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778B1 -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778B1
KR100566778B1 KR1020030027179A KR20030027179A KR100566778B1 KR 100566778 B1 KR100566778 B1 KR 100566778B1 KR 1020030027179 A KR1020030027179 A KR 1020030027179A KR 20030027179 A KR20030027179 A KR 20030027179A KR 100566778 B1 KR100566778 B1 KR 100566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ode
client
ring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305A (ko
Inventor
유병기
Original Assignee
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기 filed Critical 유병기
Priority to KR102003002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7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링(ring)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검색 쿼리(query)를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검색 쿼리에 기반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 중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색 키워드를 변경한 후 제 2 단계로 궤환하는 제 3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면 매칭된 콘텐츠가 속하는 임의 분야(B)의 콘텐츠 링 결과를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분야(B)의 콘텐츠 링이 선택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를 가입 승인하는 제 5 단계와, 콘텐츠 링 내의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 정보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콘텐츠 노드가 생성되면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를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와 연결하여 분야(B)의 콘텐츠 링에 추가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야별 콘텐츠 사이의 연결 체인을 통해 유사한 콘텐츠에 대하여 가상 링 구조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인 검색으로 인한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콘텐츠 링 구조 자체의 유연한 확장성으로 인해 콘텐츠 수의 증가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 구조 내에서 토큰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방식의 전송으로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수가 줄어들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하고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USING OF NETWORK R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인터넷 기반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전형적인 인터넷 기반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토큰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요청 토큰의 구성도,
도 7은 도 5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토큰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배포하기 위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9는 도 8의 배포 토큰의 구성도,
도 10은 도 8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302, 303, 304 : 클라이언트
301B, 302B, 303B, 304B : 임의 콘텐츠 분야(B)의 콘텐츠 노드
320 : 인터넷망 330 : 콘텐츠 서비스 서버
340 : 콘텐츠 DB 350 : 콘텐츠 링
360 : 콘텐츠 분야(B)의 요청 토큰
본 발명은 웹 상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 정보를 공유하여 콘텐츠의 실시간 전송과 능동적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링(ring)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웹 상에서 필요로 하는 콘텐츠의 수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현재의 콘텐츠 제공 업체들은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형태의 방대한 정보들을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웹 기반에서의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클라이언트(101, 102, 103, 104), 인터넷망(120), 콘텐 츠 서비스 서버(130), 콘텐츠 DB(14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1, 102, 103, 104)는 웹 브라우저 또는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도시 생략됨)이 탑재되는 사용자측 단말 또는 이를 운용하는 유저(user)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인터넷망(120)을 통해 웹 콘텐츠 서버(130)와 접속된다.
이때, 이러한 클라이언트(101, 102, 103, 104)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클라이언트(101), 제 2 클라이언트(102), 제 3 클라이언트(103), 제 4 클라이언트(104)로 각각 지칭하였다.
여기서, 제 1 클라이언트(101)는 자신이 관심 있는 또는 필요한 분야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클라이언트이며, 제 2 클라이언트(102), 제 3 클라이언트(103) 그리고 제 4 클라이언트(104)는 제 1 클라이언트(101)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들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들로 가정하였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제 2, 제 3, 제 4 클라이언트(102, 103, 104)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들을 콘텐츠 DB(140)에 저장하거나, 제 1 클라이언트(101)로부터의 임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DB(140)에 수록된 유사 콘텐츠를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이러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200)에서는 제 1 클라이언트(101)가 인터넷망(120)을 통해 검색 쿼리(query)를 전송한다. 이 검색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웹 브라우저 또는 데스 크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검색 쿼리가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202, S204)로 진행하여 이러한 검색 쿼리에 기반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DB(140)에 수록된 콘텐츠들을 검색한다. 즉, 콘텐츠 DB(140)에 수록된 콘텐츠 중 제 1 클라이언트(101)로부터 전송된 쿼리에 대응하는(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것이다.
단계(S202, S204)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검색 키워드를 변경하고 단계(S202)를 재 수행한다.
