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999B1 - 멀티형 세륜기 - Google Patents

멀티형 세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999B1
KR100562999B1 KR1020050054434A KR20050054434A KR100562999B1 KR 100562999 B1 KR100562999 B1 KR 100562999B1 KR 1020050054434 A KR1020050054434 A KR 1020050054434A KR 20050054434 A KR20050054434 A KR 20050054434A KR 100562999 B1 KR100562999 B1 KR 10056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 unit
discharge
precipit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복
서영석
김윤희
이희문
Original Assignee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filed Critical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5005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세륜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륜기를 멀티 타입으로 구성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대형 차량을 짧은 시간내에 여러대를 세척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오염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침전제로 정화한 후 청결수 형태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므로서 세척수로 인한 환경오염 요인을 일소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측면분사부(74)와, 상기 측면분사부(74) 사이에 설치되는 저면분사부(62)와, 상기 저면분사부(62) 하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장치(50)와, 상기 배출장치(50)를 내부에 장착하는 저수트레이(46)와, 상기 측면분사부(74)와 저면분사부(62)에 연결되면서 유입파이프(88)를 구비하는 공급펌프(86)와, 상기 측면분사부(74) 끝단부에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센서(90)와, 상기 배출장치(50)와 공급펌프(86)와 센서(90)에 연결되는 제어부(38)와, 상기 제어부(38)에 연결되는 조작부(40)로 구성된 세륜기(44)에 있어서, 상기 저수트레이(46)를 내부에 설치하는 저수부(2) 여러개가 직렬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2) 타측에 수로(6)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로(6) 타측에 수조(8)가 연결되어 형성되면서 공급펌프(86)의 유입파이프(26)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륜기, 펌프, 침전제, 교반기, 차단기, 센서

Description

멀티형 세륜기{Multy type tire washer}
도 1 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세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륜기의 평면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륜기의 분리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조와 저수부의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 의 A - A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 의 B - B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륜기의 작동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체 투입과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저수부 4,14,16:여과망
6:수로 7:격벽
8:수조 9:덮개판
10:침전수조 12:저장수조
18,20:경사면 22:침전제투입기
24:교반기 26,28,88:유입파이프
30,32:조정밸브 34:배출펌프
36:배출파이프 38:제어부
40:조작부 42:물탱크
44:세륜기 46:저수트레이
48:배출닥트 50:배출장치
52:배출구 54:수거통
56:스크레이퍼 58:체인
60:모터 62:저면분사부
64,76:안내파이프 66,78:분사파이프
68,80:노즐 70,82:배출밸브
71:바닥프레임 72:가이드레일
74:측면분사부 84:차단벽
86:공급펌프 90:센서
91:바아 92:차단기
94:돌기 96:진입로
본 발명은 멀티형 세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륜기를 멀티 타입으로 구성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대형 차량을 짧은 시간내에 여러대를 세척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오염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침전제로 정화한 후 청결수 형태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므로서 세척수로 인한 환경오염 요인을 일소할 수 있게 한 멀티형 세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륜기는 건설공사현장, 토목공사현장, 레미콘공장, 시멘트공장, 연탄공장, 사료공장, 매립간척지 공사현장, 지하철 공사현장, 골재채취장 등을 출입하는 차량의 바퀴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고압의 세척수로 제거하여 청결성을 유지시키므로서, 차량이 주행하는 일반도로에 오염물질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륜기는 사용되는 과정에서 차량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하면서도, 사용된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하나의 관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44698호(명칭:살수기를 갖는 단상 전력용 세륜기)를 도 1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륜기(2)에는 골격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부(4) 내부에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조(28)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28) 상부에는 노즐을 다수 구비한 저면배관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수조(28) 상부 양측에는 노즐을 다수 구비한 측면배관부(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28) 내부에는 낙하 하는 세척수와 오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반출부(29)가 설치되며, 상기 측면배관부(10)와 저면배관부(20)와 수조(28)에는 펌프(24)가 연결된다.
