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67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678B1
KR100562678B1 KR1020030071751A KR20030071751A KR100562678B1 KR 100562678 B1 KR100562678 B1 KR 100562678B1 KR 1020030071751 A KR1020030071751 A KR 1020030071751A KR 20030071751 A KR20030071751 A KR 20030071751A KR 100562678 B1 KR100562678 B1 KR 10056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data
user
cycl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6153A (en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678B1/en
Publication of KR2005003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0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using icons, e.g. selecting, moving or linking icons, on-screen symbols, screen regions or segments representing musical elements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65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에서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주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하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부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부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한다.The disclosed contents relate to a main / second monitor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karaoke cycle, wherein data for basic karaoke cycle functions such as code, start, stop, reservation, etc. of each song are input from a key input unit or a receiver in a karaoke cycle control unit. If the user inputs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ain graphic control unit,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video data displayed as the background, and the lyrics subtitle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ain monitor, If the data for the karaoke cycle add-on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er, the user inputs the song search word and the searched result to the secondary monitor through the sub graphic control unit. Or monitor program execution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Outpu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의 기본적인 기능과 부가 기능에 따른 데이터를 충분히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들의 동작상 혼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가기능 이용을 위한 별도의 PC나 셋탑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시스템 구성 및 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basic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period, and can also prevent user's operational confusion,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C or set-top box for using additional functions. Thus, the cost of system configur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can be reduced.

노래반주기, 주 모니터, 부 모니터, 기본 기능, 부가 기능Song cycle, main monitor, secondary monitor, basic functions, additional functions

Description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 / 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 second monitor control apparatus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main / secondary monitor control method of the so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주 리모콘 110 : 부 리모콘100: primary remote control 110: secondary remote control

200 : 노래반주기 210 : 키입력부200: song group cycle 210: key input unit

220 : 수신부 230 : 제어부220: receiver 230: controller

240 : 메모리 250 : 오디오 출력부240: memory 250: audio output

260 : 주 그래픽 제어부 270 : 부 그래픽 제어부260: main graphic control unit 270: sub graphic control unit

300 : 스피커 400 : 주 모니터300: speaker 400: main monitor

410 : 부 모니터410: secondary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보다 상세하게는 각기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모니터를 노래반주기에 함께 연결하여 하나의 모니터에는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인 영상 및 가사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모니터에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 노래반주기의 각종 부가기능 사용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wo independent monitors can be connected together to the karaoke cycle so that one monitor displays video and lyrics subtitle data,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karaoke cycle, and the other monitor displays song search, chat and web surf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 sub monitor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karaoke cycle for displaying data according to the use of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karaoke cycle.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미디 규격에 따라 조음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반주음에 맞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 영상 및 가사 자막을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In general, the vocal cycl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sing while watching the background image and lyrics subtitles output through the monitor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iment sound that is articulated according to the MIDI standard.

그리고, 노래반주기에는 미디 규격에 따른 반주음 데이터 및 가사 자막 데이터가 소정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소정의 주기로 신곡 데이터를 추가하여 업그레이드하게 된다.The accompaniment sound data and the lyrics caption data according to the MIDI standard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data memory in the song period, and new song data is upgraded by adding new song data at a predetermined period.

노래반주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들은 우선 각 노래별 코드가 적힌 책자 또는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모니터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 원하는 노래를 찾은 후, 해당 노래의 코드를 노래반주기에 입력한다.When using the song cycle, users first find the song they want through a booklet with a code for each song or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and then enter the code of the song into the song cycle.

이후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예약된 순서가 되면,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하는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미디 데이터 및 모니터를 통해 배경 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가사 자막 데이터를 보면서 노래를 부르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start button or the scheduled sequence, the karaoke cycle plays the MIDI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user displays the background data on the monitor and through the MIDI data played through the speaker. The song is sung while watching the lyrics subtitle data.

이와 같이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에는 배경이 되는 영상 및 가사 자막 데이터 이외에 노래반주기 이용을 위한 각종 메뉴 및 아이콘(노래반주기가 구동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화면에 표시됨), 사용자가 선곡하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노래 곡목 등이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karaoke cycle has various menus and icons for using the karaoke cycle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image and lyrics subtitle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song cycle is in the driving standby state), and the code number input by the user for selection. And song songs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er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모니터의 화면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래반주기의 기본적인 기능이 모니터 상에 표시될 때 다른 사용자가 노래 검색 등의 부가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모니터상에 함께 표시되어 충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었으며, 노래반주기의 기본적인 기능 표시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ong cyc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reen size of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is limited, when the basic function of the song cycl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nother user uses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In the case of being displayed together on the same monitor could not display enough inform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prevents the display of the basic functions of the song cycle.