만일, 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208)로 진행하여 콘텐츠 DB(140)를 통해 검색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제 1 클라이언트(101)로 전송하고 단계(S210)로 진행한다.
단계(S210)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제 1 클라이언트(101)로부터 소정 콘텐츠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제공된 검색된 결과 리스트를 제 1 클라이언트(101)에서 확인하고 이 리스트들에서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210)에서의 판단 결과, 소정 콘텐츠가 요청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212)로 진행하여 요청된 해당 콘텐츠를 제 1 클라이언트(101)에게 전송하고 도 2의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콘텐츠 검색 및 콘텐츠 브라우징 방식은 사용자가 이미 생성한 콘텐츠를 서버에 저장 및 통합해 두고, 필요시 사전 분류된 방식에 따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종래의 콘텐츠 서비스 기법에서는 다음 각 항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다.
1. 사용자 중심의 분류 방식이므로 각 개인들이 생성한 콘텐츠들을 제3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공유하지 못한다. 즉, 콘텐츠 수신 또는 배포시 단방향 서비스만 가능한 바, 능동적으로 자신들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배포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2. 콘텐츠 검색시 키워드(key-word) 방식을 채용하는 바, 콘텐츠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 매우 비효율적이다.
3. 사용자들이 자주 찾는 관심 분야에 속한 개인의 특정 콘텐츠는 반복되어 검색될 확률이 높으나, 기존 방식은 사용자가 검색 쿼리를 반복하여 전송함으로써 반복 검색에 따른 시간 소모가 많아진다.
4. 잦은 검색과 전송 서비스에 따른 네트워크 및 서버의 부하가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인터넷 기반 콘텐츠 서비스 기술은, 능동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배포/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욕구에 반(反)할 뿐만 아니라,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터넷 관련 기술과는 부합되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 특히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상에서 유사 관심 분야를 갖는 사용자간의 콘텐츠를 토큰(token) 방식의 링 구조를 이용하여 분류별로 연결 및 공유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반복 검색으로 인한 시간 소모와 서버 부하를 줄이도록 한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서 유사 관심 분야를 갖는 클라이언트간의 콘텐츠를 분류별로 연결 및 공유시키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DB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쿼리의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가 소속되어 있는 콘텐츠 링으로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며,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콘텐츠의 해당 분야의 콘텐츠 링 가입을 승인하고, 상기 콘텐츠 링 내의 이웃한 콘텐츠 노드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를 상기 이웃한 콘텐츠 노드와 연결하여 해당 분야의 콘텐츠 링에 추가하며, 콘텐츠 요청을 위한 요청 토큰과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배포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링 내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전송 및 수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사 관심 분야를 갖는 클라이언트간의 콘텐츠를 콘텐츠 링에 의해 분류별로 연결 및 공유시키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으로서,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검색 쿼리를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검색 쿼리에 기반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 중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색 키워드를 변경한 후 제 2 단계로 궤환하는 제 3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면 매칭된 콘텐츠가 속하는 임의 분야(B)의 콘텐츠 링 결과를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분야(B)의 콘텐츠 링이 선택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를 가입 승인하는 제 5 단계와, 콘텐츠 링 내의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 정보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콘텐츠 노드가 생성되면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를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와 연결하여 분야(B)의 콘텐츠 링에 추가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요지는 인터넷 사용자 개개인이 생성한 여러 분야의 콘텐츠들을 분류 및 상호 연결하여 체인(chain) 형태로 콘텐츠 링을 형성하고, 콘텐츠 링에 가입한 노드에서 요청 토큰 및 배포 토큰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수신 및 전송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클라이언트(301, 302, 303, 304), 인터넷망(320),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 콘텐츠 DB(340)를 포함하며, 전체 시스템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네트워킹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301, 302, 303, 304)는 웹 브라우저 또는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도시 생략됨)이 탑재되는 사용자측 단말 또는 이를 운용하는 유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인터넷망(320)을 통해 웹 콘텐츠 서버(330)와 접속된다.