또한 세륜기(2) 입구측에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34)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34)와 펌프(24)에는 제어부(30)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세륜기(2)측으로 진입하면 센서(34)가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0)는 펌프(24)에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24)에 의해 수조(28)에 있는 세척수는 측면배관부(10)와 저면배관부(20)로 공급되면서 노즐을 통하여 진입한 차량의 차체와 차륜에 고압으로 분사되어 오물을 탈락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락된 오물은 세척수와 함께 수조(28)측으로 낙하 하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오물은 반출부(29)에 의해 외부로 이송되며, 동시에 상기 세척수는 다시 펌프(24)에 의해 공급되면서 반복적으로 순환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세륜기(2)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서, 대형 차량을 연속적으로 세척할 경우에는 세척시간이 지체되는 기능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사용된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일정기간 사용 되면 세척수를 오염된 상태로 배출시켜야 하므로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륜기를 멀티 타입으로 구성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대형 차량을 짧은 시간내에 여러대를 세척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오염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침전제로 정화한 후 청결수 형태 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므로서, 세척수로 인한 환경오염 요인이 일소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의 측면분사부(74)와, 상기 측면분사부(74) 사이에 설치되는 저면분사부(62)와, 상기 저면분사부(62) 하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장치(50)와, 상기 배출장치(50)를 내부에 장착하는 저수트레이(46)와, 상기 측면분사부(74)와 저면분사부(62)에 연결되면서 유입파이프(88)를 구비하는 공급펌프(86)와, 상기 측면분사부(74) 끝단부에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센서(90)와, 상기 배출장치(50)와 공급펌프(86)와 센서(90)에 연결되는 제어부(38)와, 상기 제어부(38)에 연결되는 조작부(40)로 구성된 세륜기(44)에 있어서, 상기 저수트레이(46)를 내부에 설치하는 저수부(2) 여러개가 직렬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2) 타측에 수로(6)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로(6) 타측에 수조(8)가 연결되어 형성되면서 공급펌프(86)의 유입파이프(26)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6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통과하는 지면 아래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된 다수개의 저수부(2)(도4참조)가 직렬로 배열되면서 소정의 깊이만큼 격벽(7)으로 나뉘어져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저수부(2) 타측에는 세척수만 넘어서 통과하도록 하고 오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여과망(4)이 격벽(7)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저수부(2) 타측에는 여과망(4)을 통하여 넘어오는 세척수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된 수로(6)가 종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부를 개방한 공간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로(6) 타측에는 물을 저장하도록 된 수조(8)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수조(8)는 격벽(7)으로 된 침전수조(10)와 저장수조(12)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로(6)는 저수부(2)의 격벽(7)과 수조(8)의 격벽(7)을 경계로 하여 종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침전수조(10) 상부에는, 수로(6)와 저장수조(12)를 각각 연결시키면서 세척수만 넘어서 통과하도록 하고 오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 여과망(14,16)이 격벽(7)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전수조(10)와 저장수조(12) 바닥에는 오니가 일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 경사면(18,20)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형성된다.
상기 침전수조(10)(도5참조) 상부에는 덮개판(9)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판(9)에는 침전제(시중에 널리 판매되어 사용되는 약품 사용)를 공급하는 침전제투입기(22)와, 침전제가 세척수에서 신속히 용해될 수 있도록 혼합시키는 교반기(24)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침전제는 세척수에 포함된 혼탁물질인 오니를 침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수조(10)(도4참조)와 저장수조(12)에는 오니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파이프(26,28)가 하부를 경사면(18,20)에 각각 배치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유입파이프(26,28) 상부에는 조정밸브(30,32)가 수조(8) 상부에 위치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조정밸브(30,32) 사이에는 배출펌프(34)가 저수부(2)측에 배치한 배출파이프(36)를 구비하면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침전제투입기(22)(도5참조)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38)(도3참조)가 연결 되고, 상기 제어부(38)에는 각종 선택 모드(mode)가 있는 조작부(40)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날씨와 통과하는 차량의 대수에 따라서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의 작동시기 내지는 작동시간을 선택적으로 명령할 수 있도록 프로그 램화 한다.
