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27B1 -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27B1
KR100566227B1 KR1020030083039A KR20030083039A KR100566227B1 KR 100566227 B1 KR100566227 B1 KR 100566227B1 KR 1020030083039 A KR1020030083039 A KR 1020030083039A KR 20030083039 A KR20030083039 A KR 20030083039A KR 100566227 B1 KR100566227 B1 KR 10056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mergency call
message
us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9151A (en
Inventor
오진영
박성욱
이강규
채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27B1/en
Publication of KR2005004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자로부터 긴급 통화 요청을 위한 발신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수신자에게 긴급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긴급 통화 모드 기능을 부가하여 수신자로 하여금 긴급 통화 요청에 대해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호 연결시 긴급 통화임이 설정된 호 연결 메시지인 셋업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셋업 메시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긴급 통화가 요구될 때에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착신음 및 진동을 주기적으로 번갈아가며 발생시켜 수신자에게 긴급 통화 요청을 알려줌으로써 수신자가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n outgoing call for an emergency call request from a sender, provides a method for notifying the receiver of an emergency call request. In other words, an emergency call mode function is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receiver can quickly respond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etup message, which is a call connection message set as an emergency call, to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n emergency call request is made from a user. Then,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received setup message, and when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an emergency call and generates an alternate ring tone and vibration periodically to make an emergency call to the receiver. Informing the request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receiver can respond quickly.

긴급 통화Emergency call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Method for notify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an emergency call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etup message including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notifying that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을 통한 긴급 통화시의 신호 흐름 예시도,4 is an exemplary signal flow diagram in an emergency call through a cor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 메시지 송신시의 제어흐름도,5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emergency call message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 메시지 수신시의 제어흐름도.6 is a control flowchart of receiving an emergency call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요청에 따른 발신 시 수신자에게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notifying a receiver of an emergency call when a call is made according to an emergency call request from a user.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그 사용은 업무 및 일반 가정용에서부터 개인 통신기기로 광범위하게 발전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범위한 추세에 맞추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하루에는 많게는 수십 번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 빈도가 급격히 늘어난 시점에서 사용자와 가끔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예컨대, 휴일에 가정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본인을 찾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통화를 원하지 않아서 일부러 받지 않는 경우, 또는 회의와 같은 중요 상황으로 인해 통화 응답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진동으로 해놓은 경우 등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n indispensable necessity, and its use has been widely developed from work and home to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In line with this broad trend, mobile terminal users are using mobile terminals as many times as many times a day. However, when the frequency of use increases rapidly, there are times when a call cannot be connected with a user. For example, you may not be able to answer a call because you do not want to make a call when you receive a call to find you when you are at home on a holiday, or because of an important situation such as a meeting. In addition, the user often does not recognize the phone, such as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vibrate.

이와 같이 송신자의 통화 요구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긴급을 요하는 통화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속한 응답이 요구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긴급을 요하는 통화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긴급 통화임을 인지할 수 없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예로서 국내 특허출원번호 2001-0028010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이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기술에서 사용자가 미리 긴급 통화의 가능성이 있는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두고, 해당 전화 번호로부터의 통화 호출이 있으면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현재 모드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켜 긴급 통화 호출이 있음을 알린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중요 상황으로 인해 전화를 받을 수 없어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하여 놓은 경우에도 시급한 통화를 요하는 긴급통화 요구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모드를 통해 긴급통화 요구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Even in the case where the call request of the sender cannot be answered as described above, a prompt response of the user is required in case of an urgent call.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could not recognize that the emergency call was an emergency call. As 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re is a "emergency call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o. 2001-0028010, in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by registering a telephone number in advance for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call In addition, if there is a call call from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vibration regardless of the current mode to inform that there is an emergency call call. This method notifies the user of an emergency call request through the vibration mode for an emergency call request that requires an urgent call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user cannot answer a call due to an important situation. It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respond quickly.