이때, 이러한 클라이언트(301, 302, 303, 304)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클라이언트(301), 제 2 클라이언트(302), 제 3 클라이언트(303), 제 4 클라이언트(304)로 각각 지칭하였으나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수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 1 클라이언트(301)는 자신이 관심 있는 또는 필요한 분야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클라이언트이며, 제 2 클라이언트(302), 제 3 클라이언트(303) 그리고 제 4 클라이언트(304)는 제 1 클라이언트(301)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들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들로 가정하였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제 2, 제 3, 제 4 클라이언트(302, 303, 304)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들을 콘텐츠 DB(340)에 저장하거나, 제 1 클라이언트(301)로부터의 임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DB(340)에 수록된 유사 콘텐츠를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제 3, 제 4 클라이언트(302, 303, 304)가 생성한 콘텐츠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야별(콘텐츠 노드 A, 콘텐츠 노드 B, 콘텐츠 노드 C)로 각각 분류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분야 B의 콘텐츠 노드들(301B, 302B, 303B, 304B)이 콘텐츠 링(35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 B(301B)에서는 요청 토큰(360)을 이용하여 분야 B의 콘텐츠를 요청한다고 가정하였다.
즉, 제 1 클라이언트(301)가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로 검색 쿼리(query)를 전송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DB(340)에 저장된 제 2, 제 3, 제 4 클라이언트(302, 303, 304)로부터의 콘텐츠 중 검색 쿼리의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콘텐츠가 소속되어 있는 콘텐츠 링으로 제 1 클라이언트(301)에게 응답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첨부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단계(S400)에서는 제 1 클라이언트(301)가 인터넷망(320)을 통해 검색 쿼리를 전송한다. 이 검색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웹 브라우저 또는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검색 쿼리가 인터넷망(320)을 통해 전송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단계(S402, S404)로 진행하여 이러한 검색 쿼리에 기반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DB(340)에 수록된 콘텐츠들을 검색한다. 즉, 콘텐츠 DB(340)에 수록된 콘텐츠 중 제 1 클라이언트(301)로부터 전송된 쿼리에 대응하는(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것이다.
단계(S402, S404)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단계(S406)로 진행하여 검색 키워드를 변경하고 단계(S402)를 재 수행한다.
만일, 일치 또는 관련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단계(S408)로 진행하여 매칭된 콘텐츠가 속하는 임의 분야(B)의 콘텐츠 링 결과를 제 1 클라이언트(301)로 전송하고 단계(S410)로 진행한다.
단계(S410)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제 1 클라이언트(301)에 의해 상술한 분야(B)의 콘텐츠 링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분야(B)의 콘텐츠 링(350)이 선택되면 단계(S412) 및 단계(S414)로 진행한다.
단계(S412) 및 단계(S414)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제 1 클라이언트(301)를 가입 승인하고, 콘텐츠 링(350) 내의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 정보, 즉 노드 IP 정보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제 1 클라이언트(301)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 B(301B)의 이웃한 콘텐츠 노드를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와 제 4 클라이언트(304)의 콘텐츠 노드(304B)로 가정한다.
한편, 단계(S416)에서는 제 1 클라이언트(301)에 의해 콘텐츠 노드가 생성되는지를 판단하고, 임의의 콘텐츠 노드(301B)가 생성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는 단계(S418)로 진행하여 이러한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를 이 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302B, 304B)와 연결하여 상술한 분야(B)의 콘텐츠 링(350)에 추가시키고 도 4의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임의의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는 콘텐츠 링에 가입 및 연결되어 해당 링 내의 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클라이언트 가입 이후에 토큰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링 내에서의 피어-투-피어 실시간 콘텐츠 전송 및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대한 구성은 요청 토큰(360)과 콘텐츠의 세부적인 전송 과정을 제외하고 상술한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도 7의 콘텐츠 서비스 과정과 함께 기능 설명을 병행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700)에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예컨대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에서 분야(B)에 대한 콘텐츠 요청 토큰(360)을 생성한다.
