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53B1 - A traffic sign device - Google Patents

A traffic sig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53B1
KR100566953B1 KR1020050126424A KR20050126424A KR100566953B1 KR 100566953 B1 KR100566953 B1 KR 100566953B1 KR 1020050126424 A KR1020050126424 A KR 1020050126424A KR 20050126424 A KR20050126424 A KR 20050126424A KR 100566953 B1 KR100566953 B1 KR 100566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hanger
vertical bar
fastening
pos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프레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표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와, 이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와 한쪽 단부가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바 및 이 수평바의 타단에 그와 직교하도록 접합되는 수직바를 갖는 T형의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행거와, 전면에 소정의 표지내용이 인쇄되며 복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캡형의 고정브래킷을 배면 중앙부에 갖는 복수의 표지판과, 행거의 수직바 외형에 대응하는 호형의 몸체 양단에 고정브래킷의 체결구멍에 볼트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각 표지판을 행거의 수직바에 각각 고정시켜주는 복수의 고정밴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affic sig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clamp which is composed of two arcuate clamping band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each other, and whose other end is fastened by fastening means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 vertically installed post, Type movable pipe having a fixed pipe whose one end is radially joined to the outer periphery and a vertical ba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ed pip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by a fastening means and a vertical bar A plurality of sign boards having a cap-like fixing bracket printed on its front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ignal boards having fastening bracket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arc- A plurality of fasteners each having a flange fixed to the hole by a bolt to fasten the respective signs to the vertical bars of the hanger, And a band.

본 발명은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파손 시 해당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표지판을 간편하게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the sign on the support, and can easily replace only the corresponding part when the breakage occur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plurality of sign boards together with one post clamp and hanger as necessary.

교통표지, 표지판, 안내표지, 알루미늄 Traffic sign, sign, sign, aluminum

Description

교통표지 장치{A traffic sign device}{A traffic sign device}

도1a 및 도1b는 일반적인 교통표지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와 요부 발췌 평단면도,Figs.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traffic sign device,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ffic sig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배면도,FIG.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FIG. 2,

도4는 도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5는 도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3,

도6은 도3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3,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도8의 결합상태 배면도,Fig. 9 is a rear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8,

도10은 도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이다.10 is an excerp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포스트 클램프 11: 제1의 클램핑 밴드10: post clamp 11: first clamping band

12: 힌지홈 13: 플랜지12: Hinge groove 13: Flange

15: 제2의 클램핑 밴드 16: 힌지돌기15: second clamping band 16: hinge projection

20: 행거 21: 고정파이프20: Hanger 21: Fixed pipe

24: 가동파이프 24a: 수평부24: movable pipe 24a: horizontal part

24b: 수직부 30: 표지판24b: vertical portion 30: sign

32: 고정브래킷 40: 밀착돌기32: Fixing bracket 40: Clamping projection

50: 고정밴드 52: 플랜지50: fixing band 52: flange

55: 슬립방지패드 60: 볼트55: slip prevention pad 60: bolt

70: 삽입홀더 71: 나사구멍70: insertion holder 71: screw hole

73: 볼트 74: 헬리컬코일73: Bolt 74: Helical coil

본 발명은 도로상의 지주에 장착되어 안전한 도로운영에 필요한 각종 규제사항 · 지시사항 및 주의사항 등을 나타내거나 도로 또는 건물의 위치정보 등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교통표지 장치(traffic sign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개의 표지판을 하나의 지주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시의 교체도 용이하도록 된 교통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 device used for indicating various regulations, instructions, and cautions necessary for safe road operation mounted on a pillar on a road, or for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d 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ffic sign device capable of firmly and easily installing a plurality of signs on a single support as well as facilitating replacement at the time of breakage.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차도(車道)의 위쪽에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위험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 통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保全)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로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 사항을 알려주는 도로표지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on the edge of the road or the upper part of the road,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are informed of various kinds of danger that may occur on the road, thereby securing a safe and smooth road bridge, and at the same time, Road markings are provided to indicate various items necessary for the use of roads.

이러한 도로표지는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제작ㅇ설치되며,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문자나 도형적(圖形的)인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낸다.These road signs are installed and produced according to the law, and represent the contents to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letters, graphical symbol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전달사항의 성격에 따라 도로의 위험상태나 필요한 주의를 예고하는 주의표지와, 보행자나 차량에 대해 일정한 행동을 규제하는 규제표지 및 행동이나 지점을 지시하는 지시표지 등으로 나누어진다.It is divided into a warning sign that notifies the dangerous state of the road or necessary atten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essage, a regulatory mark that regulates certain behavior against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and a sign that directs the action or the spot.

따라서, 도로표지는 인식하기 쉽고, 먼 거리에서도 표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단시간 내에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야간에도 판독(判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목적에 알맞게 적절히 배치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road sign should be easy to recognize,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 type of sign in a long distance and to grasp its contents in a short time. In addition, since it must be able to be read at night, it should be appropriately arranged for the purpose.

