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941B1 -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941B1
KR100562941B1 KR1020050080577A KR20050080577A KR100562941B1 KR 100562941 B1 KR100562941 B1 KR 100562941B1 KR 1020050080577 A KR1020050080577 A KR 1020050080577A KR 20050080577 A KR20050080577 A KR 20050080577A KR 100562941 B1 KR100562941 B1 KR 10056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aluminum
noise reducer
high durability
soundproof wall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김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지스
최춘식
김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지스, 최춘식, 김성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지스
Priority to KR102005008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형상의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방음벽 상단에 설치하여, 소음이 상승 및 회절감쇄 및 흡음을 통하여 소음원을 감쇄시키도록 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는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삽입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패널과;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 상단에 그 하부가 고장력볼트로 고정 체결되되, 버섯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외면판과; 상기 외면판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외면판과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이를 지지 고정하는 기초판과; 상기 기초판에 수직으로 복수가 용접 고정되는 연결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알루미늄,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Description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 시공방법{Reducer of Diffractive S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중앙분리대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중앙분리대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레일 의 양측면 지지대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의 성능 시험 성적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20: 방음패널
30: 받침판 40: 고장력볼트
50: 외면판 60: 프레임
62: 지지부 70: 기초판
80: 연결플랜지 90: 내면판
100: 와이어로프 110: 중앙분리대
120: 지지대
R: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W: 방음벽
본 발명은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일명 레디프사운드: Reducer of Diffractive Sound)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음벽으로 입사된 후 반사되지 않고, 회절되어 방음벽 배면 쪽으로 타고 넘어가는 중ㆍ저주파대역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도로의 주변에서는 차량소음으로 인한 소음공해로 인하여 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음벽을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의 방음벽은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 사이에 각각의 방음패널들을 삽입하여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한 방음패널은 사각형 판재나 사각형 판재에 타공된 흡음재 및 사각형 판재 사이에 타공된 흡음재가 끼워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방음벽은 지주에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궁극적으로 수직벽 형태의 구조물로서, 소음의 입사각이 수직벽 즉 방음패널에 직접 부딪히는 소음은 감쇄시킬 수가 있으나 방음벽 상부로 진행하는 회절음은 차단 및 감쇄시키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섯형상의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방음벽 상단에 설치하여, 소음이 상승 및 회절감쇄 및 흡음을 통하여 소음원을 감쇄시키도록 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는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삽입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패널과;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 상단에 그 하부가 고장력볼트로 고정 체결되되, 버섯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외면판과; 상기 외면판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외면판과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이를 지지 고정하는 기초판과; 상기 기초판에 수직으로 복수가 용접 고정되는 연결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은 청구항 1의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설치용 와이어로프로 묶어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로프에 묶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단계; 설치대상인 방음벽 상단에 받침판을 설치한 후 고장력볼트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방음벽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방음벽 상단에 거치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방음벽 상단의 받침판에 고장력 볼트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는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 사이에 삽입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패널(20)과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30)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방음벽(W)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W) 상단에 그 하부가 고장력볼트(40)로 고정 체결되되, 버섯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외면판(50)과; 상기 외면판(50)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60)과; 상기 외면판(50)과 프레임(6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이를 지지 고정하는 기초판(70)과; 상기 기초판(70)에 수직으로 복수가 용접 고정되는 연결플랜지(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랜지(80)는 방음벽(W)의 상단부 차음판(30) 외측에 고장력볼트(40)로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외면판(50)과 프레임(60) 사이에는 천공 형성된 내면판(90)이 고 정 설치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는 외면판(50), 내면판(90), 프레임(60), 기초판(70) 및 연결플랜지(8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외면판(50)은 주재료로 발포알루미늄(흡음재)이다.