이러한 요청 토큰(36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속 콘텐츠 링 이름과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요청 노드 이름(노드 IP) 정보로 구성된다.
단계(S700)에서와 같이 요청 토큰(360)이 생성되면,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330)에서 요청하여 획득된 이웃한 콘텐츠 노드, 예컨대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로 요청 토큰(360)을 콘텐츠 링(350)에 삽입하여 전송한다(S702).
단계(S704)에서 제 2 클라이언트(302)에서는 요청 토큰(360)내의 정보, 즉 콘텐츠 노드 이름과 소속 콘텐츠 링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70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이면 단계(S710)로 진행하여 콘텐츠 링(350)을 통해 되돌아온 요청 토큰(360')을 폐기한다.
그러나, 단계(S70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S706)로 진행하여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에서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로 임의 콘텐츠를 전송하고 단계(S708)로 진행한다.
단계(S708)에서는,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에서 이웃한 클라이언트, 예를 들어 제 3 클라이언트(303)의 콘텐츠 노드(303B)로 요청 토큰(360)을 전송한다.
이러한 단계(S708)의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단계(S704)로 궤환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즉, 요청 토큰(360)이 전송된 다른 콘텐츠 노드(제 3 클라이언트(303)의 콘텐츠 노드(303B)와 제 4 클라이언트(304)의 콘텐츠 노드(304B))에서도 다시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이웃한 콘텐츠 노드로 요청 토큰(360)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개개인의 분야별 유사한 콘텐츠를 링과 토큰을 이용하여 공유함으로써, 콘텐츠 실시간 수신 및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콘텐츠 링(350)에 이미 가입한 클라이언트측 노드에서 콘텐츠를 생성 및 배포하고자 하는 경우의 토큰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링 내에서의 피어-투-피어 실시간 콘텐츠 생성 및 배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에 대한 구성은 배포 토큰(370)과 콘텐츠의 세부적인 전송 과정을 제외하고 상술한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도 10의 콘텐츠 서비스 과정과 함께 기능 설명을 병행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0)에서는 콘텐츠 링(350)에 가입한 임의의 클라이언트, 예컨대 제 4 클라이언트(304)의 콘텐츠 노드(304B)에서 분야(B)의 콘텐츠를 생성 및 배포하기 위한 배포 토큰(370)을 생성한다.
이러한 배포 토큰(37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링 이름, 콘텐츠 배포 노드 이름(노드 IP), 방문 카운트, 초기 배포 토큰을 수신하는 콘텐츠 노드 리스트 정보로 각각 구성된다.
단계(S100)에서 생성된 배포 토큰(370)은 단계(S102)에서와 같이 콘텐츠 링(350)에 삽입되어 제 4 클라이언트(304)의 이웃하는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B)로 전송된다.
이후 단계(S104)에서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는 배포 토큰(370)내의 정보 중 콘텐츠 배포 노드 이름과 소속 콘텐츠 링 이름 정보를 추출하 여 현재 요청된 배포 노드가 자신의 노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104)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이면 단계(S114)로 진행하여 콘텐츠 링(350)을 통해 되돌아온 배포 토큰(370')을 폐기한다.
그러나, 단계(S104)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가 아니면 단계(S106)로 진행하여 배포 토큰(370)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106)의 판단 결과, 배포 토큰(370)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어 있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이면, 상술한 단계(S114)로 진행하여 콘텐츠 링(350)을 통해 되돌아온 배포 토큰(370')을 폐기한다.
한편, 단계(S106)의 판단 결과, 배포 토큰(370)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지 않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이 아니면, 제 1 클라이언트(301)는 단계(S108)로 진행하여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에서 제 4 클라이언트(304)의 콘텐츠 노드(304B)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 4 클라이언트(304)는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로 임의의 콘텐츠를 배포한다.
이후, 단계(S110)에서는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에서 자신의 콘텐츠 노드로 배포 토큰 정보를 변경한다. 이러한 단계(S110)의 과정은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드(301B)의 방문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수신된 콘텐츠 노드(301B)에서 자신의 노드 이름을 삭제하는 과정이다.