또한 상기 저장수조(12)(도4참조)에는 부족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한 물탱크(42)가 수조(8) 외부에 위치하면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저수부(2)에는 세륜기(44)(도5참조)를 구성하는 저수트레이(46)가 후미에 배출닥트(48)를 지상으로 돌출되게 배치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저수트레이(46) 내부에는 바닥에 모인 오물과 오니를 배출닥트(48)를 통해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장치(50)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트레이(46) 상부에는 배출펌프(34)에 연결된 배출파이프(36) 선단부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배출닥트(48) 외측 끝단부에는 오물과 오니가 외부로 투출 될 수 있게 한 배출구(5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2)측에는 빠져 나온 오물과 오니를 모을수 있도록 한 수거통(54)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배출장치(50)는 저수트레이(46)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56)를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한 체인(58)과, 상기 배출닥트(48)에 설치되어 제어부(38)(도3참조)에 연결되면서 동력을 체인에 전달하는 모터(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저수트레이(46)(도5참조) 상부에는 통과하는 차량의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저면분사부(6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저면분사부(62)(도3참조)는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내파이프(64)와, 상기 안내파이프(64)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사파이프(66)와,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 (66)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는 노즐(68)과,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66) 선단부에 설치되는 배출밸브(70)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저면분사부(62) 상부에는 여러개의 저수부(2)(도4참조)와 수로(6)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는 바닥프레임(71)(도5참조)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프레임(71) 양측에는 차량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72) 외측에는 통과하는 차량의 양측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면분사부(7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측면분사부(74)(도3참조)는 2개의 안내파이프(76)가 간격을 두면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파이프(76)에는 높이를 달리하면서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사파이프(78)와,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78)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는 노즐(80)과,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78) 선단부에 설치되는 배출밸브(8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측면분사부(74)(도5참조) 외측에는 분사된 세척수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차단벽(84)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84) 외측에는 전술한 수조(8)와 배출장치(50)의 배출닥트(48)가 각각 위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바닥프레임(71) 양측에 각각 설치된 측면분사부(74)(도3참조)의 안내파이프(76)에는 공급펌프(86)가 유입파이프(88)를 구비하면서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저수부(2)(도4참조)에 설치되는 저면분사부(62)(도3참조)의 안내파이프(66)에는 2개를 1개조로 한 상기 안내파이프(64)에 공급펌프(86) 가 유입파이프(88)를 구비하면서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공급펌프(86)는 3상수중용펌프(1.5마력 이상의 3상모터 적용)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수조(12)(도4참조) 내부에 유입파이프(88)와 함께 설치되면서 제어부(38)(도3참조)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분사부(74)의 선단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체크하는 센서(9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분사부(74)의 후미에는 통과하는 차량을 단속하는 차단기(92)가 회동하는 바아(91)를 구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센서(90)와 차단기(92)에는 제어부(38)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센서(90) 사이에는 차량에 대해 반복적인 진동을 주므로서 오물이 차량으로 부터 탈락 되도록 한 다수개의 돌기(94)가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진입로(9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진입로(96)(도2참조)를 통과하면 돌기(94)에 의해 차체에 진동이 발생하면서 오물이 차체로 부터 탈락하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차량이 진행하면 센서(90)는 차량이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제어부(38)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8)는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이 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그 작용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진입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
상기 S1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차단기(92)와, 공급펌프(86)와, 배출장치(50)에 온 명령을 전달한다.(S2)
상기와 같이 차단기(92)에 온 명령이 전달되면 바아(91)가 하강하면서 차량의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공급펌프(86)에 온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공급펌프(86)는 유입파이프를(88)(도3참조)를 통해 저장수조(12)에 있는 세척수를 측면분사부(74)와 저면분사부(62)에 동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분사부(74)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안내파이프(76)를 통하여 분사파이프(78)로 공급되면서 노즐(80)을 통해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차륜측으로 분사되는데, 이로 인해 차체 및 차륜에 붙어 있는 오물이 탈락 된다.
동시에 상기 저면분사부(62)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안내파이프(64)를 통하여 분사파이프(66)로 공급되면서 노즐(68)을 통해 차량의 하체측으로 분사되는데, 이로 인해 차량의 하체 앞부분에서 부터 후미에 이르기 까지 전체에 걸쳐 차체에 붙어 있는 오물이 탈락된다.