특히 발포알루미늄은 알루미늄 괴(Aluminum Ingot)을 용해한 후 각종 첨가제를 투입하여 특수발포(스펀지형상)시켜 만든 초경량 금속으로서 발포알루미늄의 내부구조는 수많은 기공으로 형성되어, 고강도, 흡음, 방음, 불연성, 내습성, 전자파 차폐성 등을 가지는 뛰어난 금속소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포알루미늄의 제조는 발포알루미늄의 주원료인 알루미늄 괴(99.7%)를 용해하며, 알루미늄 괴가 용해된 용탕에 일정 점성을 부여하여 증점하며, 용탕내에 기포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금속성 발포재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 교반하며, 발생된 기포가스를 응고시켜 독립된 셀 구조(스펀지 현상)로 발포하며, 발포된 금속을 안정적 균일성을 유지하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냉각시키며, 냉각된 괴 형상의 발포알루미늄을 패널 형상으로 절단한 후, 필요한 규격에 맞추어 최종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포알루미늄 제조시 핵심기술사항은 금속발포제를 통한 기포 발생의 균일성과 교반 분산 확산을 통하여 발포제의 수소분해 시간이 적어야 하고, 발포제 투입과 동시에 수소가스가 기포를 형성하므로 고속 교반을 통하여 용탕 내 기포발생을 최대한 분산시켜 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발포알루미늄은 발포알루미늄 내부의 기공들은 독립된 구조의 집합체이지만 이 격막에 압축가공 등의 수단에 의해 미세한 균열을 발생시켜 기공 간의 통기성을 이루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음에너지가 발포알루미늄을 통과하며, 기공 내에 도달하면 기공 벽들과의 마찰로 음파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다공질 재료 특유의 흡음효과가 있다.
또한, 외면판(50)과 내면판(90) 사이의 배후 공기층 두께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주파수대역에 대해 높은 흡음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은 그 표면을 녹방지막으로 WGS-ECO150액상과 분말을 배합한 액을 코팅한 강판을 이용하여 십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면판(50)을 지지하도록 한 구조이다.
특히, 상기 프레임(60)의 양측단에는 외면판(50)을 지지하도록 지지부(62)가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기초판(70)은 상부에 위치되는 외면판(50)과 프레임(60)을 지지시키기 위한 사각형 평판이다.
또한, 상기 외면판(50)과 프레임(60) 사이에는 천공 형성된 내면판(90)이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내면판(90)은 표면에 타공이 형성된 강판으로, 프레임(60)과 마찬가지로 표면에 코팅재가 도포된 구조이다.
또한, 연결플랜지(80)는 상기한 기초판(70)에 사각형 평판을 수직으로 대향되게 용접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연결플랜지(80)는 방음벽(W)의 상단에 위치된 받침판(30)에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재가 도포되며, 상기 코팅재는 개질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액상형태의 WGS-ECO150 액상 중량배합비 0.4와 시멘트계 무기질인 분말형태의 WGS-ECO150 분말 중량배합비 1을 배합하여 수화반응 및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 무기질 코팅재료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WGS-ECO150 분말은 아래와 같은 표 배합비로 구성된다.
재료명 중량배합비
포틀랜드시멘트 90±5
알루미나시멘트 10±2
무수석고 4±1
기타혼화제 1±0.5
또한, 상기 WGS-ECO150 액상 아래의 표 배합비로 구성된다.
재료명 중량배합비
DI Water 300-500
Surfactant A 0.5-1.0
Surfactant B 0.5-1.0
분산제 0.5-1.0
Initator/H2O 2.50/10.5
상기한 바와 같은 코팅제의 제조는 1단계로서 교반기 내에 증류수에 분산재 및 개시재를 넣고 섭씨 8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배합물을 제조하고,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배합물을 별도의 탱크에 넣은 후에 증류수 및 분산제에 각각 다른 기능이 있는 모노머를 첨가한 후에 재차 교반을 하면서 개시재와 물을 첨가하여 배합물을 제조한 후에 제3단계로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배합물을 냉각하면서 암모니아와 물을 넣고 배합함과 동시에 첨가제를 투하하여 제조된 개질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액상형태의 WGS-ECO150 액상과 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무수석고 및 기타 혼화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분말형태의 WGS-ECO150 분말을 중량 배합비(액상: 분말=0.4:1)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무기질 코팅재는 개질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와 시멘트계인 무기질과의 수화반응 및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코팅제로서, 강력한 접착력과 방수성, 내구성과 경도 및 탄성력이 대단히 우수하며, 시멘트계의 주성분 입자와 기타 불순물을 접착시켜 레이턴스 용출을 억제하는 친환경 소재이며, 프레임의 표면이 코팅되었을 때 형성되는 도막이 매우 단단하고 유연한 형태로 유지되며, 마모성이 우수한 도막과 내산성, 내후성이 탁월하며, 특히 철재의 표면에 코팅되었을 때는 프레임 내로 물, 염화물, 황산염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도 동시에 갖고 있어 프레임의 노화 및 열화되어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가 방음벽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은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설치용 와이어로프(100)로 묶어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로프(100)에 묶인 발포알 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단계; 설치대상인 방음벽(W) 상단에 받침판(30)을 설치한 후 고장력볼트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에 거치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의 받침판(30)에 고장력볼트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은 먼저,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조립하여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의 