단계(S110)의 수행 후, 단계(S112)에서는 제 1 클라이언트(301)의 콘텐츠 노 드(301B)에서 이웃한 클라이언트, 예를 들어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로 배포 토큰(370)을 전송한다.
이러한 단계(S112)의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단계(S104)로 궤환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즉, 배포 토큰(370)이 전송된 다른 콘텐츠 노드(제 2 클라이언트(302)의 콘텐츠 노드(302B)와 제 3 클라이언트(303)의 콘텐츠 노드(303B))에서도 다시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이웃한 콘텐츠 노드로 배포 토큰(370)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과정은 하나의 배포 토큰을 생성하고 하나의 초기 콘텐츠 노드로 전송된 예이지만, 하나 이상의 배포 토큰을 생성하여 다수의 콘텐츠 노드로 전송할 때도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다수의 배포 토큰을 사용하는 경우의 장점은 동시에 여러 콘텐츠 노드로의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이는 전송 효율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야별 콘텐츠 사이의 연결 체인을 통해 유사한 콘텐츠에 대하여 가상 링 구조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인 검색으로 인한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콘텐츠 링 구조 자체의 유연한 확장성으로 인해 콘텐츠 수의 증가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 구조 내에서 토큰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방식의 전송으로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수가 줄어들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하고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예컨대 콘텐츠의 실시간 전송뿐만 아니라 비실시간 전송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네트워크 상에서 유사 관심 분야를 갖는 클라이언트간의 콘텐츠를 분류별로 연결 및 공유시키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DB와,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쿼리의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가 소속되어 있는 콘텐츠 링으로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며,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되는 콘텐츠의 해당 분야의 콘텐츠 링 가입을 승인하고, 상기 콘텐츠 링 내의 이웃한 콘텐츠 노드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를 상기 이웃한 콘텐츠 노드와 연결하여 해당 분야의 콘텐츠 링에 추가하며, 콘텐츠 요청을 위한 요청 토큰과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배포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링 내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전송 및 수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피어 투 피어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5.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사 관심 분야를 갖는 클라이언트간의 콘텐츠를 콘텐츠 링에 의해 분류별로 연결 및 공유시키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으로서,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검색 쿼리를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검색 쿼리에 기반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 중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색 키워드를 변경한 후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하는 제 3 단계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존재하면 매칭된 콘텐츠가 속하는 임의 분야(B)의 콘텐츠 링 결과를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분야(B)의 콘텐츠 링이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를 가입 승인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콘텐츠 링 내의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 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에 의해 콘텐츠 노드가 생성되면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를 상기 이웃한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와 연결하여 상기 분야(B)의 콘텐츠 링에 추가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가입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분야(B)에 대한 콘텐츠 요청 토큰을 생성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생성된 요청 토큰을 상기 콘텐츠 링에 삽입하여 이웃한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전송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요청 토큰내의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제 1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이면 상기 콘텐츠 링을 통해 되돌아온 요청 토큰을 폐기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가 아니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임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이웃한 제 3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상기 요청 토큰을 전송하고 상기 제 10 단계로 궤환하는 제 1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토큰은 상기 분야(B)의 콘텐츠 링 이름과 상기 콘텐츠 요청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요청 노드 이름 정보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청 토큰을 생성하여 다수의 콘텐츠 노드로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링에 가입한 제 1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상기 분야(B)의 콘텐츠를 생성 및 배포하기 위한 배포 토큰을 생성하는 제 14 단계와,
    상기 생성된 배포 토큰을 상기 콘텐츠 링에 삽입하여 이웃한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전송하는 제 15 단계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배포 토큰내의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6 단계와,
    상기 제 16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이면 상기 콘텐츠 링을 통해 되돌아온 배포 토큰을 폐기하는 제 17 단계와,
    상기 제 17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요청된 노드가 자신의 노드가 아니면 상기 배포 토큰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인지를 판단하는 제 18 단계와,