이때 상기 측면분사부(74)와 저면분사부(62)의 노즐(68,80)로 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차체에 부딪치면서 방사되면, 상기 세척수는 차단벽(84)(도2참조)에 부딪치면서 바닥프레임(71)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오물과 세척수는 바닥프레임(71)을 통과 하여 여러개의 저수부(2)에 배치된 세륜기(44)의 저수트레이(46)(도5참조)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38)(도3참조)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배출장치(50)(도5참조)가 온 되면, 상기 배출장치(50)를 구성하는 모터(60)가 작동하면서 동력을 체인(58)에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인(58)은 스크레이퍼(56)를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저수트레이(46)의 바닥에 쌓여 있는 오물을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오물은 배출닥트(48)에 형성된 배출구(52)를 통하여 수거통(54)으로 배출된다.
상기 S1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도2참조)는 차량이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재차 차량이 진입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S2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
상기 S3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단기(92)와, 공급펌프(86)와, 배출장치(50)에 오프 명령을 동시에 전달한다.(S4)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차단기(92)가 오프되면 바아(91)가 상승하므로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상기 공급펌프(86)가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오프되면, 상기 저장수조(12)에 있는 물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게 됨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50)의 모터(60)가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오프되면, 상기 체인(58)에 동력을 제공하지 않게 됨에 따라 오물의 이송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S3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단기(92)와, 공급펌프(86)와, 배출장치(50)에 전달한 온 명령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 S4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세륜작업을 종료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5)
상기 S5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세륜작업을 종료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종료모드로 이동하고, 세륜작업을 종료하지 않겠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S1단계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을 세척할 때 발생하는 오염된 세척수와 오물은 저수트레이(46)(도5참조)측으로 낙하 하여 모이게 되는데, 이때 오물은 스크레이퍼(56)에 의해 수거통(54)으로 이송되고, 상기 세척수는 저수부(2)(도4참조)의 격벽(7) 상부에 설치된 여과망(4)을 통과 하여 수로(6)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가 격벽(7) 상부를 넘어서 통과하게 될 때 여과망(4)에 의해 오염된 세척수에 포함되는 특정 크기의 오물은 걸러지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세척수는 수로(6)를 통하여 수조(8)의 격벽(7) 상부에 설치된 여과망(14)을 통해 침전수조(10)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날씨 조건에 따라서 차체에 뭍는 오물의 양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수의 오염도 또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날씨에 따라서 조작부(40)(도2참조)를 통하여 날씨맑음이나 우천시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8)는 도 8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이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어부(38)는 날씨 맑음 모드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1)
상기 S11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날씨 맑음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 단되면, 상기 센서(90)에 의해 체크되는 차량대수를 연산한다.(S12)
상기 제어부(38)는 진입로(96)를 통과 하면서 센서(90)에 의해 체크된 정보를 바탕으로 통과 하는 차량 대수를 연산한다.
상기 S12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50대 통과 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3)
상기 S13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50대 통과 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에 온 명령을 전달한다.(S14)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침전제투입기(22)가 온 되면, 상기 침전수조(10)로 유입되는 오염된 세척수에 침전제를 공급하게 되고, 동시에 교반기(24)가 온 되면서 작동하여 침전제를 오염된 세척수에 혼합시켜 용해되게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오염된 세척수에 포함되는 오물은 침전제에 의해 세척수로 부터 분리되어 오니 형태로 침전수조(10)(도4참조) 바닥으로 가라 앉게 되고, 동시에 상기 오니는 경사면(18)을 따라 이동하여 한 쪽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니가 세척수로 부터 분리되어 가라 앉게 되면 오염된 세척수는 정화되어 청정수가 되는데, 이러한 청정수는 여과망(16)을 통하여 저장수조(12)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저장수조(12)로 이동한 세척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파이프(88)를 통하여 공급펌프(86)에 의해 저면분사부(62)(도2참조)와 측면분사부(74)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배출펌프(34)가 작동하면, 상기 침전수조(10)(도5참조) 바닥에 모인 오니가 유입파이프(26)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파이프(36)를 통하여 저수부(2)에 위치한 저수트레이(46)측으로 토출되고, 상기 오니는 배출장치(50)에 의해 재차 이송되어 수거통(54)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전수조(10)에 있는 오니가 빠져 나갈 경우는, 상기 침전수조(10)에 위치하는 유입파이프(26)에 설치된 조정밸브(30)가 오픈 되었을 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수조(12)로 이동하여 온 세척수는 오니를 일부 내포하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오니는 바닥으로 가라 앉으면서 경사면(20)을 따라 이동하여 한 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수조(12)에 위치하는 유입파이프(28)에 설치된 조정밸브(32)가 오픈되어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펌프(34)에 의해 배출파이프(36)를 통하여 저수트레이(46)(도5참조)측으로 빠져 나간다.