또한,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노래 검색 이외에 채팅, 웹서핑 등의 다른 부가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PC나 셋탑박스를 구비하여 노래반주기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에 따른 비용이 크게 증가되고,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PC나 셋탑박스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karaoke cycle requires a user to install a separate PC or set-top box in the karaoke cycle in order to use othe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hat and web surfing in addition to searching for a song, the cost of the system configuration is greatly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separately developing a program for driving a PC or set-top box connected to a singing cycl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노래반주기에 각기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모니터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니터(주 모니터)에는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인 영상 및 가사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모니터(부 모니터)에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 노래반주기의 각종 부가기능 사용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 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two monitors that are used independently of one karaoke cyc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monitor (main monitor) to display the video and lyrics subtitle data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karaoke cycle The other monitor (sub monitor) to provide the main / secondary moni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karaoke cycle to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use of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There i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선곡한 코드에 해당하는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반주음 데이터 및 가사 자막 데이터를 출력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 및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주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부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부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의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되어 있는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제어부의 제 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로 출력하는 주 그래픽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화면을 부 모니터로 출력하는 부 그래픽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in / second monitor control apparatus for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roduces MIDI data of a song corresponding to a code selected by a user and outputs accompaniment sound data and lyrics subtitle data through a speaker and a monitor. In the karaoke cycle, data about the karaoke cycle basic functions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input by the user using the key provided in the karaoke cycle, and karaoke cycle such as song search, chat and web surfing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on an additional function; The main remote control receives data on the basic functions of the song cycle,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that the user enters, and the song cycle, such as searching for songs, chatting, and surfing the web,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ary remote control.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on additional functions; When the data for the basic function of the song cycl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image data displayed in the background, and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Controls to display lyrics subtitle data on the main monitor, and to display the song search terms and search results entered by the user on the secondary monitor when data for the song rhythm add-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or chat and web surfing. A control unit which execut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on the sub monitor;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using the basic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period, and outputting MIDI data of a specific song previously stor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n audio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MIDI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MIDI data through the speaker; The main graphic outputs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video data displayed in the background, and the lyrics subtitle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ain monitor. A controller; And a sub graphic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song search word and a search result data input by a user or a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a sub monitor.

이때, 상술한 제어부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노래반주기가 동작대기 상태가 되면, 주 모니터 및 부 모니터에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 이용을 위한 각종 메뉴와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display various menus and icons for using the basic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on the main monitor and the sub-monitor when the singing stage is in operation standby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administrator. It is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방법은, (1)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에서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 또는 부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해당 키신호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 아니면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3)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제어부에서 주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4)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제어부에서 부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부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 sub monitor control method for the karaoke period, (1) whether the key signal data of the user for using the basic function or additional function of the karaoke period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er in the song cycle period control unit. Judging the process; (2) When the user's key signal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to use the function of the song cycle period, the control unit inputs the key signal to data for basic music cycle function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ata is for a song half cycle add-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 (3) If the key signal data inputted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er unit is data for the basic rhythm cycle function such as code, start, stop, reservation, etc. for each song, the control unit code of a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ain graphic control unit. Displaying a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code number, image data displayed as a background, and lyrics subtitle data of a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n a screen of the main monitor; (4) If the key signal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is data for a karaoke cycle add-on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the control unit appends the song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searched result through the sub graphic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the monitor, or the program execution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output to the secondary monitor to display on th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ain / secondary moni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karaoke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 sub monitor control apparatus of the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210)는 노래반주기(200)에 구비된 각종 숫자, 문자 및 기능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 또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출력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key input unit 210 uses the various numbers, letters, and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song cycle period 200 to the basic functions of the song cycle period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input by the user. Data about the song rhythm add-on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and the like, are output to the controller 230.

수신부(220)는 주 리모콘(1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 또는 부 리모콘(11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30)로 출력한다.Receiving unit 220 is a song for each song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ain remote control 100, data for the basic function of the song cycle period, such as start, stop, reservation, or search for a song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ary remote control 110 Receives data on the singing cycle-period, such as chat, web surfing, and outpu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230.

이때, 상술한 수신부(220)는 노래반주기(200)의 설계 비용 및 단순화를 고려 하여 주 리모콘(100) 및 부 리모콘(1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receiver 220 is configure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imary remote control 100 and the secondary remote control 110 in common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cost and simplification of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그리고, 주 리모콘(100) 및 부 리모콘(110)을 별도로 사용하도록 한 이유는 주 모니터(400)와 부 모니터(410) 서로간의 동작에 대한 간섭 및 사용자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main remote control unit 100 and the sub remote control unit 110 are used separately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main monitor 400 and the sub monitor 410 and the user's interference.