    상기 제 18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배포 토큰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어 있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이면, 상기 콘텐츠 링을 통해 되돌아온 배포 토큰을 폐기하는 제 19 단계와,
    상기 제 18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배포 토큰내의 노드 리스트에 자신의 노드가 포함되지 않고 방문 카운트 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0 단계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임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자신의 콘텐츠 노드로 상기 배포 토큰 정보를 변경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에서 이웃한 제 3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로 상기 변경된 배포 토큰을 전송하고, 상기 제 16 단계로 궤환하는 제 2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 토큰은 상기 분야(B)의 콘텐츠 링 이름, 콘텐츠 배포 노드 이름, 방문 카운트, 초기 배포 토큰을 수신하는 콘텐츠 노드 리스트 정보로 각각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포 토큰을 생성하여 다수의 콘텐츠 노드로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노드의 방문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수신된 콘텐츠 노드에서 자신의 노드 이름을 삭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KR1020030027179A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56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79A KR100566778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79A KR100566778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05A KR20040093305A (ko) 2004-11-05
KR100566778B1 true KR100566778B1 (ko) 2006-04-03

Family

ID=3737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79A KR100566778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9B1 (ko) * 2000-11-29 2007-11-08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 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747147B1 (ko) * 2005-10-05 2007-08-07 문종섭 콘텐츠 유통에 있어서, 저작권자와 네트워크 운영자그리고, 유통자 모두에게 수익을 보장해주고, 통신상의보안을 제공해주는 피투피 시스템
KR100720762B1 (ko) * 2007-01-30 2007-05-23 (주) 프람트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한 유사도 계산 및 콘텐츠의검색 방법
KR101351818B1 (ko) * 2007-06-05 2014-0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를 재생하는방법
CN101123610B (zh) * 2007-09-13 2011-04-27 北京交通大学 一种混和分布式重叠网络装置及其服务注册方法
KR101109091B1 (ko) * 2010-10-28 2012-01-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구조의 데이터 분산 처리 방법
KR101223875B1 (ko) * 2011-05-31 2013-01-17 김세호 브리지 서버를 이용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9146B1 (ko) * 2018-04-24 2019-06-17 팅크웨어(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117243B1 (ko) * 2019-06-07 2020-06-01 팅크웨어(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05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697B2 (en) Semantic information network (SION)
US7761569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ver a peer to peer network
US7555563B2 (en) High-performance addressing and routing of data packets with semantically descriptive labels in a computer network
Haase et al. Peer selection in peer-to-peer networks with semantic topologies
CN102045252B (zh) 用于内容连网的自适应多接口使用
CN109614419B (zh) 一种面向命名数据网络的知识服务路由挖掘方法
WO2002039307A1 (en) Content based routing devices and methods
Bastos et al. A diversity-based search-and-routing approach for named-data networking
US20080109481A1 (en) Context based network search
Zahedi et al. Route maintenance approach for link breakage predict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KR100566778B1 (ko) 네트워크 링 구조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Li et al. SCOM: A scalable content centric network architecture with mobility support
US7764701B1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lassifying peer systems
Ho Kwok et al. Searching the peer‐to‐peer networks: The community and their queries
Magaia et al. Repsys: A robust and distributed incentive scheme for in-network caching and dissemination in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s
Borch Improving semantic routing efficiency
JP4346276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Sangpachatanaruk et al. A p2p overlay architecture for personalized resource discovery, access, and sharing over the internet
JP4069539B2 (ja) 情報リンク生成装置、記録媒体及び情報リンク生成方法
Tode et al. NDN Based Participatory Crowdsensing Framework with Area-focused Interest Forwarding
Perera et al. Broadcast Updates with Local Look-up Search (BULLS) a new peer-to-peer protocol
KR200349700Y1 (ko)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라우팅 장치
Ishikawa et al. A platform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and its relation to semantic web applications
Yamato et al. Peer-to-peer non-document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user evaluation of semantic vectors
Tsuchiya et al. A distributed information retrieval manner based on the statistic information for ubiquitous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