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491B1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491B1
KR100564491B1 KR1020040023611A KR20040023611A KR100564491B1 KR 100564491 B1 KR100564491 B1 KR 100564491B1 KR 1020040023611 A KR1020040023611 A KR 1020040023611A KR 20040023611 A KR20040023611 A KR 20040023611A KR 100564491 B1 KR100564491 B1 KR 10056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purifier
frame
r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8400A (en
Inventor
구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491B1/en
Publication of KR2005009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장치와 각종 센서 등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frame of a frame-type air purifier having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filter device and various sensors.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130)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32)과;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고,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장치(140)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S1,S2,S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32)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센서(S1,S2,S3)로 안내하는 보조통기공(136)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필터장치(140)는 상기 흡입그릴(132)의 전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138)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 의하면, 후방으로부터의 공기흡입이 가능하고 공기정화기의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The rear frame 130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ake grill 132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 filter device 14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32 and being detachably mounted in a sliding manner; Sensors S1, S2 and S3 f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air are provided. And one side of the suction grill 132 is further formed with an auxiliary vent hole 136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sensor (S1, S2, S3), the filter device 140 of the suction grill 132 It is mounted to the filter seat 138 formed on the front. According to the rear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suction from the rear is possibl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effectively utilized.

공기정화기, 후면프레임, 센서, 필터Air Purifier, Rear Frame, Sensor, Filter

Description

액자형 공기정화기{Air purifier }Frame air purifier {Air purifie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air purifi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 후면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정화기의 측면토출베인이 닫힌 상태의 전방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ide discharge vane of the air purifier in whic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rea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 후면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가채용된 측면토출베인이 열린 상태의 전방사시도.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ide discharge vane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rea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방외관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appearance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필터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ilter device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that is a main component of a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각종 센서가 후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various sensors,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a frame type air purifi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re mounted on a rear frame;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필터장치 가 착탈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9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that the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감도.Figure 10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운전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11 is an operation state showing a state that the frame type air condition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ir conditioner.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건물 내벽의 코너(corner)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type air purifier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orner of an inner wall of a buildin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공기정화기 110. 전면판넬100. Air Purifier 110. Front Panel

112. 디스플레이창 114. 아바타창112. Display Window 114. Avatar Window

120. 전면프레임 122. 측면토출구120. Front Frame 122. Side Discharge Outlet

124. 측면토출베인 126. 하면토출구124. Side discharge vane 126. Bottom discharge outlet

128. 하면토출베인 130. 후면프레임128. Rear discharge vane 130. Rear frame

132. 흡입그릴 134. 걸림돌기132. Suction grill 134.

134'. 걸림볼트 136. 보조통기공134 '. Locking bolt 136. Secondary vent

138. 필터안착부 140. 필터장치138. Filter seat 140. Filter device

142. 필터어셈블리 144. 필터프레임142. Filter Assembly 144. Filter Frame

144'. 필터삽입부 150. 디스플레이부144 '. Filter insert 150. Display

152. 아바타표시부 154. 콘트롤창152. Avatar Display 154. Control Window

156. 판넬걸이홈 160. 송풍팬156. Panel Hanger Home 160. Blower Fan

170. 오리피스 172. 오리피스공170. Orifice 172. Orifice Ball

174. 콘트롤박스 176. 오존발생기174. Control box 176. Ozone generator

178. 토출루브 200. 개폐장치178. Discharge loop 200. Switchgear

S1. 가스센서 S2. 습도센서S1. Gas sensor S2. Humidity sensor

S3. 먼지센서S3. Dust senso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장치와 각종 센서 등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frame of a frame type air purifier having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filter device and various sensors.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기는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creat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removing impurities such as dust, gas, odor, and smoke contained in indoor air.