한편, 도로상에는 위와 같은 도로표지 외에 도로에 관련한 각종 정보, 예컨대 도로의 진행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위치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각종 안내표지도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road, there are provide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ad, such as the road direction, the distance, the lo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road sign.

이와 같은 도로표지와 안내표지(이하 '교통표지'로 통칭함)는 도로의 규모에 따라 1개의 지주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돌출 지지되는 편주식(片柱式)과,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바(bar)에 부착되는 복주식(復柱式)으로 그 형식을 달리하여 설치되는데, 대체로 고속도로를 제외하고 편주식이 사용된다.Such road markings and guide sign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raffic sign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size of a road: a single column type which is supported by a cantilever in a form of a cantilever, It is installed in a different type of restorative type attached to a horizontal bar that connects two struts. Usually, a flat stock is used except for the highway.

도 1a 및 도 1b에는 이러한 편주식 교통표지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도로가에 세워진 지주(P)의 적정높이 위치에 밴드클램프(band clamp:1)에 의해 T자형 행거(hanger:2)를 수평으로 결속하고, 표지판(sign plate:3)의 배면에 접합된 복수의 채널(channel)형 가이드레일(4)에 볼트(7)의 머리부를 끼운 뒤 복수의 U밴드(5)를 행거(2)에 걸어 그 양단의 플랜지(6)를 표지판(3)의 볼트(7)에 너트(8)로 체결함으로써 표지판(3)을 지주(P)에 설치하고 있다.FIGS. 1A and 1B show the most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 one-piece traffic marking apparatus. This is because a T-shaped hanger 2 is horizontally bound by a band clamp 1 at an appropriate height position of the column P standing on the road and the hanger 2 is horizontally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ign plate 3 A plurality of U-bands 5 are hooked on the hanger 2 and the flanges 6 at both ends of the bolts 7 are fastened to the bolts 7 of the sign board 3, (3) is provided on the support (P) by fastening the guide plate (7) with the nut (8).

이러한 구성의 종래 교통표지 장치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79008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5042호 등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Conventional traffic sign device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also be found in, 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0079008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5042.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교통표지 장치는 행거(2)를 지주(P)에 결속하고, 표지판(3)의 배면에 구비된 각각의 가이드레일(4)에 볼트(7)를 조립한 뒤 행거(2)에 복수의 U밴드(5)를 걸어서 너트(8)에 의해 볼트(7)와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Such conventional traffic sign devices are used to connect the hanger 2 to the pillars P and to assemble the bolts 7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4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gn 3, 2, the U-bands 5 must be fastened to the bolts 7 by means of the nuts 8,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considerably troublesome.

또한, 표지판(3)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체결용 가이드레일(4)과 볼트(7) 들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상당히 흉해 도로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gn 3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nd the fastening guide rail 4 and the bolts 7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considerably poor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road is greatly damaged.

더욱이, 행거(2)가 밴드클램프(1)의 외주에 용접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장기간 경과시 용접부위가 산화부식으로 떨어질 우려가 높고, 파손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한 곳에 2이상의 여러 개의 표지판을(3) 동시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행거(2)와 밴드클램프(1)를 통째로 교체하지 않으면 안 된다.Further, since the hanger 2 is wel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nd clamp 1,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elded portion will fall down due to oxidation corros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when two or more signs at one place must be simultaneously installed (3), the hanger (2) and band clamp (1) must be replaced in their entiret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교통표지 장치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96-0009278호를 들 수 있다.Various types of traffic sign devices for solving such problems are proposed, for example,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96-0009278.

이 기술은 표지패널을 1쌍의 합성수지제의 분할체로 구성하고 각 분할체에 보스(boss)와 돌기를 형성하여 끼워 맞춤으로 상호 조립하고, 어느 한 분할체 내면에 지주삽입 보스를 구비하여 지주의 상단에 끼워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표지판이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해체될 우려가 많을 뿐 아니라 변형되기 쉽고 강도 또한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In this technique, a cover panel is constituted by a pair of synthetic resin members, boss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divided bodies, and they are assembled together by fitting, and a holding insert boss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divided body, However, since the sign board is assembled by fitting, there is a concern that it is likely to be disassembled due to external force, and it is easily deformed and the strength is also weak.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358988호에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으로서, 행거를 포스트클램프에 조립식으로 체결하고 행거의 자유단과 표지판의 배면에 서로 체결되는 연결판과 고정브래킷을 구비하여 설치작업을 간소화하고 파손시 해당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 미관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된 교통표지장치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58988 discloses a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in which a hanger is fastened to a post clamp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a connecting plate and a fixing bracket fastened to each other at the rear end of the hanger and the sign board, A traffic sign device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in which only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easily replaced at the time of breakage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improved.