그러나 종래 개시된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모드 기능에 긴급수신 모드 기능을 부가하여 자동응답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긴급통화 요구에 대해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However, the related art provides a method for quickly responding to an emergency call request while an auto answer mode is being executed by adding an emergency call mode function to an auto answer mode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자동응답 모드에서 미리 사용자에 의해 긴급 통화의 가능성이 있는 긴급 통화 번호를 등록하여 두고, 등록된 긴급 통화 번호와 착신 시 수신받는 전화번호가 일치해야지만 긴급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송신자측에서 급한 용무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지라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긴급통화 번호가 아닌 경우 통화 연결이 되지 않고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송신자측에서는 연결된 음성사서함에 음성을 녹음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을 알릴 수 밖에 없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uto answering mode, an emergency call number having a possibility of an emergency call is registered by the user in advance, and an emergency call is made only when the registered emergency call number and the telephone number received at the incoming call match. For this reason, even if an urgent business or urgent situation occurs on the sender side and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er is not connected to the voice mailbox without the emergency call number set by the user. Therefore, the sender was forced to inform the urgent situation by recording the voice in the connected voicemail box.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신자로부터 긴급통화 요청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긴급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emergency call reques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emergency call request from the sen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연결 실패시에도 긴급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기 위해 부재중 긴급통화를 기록하고, 송신자로부터 긴급통화 요청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cording an emergency emergency call to notify that an emergency call request has been received even when a call connection fails, and receiving a shor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nd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 교환망(120), 데이터망(130), 교환망(120)과 데이터망(130)으로 구성된 코어망(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call reques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a switching network 120, a data network 130, a switching network 120, and a data network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network 110 composed of).

통상적인 CDMA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코어망(110)내의 교환망(120)은 이동교환국인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홈위치등록기인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지며 기지국 제어장치인 다수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로 이루어지는 교환국과 각 기지국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기지국인 다수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를 통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와 함께 무선으로 연결되어 일반공중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접속한다.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CDMA method, the switching network 120 in the core network 110 is composed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which is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which is a home location register. Wirelessly together with the se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through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a plurality of base transceiver stations (BTSs), which are base stations connected to respective base station controllers. It is connected to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which is a general public telephone network.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망(1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 분할 다중접속),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유럽의 IMT-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 범유럽디지털통신방식) /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을 포함하는 무선교환망일 수도 있고,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유선교환망일 수도 있다. Herein, the switching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ropean IMT-2000),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It may be a wireless switching network including a)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or may be a wired switching network of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교환국 및 홈위치등록기를 코어망이라고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을 코어망이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th respec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efined as a core network.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led a core network.

이하 현재 구축된 CDMA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코어망(110)을 통해 호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sen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forms a call through the core network 110 in order to perform a call with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urrently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으로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송출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교환망(120)으로 셋업 메시지를 중계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교환망(120)으로부터 통화 상대자의 호 응답을 수신하면 이를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와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 사용자간의 통화루프가 형성된다. First, when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by the user,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setup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then relays the setup message to the switching network 120.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call response of the call partner from the switching network 120,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call response to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is process, a call loop is formed between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이와 같이 기지국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코어망(110)내의 이동교환국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교환국과 망연동을 하고, 홈위치등록기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의 사용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여기서 코어망(110)내의 홈위치등록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사용자 정보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the base station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section together with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radio link and the wire link, and performs a handoff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the call even when the user moves. . The mobile switching center in the core network 110 interworks with other mobile switching stations in order to process a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inquires about the user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with the home location register. do. Here, the home location register in the core network 110 is a medium-class computer mainly performing a function of manag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he us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are used. It stores and stores the route for the incoming call.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구성도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긴급 통화 요청에 따른 호 발신시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셋업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며, 또한 이러한 셋업 메시지 수신시 긴급 통화임을 인지하여 이에 수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Hereinafter,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20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s described below, it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when a call is made according to an emergency call request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ndles a function for performing setup message transmission for informing, and also processes for performing a function for notifying a receiver by recognizing that it is an emergency call upon receiving such a setup message.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발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하는 셋업 메시지 필드내에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을 설정하여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호 발신을 한다. 호 발신에 대하여 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통화 연결 실패임을 인지하여 부재중 긴급 통화가 왔었음을 알리는 통화기록을 메모리부(230)에 잠시 저장해둔다. 한편, 호 발신에 대하여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가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 값이 설정된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수신된 셋업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수신된 셋업 메시지 포맷내에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설정된 코드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만약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이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200)는 이에 따라 표시부(210)를 통해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수신자로 하여금 빠른 응답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는 수신된 셋업 메시지내에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 분석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And when there is an emergency call origination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sets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informing that it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in the setup message fiel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to make an emergency call. . If the call is not answered for the call origination, the call connection failure is recognized and the call recor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emergency call has been store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receives a setup message in which a predetermined code valu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call is set for a call origination, the controller 200 analyzes the content of the received setup message and receives the setup message format. Check whether there is a predetermined set code value for inform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If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inform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is set,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By outputting such a message, the receiver can request a quick respons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0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de value analysis for notify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in the received setup message.