도 1에는 건물 실내의 일정부분(탁자 등)에 놓여져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general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placed and used on a part of a building interior (table, etc.).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는, 흡입그릴(12)이 전방측에 장착되고,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14)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16)과, 상기 흡입그릴(12)의 내측에 장착되어 흡입그릴(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가스 등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18)와, 상기 필터(18)가 끼워지는 고정패널(20)과, 실내공기를 필터(18)측으로 불어 넣어주고 토출시키는 송풍압을 부여하는 송풍팬(22)과, 상기 송풍팬(22)이 내장되고 상기 캐비닛(16)의 내부에 장착 되어 송풍팬(22)에 의해 발생된 송풍압을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24)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purifier includes a cabinet 16 having a suction grill 12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a discharge grill 14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the suction grill 12. A filter 18 mounted inside and collecting various impurities such as dust and ga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2, a fixed panel 20 to which the filter 18 is fitted, and indoor air A blowing fan 22 for blowing and discharging the blower to the filter 18 side, and the blowing fan 22 is built-in and mounted inside the cabinet 16 and generated by the blowing fan 22. And a fan housing 24 for guiding the blowing pressure.

여기에서, 상기 고정패널(20)에 끼워지는 필터 장착구조는 필터(18)가 측방향에서 고정패널(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필터(18)의 상측면 및 하측면이 걸림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6)이 고정패널(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푸시버튼부(28)가 형성되고, 필터(18)의 타측면과 고정패널(20)의 측면 끝부분에는 필터(18)를 한번 누르면 걸림 작용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걸림작용이 해제되는 푸시 체결기구가 장착된다.Here, the filter mounting structure to be fitted to the fixed panel 20 is a guide for gui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lter 18 so that the filter 18 can be fitted to the fixed panel 20 in the lateral direction. Grooves 26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panel 20, respectively, and push buttons 28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panel 20, and the other side and the fixed panel 20 of the filter 18 are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filter 18 is pressed once the locking action, and once again is equipped with a push fastening mechanism to release the locking action.

상기 푸시 체결기구는 필터(18)의 타측면에 돌출되는 록킹후크(30)와, 고정패널(20)의 측면에 장착되어 록킹후크(30)가 삽입되어 걸림 작용되는 록킹부재(32)로 이루어진다.The push fastening mechanism includes a locking hook 30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18, and a locking member 32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xing panel 20 to insert and lock the locking hook 30. .

즉, 이러한 필터 장착구조는 필터(18)를 고정패널(20)의 가이드 홈(26)을 따라 측면에서 밀어 넣으면 필터에 형성된 록킹후크(30)가 고정패널에 장착된 록킹부재(32)에 삽입되어 걸림 작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버튼부(28)를 다시 한번 누르면 록킹부재(32)에서 록킹후크(30)의 걸림이 해제되어 필터(18)가 분리된다.That is, such a filter mounting structure is such that the locking hook 30 formed i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member 32 mounted on the fixed panel when the filter 18 is pushed from the side along the guide groove 26 of the fixed panel 20. It becomes the locking action. Pressing the pushbutton 28 again in this state releases the locking hook 30 from the locking member 32 to separate the filter 18.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공기정화기에서는 필터(18)가 별도의 고정패널(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공기의 오염상태 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ilter 18 is installed on a separate fixed panel 20 and no sensor is provided,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air pollution cannot be detec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이 구비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rear frame of the frame-type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suction grill that sucks the outside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의 내측면에 센서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s to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frame to form the rear appearance of the frame type air pur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장치가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ilter devic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frame of the frame type air purifier.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고,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장치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ar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grill is sucked indoor air;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and being slidably attached there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of the air is provided.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센서로 안내하는 보조통기공이 더 형성된다.One side of the suction grill is further formed with an auxiliary vent hole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sensor.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의 전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에 장착된다.The filter device is mounted to a filter sea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 의하면, 후방으로부터의 공기흡입이 가능하고 공기정화기의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ar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suction from the rear is possibl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effectively utiliz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 후면프레임이 채용된 공기정화기의 전방 사시도가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이 채용된 공기정화기의 후방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and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employing the air purifier rea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ischarge vane closed and open state, respectively, Figure 4 is a rear appearance of the air purifier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100)의 전면외관은 사각평판의 전면판넬(110)이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50)가 외부로 투시되는 디스플레이창(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12)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바타표시부(152)가 투시되는 아바타창(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창(112)과 아바타창(114)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상태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00 is formed by the front panel 110 of the square flat plate,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0, the display unit 150 to be described below is external The display window 112 is viewed through. In addition, an avatar window 114 through which the avatar display unit 152 to be described below is projected is formed above the display window 112. That is, the display window 112 and the avatar window 114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tate of the inside is easi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전면판넬(110)에는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image)가 부가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가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해 유명한 화가의 사진을 상기 전면판넬(110)에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해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판넬(110)에 전자액자나 피디피(PDP;Plazma Display Panel)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예를 들어 개인의 인물사진이나 가족사진)이나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110 may be added to the image (image), such as an arbitrary picture or photo according to the consumer's choice.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photograph of a famous painter to the front panel 110 by coating or printing in order for the user to look beautiful in the room. In addition, the front panel 110 may b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picture frame 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so that the user can configure a display (eg, a portrait of a person or a family picture) or a picture desired by the user. will be.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방에는 전방을 커버하고 전면판넬(110)을 지지하는 전면프레임(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전면프레임(120)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 양측단에는 소정의 경사면(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면(120')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22)가 형성된다.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10 to cover the front and support the front panel 110. Therefore, the front panel 110 is fixed to the front frame 120 by walking.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1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and a side discharge port 122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inclined surface 120'.