제어부(230)는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노래반주기(200)의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그래픽 제어부(260)를 통해 주 모니터(4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30, if data on the basic function of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iving unit 220 is input, the song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and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and the background The displayed image data and lyrics caption data for a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main monitor 400 through the main graphic controller 260.

그리고, 제어부(230)는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그래픽 제어부(270)를 통해 부 모니터(4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부 모니터(4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data for a song-ban cycle add functi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iver 220, the control unit 230 displays the sub-monitor 410 through the sub graphic control unit 270 through the song search word and the searched result. ) To display on the sub monitor 410 by executing a program for chatting or web surfing.

또한, 상술한 제어부(230)는, 관리자(예를 들어, 노래방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노래반주기(200)가 동작대기 상태가 되면, 주 모니터(400) 및 부 모니터(410)에 노래반주기(200)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 이용을 위한 각종 메뉴와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described above, when the karaoke cycle 200 is in the operation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for example, the manager operating the karaoke), the control unit 230 to the main monitor 400 and the secondary monitor 410 Controls to display various menus and icons for using the basic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메모리(240)는 노래반주기(200)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의 이용을 위한 프 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되어 있는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memory 240 stores a program for using the basic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ong group period 200, and outputs MIDI data of a specific song previously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오디오 출력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250 reproduces the MIDI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nd outputs the MIDI data through the speaker 300.

주 그래픽 제어부(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400)로 출력한다.The main graphic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image data displayed as the background, and the lyrics about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The caption data is output to the main monitor 400.

부 그래픽 제어부(27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화면을 부 모니터(410)로 출력한다.The sub graphic controller 270 outputs a song search word and a search result data input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or a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sub monitor 410. .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 main / second monitor control method of a music recordi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main / secondary monitor control method of the so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노래반주기(200)의 제어부(230)에서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노래반주기(200)의 기본 기능 또는 부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즉, 노래반주기(2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노래반주기(200)에 구비된 각종 키를 조작하거나, 또는 주 리모콘(100)이나 부 리모콘(110)을 조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First, the control unit 230 of the singing period 200 determines whether the key signal data of the user for using the basic function or additional function of the singing period 200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iving unit 220. (S10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using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operates various keys provided in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or operates the main remote controller 100 or the secondary remote controller 110.

판단 결과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노래반주기(200)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23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키신호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 아니면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S2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s key signal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ption unit 220 to use the function of the singing cycle period 200, the controller 230 inputs a corresponding key signal input by the user for each so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is for the basic music rhythm cycle function such as start, stop, reservation, or data for the karaoke cycl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ong search, chat and web surfing (S200).

판단 결과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제어부(230)에서는 주 그래픽 제어부(26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400)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한다(S3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key signal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iver 220 is data for a basic cycle function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main graphic controller 260. ),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video data displayed as the background, and the lyrics caption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ain monitor 400 To display on the (S300).