그리고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각종 정보 및 수신된 셋업 메시지에 따른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상으로 표시한다. 키입력부(220)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부(230)는 부재중 긴급 통화가 왔었음을 알리는 통화 기록과 통화 연결 실패에 따른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등을 저장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various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etup message as an image. The key input unit 220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20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memory unit 23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Voice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230 stores a call log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emergency call has been received and a received shor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call connection.

그리고 RF모듈(250)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110)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 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는 제어부(100)와 RF모듈(25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250)에 인가하며, RF모듈(25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26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the RF module 250 transmits / receives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110 through an antenna ANT. The RF module 250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the baseband processor 240 to the baseband processor.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band processor 240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Here, the baseband processor 240 is a baseband analog ASIC (BA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the RF module 250. The baseband processor 240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00 into an analog IF signal. It is applied to the RF module 250, and converts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module 250 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100. The voice signal processor 26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00.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

그리고 RF모듈(250)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110)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40)는 제어부(200)와 RF모듈(25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250)에 인가하며, RF모듈(25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26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the RF module 250 transmits / receives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110 through an antenna ANT. The RF module 250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the baseband processor 240 to the baseband processor.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band processor 240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The baseband processor 240 is a baseband analog ASIC (BA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200 and the RF module 250. The baseband processor 240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200 into an analog IF signal. Applied to the RF module 250, and converts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module 250 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voice signal processor 26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200.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20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업 메시지는 프로토콜 구분자 (Protocol discriminator)(300)필드, 메시지 타입(Message type)(310)필드, 베어러 기능 (Bearer capability)(320)필드 등 여러 IE (Information Elememnt)필드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구분자(300)는 메시지가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메시지 타입(310)은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주로 메시지 타입 (310)에는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등 모든 연결에 대한 설정, 해제, 제어 등에 관련된 메시지들이 있다. 그리고 셋업 메시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베어러 기능(Bearer capability)(320)필드는 사용자가 요청한 베어러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낸다. 또한 베어러 기능 필드(320)에는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몇 개 계층의 프로토콜이 필요한 경우 이들 각 계층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도 가질 수 있다. 베어러 기능 필드(320)의 내용은 다른 정보 요소와는 다르게 망 내에서 사용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tup message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Elememnt (IE) fields such as a protocol discriminator 300 field, a message type 310 field, a bearer capability 320 field, and the like. It consists of. The protocol delimiter 300 indicates which protocol the message belongs to. The message type 310 is a part indicating the type of message. The message type 310 mainly includes messages related to establishment, release, and control of all connections such as circuit switching and packet switching. The bearer capability field 32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setup message, indicates the type of bearer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bearer function field 320 may have information required by each of these layers when several layers of protocols are required to support such a service. The content of the bearer function field 320 is used in the network differently from other information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은 베어러 기능 필드(320)에 긴급 통화 설정 플래그(330)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통화 설정 플래그(330)란 소정의 예비 영역(spare field)의 비트값이 0인 경우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해 비트값을 1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예로써,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어러 기능 필드(320)는 여러 개의 옥텟 (octet)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의 처음 2번째 옥텟(octet)은 다른 정보 요소와 마찬가지로 정보요소 구분자와 길이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여러 옥텟 중 3번째 옥텟은 요구하는 베어러 기능이 표준 기능인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부분이 있다. 또한 표준 기능일 경우, 여러 가지 표준기능 중에서 어떠한 기능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 전송 기능 부분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기 3번째 옥텟의 예비 영역(spare field)의 한 비트를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을 설정하기 위한 비트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러 필드 중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코드값은 셋업 메시지 구성요소인 여러 정보 요소들내의 여유 필드(reserved field) 또는 예비 필드(spare field)중의 어느 하나에 비트값을 설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notifying of an emergency call may be generated by setting an emergency call setting flag 330 in the bearer function field 320. Here, the emergency call setting flag 330 refers to setting the bit value to 1 to indicate that the emergency call is an emergency value when the bit value of the predetermined spare field is 0. As an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bearer function field 320 is composed of several octets, the first second octet of which is made up of an information element identifier and length like other information elements. The third octet of the several octets indicates whether the required bearer function is a standard fun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andard function, there is a part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that can distinguish which function among various standard functions.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bit of the spare field of the third octet here may be used as a bit for setting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an emergency call. In other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code value for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among various fields may be set to any one of a reserved field or a spare field in various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setup message elements. Can be generated by setting the bit value.