상기 S13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도2참조)는 차량이 50대 통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12단계를 유지한다.
상기 S14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 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5)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 되면, 상기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에 오프 명령을 전달한다.(S16)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의 작동이 중지 되면 침전제의 투입이 중단되고, 또한 오니의 이송은 중단 된다.
상기 S16단계 이후로, 제어부(38)는 침전제 투입을 중단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17)
상기 제어부(38)는 침전제 투입을 중단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종료모드로 이동하고, 침전제 투입을 계속하겠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S11단계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상기 S11단계에서 제어부(38)는 날씨 맑은모드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우천시모드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8)
상기 S18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우천시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단되면, 통과하는 차량대수를 연산한다.(S19)
상기 제어부(38)는 진입로(96)를 통과하면서 센서(90)에 의해 체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통과 하는 차량 대수를 연산한다.
상기 S18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우천시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종료모드로 이동한다.
상기 S19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10대 통과 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0)
상기 S20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10대 통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에 온 명령을 전달한다.(S21)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로 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가 온 되면서 작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제를 공급하여 오염된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이 세척수로 부터 분리되게 하므로서 오니 형태로 침전수조(10)와 저장수조(12)의 바닥으로 가라 앉게 한다.
이러한 오니는 배출펌프(34)와 배출장치(50)에 의해 이송되어 수거통(54)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20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차량이 10대 통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19단계를 유지한다.
상기 S21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2)
상기와 같이 제어부(38)는 1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S16단계로 이동하고, 1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21단계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저면분사부(62)와 측면분사부(74)를 통하여 세척수가 일정기간 동안 분사 되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이 노즐(68,80)을 막거나 분사파이프(66,78)내에 머물러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오물은 공급되는 세척수의 흐름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세륜기(44)의 기능을 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분사파이프(66,78) 선단부에 설치된 배출밸브(70,82)를 개방한 상태에서 공급펌프(86)를 온 시키면, 상기 분사파이프(66,78)내에 머물러 있는 오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후로 배출밸브(82)를 닫힘상태로 조정하여 최초와 같은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저면분사부(62)와 측면분사부(74)에 머물러 있던 오물이 외부로 빠져 나간 상태가 되면, 상기 세륜기(44)의 세척수 분사 능력은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여 최초와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척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연속하여 조금씩 소실 되면 침전수조(10)(도4참조)와 저장수조(12)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탱크(42)에 저장된 일부 물을 저장수조(12)로 유입시켜 보충하므로서, 상기 저면분사부(62)와 측면분사부(74)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이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대의 세륜기(44)를 직렬로 배열하는 멀티 타입의 구조로 되어 있어서, 대형 차량 여러대가 연속하여 통과할 때 세척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우수한 기능성을 발휘하게 된다.
다른 효과로는 오염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침전제로 정화한 후 청결수 형태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므로서, 사용된 세척수로 인한 환경오염 요인을 일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여러개의 저수부(2)로부터 빠져 나오는 많은 세척수를 수로(6)를 통해 수조(8)로 배수 처리할 수 있어 세륜기(44)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10)

  1. 노즐(80)을 구비한 분사파이프(78)에 안내파이프(76)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측면분사부(74)와,
    상기 측면분사부(74) 내측에 설치되면서 노즐(68)을 구비한 분사파이프(66)에 안내파이프(64)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저면분사부(62)와,