상기 측면토출구(122)에는 공기정화기(1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측면토출베인(124)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측면토출구(122)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브(178)가 더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The side discharge vane 122 is provided with a side discharge vane 124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outlet 178 to be described below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side discharge port 122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공기정화기(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중앙부는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후면프레임(130)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기공(132')이 형성된 흡입그릴(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으로부터의 공기흡입을 안내한다.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rear frame 130 to form a rear appearance of the air purifier 100.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frame 130 has a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portion, the suction frame 132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132 ')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frame 130 from the rear Guide the air intake.

상기 후면프레임(130)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장치(140)와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를 포함한 다수의 정화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장치(140)는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The rear frame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parts including a filter device for purifying air and various sensors to be described below. The filter device 140 is installed to slide down the rear frame 130.

상기 흡입그릴(132)에는 네개의 걸림돌기(134)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34)는 상기 흡입그릴(132)의 하단부 좌우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돌기(134)에는 걸림볼트(134')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림볼트(134')가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판의 걸림공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공기정화기(100)가 건물벽면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Four suction protrusions 134 are formed in the suction grill 132. The locking protrusion 134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portion from the left and right end of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grill 132, the locking protrusion 134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bolt (134 ').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locking bolt 134 ′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mounting plat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air purifier 100 is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building wall surface.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상단부분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보조통기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통기공(136)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S3)나 가스센서(S1) 등에 외부(실내)의 공기가 용이하게 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n auxiliary vent 136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130. The auxiliary vent 136 serves to guide the outside (indoor) air to easily contact the dust sensor (S3) or gas sensor (S1) to be described below.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후면프레임(130)이 채용된 공기정화기(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20) 및 전면프레임(120) 과 후면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되는 각 구성부품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정화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하면토출구(126)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면토출구(126)에는 하면토출베인(128)이 설치되어 하면토출구(126)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100 employing the rear fram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in detail the respective component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130,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20 to guide the purified air downward The lower surface discharge port 126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e lower surface discharge outlet 126 is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discharge vane 128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surface discharge outlet 126.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는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엘씨디(LCD) 또는 엘이디(LED)로 구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박스(174)와 연결되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이러한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00. The display unit 150 is composed of an LCD (LCD) or LED (LE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174 to be described below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while the user is in this operation state This is what makes it recognizable.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상측에는 아바타표시부(15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아바타표시부(152)는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와 마찬가지로 엘씨디(LCD;액정 표시 소자) 또는 엘이디(LED)로 구성된다.The avatar display unit 152 is further provided above the display unit 150. The avatar display unit 152 is a place where a set avatar is displayed. The avatar display unit 152 is composed of an LCD (LCD) or an LED (LED) like the display unit 150.