상술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110)을 통한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긴급 통화 요청에 따른 신호 흐름 예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process of transmitting a setup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transmitting a setup message for notifying of an emergency call in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escribed below. To this e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n exemplary signal flow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request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the core networ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0)의 과정에서 우선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긴급 통화 요청임을 알리기 위해 긴급 통화에 따른 해당키를 선택함으로써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코어망(110)으로 긴급 통화임이 설정된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코어망(110)은 (405)의 과정에서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코어망(110)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긴급 통화임이 설정된 셋업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은 (415)과정에서 호 연결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호 연결이 가능한 경우 (420)과정으로 진행하고, 호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440)과정으로 진행한다. 우선 호 연결이 가능한 경우를 살펴보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는 전송받은 긴급 통화임이 설정된 셋업 메시지에 따라 (420)과정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나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는 (425)과정에서 호 연결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호 응답 메 시지를 코어망(110)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통화 연결키가 입력되면 호 연결에 따른 메시지를 코어망(1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코어망(110)은 전송받은 호 연결에 따른 메시지를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각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In step 400, the user of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irst attempts to connect the call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key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in order to notify that it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At this time, the transmitter-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setup message set as an emergency call to the core network 110. In response, the core network 11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call-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step 405. In addition, the core network 110 transmits the setup message set as the emergency cal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In this case,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determines whether the call connection is possible in step 415, and proceeds to step 420 when the call connection is possible, and proceeds to step 440 when the call connection is not possible. Proceed. Referring to the case where the first call connection is possible,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an emergency call in step 420 according to the setup message that is the received emergency call. Then,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transmits a call respon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connection is possible in step 425 to the core network 110, and when a call connec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110. In response, the core network 110 transmits a mess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to make 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한편, 호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는 (440)과정으로 진행하여 호 연결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코어망(110)으로 전송하며, 이에 대해 코어망(110)은 (445)과정에서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호 연결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호 연결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받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판단하여 이에 따라 화면을 통해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만약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 전송이 선택된 경우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460)과정에서 코어망(1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코어망(110)은 이러한 단문 메시지를 (465)과정에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전송을 통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 통화가 왔음을 알릴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all connection is not possible,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proceeds to step 440 and transmits a message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failure to the core network 110, whereby the core network 110 In step 445,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a message according to a call connection failure to the mobile terminal 100. Here,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ing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failure determines that the call connection is not made according to the received message, and accordingly accordingly transmits a short message to inform the emergency call through the screen. Is displayed. If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for notifying that the user is an emergency call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short message to the core network 110 in step 460, and the core is transmitted. The network 110 transmits the short message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in step 465. Through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the user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may notify the user of an emergency call.