    상기 안내파이프(64,76)에 연결되면서 유입파이프(88)를 구비하는 공급펌프(86)와,
    상기 저면분사부(62) 하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장치(50)와,
    상기 배출장치(50)를 내부에 장착하는 저수트레이(46)와,
    상기 저수트레이(46)를 내부에 설치하면서 직렬로 배치되는 여러개의 저수부(2)와,
    상기 저수부(2) 타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공급펌프(86)의 유입파이프(88)를 내부에 배치한 수조(8)와,
    상기 측면분사부(74) 끝단부에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센서(90)와,
    상기 배출장치(50)와 공급펌프(86)와 센서(90)에 연결되는 제어부(38)와,
    상기 제어부(38)에 연결되는 조작부(40)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조(8) 일측과 각각의 저수부(2) 타측 사이에는, 세척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수로(6)가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부를 개방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로(6) 일측에는 각각의 저수부(2)와 경계를 이루는 격벽(7) 상부에 세척수만 넘어서 통과하도록 된 여과망(4)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로(6) 타측에는 수조(8)와 경계를 이루는 격벽(7) 상부에 세척수만 넘어서 통과하도록 된 여과망(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수조(10)상에 덥개판(9)이 설치되고, 상기 덥개판(9)에는 침전제를 침전수조(10)로 투입시키는 침전제투입기(22)와, 침전제가 세척수에서 신속히 용해되도록 저어주는 교반기(24)가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3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수조(10)와 저장수조(12)에 조정밸브(30,32)를 구비한 유입파이프(26,28)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정밸브(30,32) 사이에는 배출펌프(34)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펌프(34) 출구에는 배출파이프(36)가 연결되면서 저수트레이(46)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펌프(34)는 제어부(3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분사부(74)의 분사파이프(78)와, 상기 저면분사부(62)의 분사파이프(66) 끝단부 각각에 배출밸브(70,8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분사부(74) 끝단부에 차단기(92)가 거리를 두고 이격 되면서 세륜기(44) 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92)는 제어부(3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8)는 날씨 맑음모드와 우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조작부(40)에서 선택하면, 상기 센서(90)에 의해 체크되는 통과한 차량대수에 따라 침전제투입기(22)와 교반기(24)와 배출펌프(34)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형 세륜기.
KR1020050054434A 2005-06-23 2005-06-23 멀티형 세륜기 KR10056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34A KR100562999B1 (ko) 2005-06-23 2005-06-23 멀티형 세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34A KR100562999B1 (ko) 2005-06-23 2005-06-23 멀티형 세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999B1 true KR100562999B1 (ko) 2006-03-22

Family

ID=3717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34A KR100562999B1 (ko) 2005-06-23 2005-06-23 멀티형 세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76U (ko) * 1995-06-14 1997-01-21 민병관 자석이 구비된 침대용 스프링
JP2000071946A (ja) * 1998-08-31 2000-03-07 Takakatsu Onodera トラックなどの泥落とし装置
KR200334462Y1 (ko) * 2003-09-01 2003-11-28 김은희 자동세륜기
KR200358081Y1 (ko) * 2004-04-19 2004-08-05 김동호 건설현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76U (ko) * 1995-06-14 1997-01-21 민병관 자석이 구비된 침대용 스프링
JP2000071946A (ja) * 1998-08-31 2000-03-07 Takakatsu Onodera トラックなどの泥落とし装置
KR200334462Y1 (ko) * 2003-09-01 2003-11-28 김은희 자동세륜기
KR200358081Y1 (ko) * 2004-04-19 2004-08-05 김동호 건설현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28459U (zh) 一种建筑工地出口自动洗车装置
CN105290067B (zh) 节水型城市垃圾桶自动清洗装置
KR101464045B1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CN105714913B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处理系统
KR10224410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10097055A (ko) 이동식 친환경 세차기
CN109720306B (zh) 一种用于扬尘治理的智能车辆自动冲洗系统
CN205034086U (zh) 一种车辆轮胎冲洗装置
CN207361857U (zh) 一种混凝土车的废水循环处理装置
KR100562999B1 (ko) 멀티형 세륜기
CN205475587U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处理系统
KR102441181B1 (ko) 우수처리설비 및 우수처리방법
KR200303903Y1 (ko) 자동세륜기
CN212738032U (zh) 一种混凝土搅拌车冲洗装置
KR102123113B1 (ko)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US20190152799A1 (en) Improved site device for recycling washing water
CN103863263A (zh) 自动化车辆冲洗系统
KR20090112949A (ko) 세륜기
CN112874486A (zh) 一种使用循环水的基坑洗车机及其使用方法
CN203753096U (zh) 自动化车辆冲洗装置
CN217753718U (zh) 施工现场污水循环利用的洗车系统
KR102347977B1 (ko) 우수처리장치
KR200334411Y1 (ko) 차량용 세척설비
KR200282509Y1 (ko) 자동 세륜기
CN112295987A (zh) 清洗设备及桁架机器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