상기 보코더와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TDM 스위칭을 수행하는 TDM 스위치와;
    상기 보코더와 IP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더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2. PCM 데이터와 IP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도록 보코더를 이중화로 설정하고, ARP에 의해 MAC를 파악한 다음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었으면, 메인 프로세서와 액티브/스탠바이 보코더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코더가 이중화로 실장되지 않았으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보코더 간에 채널 생성/제거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서 상기 액티브 보코더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에 보드 리셋을 요구하여 응답받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1 단계 후 상기 액티브 보코더에서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내려받아 ARP를 수행하여 라우터 MAC 주소를 얻어와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고, 네트워크 구성 설정을 수행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아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는 제 13 단계와;
    상기 제 13 단계 후 상기 액티브 보코더는 채널 생성시 ARP를 수행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얻어와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며,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는 제 14 단계와;
    상기 제 14 단계 후 통화가 끝나면 상기 액티브 보코더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의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하는 제 15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라우터 MAC 주소를 포함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받은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에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1 단계 후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는 기존의 액티브 보코더에서 생성된 모든 채널에 대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받은 라우터 MAC 주소를 가지고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게 응답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2 단계 후 통화가 끝나면 상기 스탠바이 보코더의 모든 채널을 제거하고 응답하는 제 23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방법.
KR1020040072736A 2004-09-10 2004-09-10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6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736A KR100566995B1 (ko) 2004-09-10 2004-09-10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736A KR100566995B1 (ko) 2004-09-10 2004-09-10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847A KR20060023847A (ko) 2006-03-15
KR100566995B1 true KR100566995B1 (ko) 2006-04-04

Family

ID=3712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736A KR100566995B1 (ko) 2004-09-10 2004-09-10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847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059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to internetwork universal server
KR100457185B1 (ko) 이동 차세대 망에서의 톤 제공 방법
JP4208540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ネットワークで負荷割当てボイスオーバー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トラフィックに対して分割されたファイアーウォールを使用するソフトスイッチ
JP4390080B2 (ja) 単一番号宛先のためのバンド内コール・アソシエーション・シグナリング
US7586885B2 (en) VoIP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wireless LAN
US20050117605A1 (en) Network address and port translation gateway with real-time media channel management
EP1676370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ession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learning and firewall filtering in media gateway
KR20010072843A (ko) 원격 액세스 서버용 장치 및 방법
JP2002314617A (ja) Ipエンドポイント間のipベアラパスを管理するためのipパケット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ippag)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MXPA06006066A (es) Metodo para servicio de retransmision remota (rsf) entre sistemas distintos con operador, servicio y portabilidad de ubicacion.
WO2003030463A1 (fr) Procede et systeme pour la prestation d'un service vocal ip sur un reseau prive
WO2001065780A1 (e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ultimedia connection with quality of service using an atm backbone
US68735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isolation in hybrid communications systems
US20020085569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JP2002290450A (ja) 帯域管理装置、アドレス解決支援装置、帯域管理方法およびアドレス解決支援方法
KR100279641B1 (ko) 신호 교환 장치 및 방법
KR100566995B1 (ko)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보코더의 호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4228B1 (ko) 공통 호 처리 방법 및 이에 따른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Cisco Interworking of Cisco MGCP Voice Gateways and Cisco CallManager Version 3.2
KR100876238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용 액세스 게이트웨이 시스템
Cisco Glossary
Cisco Glossary
Cisco Cisco IOS Voice, Video, and Fax Commands: Si through Z
Cisco Voice
US7075923B2 (en) IP telephony gateway—solution for telecom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