그러나 이 기술은 표지판이 행거의 자유단에 직접 직교상태로 체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행거에 대해 1개의 표지판만 설치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동일 지점에 여러 개의 표지판을 설치해야 할 경우 포스트클램프와 행거를 설치할 표지판의 수량에 따라 여러 개를 구비하여 각기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는 미관상에도 좋지 않다.However, this technique requires only one sign for one hanger because the sign is directly orthogonal to the free end of the hanger, so if you need to install several signs at the same point, you need to install a post clamp and hang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signs,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install each one, which is not good for cosmetic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파손시 해당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표지판을 함께 설치할 수 있는 교통표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gn post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ffic sign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two signs toge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할 표지판의 수량에 따라 행거만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소망하는 수량의 표지판을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교통표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ffic sign device which can easily install a desired number of signs on a single post clamp and a hanger by simply replacing the hang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gns to be installed.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 이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와, 한쪽 단부가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바 및 이 수평바의 타단에 그와 직교하도록 접합되는 수직바를 갖는 T형의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행거; 전면에 소정의 표지내용이 인쇄되며, 복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캡형의 고정브래킷을 배면 중앙부에 갖는 복수의 표지판; 행거의 수직바 외형에 대응하는 호형의 몸체 양단에 고정브래킷의 체결구멍에 볼트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각 표지판을 행거의 수직바에 각각 고정시켜주는 복수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a traffic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arcuate clamping band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by fastening means A post clamp engaged; A fixing pipe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outer periphery of one clamping band of the post clamp in a radial direction, a horizontal ba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pipe and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A hanger comprising a T-shaped movable pipe having a vertical bar; A plurality of signs having a cap-like fixin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print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xing bands having flanges fixed 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xing bracket by bolts at both ends of an arc-shaped body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r outer shape of the hanger to fix the respective marking plates to the vertical bars of the hanger, respectively .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행거의 가동파이프의 수평바 타단에 통형의 삽입홀더(holder)가 수직방향으로 접합되고, 표지판이 고정되는 수직바가 삽입홀더에 끼워져 볼트로 체결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insertion holder is vertically join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of the movable pipe of the hanger, and a vertical bar to which the sign is fix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der and fastened with the bol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파손 시 해당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표지판을 간편하게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signboard on the support while easily replacing the corresponding part only in the case of breakag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plurality of signboards together with one post clamp and hanger as necessary.

또한, 설치할 표지판의 수량에 따라 행거만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소망하는 수량의 표지판을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바, 교통표지의 품위와 현장성 및 유지관리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gns to be installed, only the hanger can be easily replaced, so that a desired number of signs can be easily installed in one post clamp and a hanger, so that the sign of the traffic sign, d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 내지 도6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P)에 장착되는 포스트 클램프(10)와, 이 포스트 클램프(10)에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행거(20)와, 이 행거(20)에 장착되어 도로교통에 대한 소정의 사항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지판(30) 및 이들 표지판(30)을 행거(20)에 각각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복수의 고정밴드(50)로 구성된다.2 to 6, the traffic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 clamp 10 mounted on a column P vertically installed on a road, and a post clamp 10 fixed to the post clamp 10 in a radial direction, A plurality of signs 30 mounted on the hanger 20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bout road traffic and a plurality of signs 30 for fixing the signs 30 to the hanger 20, And a fixing band 50.

포스트 클램프(10)는 일단이 상호 힌지 조립되고, 타단이 볼트(18)와 너트 (18a)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11)(15)로 이루어진다.The post clamp 10 is composed of two arcuate clamping bands 11 and 15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gethe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a bolt 18 and a nut 18a.

이를 위해 제1의 클램핑 밴드(11) 일단에는 대략 C형 단면을 갖는 힌지홈(12)이 형성된다. 힌지홈(12)의 근처에는 나사홈(11a)이 형성되고, 그 양단에 스크류(19)가 각각 결합되어 머리부의 일부가 힌지홈(12) 영역으로 침범함으로써 힌지홈(12)에 끼워진 제2클램핑 밴드(15)의 이탈을 방지한다.To this end, a hinge groove 12 having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lamping band 11. A screw groove 11a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inge groove 12 and a screw 19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screw groove 11a so that a part of the head portion penetrates into the area of the hinge groove 12, Thereby preventing the clamping band 15 from escaping.

제1클램핑 밴드(11)의 타단에는 복수의 체결구멍(13b)을 갖는 플랜지(13)가 형성된다. 플랜지(13)에는 볼트(18)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안착 지지하는 채널형의 볼트머리시트(13a)가 형성된다.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lamping band 11, a flange 13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b is formed. The flange 13 is formed with a channel-shaped bolt head sheet 13a which is sea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18 can not be rotated.