상기 아바타표시부(152)에 표시되는 아바타는 이른바 '나의 분신'이라고 불리는 사이버상의 캐릭터를 이르는 말로서, 인터넷이나 기타 외부기기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표정의 아바타가 상기 아바타표시부(152)에 디스플레이된다.The avatar displayed on the avatar display unit 152 refers to a character in a cyber space called 'my alter ego'. The avatar can be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or other external device and used in various shapes. Therefore, the avatars of various shapes or expressions are displayed on the avatar display unit 152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purifier 100.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 상단부에는 콘트롤창(154)이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창(154)은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170)에 구비되는 콘트롤박스(174)의 각종 부품이 돌출되는 부분이다. The control window 154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20. The control window 154 is a part from which various parts of the control box 174 provided in the orifice 170 to be described below protrude.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토출구개폐장치(200)가 더 설치되어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을 개폐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20)의 상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걸어져 고정되는 판넬걸이홈(156)이 각각 형성된다.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open and close the side discharge vane 124. In addition,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ront frame 120 are formed with panel hanger grooves 156 on which the front panel 110 is fixed.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6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60)은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게 된다.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is installed with a blowing fan 160 to suck the indoor air. The blowing fan 160 sucks air in the room through the suction grill 132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7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70)의 중앙부에는 상기 송풍팬(16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7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오리피스공(172)의 주위에는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7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73)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토출구(122,126)의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an orifice 170 for guiding the air flowing by the blowing fan 160 is provided. An orifice hole 172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blower fan 16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rifice 170 so as to penetrate back and forth, and around the orifice hole 172 by the blower fan 160. A guide guide 173 for guiding the discharged air is formed. The guide guide 17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form 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discharge holes 122 and 126 formed in the front frame 120.

상기 오리피스(170)의 전면 상단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송풍팬(16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공기정화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174)가 구비된다. The control box 174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including a fan motor (not shown) is built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orifice 170 to rotate the blowing fan 160.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174)의 우측에는 오존발생기(176)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기(176)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오존(O3)을 발생시켜 흡입되는 공기중의 세 균이나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어셈블리(142)에 서식하는 세균을 박멸하는 기능을 한다.The ozone generator 176 is installed at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box 174. The ozone generator 176 generates ozone (O 3 ) by an applied power source to eradicate bacteria in the inhaled air and bacteria in the filter assembly 142 described below.

상기 오리피스(170)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루브(178)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루브(178)는 소정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면토출구(1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rifice 17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lube 178 for guid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fan 160. The discharge lube 178 is installed to allow a predetermined flow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22.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전면(내측면) 상단부에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통기공(136)의 상측에 가스센서(S1), 습도센서(S2) 및 먼지센서(S3)가 설치된다.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inner side) of the rear frame 130.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gas sensor S1, the humidity sensor S2, and the dust sensor S3 are installed above the auxiliary vent 136.

상기 가스센서(S1)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각종 가스류를 감지하여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센서(S1)가 공기 오염도 측정값을 콘트롤박스(174)에 송신하고, 콘트롤박스(174)에서는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정화기의 작동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The gas sensor (S1) is to measure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by detecting a variety of gas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vent 136 of the front frame 120. Therefore, the gas sensor S1 transmits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box 174, and the control box 174 adjusts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degree.

상기 가스센서(S1)의 좌측에는 습도센서(S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습도센서(S2)는 상기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습기를 측정하여 콘트롤박스(174)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The humidity sensor S2 is further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gas sensor S1. The humidity sensor S2 functions to measure moisture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vent 136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box 174.

한편 상기 습도센서(S2)의 좌측에는 먼지센서(S3)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먼지센서(S3)는 공기중의 이물량을 측정하여 상기 콘트롤박스(174)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공기정화기(100)의 세기가 조절되게 한다.Meanwhile, a dust sensor S3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humidity sensor S2. The dust sensor S3 measures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box 174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air purifier 100.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40)가 장착되는 필터안착부(138)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안착부(13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필터장치(140)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선단부 좌우측단에는 필터장치(140)의 슬라이딩과 고정을 위한 필터가이드(13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하단부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40)가 상방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필터착탈구(138")가 형성된다.The front of the rear frame 130 is formed with a filter seat 138 to which the filter device 140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lter seat 138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filter device 1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lter guide 138 ′ for sliding and fixing the filter device 140 is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tip part. Ea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130, the filter attachment and exit 138 "is formed so that the filter device 140 to be described below to enter and exit upward.