이하 전술한 과정을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 메시지 송신시의 제어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above-described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호 발 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호 발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호 발신을 위해 즉,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해 입력된 키가 일반적인 통화연결키인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통화연결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통화연결키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통화연결키를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눌림으로써 인지되는 긴급 통화연결키일 수도 있으며, 또는 따로 구비된 긴급 통화연결키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통화연결키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표시부(210)를 통해 화면상에 예컨대 1번은 '일반통화', 2번은 '긴급 통화'라고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기능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일반 통화연결키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0)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통화 기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해 긴급 통화연결키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값을 포함한 호 연결 요청 메시지 즉, 셋업 메시지를 코어망(110)에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코어망(110)을 통해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어부(200)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all call by the user in step 5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ll originati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10 to determine whether the key inputted for the call origination, that is, the call connection, is a general call connectio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whether or not. Here, the emergency call connectio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mergency call connection key recognized by the user pressing the call connection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or an emergency call provided separately. It can also be a connection key. In addi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for example, 'normal call' on the screen and 'emergency call'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call function. You may. When the general call connec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40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normal call func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emergency call connec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20 and transmits a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redetermined code value indicating the emergency call, that is, a setup message, to the core network 110. send. Then, according to the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core network 11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3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ll connection.

여기서 긴급 통화요청에 따른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0)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통화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긴급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200)는 (55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연결위한 시도를 종료하며 이와 동시에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달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이런 메시지를 표시한 후 제어부(200)는 (56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57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코어망(110)을 통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따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형식으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하도록 한다.If a call connec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40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general call. On the contrary, if the emergency call connection is not mad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50 to terminate the attempt to connect to the call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short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call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or not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After displaying such a messag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70 when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indicating the emergency call i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560, and the predetermined emergency call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in advance. The short message notifying that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60 through the core network 110. Here, the user may transmit a short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instead of preparing a short message for notifying the emergency call separately.

이와 같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 긴급 통화 요청에 따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이하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to the receiv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Next,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low.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 메시지 수신시의 제어흐름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600)단계에서 코어망(110)을 통한 호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 착신을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호 착신시 수신된 셋업 메시지를 분석한다. 그리고나서 분석결과 수신된 셋업 메시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값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200)는 긴급 통화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통화요청이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 예컨대, '긴급 통화 요청입니다'와 같은 문장과 함께 발신 전화번호도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To this end, a control flow diagram for receiving an emergency call message in a receiv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whether there is a call reception through the core network 110 at step 600. In this state, when the call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0 analyzes the setup message received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n, when a predetermined code value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is set in the setup message rece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call request has occurr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10 to display the outgoing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along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call request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an emergency call request'.

또한 제어부(200)는 (620)단계에서 긴급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 속한 응답을 얻기 위해 진동 모드 상태 또는 벨소리 모드 상태와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착신음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려준다. 이는 사용자와의 통화 연결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긴급 통화 요청이 왔음을 인지시키기 위해 현재 상태 모드와 상관없이 착신음과 진동을 주기적으로 번갈아가며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이러한 착신음 및 진동으로 긴급 통화 요청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00)는 (650)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즉,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640)단계로 진행한다.In addition, in step 620,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ring tone and vibration regardless of the vibration mode state or the ring mode to obtain the user's quick response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Let them know you're here. Since the purpose of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user is to generate an alternate ring tone and vibration periodically to recognize that an emergency call request has been received,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mode. The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by the ring tone and vibration. If a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50, and if the response is not made by the user, that is, if the call is not connect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40.

만약 긴급 통화 요청이 발생하여 이에 대해 사용자가 이에 대해 응답하면 제어부(200)는 호 응답 메시지를 송출하며 호 연결 메시지를 송출하여 (650)단계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화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제어부(200)는 (640)단계에서 사용자가 긴급 통화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음을 알려주기 위해 긴급 통화가 왔었음을 알리는 부재중 통화기록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통화 연결이 실패하더라도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부재중 통화 기록을 통해 긴급 통화 요청이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부재중 통화 기록 또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If an emergency call request occurs and the user responds to this, the control unit 200 sends a call response message and sends a call connection message to make a call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in step 650. On the contrary, if the call connection fails because no response is made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missed call log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call cam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er did not respond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 step 640. Display. Thereafter,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re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through a short message or a missed call recor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even if the call connection fails. Here, the short message received to notify that the missed call record or emergency call stored in the memory 230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other messages.