제1클램핑 밴드(11)의 외주 중간에는 지지바(20)를 접합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랜드(支持land:14)가 돌출 형성되며, 이 지지랜드(14)의 접합면 중간에는 후술하는 보강리브(rib:27)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홈(14a)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A supporting land 14 for projec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ing bar 2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lamping band 11 and a reinforcing rib an assembly groove 14a for assembling the ribs 27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제1클램핑 밴드(11)의 내주 중간에는 축방향으로 슬릿(slit)이 형성되어 지주(P)와의 체결시 지주(P)를 탄성적으로 압착하는 밀착돌기(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돌기(40)는 지주(P)가 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포스트 클램프(10)와 지주(P)간의 갭(gap)에 의한 클램프(10)의 유동 내지는 회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 slit is formed axially in the middl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lamping band 11 to form a contact protrusion 40 for resiliently pressing the pillar P when fastened to the pillar P. [ The contact protrusion 40 prevents the clamp 10 from flowing or rotating due to a gap between the post clamp 10 and the support post P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support post P is formed in a square shape It is for this reason.

따라서, 밀착돌기(40)는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지주(P)의 형태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원형의 지주(P)라 하더라도 양자의 지름에 작은 차이가 발생될 경우 포스트 클램프(10)를 지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은 밀착돌기(40)는 예컨대 적정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act protrusions 40 can be detachably mount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llars P, and even if the circular pillars P have a small difference in the diameters of the pillars P, (P). The contact protrusion 4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한편, 제2클램핑 밴드(15)의 일단에는 제1클램핑 밴드(11)의 힌지홈(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16)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복수의 체결구멍(17a)을 갖는 플랜지(17)가 형성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클램핑 밴드(15)의 내주에도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밀착돌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hinge protrusion 1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lamping band 15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inge groove 12 of the first clamping band 11.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7a are formed at the other end, The flange 17 is formed. Needless to say, a slit may b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lamping band 15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a contact protrusion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포스트 클램프(10)는 바람직하기로 내부식성이 우수한 비철금속의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을 압출가공(extrusion) 함으로써 제작된다.The post clamp 10 is manufactured by extruding a non-ferrous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which is preferably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행거(20)는 포스트 클램프(10)의 지지랜드(14)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21)와, 이 고정파이프(21)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볼트(28)와 너트 (28a)로 체결 고정되는 T자형의 가동파이프(24)로 이루어진다.The hanger 20 includes a fixed pipe 21 which is welded to the support land 14 of the post clamp 10 and a fixed pipe 21 which is movably inserted in the fixed pipe 21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bolt 28 and the nut 28a And a T-shaped movable pipe 24 fastened and fixed.

고정파이프(21)와 가동파이프(24)의 수평바(24a)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그 일부에 상호 대응하는 가이드돌기(22)(25)들을 갖는다.The horizontal bar 24a of the fixed pipe 21 and the movable pipe 24 has the guide protrusions 22 and 2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as shown in Fig.

고정파이프(21)의 외주 일측에는 볼트(28)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안착 지지하는 볼트머리자리(21a)가 축방향을 따라 채널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볼트머리자리(21a)에는 복수의 체결구멍(21b)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A bolt head seat 2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ationary pipe 21 so as to support the bolt 28 so as to prevent the head of the bolt 28 from rotating. The bolt head seat 21a has a plurality of And a fastening hole 21b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고정파이프(21)의 외주 상측과 하측에는 바람직하기로 그를 포스트 클램프(10)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해 주기 위한 보강리브(27)들이 각각 용접으로 접합된다.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pipe 21, reinforcing ribs 27 for supporting the post clamp 10 in a stable manner are preferably welded to each other.

보강리브(27)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돌기(27a)를 구비하여 지지랜드(14)의 조립홈(14a)에 끼워지고, 결합돌기(27a)와 인접한 일측 가장자리가 고정파이프 (21)의 외주 상측과 하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리브조립홈(23a)(23b)에 각각 끼워져 용접된다.The reinforcing rib 27 has an engaging projection 27a at one side edge thereof and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4a of the supporting land 14 so that one edge of the reinforcing rib 27 adjacent to the engaging projection 27a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y 23b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가동파이프(24)는 한쪽 단부가 고정파이프(21)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볼트(28)로 체결되는 수평바(24a)와, 이 수평바(24a)의 타단에 직교하도록 접합되는 수직바(24b)로 이루어진 T자 형태를 취한다.The movable pipe 24 includes a horizontal bar 24a whose one end is movably assembled to the fixed pipe 21 and is fastened by a bolt 28 and a vertical bar 24a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24a 24b.

가동파이프(24)의 수평바(24a)는 고정파이프(2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되며, 그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구멍(24c)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고정파이프(21)에 대한 가동파이프(24)의 고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체 행거(20)의 길이를 적절히 신축(伸縮)할 수 있다.The horizontal bar 24a of the movable pipe 24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fixed pipe 21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4c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entire hanger 20 can be appropriately expanded or contracted by chang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movable pipe 24 with respect to the fixed pipe 21 as necessary.