상기 필터안착부(13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장치(14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140)는 다기능의 필터어셈블리(142)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4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프레임(144)으로 이루어진다.The filter seat 138 is equipped with a filter device 140 as shown in FIG. The filter device 140 includes a multifunctional filter assembly 142 and a filter frame 144 into which the filter assembly 142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필터프레임(14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필터삽입부(144')가 필터어셈블리(142)의 외형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필터프레임(144)이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필터손잡이(144")가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filter insert 144 ′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142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filter frame 144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assembly 142, and a filter frame 144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frame 144. The filter handle 144 ″ to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rear frame 130 is formed to recess forward.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삽입부(144')에 설치되며, 공기정화기(100)의 외부(실내공간)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다수개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 제거는 물론, 세균 박멸과 항균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The filter assembly 14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nstalled in the filter inserting portion 144 ′, and serves to purify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nside space) of the air purifier 100. That is, the filter assembly 14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as well as remove foreign matter in the air, as well as various functions such as bacteria eradica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도 7에 그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142a)가 필터어셈블리(142)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리필터(142a)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을 가지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망사면에는 항균작용을 하도록 별도의 제품이 첨가되기도 한다.The filter assembly 142 is shown in detail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a prefilter 142a for removing a relatively large dust among the dust included in the inhaled air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142. The prefilter 142a is made of a mesh having a relatively large hole, and a separate product may be added to the mesh surface to have an antibacterial effect.

상기 프리필터(142a)의 후측에는 프리필터(142a)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헤파(HEPA)필터(142b)가 구비된다. 상기 헤파필터(142b)는 항균효과를 가진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코팅된 고성능 필터로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거의 99.97%이상 제거가 가능하다.A HEPA filter 142b for secondarily filtering fine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142a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prefilter 142a. The hepa filter 142b is a high-performance filter coated with a catechin component of green tea having an antibacterial effect, and can remove almost 99.97% of fine dust of 0.3 micrometer (μm).

상기 헤파필터(142b)의 후측에는 공기중의 냄새입자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탈취필터(142c)가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142c)는 초강력 활성탄 필터가 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공기 중의 담배냄새와 음식냄새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The rear side of the HEPA filter 142b is provided with a deodorizing filter 142c that primarily filters odor particles in the air. The deodorizing filter 142c may be mainly used as a super strong activated carbon filter, and has an effect of deodorizing the smell of tobacco and food in the air.

상기 탈취필터(142c)의 후측에는 기존 탈취필터보다 탁월한 냄새제거력으로 김치냄새와 담배냄새 및 생선비린내 등을 말끔히 제거하는 카본나노볼(CNB)필터(142d)가 구비된다. The rear side of the deodorizing filter 142c is provided with a carbon nanoball (CNB) filter 142d for removing kimchi odor, tobacco odor and fishy fish smell with excellent odor removal power than the existing deodorizing filter.

카본나노볼(CNB)은 2백~5백nm 크기의 구(球)형 탄소 구조체로 표면에 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높은 표면 흡착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표면 흡착면적이 높다는 것은 악취 성분과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Carbon nano ball (CNB) is a spherical carbon structure with a size of 200 to 500 nm, and has a high surface adsorption area because it contains pores of several nanometers on its surface. As such, the high surface adsorption area means that the ability to adsorb odorous components and organic substances is excellent.

한편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에 사용되는 카본나노볼은 실리카(Silica) 전구체를 이용한 7단계 합성 방법을 통해 탄소 구조체의 외피 두께와 기공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오염원 별로 흡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arbon nanoballs used in the carbon nanoball filter 142d can arbitrarily control the thickness and pore size of the carbon structure through a seven-step synthesis method using silica precursors, thus maximizing adsorption capacity for various pollutants. You can do it.