받침판(30) 외측에 연결플랜지(80)를 고장력볼트(40)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는 방음벽(W)의 높이가 제한되는 곳(특히 가시선 하부영역에서 소음저감이 필요한 경우)이나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110)의 상단에 설치하여 양방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의 양측면 지지대(120)상에 소음감소기(R)를 설치하되, 레일 상면으로부터 높이가 30∼100㎝까지의 지지대(120)상에 설치하여 차륜의 이동으로 인한 차륜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타 소음 줄이기가 필요한 곳이나 장기간 내구성이 요하는 곳에 적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는 차량의 주행이나 열차의 주행으로 인한 소음을 일차로 기존의 방음패널(20)에서 감쇄시키고, 이차로 방음벽(W)을 타고 올라가는 소음은 버섯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에서 소음의 상승 및 회절감쇄 및 흡음을 통하여 소음원을 감쇄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도 7의 시험성적서를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B.1 계측 결과
측정 음압
삽입손실 평가를 위해 측정된 음압을 표 B.1∼B.2 및 그림 B.1∼B.4에 나타내었다.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전
표 B.1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계속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1
표 B.1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2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후
표 B.2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계속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3
표 B.2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4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5
그림 B.1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전후 음압 레벨 비교. (a) Pt.1, (b) Pt.2, (c) Pt.3, (d) Pt.4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6
그림 B.2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전후 음압 레벨 비교. (a) Pt.5, (b) Pt.6, (c) Pt.7, (d) Pt.8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7
그림 B.3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전후 음압 레벨 비교. (a) Pt.9, (b) Pt.10, (c) Pt.11, (d) Pt.12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8
그림 B.4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전후 음압 레벨 비교. (a) Pt.13, (b) Pt.14, (c) Pt.15, (d) Pt.16
B2.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삽입손실
측정된 음압으로부터 삽입손실을 평가하면 표 B.3 및 그림 B.5와 같다.
표 B.3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계속
Figure 112005048666762-pat00009
표 B.3 소음 레벨[dB(A) ref2*10-5Pascal]
Figure 112005048666762-pat00010
Figure 112005048666762-pat00011
그림 B.5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설치 시 삽입손실. (a) Pt.1∼4, (b) Pt.5∼8, (c) Pt.9∼12, (d) Pt.13∼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방음벽의 높이가 제한되는 곳으로 특히 가시선 하부영역에서 소음저감이 필요한 경우나 중앙분리대의 양방향 소음저감이 가능하며, 장기간 내구성이 요구되는 곳에 탁월한 소음 감쇄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음의 회절감쇄와 흡음으로 인하여 가시선 하단의 소음을 3∼4dB(A)의 감음 효과(삽입손실)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지주 크기 및 방음패널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음감소기의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조건에 맞춰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였음으로 인하여 고급스러우며, 표면에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외형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써 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압 또는 물세척이 가능하며, 파손시 부분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 사이에 삽입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패널(20)과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30)으로 구성되는 방음벽(W)과; 상기 방음벽(W) 상단에 그 하부가 고장력볼트(40)로 고정 체결되되, 버섯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외면판(50)과; 상기 외면판(50)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60)과; 상기 외면판(50)과 프레임(6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이를 지지 고정하는 기초판(70)과; 상기 기초판(70)에 수직으로 복수가 용접 고정되는 연결플랜지(80)와; 상기 프레임(6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도포 형성된 코팅재로 구성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개질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액상형태의 WGS-ECO150 액상 중량배합비0.4와 시멘트계 무기질인 분말형태의 WGS-ECO150 분말 중량배합비 1을 배합하여 수화반응 및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 무기질 코팅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WGS-ECO150 분말은 아래의 표 배합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재료명 중량배합비 포틀랜드시멘트 90±5 알루미나시멘트 10±2 반수석고 4±1 기타혼화제 1±0.5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WGS-ECO150 액상은 아래의 표 배합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재료명 중량배합비 DI Water 300-500 Surfactant A 0.5-1.0 Surfactant B 0.5-1.0 분산제 0.5-1.0 Initator/H2O 2.50/10.5