이러한 행거(20)도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의 재질을 압출가공함으로써 제작된다.The hanger 20 is also manufactured by extruding a nonferrous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which is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표지판(30)은 예를 들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의 판상으로 구성되며, 표지내용의 성질에 따라 법에서 정해 놓은 원형, 삼각 또는 오각 등의 각형으로 형성된다(도면에는 예를 들어 원형과 삼각형으로 도시됨).The sign 30 is formed of, for example, a plat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is formed into a square shape such as a circle, triangle, or pentagon,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w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over materi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표지판(30)의 가장자리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스커트(31)가 후방으로 적절히 연장된다. 이러한 스커트(31)는 표지판(30)의 강도향상은 물론, 표지판 고정수단 (50)의 측면노출을 적절히 차단하여 표지판(30)의 외관도 향상시키게 된다.A skirt 31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is appropriately extended rearward at the edge of the sign 30. The skirt 31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sign 30 and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sign 30 by appropriately blocking side exposure of the sign fixing means 50. [

표지판(30)의 배면 중앙부에는 고정밴드(50)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브래킷(32)이 용접으로 접합된다. 고정브래킷(32)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고, 개구단에 접합용 플랜지(33)를 갖는 대략 캡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표지판(30)과 고정브래킷(3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부위의 한쪽의 외부 노출을 차폐시키게 된다.A fixing bracket (32) for fastening the fixing band (50) is welded to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sign board (30). The fixing bracket 32 is made of aluminum and has a substantially cap-like shape having a flange 33 for jointing at its opening end. Accordingly,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rk 30 and the fixing bracket 32 to shield one of the external exposures of the bolt fastening portion.

이때, 고정브래킷(32)은 그 플랜지(33)의 가장자리를 표지판(30)에 용접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된 접합력을 구현하기 위해 플랜지(33)에 복수의 용접슬롯(33a)을 적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각 용접슬롯(33a)을 통해 표지판(30)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32 may weld the edge of the flange 33 to the mark 30, but in order to achieve a more stable bonding force, a plurality of welding slots 33a are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on the flange 33 And welded to the sign 30 through each welding slot 33a.

그리고, 고정브래킷(32)에는 복수의 체결구멍(34)이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고정브래킷(32)의 내면에는 체결용 너트(35)들을 억지로 삽입 고정하여 볼트(60) 체결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고정채널(32a)이 구비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4 are horizontally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fastening bracket 32. Fastening nuts 35 are forcibly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bracket 32 so that the bolts 60 are rotated A nut fastening channel 32a is provided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of the nut.

고정밴드(50)는 행거(20)의 가동파이프(24) 수직부(24b)를 부분적으로 감싸 그를 압착하는 호형의 몸체(51)와, 이 몸체(5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표지판(30)의 배면에 접합된 고정브래킷(32)과 각각 볼트(60)로 체결되는 플랜지(52)로 이루어진다.The fixed band 50 includes an arc-shaped body 51 for partially covering the vertical portion 24b of the movable pipe 24 of the hanger 20 and pressing the same, A fixing bracket 32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ange 30 and a flange 52 fastened with bolts 60 respectively.

몸체(51)는 표지판(30)을 고정할 수직바(24a)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시된 구성은 예를 들어 행거(20)가 수직바(24a)가 원형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략 반원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두 플랜지(52)에는 볼트(60)가 관통하는 체결구멍(53)이 형성된다.The body 5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the vertical bar 24a to which the sign 30 is to be fixed and the structure shown in the figure is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hanger 20 is circular Which is approximately semicircular. A fastening hole 53 through which the bolt 60 passes is formed in the two flanges 52.

한편, 바람직하기로 몸체(51)의 대략 중간에는 더브테일형의 결합채널(54)이 내측으로 개구되면서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결합채널(54)에 한쪽에 더브테일(56)을 돌출되게 구비하여 몸체(51)의 내주에서 돌출되는 슬립방지패드(55)가 슬라이딩 결합된다.In the meantime, preferably, a dovetail type coupling channel 5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ody 51 so as to protrude outward while being opened to the inside, and a dovetail 56 is project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channel 54 And the slip prevention pad 55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51 is slidingly coupled.

이러한 슬립방지패드(5)는 수직바(24b)의 일부에만 접촉하도록 적정 폭으로 구성된다.The slip prevention pad 5 is configured to have a proper width so as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vertical bar 24b.

그리고 슬립방지패드(55)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기로는 고정밴드(50)를 표지판(30)의 고정브래킷(32)과 볼트(60)로 체결할 때 적절히 압축 변형되면서 행거(20)의 수직바(24b)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예컨대 적정탄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구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p prevention pad 5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is preferably compressively deformed when the fixing band 50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32 of the sign 30 by the bolt 60 And is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so as to be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 24b of the hanger 20.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행거(20)의 고정파이프(21)가 부착된 포스트 클램프(10)와, 행거(20)의 가동파이프(24) 및 고정브래킷(32)이 접합된 표지판(30)의 세 단위 조립체로 제작 조립하거나, 또는 고정파이프(21)에 가동파이프(24)까지 조립된 포스트 클램프(10)와 표지판(30)의 두 조립체로 제작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되어 지주(P)에 설치된다.The traffic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constructed so that the post clamp 10 with the fixing pipe 21 of the hanger 20 and the movable pipe 24 and the fixing bracket 32 of the hanger 20 are joined And assembled into a three unit assembly of the sign board 30 or assembled into two assemblies of the post clamp 10 and the sign 30 assembled up to the movable pipe 24 in the stationary pipe 21, And is installed in the column P as shown in Fig.