뿐만 아니라,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에서는 탄소 구조체의 내부 빈 공간 에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촉매를 첨가시킴으로써 오염물의 흡착과 분해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 활성탄에 비해 악취가스 제거 능력이 8~12배나 높으며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관련된 흡착력도 17배 이상 높다.In addition, the carbon nanoball filter 142d has the characteristic of simultaneously adsorbing and decomposing contaminants by adding a catalyst that decomposes malodorous substances to an internal empty space of the carbon structure, and removes malodorous gases as compared to existing activated carbon. The capacity is 8-12 times higher and the adsorption power related to water pollutant removal is 17 times higher.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의 후측에는 오존제거필터(142e)가 구비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는 공기중의 오존(O3)을 제거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오존발생기(176)에서 발생된 오존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An ozone removal filter 142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arbon nanoball filter 142d. The ozone removal filter 142e removes ozone (O 3 ) in the air. In particular, the ozone removal filter 142e prevents ozone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176 from entering the indoor space so as to provide a health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의 후측에는 필터어셈블리(142)의 후면을 형성하는 나노은필터(142f)가 구비된다. 상기 나노은필터(142f)는 지구상에서 항균성이 가장 강한 금속인 은을 망에 코팅하여 필터 구석의 세균번식까지 억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은으로 이루어진 나노실버가 나노실리카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On the rear side of the ozone removal filter 142e, a nanosilver filter 142f is formed to form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142. The nano silver filter 142f is to coat silver, which is the strongest antimicrobial metal on the earth, to inhibit bacterial propagation at the corner of the filt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silver nano silver is bonded to the nano silica.

상기 나노은필터(142f)는 수지로 형성되는 망에 나노은을 코팅처리하거나, 수지로 망을 형성할 때 나노은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The nanosilver filter 142f is manufactured by coating nanosilver on a net formed of a resin or adding nanosilver particles when forming a net with a resin.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142)의 전방에는 별도의 에어필터(14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146)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필터(146)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142)에는 프리필터(142a)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Meanwhile, a separate air filter 146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142. The air filter 146 primarily filters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into the filter assembly 142 and is generally made of a prefilter. Therefore, when the air filter 146 is provided, the filter assembly 142 may not include the prefilter 142a.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을 유동시켜 측면토출구(122)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장치(200)가 구비된다.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ischarge port 122 by flowing the side discharge vane 124.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 및 이러한 후면프레임이 채용된 공기정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rear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air purifier employing such a rear fram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00)가 작동되면, 상기 측면토출베인(124)과 하면토출베인(128)이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를 각각 개방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160)이 회전되면서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형성된 흡입그릴(132)을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가 공기정화기(100)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air purifi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he side discharge vane 124 and the bottom discharge vane 128 open the side discharge port 122 and the bottom discharge outlet 126, respectively, and the fan motor (not shown).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100 through the suction grill 132 formed on the rear frame 130 as the blowing fan 16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air.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46)를 거쳐 필터어셈블리(142)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어셈블리(142)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은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100 as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42 via the air filter 146. In this case, since the filter assembly 14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and has various functions, the filter assembly 142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 the air, as well as odors.

즉 상기 프리필터(142a)에서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며, 이러한 프리필터(142a)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상기 헤파(HEPA)필터(142b)에 의해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119.97%이상이 거의 제거된다.That is, in the prefilter 142a, dust of a relatively large size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is first filtered out, and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142a is filtered by the HEPA filter 142b. More than 119.97% of fine dust of 0.3 micrometer (micrometer) is almost eliminated.

그리고 상기 헤파필터(142b)를 통과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입자 등은 1차적으로 상기 탈취필터(142c)에 의해 제거된 다음, 이러한 탈취필터(142c)보다 더 강력한 냄새제거력을 구비한 카본나노볼(CNB)필터(142d)에 의해 재차 제거된다. And od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142b) is first removed by the deodorizing filter (142c), and then carbon nano with a stronger odor removal than the deodorizing filter (142c) It is removed again by the ball (CNB) filter 142d.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에서는 오존발생장치(80)에서 발생된 오존이 제거되고, 상기 나노은필터(142f)에서는 필터에서의 세균번식까지 억제된다.In the ozone removal filter 142e,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80 is removed, and in the nanosilver filter 142f, bacteria propagation in the filter is suppressed.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176)에서는 오존이 발생되어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해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분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존(O3)이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살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zone is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176 and injected into the suction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32. Accordingly, the ozone (O 3 ) is inhaled and the air and sterilizes the filter assembly 142.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통과하면서, 이물과 냄새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70)에 의해 안내되어 송풍팬(160)의 중앙부로 유입된 다음, 송풍팬(160)의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16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122) 및 하면토출구(126)를 통해 외부(실내공간)로 배출되는 것이다.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42, the purified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have been removed is guided by the orifice 170 and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blower fan 160, and then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160. Discharge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fan 16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door space)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22 and the lower surface discharge port 126.