  9.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과 H빔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 사이에 삽입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음패널(20)과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30)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방음벽(W)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W) 상단에 그 하부가 고장력볼트(40)로 고정 체결되되, 버섯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외면판(50)과; 상기 외면판(50)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60)과; 상기 외면판(50)과 프레임(6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이를 지지 고정하는 기초판(70)과; 상기 기초판(70)에 수직으로 복수가 용접 고정되는 연결플랜지(80)로 구성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설치용 와이어로프(100)로 묶어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로프(100)에 묶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단계;
    설치 대상인 방음벽(W) 상단에 받침판(30)을 설치한 후 고장력볼트(40)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에 거치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방음벽(W) 상단의 받침판(30)에 고장력볼트(40)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중앙분리대(110)상에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레일의 양측면 지지대(120)상에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상에 고내구성 소음감소기(R)를 설치하되, 그 설치높이는 레일 상면으로부터 30∼100㎝ 높이까지에 해당되는 지지대(120) 상단에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시공방법.
KR1020050080577A 2005-08-31 2005-08-31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KR10056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577A KR100562941B1 (ko) 2005-08-31 2005-08-31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577A KR100562941B1 (ko) 2005-08-31 2005-08-31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941B1 true KR100562941B1 (ko) 2006-03-22

Family

ID=371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577A KR100562941B1 (ko) 2005-08-31 2005-08-31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37B1 (ko) *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367970B1 (ko) 2013-12-26 2014-03-12 유니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방음벽 상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393A (ko) * 2002-03-18 2003-09-26 학교법인 한양학원 정성 및 정량용 간이형 챔버
KR20030080490A (ko) * 2002-04-09 2003-10-17 스마트에어 주식회사 자가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오존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393A (ko) * 2002-03-18 2003-09-26 학교법인 한양학원 정성 및 정량용 간이형 챔버
KR20030080490A (ko) * 2002-04-09 2003-10-17 스마트에어 주식회사 자가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오존 발생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753930000
200380490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37B1 (ko) *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367970B1 (ko) 2013-12-26 2014-03-12 유니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방음벽 상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938B2 (en) Concrete element comprising a sound-absorber
KR101833399B1 (ko) 기포콘크리트 보강용 판재부착 판넬
CN103922668A (zh) 轻质混凝土以及采用该混凝土的多功能防护板与制备方法
CN102155070A (zh) 一种轻质保温防火复合板及其生产方法
KR100562941B1 (ko)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고내구성 소음감소기 및 이의시공방법
CN102808492A (zh) 一种网状加强复合发泡水泥板及其制备方法
CN112592114A (zh) 一种用于pc构件的防水防锈材料
CN202787542U (zh) 一种网状加强复合发泡水泥板
CN109881772B (zh) 一种无梁柱板式房屋结构体系
KR200484453Y1 (ko) 숯 분말과 돌가루가 포함된 차음재
CN209760064U (zh) 一种道路声屏障
CN211689981U (zh) 一种用于降噪的复合阻尼钢板
JP2001163684A (ja) 吸音体及びその吸音体を用いた吸音・遮音構造体
KR102146203B1 (ko) 건물 외벽용 불연 clc 몰딩
CN101274834A (zh) 一种铸石吸声板及其制备方法
CN216239409U (zh) 一种包括防水层的楼面结构
CN213268560U (zh) 一种钢丝网架发泡水泥夹芯板隔墙
CN220365175U (zh) 一种聚苯颗粒轻质复合芯板隔墙板
CN220790449U (zh) 一种楼板的附加隔声结构
CN205013972U (zh) 一种变压器隔振降噪基座
CN211923215U (zh) 一种隔音加气混凝土板材
CN216007414U (zh) 一种简易抗震钢结构墙
CN214006235U (zh) 一种抗震型加气混凝土板材配筋结构
KR102629422B1 (ko)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CN211646808U (zh) 一种楼板用隔声保温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