따라서, 현장에서는 포스트 클램프(10)를 지주(P)에 체결한 뒤, 가동파이프(24)를 고정파이프(21)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표지판(30)을 고정밴드(50)로 가동파이프(24)의 수직부(24b)에 체결하거나, 단순히 포스트 클램프(10)를 지주(P)에 체결한 뒤 고정밴드(50)를 표지판(30)에 접합된 고정브래킷(32)에 볼트(60)로 체결하는 매우 간단한 작업만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The sign 30 is fixed to the movable pipe 24 by the fixing band 50 in a state where the post clamp 10 is fastened to the support P and then the movable pipe 24 is fixed to the fixed pipe 21. [ Or simply by fastening the post clamp 10 to the support pillars P and then fastening the fixing band 50 to the fixing bracket 32 bonded to the sign board 30 with the bolts 60 The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only by a very simple operation to be performed.

더욱이, 포스트 클램프(10)가 상호 힌지 연결된 원호형의 두 클램핑 밴드(11)(15)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주(P)에 대한 포스트 클램프(10)의 장착도 매우 간편해져 종래에 비해 교통표지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st clamp 10 is composed of two arc-shaped clamping bands 11 and 15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mounting of the post clamp 10 to the post P is very simple, The work becomes very easy.

물론, 이때 설치장소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고정파이프(21)에 대한 가동파이프(24)의 고정위치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표지판(30)이 최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mark 30 at an optimum posi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movable pipe 24 with respect to the fixed pipe 21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교통표지 장치는 표지판(30)에 부착된 고정브래킷(32)이 캡형으로 구성되어 볼트(60) 체결부위의 한쪽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노출이 완전히 방지될 뿐 아니라 하나의 고정밴드(50)만으로 표지판(30)을 고정하는 바, 외관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ffic mar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bracket 32 attached to the sign 30 is formed in a cap shape so that the exposure of the fixing bracket 32 is completely prevented by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lt 60, The sign board 30 is fixed only by the cover 50, and the appearance improvement can be expected.

특히, 한 곳에 2개 이상의 표지판(30)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행거(20)에 2개 이상의 표지판(30)을 간편하게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3개 또는 그 이상의 표지판(30)을 한 곳에 설치할 경우에도 가동파이프(24)를 수직바(24b)의 길이가 길게 구성된 다른 가동파이프(24)로 간단히 교체하여 고정파이프(21)에 체결해줄 수 있어 표지판(30)의 수량에 관계없이 다양한 여러 개의 표지판(30)을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even when two or more sign boards 30 are installed in one place, two or more sign boards 30 can be easily installed on one hanger 20, and three or more sign boards 30 can be easily installed in one place The movable pipe 24 can be simply replaced with another movable pipe 24 having a longer length of the vertical bar 24b and fastened to the fixed pipe 21, The sign boards 30 can be installed together.

이는 또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 등으로 표지판(30)이나 가동파이프(24)가 손상되더라도 가동파이프(24)만을 고정파이프(21)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도 매우 유리하다.This also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and replace only the movable pipe 24 from the fixed pipe 21 even if the sign 30 or the movable pipe 24 is damaged due to a physical impact from the outsid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고정밴드(50)의 몸체(51)의 내주 중간부위에 마찰계 수가 큰 고무재질의 슬립방지패드(55)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바, 볼트(60)에 의한 체결 때 슬립방지패드(55)가 고정밴드(50)의 압박에 의해 압축 변형되면서 행거(20)의 수직바(24b)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lip prevention pad 55 made of rubber having a large friction coefficien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iddl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51 of the fixing band 50, The slip prevention pad 55 is resiliently pressed against the vertical bar 24b of the hanger 20 while being compressed and deformed by the pressing of the fixing band 50. [

따라서 수직바(24b)와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표지판(30)의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해짐은 물론이고 표지판(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직바(24b)에 대한 고정밴드(50)의 미끄러짐이 확실히 방지되어 표지판(30)이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vertical bar 24b so that the mark 30 is firmly fixed and the slip of the fixing band 5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 24b can be surely secur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rk 30 So that the sign 30 does not flow or rotate.

이와 함께 각 구성부품들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의 비철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바, 산화부식이 발생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주기적으로 페인팅을 수행할 필요도 없어 유지관리도 한결 쉬워진다.In addition, since each component is made of a non-ferrous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oxidation corrosion does not occur, and maintenance is also simplified sinc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painting periodically as in the past.

한편, 도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행거(20) 가동파이프(24)의 수직바(24b)가 타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ffic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bar 24b of the movable pipe 24 of the hanger 20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표지판(30)의 회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교통표지의 신뢰성과 인식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 embodiment of such a configuration can more reliably prevent rotation of the sign 30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reliably ensure the reliability and recognizability of the traffic sign.