만약 긴급 통화 요청이 발생하여 이에 대해 사용자가 이에 대해 응답하면 제어부(200)는 호 응답 메시지를 송출하여 (650)단계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화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제어부(200)는 (640)단계에서 사용자가 긴급 통화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음을 알려주기 위해 긴급 통화가 왔었음을 알리는 부재중 통화기록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통화 연결이 실패하더라도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 또는 부재중 통화 기록을 통해 긴급 통화 요청이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부재중 통화 기록 또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If an emergency call request occurs and the user responds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a call response message to make a call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in step 650. On the contrary, if the call connection fails because no response is made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missed call log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call cam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er did not respond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 step 640. Display. Thereafter,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re is an emergency call request through a short message or a missed call recor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even if the call connection fails. Here, the short message received to notify that the missed call record or emergency call stored in the memory 230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other messages.

Claims (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notifying the emergency call in the mobile terminal, 호 발신시 사용자에 의해 긴급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값을 포함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a setup messag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code valu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when an emergency call is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call is originated; 상기 생성된 소정의 코드값이 포함된 상기 셋업 메시지를 코어망을 통해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setup message including the generated predetermined code value to a receiving mobile terminal through a core network; 상기 코어망을 통해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화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호 연결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면,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If a call connection failure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connection has failed because a response from the user of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ade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re network is received, a short message for informing that the call is an emergency call. Displaying a menu screen for transmitting a message;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선택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And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값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code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상기 셋업 메시지내의 베어러 기능(Bearer capability) 필드의 예비 영역의 한 비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And using a bit of a reserved area of a bearer capability field in the setup messa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ort message is: 미리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Method for notifying that the emergency cal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notifying the emergency call in the mobile terminal, 코어망을 통해 호 착신에 따른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setup message according to the call reception through the core network; 상기 수신된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코드값이 포함된 경우 긴급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Analyzing the received setup message and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on the screen when a predetermined code value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is included; 상기 긴급 통화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화 연결이 실패한 경우 이를 나타내는 호 연결 실패 메시지를 상기 코어망을 통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call connection failure message to the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re network when the call connection fails due to a failure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by the user; 상기 통화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부재중 통화 기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And displaying a missed call record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request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 failure of the call connection.
KR1020030083039A 2003-11-21 2003-11-21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KR100566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39A KR100566227B1 (en) 2003-11-21 2003-11-21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39A KR100566227B1 (en) 2003-11-21 2003-11-21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51A KR20050049151A (en) 2005-05-25
KR100566227B1 true KR100566227B1 (en) 2006-03-29

Family

ID=3724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039A KR100566227B1 (en) 2003-11-21 2003-11-21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2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128B1 (en) * 2005-01-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handling unreachable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US8041331B2 (en) 2007-01-05 2011-10-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attempting an emergency call setup
KR101524497B1 (en) * 2012-10-12 2015-06-01 (주)티아이스퀘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s during call services
US8532627B1 (en) 2012-10-19 2013-09-10 Shary Nassimi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treatment of ca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51A (en)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08B1 (en) Announcement method for multimedia telephony using fallback between speech mode and data mode
US20070273749A1 (en) Cellular phone system, video-phone call control device, cellular phone and video-phone call control method
US20060099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group call processing in a key telephone system
CN104639731A (en) Incoming call reminding method, incoming call reminding system and terminal
KR100566227B1 (en)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EP1645146B1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US6999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notification of reception limitation status of mobile telephone
KR2006013225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nickname and its operating method
US79079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idging
JP3022867B2 (en) Notification method of message for rejection of incoming call
KR100640473B1 (en) Method for auto transmission a message in mobile phone
KR100521317B1 (en) Method for availability service of mobile phone
US6487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KR100455772B1 (en) 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KR20040045573A (en) Method of notifying telephone conversation status on mobile phone
JP418314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JP369892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KR100721870B1 (en) Method for calling use of voice message in mobile phone
KR100800763B1 (en) Method for lin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vms system
JP4623310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813809B1 (en)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028121B1 (en) System for notifing call of conversation response and method therefor
KR20060091446A (en) Method for representing caller information using of mobile terminal
KR100222658B1 (en) Method for transceiving phone number using forward control channel
KR20030078324A (en) The method for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