이때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를 개폐하는 측면토출베인(124)과 하면토출베인(128)은 별도로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가 모두 개방되도록 하고, 취침시와 같이 공기정화가 그다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토출구(126)는 닫히게 하고, 상기 측면토출구(122)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ide discharge vane 124 and the bottom discharge vane 12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ischarge port 122 and the lower surface discharge port 126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at is, when the air pollution is severe, both the side discharge port 122 and the bottom discharge outlet 126 are opened, and when the air purification is not necessary as at bedtime, the bottom discharge outlet 126 is closed, and the side It is also possible to open only the discharge port 122.

그리고 이러한 공기정화기(100)를 장시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교환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44)에 형성된 필터손잡이(14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당겨 필터장치(140)를 상기 후면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하 나의 필터어셈블리(142)에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다수의 필터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필터어셈블리(142)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After the air purifier 100 is used for a long time, the filter assembly 142 needs to be replaced. In this case, the filter handle 144 " formed on the filter frame 144 is held by hand. Pull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o separate the filter device 140 from the rear frame 130. In this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ers are coupled to one filter assembly 142, so that a plurality of filters can be replaced at once. Next, when the new filter assembly 142 is to be mounted,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100)의 애프터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전면판넬(110)의 분리만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상기 콘트롤박스(174)가 돌출되는 콘트롤창(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0) 및 아바타표시부(152)도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판넬(110)의 분리만으로 대부분의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for the after-sales service of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ork only by removing the front panel 110. That is, the front frame 120 is formed with a control window 154 through which the control box 174 protrudes, and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avatar display unit 152 are also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Therefore, most of the after-sales service operation is possible only by removing the front panel 110.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정화기(10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운전되도록 구성되기도 하며, 도 10 및 도 11에는 이러한 공기조화기와 공기정화기(100)가 연동하여 운전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doors, and FIGS. 10 and 11 show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er 10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R) 등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0)를 동작시키면, 상기 실내기(310)에 내장된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이러한 신호는 마주보고 있는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신호수신부에 수신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신호수신부에 실내기(310)의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이 시작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door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R or the lik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built in the indoor unit 310, and the signal is facing each other. It is received in the signal receiver of the air purifier 100. As such,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indoor unit 310 is received at the signal receiving unit of the air purifier 100,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starts.

이때 상기 실내기(310)와 연통되어 있는 실외기(320)도 동시에 작동되고, 상기 실내기(310)의 작동이 정지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공기정화기(1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도 자동적으로 정지된다.At this time, the outdoor unit 32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310 is also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310 is stopped, such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ir purifier 100,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is also automatically Is stopped.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기(100)와 더불어 별도의 공기청정기(330)가 실내에 구 비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안방의 일측 벽면에 액자형 공기청정기(330)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내기(310)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의 안방에 다른 액자형 공기조화기(310')가 설치되어 함께 연동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In addition to the air purifier 100, an additional air purifier 330 may be provided and used indoors. That is, as shown, the frame-type air purifier 3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room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indoor unit 310,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In addition, another frame-type air conditioner 31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room may be configured to work together.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건물 내부의 코너(corner)에도 설치 가능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코너(corner)와 대응되는 장착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한 다음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4)와 걸림볼트(134')를 이용하여 장착판에 고정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be installed at a corner inside the building. 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mounting plat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orner)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n the locking projection 134 and the locking bolt 134 'formed on the rear frame 130. To the mounting plate.

또한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아바타표시부(152)에는 다양한 표정의 아바타가 등장하여 현재의 실내상태를 표현한다. 즉 상기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서(S1,S2,S3)에 의해 실내공기의 상태가 감지되고, 이러한 실내공기의 상태에 따라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가 조절되는 한편, 다양한 아바타의 표정이 상기 아바타표시부(152)에 나타난다.In addition, the avatar display unit 152 of the air purifier 100 appears in the avatar of various expressions to represent the current indoor state. That is, the state of the indoor air is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S1, S2, S3)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vent 136,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indoor air While the expressions of the various avatars are displayed on the avatar display unit 152.