또한, 도8 내지 도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8 to 10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ffic sig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행거(20)의 가동파이프(24)의 수평 바(24a)와 수직바(24b)가 서로 분리 구성되고, 수평바(24a)의 타단에 삽입홀더(70)를 그와 직교하도록 접합하여 수직바(24b)를 삽입홀더(70)에 끼운 뒤 볼트(73)로 체결한 구성이다.The horizontal bar 24a and the vertical bar 24b of the movable pipe 24 of the hanger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and the horizontal bar 24a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der 70 are vertically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bar 24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der 70 and fastened with bolts 73. [

이러한 삽입홀더(70) 역시 바람직하기로 내식성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데, 알루미늄은 연질의 비철금속이므로 그 나사구멍(71)을 통해 수직바(24b)에 볼트(73)로 체결한 경우,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표지판(30)에 가해지는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볼트(73)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삽입홀더(70)의 나사구멍(71)이 쉽게 마모되고, 이로 인해 수직바(24b)에 대한 삽입홀더(70)의 체결력이 약해져 유동이 발생됨으로써 심한 경우 볼트(73)가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bolts 73 are fastened to the vertical bars 24b through the threaded holes 71, the elongated bolts 73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70. As a result, The screw hole 71 of the insertion holder 70 which is relatively weaker than the bolt 73 is easily worn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wind which is applied to the sign 30,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70 is weakened and a flow is generated, so that the bolt 73 can be detached in severe cases.

이에 따라 바람직하기로 도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더(70)의 나사구멍(71)에 내 · 외주가 모두 나사형태를 이루도록 경질금속으로 이루어진 소위 헬리컬코일(helical coil:74)이 결합된다.10, a so-called helical coil 74 made of a hard metal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71 of the insert holder 70 so that the inner and outer peripheries of the screw hole 71 are all screwed together. do.

헬리컬코일(74)은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갖는 금속강선을 코일상으로 감은 것으로, 볼트(73)를 결합하게 되면 각 권취부가 축방향으로 미세하게 벌어져 자체의 복원탄성에 의해 볼트(73)의 나사부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체결력을 증가시켜 일반적인 볼트(73)의 풀림현상도 확실하게 방지한다.The helical coil 74 is wound in a coiled shape with a rhomboidal cross section. When the bolts 73 are engaged, the respective windings are minutely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force is increased to reliably prevent the general bolt 73 from being loosened.

이러한 헬리컬코일(74)은 바람직하기로 우수한 기계적강도와 내식성을 겸비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다.The helical coil 74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가동파이프(24)의 수평바(24a)만 고정파이프(21)에 조립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더욱 용이해질 뿐 아니라, 수직바(24b)만 훼손된 경우 수평바(24a)는 그대로 두 상태에서 수직바(24b)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등에 더욱 유리하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horizontal bar 24a of the movable pipe 24 can be transported to the site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bar 24a is assembled to the fixed pipe 21. This not only facilitates transportation and handling, The horizontal bar 24a can be simply replaced with the vertical bar 24b in the state of being in the same state, which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을 포스트 클램프가 2개의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case where the post clamp is composed of two clamping band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양단에 힌지홈과 힌지돌기가 각각 형성된 작은 원호길이를 갖는 적어도 1개의 보조 클램핑 밴드를 더 구비하여 지주의 지름크기에 따라 제1,2클램핑 밴드를 선택적으로 보조 클램핑 밴드를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또는 포스트 클램프를 2개이상의 클램핑 밴드로 분할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at least one auxiliary clamping band having a small arc length formed with hinge grooves and hinge protrusions at both ends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lective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band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stru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clamping bands, or the post clamp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lamping bands.

이 경우, 지주의 지름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포스트 클램프를 모든 지주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post clamp on all the supports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suppo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에 의하면,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파손 시 해당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표지판을 간편하게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sign board on the support, and to easily replace only the corresponding part when the vehicle is broken, and to provide a single post clamp and a hanger, Can be easily installed together.

또한, 설치할 표지판의 수량에 따라 행거만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소망하는 수량의 표지판을 하나의 포스트클램프와 행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표지판의 회전도 확실하게 방지하여 항시 정확하게 표지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gnboards to be installed, only the hanger can be easily replaced, so that not only a desired number of signs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single post clamp and a hanger, but also reliably prevents the signboard from being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교통표지의 품위와 구조적 안정성, 설치작업의 용이성 및 유지관리비용의 절감 등을 도모함과 더불어 도로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having excellent effects that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road, as well as the dign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raffic sign, easiness of the installation work, reduction of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like.