그러나, 상술한 과정(S200)의 판단 결과 키입력부(210) 또는 수신부(22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제어부(230)에서는 부 그래픽 제어부(27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410)로 출력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부 모니터(410)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한다(S400).However, if the key signal data inputted from the key input unit 210 or the receiver 220 is data for a song cycle add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the controller 230 In the sub graphic control unit 270, the user inputs a song search word and a searched result to the sub monitor 410, or outputs a program execution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to the sub monitor 410 on the screen. To display (S40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 모니터에는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인 영상 및 가사 자막 데이터 를 표시하고 부 모니터에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부가기능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노래반주기의 기본적인 기능과 부가 기능에 따른 데이터를 주/부 모니터를 통해 충분히 표시할 수 있으며, 노래반주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기본기능, 부가기능 이용에 따른 동작상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in / second moni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karaoke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onitor displays video and lyrics subtitle data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the karaoke cycle, and the secondary monitor display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By displaying data according to additional function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display the basic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and additional data accor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s through the main / sub monitors,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using the basic songs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cy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부가기능 이용을 위한 별도의 PC나 셋탑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노래반주기의 시스템 구성 및 구동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PC or a set-top box for the use of additional functions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system configuration and driving program development of a singing cycle cycle.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3)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코드에 해당하는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반주음 데이터 및 가사 자막 데이터를 출력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In the song cycle to play the MIDI data of the song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hord selected by the user to output the accompaniment data and lyrics subtitle data through the speaker and the monitor,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 및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Using the key provided in the song cycle, the data for the song cycle basic functions such as the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input by the user, and the data for the song cycl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ong search, chat, and web surfing, etc. A key input unit receiving an input; 주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부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The main remote control receives data on the basic functions of the song cycle,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that the user enters, and the song cycle, such as searching for songs, chatting, and surfing the web,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ary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for the additional function; 상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부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노래반주기가 동작대기 상태가 되면, 상기 주 모니터 및 부 모니터에 노래반주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 이용을 위한 각종 메뉴와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When the data for the basic function of the song cycle period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the code number of the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the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the image data displayed in the background, and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Control to display lyrics subtitle data about the main monitor, and display the search terms and the search results entered by the user on the secondary monitor when the data for the karaoke cycle add-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Controls to display on the secondary monitor by executing a program for web surfing, and when the singing cycle period is in operation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ministrator, various menus for using the basic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singing cycle period on the main monitor and the secondary monitor Control the display of the and icons on the screen. Control unit;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의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되어 있는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using a basic music singing cycle basic function and an additional function, and outputting MIDI data of a specific song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의 미디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An audio output unit for reproducing MIDI data of a specific song selected by a user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MIDI data through a speaker;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상기 주 모니터로 출력하는 주 그래픽 제어부; 및A code number of a specific song input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image data displayed as a background, and lyrics caption data of the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user are output to the main monitor. Main graphical control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화면을 상기 부 모니터로 출력하는 부 그래픽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장치.And a sub graphic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song search word and a search result data input by a user or a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the sub moni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ain / sub monitor control of the music cycle. 삭제delete (1)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에서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 본 기능 또는 부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1) determining whether the key signal data of the user for using the basic function or additional function of the singing period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by the control unit of the singing period; (2) 판단 결과 상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노래반주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해당 키신호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 아니면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s key signal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ing unit to use the function of the song cycle period, the key signal in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song cycle period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Determining whether it is data for a function or data for a song half-cycle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and web surfing; (3) 판단 결과 상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각 노래별 코드, 시작, 정지, 예약 등의 노래반주기 기본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에서 주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노래의 코드번호 및 코드번호에 해당하는 곡목, 그리고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가 선곡한 특정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 데이터를 주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 및(3)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key signal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ption unit is data for a basic cycle function such as code, start, stop, and reservation for each song, the control unit inputs the user through the main graphic control unit. Displaying a code number of a specific song, a song title corresponding to the code number, image data displayed as a background, and lyrics subtitle data of a specific song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n a main monitor; And (4) 상기 과정(2)의 판단 결과 상기 키입력부 또는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키신호 데이터가 노래 검색, 채팅, 웹서핑 등의 노래반주기 부가 기능을 위한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에서 부 그래픽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래 검색어 및 검색된 결과를 부 모니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채팅 및 웹서핑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부 모니터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주/부 모니터 제어방법.(4) If the key signal data inputted from the key input unit or the receiver is data for a song cycle period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ong search, chat, web surfing, etc.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ser through the sub graphic controller. A song search term and a search result which are inputted to the secondary monitor, or a program execution screen for chatting and web surfing is output to the secondary monitor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How to control secondary monitor.
KR1020030071751A 2003-10-15 200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KR100562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51A KR100562678B1 (en) 2003-10-15 200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51A KR100562678B1 (en) 2003-10-15 200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153A KR20050036153A (en) 2005-04-20
KR100562678B1 true KR100562678B1 (en) 2006-03-23

Family

ID=3723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51A KR100562678B1 (en) 2003-10-15 200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67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153A (en)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9406B2 (en) Automatic performance apparatus
KR1005626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jor/minor monitor in karaoke device
JPH10207479A (en) Karaoke device
JPH09101795A (en) Karaoke device
JP4498221B2 (en) Karaoke device and program
JPH1091176A (en) Musical piece retrieval device and musical piece reproducing device
JPH1020870A (en) Karaoke sing-along device
JP2000099045A (en) Karaoke device
JPH09297593A (en) Karaoke (sing-along machine) device and its music selecting method
JPH08320693A (en) Karaoke sing-along machine
JP72187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161714B2 (en) Karaoke equipment
JP4456566B2 (en) Karaoke equipment
KR0178753B1 (en) Accompaniment device through screen with an entry mode
KR100404393B1 (en) Accompaniment device by external device of karao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formance
KR100543892B1 (en) Multimedia automatic accompaniment system
KR0147341B1 (en) Method of selecting additional song in a music accompanied system
KR100219135B1 (en) Imaging and musical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reservation
KR100702683B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ntaining user preference metadata for karaoke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9990075806A (en) Karaoke system (music playing system)
JP2001083975A (en) Karaoke device, external device of karaoke device and karaoke system
KR100200820B1 (en) A video-song accompaniment apparatus & cd-rom composite television
JPH1055189A (en) 'karaoke' device
KR1005613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etting optimum compass each genre in karaoke device
JPH1020877A (en) Musical tone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5