예를 들어, 실내의 공기가 비교적 청정한 상태인 경우에는 아바타가 밝게 웃는 모습이 표현되고, 반대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인 경우에는 아바타가 울거나 찡그린 표정을 갖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when the indoor air is relatively clean, the avatar smiles brightly. On the contrary, when the indoor air is contaminated, the avatar is display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rying or frowning expression.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정화기(100) 내부에는 녹음 기능이 구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별도의 음향을 녹음하여 설정된 음성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신만의 목소리로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 및 현 실내의 상태를 안내하거나 별도의 멜로디를 이용하여 작동상태를 안내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ording function. Therefore, the user can record his or her voice or a separate sound to be replaced with the set vo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state of the current room with its own voice or the operating state using a separate melody.

상기 아바타는 공기조화기의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출시되지만, 차후에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해 아바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The avatar is basically programmed when the product of the air conditioner is released, but is configured to be made and used by a user later. In other words, the user may download and use the avatar program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후면프레임에는 흡입그릴과 필터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부커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어 필터장치에 의해 정화된 다음 전반부의 측방과 하방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채용된 공기정화기에서는 공기의 정화능력이 향상되고, 정화된 공기의 토출영역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rear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uction grill and the filter device, th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ooker (indoor space) is sucked to the rear and purified by the filter device, and then the side frame of the first half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d downward. Therefore, in the air purifier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is improved and the discharge area of the purified air is increased.

그리고 필터장치는 후면프레임에 하방으로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필터장치의 장착부 상측에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공기중의 오염 정도가 측정되고, 이러한 측정값에 따라 공기정화기의 작동이 제어된다.And the filter device is installed to slide detachable downward in the rear frame,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above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ilter device. Therefo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air is measured by the sensor,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에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므로, 후면프레임의 내측면 공간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장점이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parts are provided in the rear frame forming the rear exterior, the inner space of the rear frame is effectively utilized.

Claims (3)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appearance;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A rear frame forming a rear appearance;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며 공기를 강제 흡/배기하는 송풍팬; A blowing fan formed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o forcibly intake / exhaust air;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A suction grill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frame to suck outside air; 상기 후면 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장치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A sensor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to detect a pollution level of air; 상기 후면 프레임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센서로 안내하는 보조통기공; 및An auxiliary vent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frame to guide external air to the sensor; And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에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장치;가 포함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And a filter device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fr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의 전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The filter device is frame-typ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filter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ction grill.
KR1020040023611A 2004-04-07 2004-04-07 Air purifier KR100564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11A KR100564491B1 (en) 2004-04-07 2004-04-07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11A KR100564491B1 (en) 2004-04-07 2004-04-07 Ai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00A KR20050098400A (en) 2005-10-12
KR100564491B1 true KR100564491B1 (en) 2006-03-29

Family

ID=3727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11A KR100564491B1 (en) 2004-04-07 2004-04-07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49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00A (en)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91B1 (en) Wall penetration type selectively clean air supply system
KR100596256B1 (en) Air purifier
JP2005000813A (en) Air cleaner
KR101158594B1 (en) Air cleaner
KR100587092B1 (en) Air purifier
JP2004069157A (en) Air cleaner
KR100564491B1 (en) Air purifier
KR100575318B1 (en) Air purifier
JP2004069290A (en) Desktop air cleaner
KR100564490B1 (en) Air purifier
KR100564496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KR20050106153A (en) Air purifier
KR100633181B1 (en) A filter-assembly of air cleaner
KR200347252Y1 (en) A frame type air cleaner having lighting function
KR101158595B1 (en) Air cleaner
KR200367508Y1 (en) The filtering apparatus for smoke of meet roaster
KR200391623Y1 (en) Air cleaner
KR200396409Y1 (en) Welbing air cleaner
KR100564488B1 (en) Air cleaner
JP2002322883A (en) Door
KR100564493B1 (en) Air cleaner
CN107202361A (en) Air purifier rear frame
JP2001129334A (en) Air cleaner having picture surface used as filter medium
KR200306174Y1 (en) Air cleaner
KR101216394B1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