Claims (6)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A post clamp comprising two arcuate clamping band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another by a hin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lamped by a clamping means so as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a column vertically installed on the road; 상기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와, 한쪽 단부가 상기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바 및 이 수평바의 타단에 그와 직교하도록 접합되는 수직바를 갖는 T형의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행거;A fixing pipe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outer periphery of one of the clamping bands of the post clamp in the radial direction, a horizontal bar inserted into the fixing pipe and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A hanger comprising a T-shaped movable pipe having a vertical bar; 전면에 소정의 표지내용이 인쇄되며, 복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캡형의 고정브래킷을 배면 중앙부에 갖는 복수의 표지판;A plurality of signs having a cap-like fixin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print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상기 행거의 수직바 외형에 대응하는 호형의 몸체 양단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체결구멍에 볼트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각 표지판을 행거의 수직바에 각각 고정시켜주는 복수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And a plurality of fixing bands each having a flange fixed to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bracket by bolts at both ends of an arc-shaped body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r outer shape of the hanger to fix the respective marking plates to the vertical bars of the hanger Traffic markers feat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가동파이프의 수평바 타단에 통형의 삽입홀더가 수직방향으로 접합되고, 상기 표지판이 고정되는 수직바가 상기 삽입홀더에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2. The traffic sig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ylindrical insertion holder is vertically join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of the movable pipe of the hanger, and a vertical bar to which the sign is fix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der and fastened with bolts.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클램프, 행거 및 표지판이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The traffic sig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st clamp, the hanger and the sign are made of aluminum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를 삽입홀더에 체결하기 위해 형성한 나사구멍에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등의 경질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내·외주 모드에 나사를 갖는 헬리컬코일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설치구조.A signboard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a screw hole formed for fastening the vertical bar to the insert holder is coupled with a helical coil made of a hard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having screws in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modes Install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수직바가 타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The traffic sig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bar of the hanger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호형 몸체 중간부위에 내측으로 개방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더브테일형의 결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채널에 더브테일형 결합돌기를 일측면에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내주에서 일정폭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슬립방지패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a dovetail type coupling channel protruding outward while being opened inward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rc-shaped body of the fixed band, and a dovetail- And a soft anti-slip pad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width.
KR1020050126424A 2005-12-20 2005-12-20 A traffic sign device KR100566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424A KR100566953B1 (en) 2005-12-20 2005-12-20 A traffic sig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424A KR100566953B1 (en) 2005-12-20 2005-12-20 A traffic sig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953B1 true KR100566953B1 (en) 2006-03-31

Family

ID=3718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424A KR100566953B1 (en) 2005-12-20 2005-12-20 A traffic sig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5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00B1 (en) 2009-05-19 2009-08-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Apparatus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horizontally the sign board and hanger
KR101105345B1 (en) * 2011-09-26 2012-01-16 주식회사 선진정밀 Signboard fixing assembly having an angle adjusting function
KR102516667B1 (en)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Attached type LED traffic sign structure
KR102516668B1 (en)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No-welding type LED traffic sign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988B1 (en) 2002-05-20 2002-10-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A traffic sign device
KR20030031874A (en) * 2002-11-08 2003-04-23 한양프레임주식회사 Supporting structure of sign board
JP2005043774A (en) 2003-07-25 2005-02-17 Yoshimoto Pole Co Ltd Sign instal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988B1 (en) 2002-05-20 2002-10-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A traffic sign device
KR20030031874A (en) * 2002-11-08 2003-04-23 한양프레임주식회사 Supporting structure of sign board
JP2005043774A (en) 2003-07-25 2005-02-17 Yoshimoto Pole Co Ltd Sign install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00B1 (en) 2009-05-19 2009-08-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Apparatus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horizontally the sign board and hanger
KR101105345B1 (en) * 2011-09-26 2012-01-16 주식회사 선진정밀 Signboard fixing assembly having an angle adjusting function
KR102516667B1 (en)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Attached type LED traffic sign structure
KR102516668B1 (en)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No-welding type LED traffic sig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921B2 (en) Road sign equipment
JP3622922B2 (en) Road sign equipment
JP3622920B2 (en) Marking device
JP2005165323A (en) Post clamp equipped with pillar for supporting guide plate
KR100566953B1 (en) A traffic sign device
KR200436770Y1 (en) Apparatus for fixing sign board hanger on post
KR100566947B1 (en) Post cover with function for preventing sticking advertisement paper to post
US5974712A (en) Traffic sign
KR100450292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sign board
KR101235006B1 (en) Road sign
KR100358988B1 (en) A traffic sign device
JP2009052242A (en) Automatically returning road sign
KR100358986B1 (en) A traffic sign device
KR100358987B1 (en) A traffic sign device
KR100705673B1 (en) Road sign device
KR200436771Y1 (en) Road sign device
KR200285563Y1 (en) A traffic sign device
KR200287803Y1 (en) A traffic sign device
KR200287804Y1 (en) A traffic sign device
KR100358985B1 (en) A traffic sign device
KR100705672B1 (en) Road sign device
KR200287802Y1 (en) A traffic sign device
JP3223786U (en) Wire rope support
KR100740901B1 (en) Standing structure of gate type for attaching and supporting traffic guide system
KR100448946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traffic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